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합 상황에서 장애 대학생 교육에 대한 교수의 경험 및 인식

        유장순,유은정 한국특수아동학회 2019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1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perception about the teaching·learning for the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 consideration.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5 professors who had ever taught the college students with a various of disabilities. The method was a qualitative study by Focus Group Interviews.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s and transcribed in MS word program, the amount was 20 pages and additional 4 pages of A4 paper. Data were analysed to categorize primary open coding and constant comparison method. It was summarized to 3 categories and 8 themes. Results: First, professors have ambivalent experience of inclusive education at college. Second,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inattention at class and the professors had to be interested in their attitudes. And they were required to get reading /writing, communications, IT utility and social skills. Third, social and cultural support were required to effective inclusion at college. As well, they suggested that information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share to all of the professors and the criterion of entrance / inclusion for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be prepared.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improvement consideration were discussed.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4년제 대학의 통합 교육 상황에서 장애 대학생 교수 학습 현황을 교수들의 경험 및 인식을 통해 확인하고, 그에 따른 지원 및 개선 방안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 방법은 대학에서 다양한 장애 유형의 대학생을 가르친 경험이 있는 교수 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초점집단 면담(FGI)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질적 연구였다. 수집된 자료는 MS 워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사하였으며 A4 용지 20쪽 분량이었고, 면담 후 연구 참여자로 부터 받은 추가 서면 자료는 4쪽 분량이었다. 자료 분석은 기초적인 개방적 부호화 과정을 토대로 지속적인 자료 비교 방법(constant comparison method)을 거쳐 범주화하였다. 그 결과 3개 영역에 8개의 주제로 요약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교수들은 통합 교육에 대해 양가적인 인식을 경험하였다. 둘째, 장애대학생들은 수업시간에 잘 집중하지 못하고 교수들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하며 읽고 쓰기 기술, 의사소통 기술, IT활용기술, 긍정적인 동료관계 및 사회성 기술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셋째, 교수 학습지원 개선방안으로는 사회 및 심리적지지 환경 마련, 장애학생에 대한 사전 정보제공, 장애학생 입학 및 통합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선행연구와 비교하고 통합 상황에서 장애 대학생들의 효율적인 교수학습지원을 위한 방안을 논의에서 다루었다.

      • KCI등재

        특수학교 교사의 자유학기제 예술・체육활동 인식과 개선방안 연구

        유장순,김대룡,양은아,김정모,김지연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예술・체육활동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인식과 개선방안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수학교 교사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각 학교에서 3명의 특수교사를 표본 표출하는 할당표본표집법을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308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통 계패키지 프로그램 SPSS 22.0 ver. 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t-test, One-Way ANOVA분석을 통해 연구문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특수학교 교사가 인지한 자유학기제 예술・체육활동에 대한 인식 문항에서는 대체적으로 낮은 인식 수준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선방안에서는 ‘활동과 관련된 환경구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 셋째, 특수학교 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인식 및 개선방안 차이분석에서는 성별에 따라 개선방안에서는 통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특수학교 교사는 자유학기의 예술・체육 활동이 학생, 교사, 학교에 미치는 효과가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수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는 인식과 개선방안의 차이는 대부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awareness and improvement plan of arts and sports activities in the free semester system as perceived by special school teacher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special school teachers were set as the population and the quota sampling method was used, where three special teachers were sampled from each school.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questionnaire data of 208 participant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2.0 ver., and the research question was analys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upon analysis. First, in the question regarding the awareness of free semester system arts and sports activities as perceived by special school teachers, the level of awareness was generally low. Secondly, regarding improvement plans,‘construction of environment related to the activities’was the highest. Third, upon analysing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and improvement plan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pecial school teacher, statistical difference in improvement plans was found according to gender. In conclusion, it is perceived that the effect of arts and sport activities perceived by the special school teacher on students, teachers and the school is low, and there i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awareness and improvement plan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pecial teachers.

      • KCI등재

        특수교육 정책 실행 경험과 인식을 바탕으로 한 특수교육 중장기 발전 정책 탐색 -충청북도를 중심으로

        유장순,백종남,박소영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9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of special education and to seek mid-to long-term development policies in Chungcheongbuk-do. The subjects were 9 including kindergarten and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four administers of the special edcuation, and parents and teachers negotiation body leaders in Chungcheongbuk-do. The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by Focus Group Interview (FGI) and analyzed by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22 subtopics on 4 major topics. The number of teachers should be secured in order to reform an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 and that understanding disability should be practically implemented for inclusive education. In addition, strengthening capacities for inclusive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quality management provided special education training teachers, expanded placement of school inspector in charge of inclusive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quality management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and strengthening behavioral intervention. Also, in order to create the condi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lifelong education,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a cooperative system among relevant institutions and to activate the roles and functions of local governments.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 정책 실행 경험과 인식을 바탕으로 특수교육 정책의 실시 현황을 파악하여 특수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 그에 대한 정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충청북도에 근무하고 있는 특수학교 교장 2명, 전문가 2명, 유치원 및 초·중등학교 교사 3명, 그리고 학부모 및 관련 단체 2명으로 총 9명이다. 연구 방법은 FGI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지속적 비교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4개의 대주제에 22개의 소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통합교육 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교사 정원이 확보되어야 하며, 통합교육을 위한 장애인식 개선 교육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통합교육 및 특수교육 질 관리를 위한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관리자 및 일반교사들을 대상으로 특수교육 연수 제공, 통합교육 및 특수교육 담당 전문직 인사 확대 배치, 개별화교육의 질 관리, 행동중재 강화 등이었다. 그리고 평생교육 실행을 위한 여건 조성을 위해서는 유관 기관간의 협력체계 구축, 지자체의 역할 및 기능 활성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