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현대 상업공간 실내에 나타나는 오너먼트의 표현 특성

        이승윤 건국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공간을 디자인한다는 것은 보편적으로 시각적, 공간적인 미적 효과를 높이기 위한 장식 예술의 측면이 있다. 공간에서의 장식은 20세기 이전의 서양 역사에 따른 건축과 공간, 예술의 관점에 따라 고대 건축 구조와 양식, 성당 내부의 벽화 및 천장화, 모자이크 등의 표현으로 발전을 거듭하여 왔다. 과거의 장식 개념은 이론가들의 다양한 연구 담론을 통하여 ‘오너먼트(Ornament)’라는 언어로 지칭되기 시작하였다. 이것은 사물의 외면을 아름답게 치장하고 꾸미는 것으로 건축물이나 물건에 달린 개개의 장식 및 그 형식이나 모티브를 말하기도 하며, ‘모양, 장식의 의미로서 어떤 것의 미화를 위하여 구조적인 형상에 더해진 요소’ 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오너먼트는 과거로부터 자연의 형태를 묘사한 양식화된 요소로 창조되었으며, 생물체, 인체 등 생명이 있는 유기체의 형태 및 결정들과 다양한 형상이 결합된 모티브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20세기 이전의 장식은 수공예적인 방식에 의존하였기에 지나치게 노동 집약적이었으며 필요 이상의 비용을 요구했고 결국은 사치품이 될 수 밖에 없었다. 이로 말미암아 20세기 모더니즘 건축 및 공간에 있어 장식은 부도덕한 것으로 여겨졌으며, 그 결과 미니멀한 건축을 출현시켰다. 그러나 포스트모던 시기에 다시금 장식의 부활이 대두되면서 장식적인 표현은 현대에 이르러 급속도로 부각되었다. 단순화된 추상적 형태보다 표현적이면서 화려한 것을 바라는 시대로 변화하면서 특히 장식의 개념인 오너먼트는 상업적인 실내 공간에서 표현 영역을 넓혀 나갔다. 또한, 현대 상업공간의 실내에서는 감각적, 자극적인 성격이 공간에 요구되면서 오너먼트의 특성을 도입하여 공간의 의미를 전달하는 것은 중요한 표현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의 실내 디자이너들은 유사한 형상들의 혼합과 연상 작용, 규칙 및 불규칙적인 표현 방법 등을 통하여 적극적으로 실내 공간에 오너먼트를 도입, 확산시키고 있다. 이런 흐름에 부응하면서 최근 상업공간은 과거의 미니멀한 공간에서 탈피하여 오너먼트로 장식된 다양한 공간들이 나타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실내 공간에 있어 다양한 오너먼트의 표현 특성들을 살펴 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오너먼트의 특성이 잘 반영된 2000년대 이후의 해외 상업공간을 대상으로 하여 사례를 조사한 후 연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 및 선행연구를 토대로 “패턴의 결합, 유기체의 모사, 사물의 강조, 전통의 재현” 이라는 표현 특성 키워드를 도출하여 분석의 기본 틀로 사용했다. 분석에 의해 도출된 표현 특성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현대 상업공간 실내에서 오너먼트의 「패턴의 결합」에 의한 표현 특성은 도형 및 식물 조직 형상 등의 반복적인 패턴 결합으로 다양한 무늬와 문양을 창조하는 기하학적 패턴을 적용하는 방법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유기적 형상에 의한 곡선과 디지털 기술을 접목하여 반복적인 무늬와 다채로운 색상을 결합하는 프랙탈 패턴의 방법으로도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표현 형태들은 각각 실내 디자인의 구성에서 벽, 바닥 등 마감의 표현을 통하여 공간에서의 원근감과 깊이감, 방향성을 극대화시켜 공간감을 증진시키면서 시각의 미학을 반영하기 위한 오너먼트의 표현 특성으로 판단된다. 두 번째, 현대 상업공간 실내에서 오너먼트의 「유기체의 모사」에 의한 표현 특성은 식물, 동물과 연관된 자연의 생물체들을 모티브로 유기적 형상에 의한 곡선들을 사용하여 생물 형체 묘사를 적용하는 방법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인체의 이미지 등 인간을 형상화한 모티브를 거대한 스케일의 오브제 및 벽면 그래픽으로 표현하는 신체 이미지 유추의 방법으로도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표현 형태들은 각각 자연의 미학을 공간 속에 반영하기 위한 자연주의적 형상의 접근 방법으로 우리에게 친근한 자연적인 패턴을 오너먼트에 적용하였기에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되며, 오브제의 조형성 및 신체미학을 오너먼트를 통하여 극대화시키기 위한 연출로 보여진다. 세 번째, 현대 상업공간 실내에서 오너먼트의 「사물의 강조」에 의한 표현 특성은 대부분 일상의 사물 형태를 모사하여 적용하는 방법이 나타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놀이 요소의 직접적인 모사, 종교적 요소의 형태 모사, 구조적 형상 등 다채로운 표현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유희적, 사상적, 공간 속의 공간적 개념을 디자인 요소에 적용하면서 오너먼트의 상징성을 강조하기 위한 표현 특성으로 판단된다. 네 번째, 현대 상업공간 실내에서 오너먼트의 「전통의 재현」에 의한 표현 특성은 전통에 기초한 디자인 방향으로 고전 이미지를 현대적으로 재구성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 고전적인 기둥 및 양식 요소의 형상을 통한 스케일 변형 또는 새로운 해석을 현대에 재창조하는 표현이다. 이는 현대 공간에서 과거의 비례와 균형, 질서의 미를 반영하기 위해 고전적인 스타일의 요소와 기법들을 수용하면서 적극적으로 표현한

      • 공간이 움직임과 감정에 미치는 영향 : 위치와 형태를 중심으로

        이승윤 한국예술종합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공간의 각 영역은 고유한 성격을 가지며 무용수가 무대공간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감정이나 움직임의 표현이 달라질 수 있다. 기본적인 무대 위에 또 다른 공간을 설정하여 위치와 형태가 변화함에 따라 달라지는 무용수의 움직임의 형태 및 질감을 나타내고 수용자인 관객의 감정 변이를 연구하고자 한다.

      • 양파수확 기계화를 위한 줄기절단기계 개발에 관한 연구

        이승윤 慶尙大學校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Onion is an important agricultural product influencing Koreans’ dietary life because of its effectiveness on prevention of various adult diseases. However, onion cultivation mostly depends on human labor except for plowing and harrowing, pest control, and row covering that are mechanized. Mechanization of its cultivation is required because of scale improvement, reduction in production coast, and increase in price competitiveness. Raising of seedling, transplanting, and harvesting occupy highest share of labor input time by work process for domestic onion cultivation. The labor charge in production cost was 53.5% in 1991, 53.8% in 1993, and 55.7% in 1995 but still has a higher percentage. In harvesting work, stem cutting has 30%, digging 60%, and collecting 10%; stem cutting work requires 27.6 hr/10a among the entire labor input time. In particular, 80% of the harvesting work depends on human labor and the labor productivity has been significantly declined due to aging of agricultural labor. The phenomenon is similar to that of the entire agricultural structure, but causes a serious problem in onion cultivation because onion cultivation requires concentrated labor in transplanting and harvesting as in rice farming. In Korean southern areas as main cultivation area of onion, it is difficult to harvest onion by increase of demand for labor simultaneously because the farmers should perform rice transplantation between the beginning and the middle of June immediately after onion harvesting. Digging and collection for onion cultivation has been partially mechanized, but there are few researches about stem cutters. No machine has been developed for stem cutting on the case of vinyl mulching cultivation. Mechanization of onion cultivation is essential to increase competitiveness of farms of onion cultivation. In order to mechanize stem cutting and vinyl removal that occupy 32.6 hr/10a of labor in harvesting work,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onion cultivation in main cultivation area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nd a machine for onion stem cutting based on the results of basic tests needed for designing was developed. The performance of the machine to estimate its work performance was test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Status of farmhouses and decision of the onion stem cutting point The average labour hours required for each process in onion cultivation was about 23.2 h/10a. Most of the farmhouses should harvest onion rapidly not only because personal expenses should be cut down but because they should perform rice transplantation as succeeding double-cropping immediately after the onion harvest in June, a reason that requires development of onion stem cutter. The operating width of the stem cutter was determined to be 1,000 mm for the integrated system of onion cultivation mechanization. Reciprocal cutting blades for combine whose cutting plane is similar to a sickle, a traditional tool for stem cutting, was determined to be a cutting blade. The onion stem cutting point which is the distance between the cutting point and the ground, was determined to be 70 mm by considering the decomposition rate during the onion storage after harvest depending on the cutting point. 2. Basic test The vinyl tensile force of the low-density polyethylene film used for agricultural mulching vinyl is reduced down to 90% of the original force. vinly collecting process was difficult because the vinly was easily torn. According to the preliminary test, the vinyl with the tensile force of 27.99 N, which is hardly tearing in its removal process, might be appropriate in onion cultivation. When the water content in onion was 96%, the average resistance for stem cutting was 3.39 N; the cutting resistance become less with the moisture content in onion becoming higher and the stem cutting distance becoming longer. Also, the cutting resistance was lowest at the condition of the blade scope of 30° and the blade angle of 20° among variation levels for parameter effects test . The blade scope and angle for the prototype of this study was decided as 33° and 22°, respectively. Those are the same values of the combine in the domestic market, because the dimension values of the blade by the parameter effects test are very similar to those of the combine and the cost for making the new blades are considered. By the analyses of forward resistance test in soil depending on guide angle, the average resistance was about 2.26 N when the guide angle was 40°, which is less than that of 45° or 50°. Therefore, the guide angle was selected to be 40° considering the length of the guide becoming longer and the length of the onion stem cutter becoming longer with the guide angle becoming less. 3. Development of prototype onion stem cutter For the mechanization of onion stem cutting,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prototypes of onion stem cutting equipment were designed, manufactured, and tested on the field. The first and the second prototype were walking-type. The third and the forth prototype were riding-type(attached to rice planter). The results of the tests showed that the average working speed and the field working efficiency for the walking-type are 0.2 m/s and 8.5 a/h, respectively. Those for the riding-type rice planter were 0.5 m/s and 21.3 a/h. Those for the riding-type attached to tractor were 0.2 m/s and 6.9 a/h on the condition of 1,300 mm of working width. The operating time of onion stem cutters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conditions of working. The arable land under burden calculated in order to use the cutters efficiently was 10.6 ha for the walking type, 26.5 ha for the riding type (rice planter), and 8.7 ha for the riding type (tractor) when the conditions of 74% of field working efficiency, 72% of real working time ratio, 60.6% of ratio of possible working days, 8 hours of daily working, and 30 days of possible working were applied. The riding type (rice planter) was superior in working efficiency and the area of working process, but the percentage of the damaged onions was highest (12 to 15%). The damage rate by the guide became increased as the working speed became increased; further studies may be needed to reduce the damage rate for mechanization of onion cultivation. The onion stem cutter attached to tractor can conduct the cutting process with the working speed of 0.2 m/s and the working area of 690 ㎡/h for the stem cutting height of 70 mm and vinyl discharging process simultaneously. According to the surveys, the labour hours for the conventional, the manual working required for removing vinyl and stem cutting was averagely 32.6 hr/10a for the main production area of Korea. The labour hours required for working with the onion stem cutter attached to tractor in this study was 14.4 hr/10a. Therefore, the labor reduction may be estimated to be about 60%. 양파는 매년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증가되고 있으며 농가 소득을 증대시키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각종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인정되어 국민 식생활에도 큰 영향을 미칠 만큼 중요한 작물이다. 그러나 양파재배의 기계화작업은 경운정지, 방제, 휴립피복 등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인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으로 규모화와 생산비 절감, 가격 경쟁력 제고를 위한 기계화는 절실하다. 국내의 양파재배 작업별 노동투하시간은 파종, 정식 및 수확작업의 비중이 가장 높으며, 생산비에서 노력비는 ’91년 53.5%, ’93년 53.8%, ’95년 55.7% 이며 최근 2000년이후 경운정지 작업기계의 보급 확대로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수확작업에서는 줄기절단 30%, 굴취 60%, 수집 10%의 비율로 전체 노동 투하시간 중 줄기절단에는 20.7 hr/10a 소요된다. 특히 수확작업은 76%가 인력에 의존하고 있고 농촌 노동력의 노령화로 노동 생산성이 많이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상은 전체 농업구조와 동일한 현상이지만, 특히 양파재배는 벼농사와 마찬가지로 정식과 수확시기에 노동력이 집중되므로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더욱이 양파 주생산지인 남부지방에서는 논에서 재배할 경우 수확 후 곧바로 묘 이앙이 6월초에서 중순경으로 이어지므로 동시 다발적으로 노동력 수요 증가로 수확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굴취 및 수집의 기계화는 진행되고 있으나 줄기절단기계의 연구는 저조하며, 비닐 멀칭 상태에서의 줄기절단기계는 없다. 양파재배농가의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것은 양파재배기계화가 필수이며, 수확작업에서 노동력이 32.6 hr/10a가 소요되는 줄기절단과 비닐제거 작업의 기계화를 위하여 본 연구는 양파재배 주산지를 중심으로 특성을 조사 분석하고 설계에 필요한 기초 시험에 의한 구명 결과를 바탕으로 양파줄기절단기계를 개발하여 그 성능을 시험 분석하고 작업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문헌 및 농가현황조사 양파재배의 단계별 소요시간을 조사한 결과 양파수확에 소요되는 시간은 평균 23.2 hr/10a이였으며, 농가의 대부분은 양파 수확 후 후작으로 바로 벼 이앙작업을 하는 시기이므로 수확작업이 빠르게 이루어져야 되기 때문에 양파줄기절단기계의 개발이 꼭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양파줄기절단기계의 작업폭은 양파재배기계화 일관화 구축을 위해 1,000 mm로 결정하였으며, 절단칼날은 관행작업 도구인 낫과 절단면이 유사한 콤바인용 왕복식 칼날로 결정하였다. 줄기절단 높이는 길이가 길어질수록 부패 발생률이 4.4%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망작업과 유통의 문제로 70 mm로 한정하였다 2. 기초시험 농업용 멀칭비닐로 사용하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은 양파재배 기간에 비닐이 부식되어 비닐인장력이 원재료의 90%수준으로 저하되므로 비닐 제거시 찢어짐이 생겨서 비닐수거에 애로사항이 있었다. 따라서 양파재배 농가에서는 비닐 찢어짐이 거의 없는 27.99 N의 비닐을 사용하여 재배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수분함유량이 96%일 때 줄기절단높이의 평균 저항은 3.39 N으로 수분이 많을수록, 줄기절단 높이가 길수록 절단저항은 작게 나타났다. 절단칼날은 칼날 기움각 30°, 칼날 각도 20°에서 절단 저항력이 가장 작게 나타났으나, 시작기는 콤바인용 왕복식 예취칼날로 사용되는 칼날 기움각 33°, 칼날 각도 22°의 제품을 적용하는 것이 시작기 개발 비용 절약 면에서 적정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가이드의 토양내 전진저항에서 가이드 각도 40°일때 평균저항은 2.26 N으로 가이드 각도 45°와 50°보다 작았으나, 가이드 각도가 작아지면 가이드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어 양파줄기절단기계의 외형이 길어지고 운전 조작성이 불리함 등을 고려하여 40°가 적정할 것으로 판단된다. 3. 양파줄기절단기계 시작기 개발 양파줄기절단기계화의 가능성에 대한 시험을 위하여 1차 및 2차 시작기는 보행형이었으며, 3차 및 4차 시작기는 승용형으로 제작하여 포장시험을 한 결과 보행관리기 부착형 시작기는 작업속도 0.2 m/s에서 줄기 절단율 72%로 다소 낮았고, 양파 구 손상율은 10∼12%로 다소 많이 손상되었다. 승용이앙기 부착형 시작기는 작업속도 0.2 m/s에서 줄기 절단율 81%, 양파 구 손상율 8∼10%로 보행형 보다는 다소 안정된 작업 상태를 유지 할 수 있었다. 가이드유인 방식의 트랙터 부착형 시작기에는 가이드를 4개 부착하였으며, 작업속도 0.2 m/s에서 줄기절단율 91%, 양파 구 손상율 6∼9%로 나타났다. 또한 작업속도 0.13 m/s에서는 절단율은 높고 손상율은 낮았다. 유효작업능률은 보행관리기 부착형에서 평균 작업속도 0.2 m/s일 때, 시간당 8.5 a이고, 승용이앙기 부착형은 평균 작업속도 0.5 m/s일 때 시간당 21.3 a이며, 트랙터 부착형은 평균 작업속도 0.2 m/s일 때, 작업폭 1,300 mm에서 시간당 6.9 a로 나타났다. 양파줄기절단은 작업 여건에 따라 양파줄기절단기계의 사용시간이 다르게 되므로 양파줄기절단기계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산출하는 부담면적은 포장작업효율 74%, 실 작업시간율 72%, 작업가능일수율 60.6%, 1일 작업시간 8시간, 작업가능일 수 30일을 적용하여 산출한 결과 보행관리기 부착형에서10.6 ha, 승용이앙기 부착형에서 26.5 ha, 트랙터 부착형에서 8.7 ha로 나타났다. 비닐상부 유인방식의 보행관리기 부착형과 승용이앙기 부착형 시작기 작업효율 및 부담면적을 산출한 결과는 우수하였으나, 가이드 유인방식의 트랙터 부착형 시작기에 비하여 양파의 손상율이 높고, 줄기 절단율은 낮았다. 트랙터 부착형 시작기는 0.2 m/s 작업속도로 양파줄기 70 mm 내외의 높이로 절단과 동시에 비닐 배출이 가능하며, 시간당 690 ㎡의 작업을 할 수 있다. 기존의 보고 자료를 토대로 평가할 때 비닐제거와 줄기절단에 소요되는 인력 작업은 32.6 hr/10a(주산지 평균)이었고, 트랙터 부착형 시작기로 작업시에는 14.4 hr/10a로 나타났으므로 약 60% 노동력 절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용화를 위한 양파줄기절단기계는 비닐을 가이드에 의해 걷어 올리면서 양파줄기를 절단하고 멀칭비닐은 후방으로 배출하는 트랙터 부착작업기의 형태가 작업성능이나 작업 환경측면에서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 생활체육 배구동호인의 대회 참여특성에 따른 참여만족도와 직무만족도간의 관계

        이승윤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Extent to Which Sport Volleyball Enthusiasts Participation in Competitions Relates to Their Job and Participations Satisfactions Kookm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ungyoon Lee This study desires to establish relationship between job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by setting the effect of sport volleyball enthusiasts’ participation in competitions relating to their job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as a hypothesis and a variable of study. Objects of the stud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tal 390 enthusiasts such as 140 enthusiasts participating in ‘The 38th Prime Minister’s National Man-Woman 9 Players System Volleyball Competition’ in Mungyeong-si of Gyeongbuk, 140 enthusiasts participating in ‘The 12th Naju Flower’s National Man-Woman Volleyball Competition’ in Naju of Jeollanam-do, and 110 enthusiasts participating in ‘The 5th Bucheon Mayor’s Sport Volleyball Competition’ in Bucheon of Gyeonggi-do. Except for 14copies whose answers are insufficient and 38 copies of students or the unemployed who is difficult to measure ‘job satisfaction’ among total 390 copies of collected data, only 338copies were used in a final analysis. Questionnaire was used as a research tool, and a mania judgment standard questionnaire used in a study of Munsoo Park(2009)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fit this study, so was used for a research of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in volleyball competitions. For a questionnaire about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volleyball competitions, a questionnaire for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swimming participants used in a study of Daecheol Jung(2011)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fit this study, so was used. In addition, criterion used in studies of Yeokyung Yoon(2013), Mikyung Jung(2010), and Jieun Lee(2010)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fit this study, so was used for a questionnaire to measure job satisfaction. For statistical analysis to organize the resources, the researcher used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i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one-way layout varia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partially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competition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in volleyball competitions have a partial impact on participation and job satisfaction in volleyball competitions. Third, all sub-variables between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show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국문초록 생활체육 배구동호인의 대회 참여특성에 따른 참여만족도와 직무만족도간의 관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이 승 윤 이 연구의 목적은 생활체육 배구동호인의 대회 참여특성에 따른 참여만족도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의 가설과 변인으로 설정하여 참여만족도와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대상자는 경북 문경에서 개최된 ‘제 38회 국무총리배 전국남여9인제 배구대회’에 참가한 동호인 140명, 전남 나주에서 개최된 ‘제 12회 나주꽃배 전국남녀배구대회’에 참가한 동호인 140명, 경기도 부천에서 개최된 ‘제 5회 부천시장기 생활체육 배구대회’에 참가한 동호인 110명, 총 39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390부의 수집된 자료 중 응답이 부실한 14부와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힘든 직업이 학생이나 무직인 38부를 제외한 338부만 최종분석에 이용되었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배구대회 참여특성 조사는 박문수(2009)의 연구에서 사용된 매니아 판단기준 설문지를 본 여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배구대회 참여만족도에 대한 설문지는 정대철(2011)의 연구에서 사용된 수영참가자의 참여만족 설문지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직무만족도 측정 검사지는 윤여경(2013)과 정미경(2010), 이지은(2010)의 연구에서 사용한 척도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한 통계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대회 참여특성, 대회 참여만족도, 직무만족도은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배구대회 참여특성은 배구대회 참여만족도와 직무만족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회 참여만족도와 직무만족도 간의 모든 하위변인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운동경력의 차이가 필드하키선수의 등뼈 관절 운동성, 어깨 기울기 및 기능적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

        이승윤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천)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필드하키 선수를 대상으로 운동경력의 차이가 등뼈 관절 운동성, 어깨 기울기 및 기능적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필드하키선수 총 90명(남자: 45명, 여자 45명)을 대상으로 남녀별 운동경력의 차이에 따라 남자 필드하키선수 중학생 집단(n=13), 고등학생 집단(n=18) 및 대학생 집단(n=14)과 여자 필드하키선수 중학생 집단(n=18), 고등학생 집단(n=12) 및 대학생 집단(n=15)으로 분류하여 등뼈 관절 운동성, 어깨 기울기 및 기능적 움직임을 측정하였다. 남자(p=.002) 및 여자(p=.011) 필드하키선수에서 Bar-in front rotation은 중학생 집단과 비교하여 대학생 집단에서 각각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남자 필드하키선수에서 Lumbar-locked rotation은 중학생 집단(p=.001) 및 고등학생 집단(p=.002)과 비교하여 대학생 집단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여자 필드하키선수에서 Lumbar-locked rotation은 중학생 집단과 비교하여 대학생 집단(p=.013)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남자 필드하키선수에서 Shoulder gradient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여자 필드하키선수에서 Shoulder gradient는 중학생 집단(p=.011)과 비교하여 대학생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남자 필드하키선수에서 In-line lunge는 중학생 집단과 비교하여 고등학생 집단(p=.011) 및 대학생 집단(p=.016)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Trunk Stability push-up은 중학생 집단과 비교하여 고등학생 집단(p=.037) 및 대학생 집단(p=.027)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Rotary stability는 중학생 집단(p=.000) 및 고등학생 집단(p=.000)과 비교하여 대학생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Total score는 중학생 집단(p=.013) 및 고등학생 집단(p=.009)과 비교하여 대학생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Deep squat, Hurdle step, Shoulder mobility 및 Active straight leg raise는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여자 필드하키선수에서 Trunk stability push-up은 중학생 집단(p=.001) 및 고등학생 집단(p=.003)과 비교하여 대학생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Deep squat, Hurdle step, In-line lunge, Shoulder mobility, Active straight leg raise, Rotary stability, Total score는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이 연구에서 필드하키선수는 운동경력의 차이, 즉 운동경력의 증가에 따라 등뼈 관절 운동성, 어깨 기울기 및 기능적 움직임이 종목 특이적으로 변형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exercise history on thoracic mobility, shoulder gradient and functional movement in field hockey players. Subjects (n=90; M: 45, F: 45) were assigned to middle school players (M=13, F=18) high school players (M=18, F=12) and college players (n=14, F=12) by exercise history of male and female field hockey. All subjects measured the thoracic mobility, shoulder gradient and functional movement. Bar-in front rotation in male(p=.002) and female field hockey players(p=.01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ollege players than in middle school players. Lumbar-locked rotation in male field hockey play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ollege players compared to middle school players(p=.001) and high school players(p=.002). Lumbar-locked rotation in female field hockey play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ollege players than in middle school players(p=.013). Shoulder gradient in male field hockey player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but shoulder gradient in female field hockey play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ollege players compared to middle school players(p=.011). In-line lunge in male field hockey play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middle school players in high school players(p=.011) and college players(p=.016). Trunk stability push-up in male field hockey play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high school players(p=.037) and college players(p=.027) compared to middle school players. Rotary stability in male field hockey play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high school players(p=.000) and college players(p=.000) compared to middle school players. Total score in male field hockey play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ollege players compared to middle school players(p=.013) and high school players(p=.009). However, Deep squat, Hurdle step, Shoulder mobility and Active straight leg raise in both sexe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Trunk stability push-up in female field hockey play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ollege players compared to middle school players(p=.001) and high school players(p=.003).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erms of Deep squat, Hurdle step, In-line lunge, Shoulder mobility, Active straight leg raise, Rotary stability, and Total score.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of exercise history changes thoracic mobility, shoulder gradient and functional movements by specific to the sports.

      • Drone route scheduling for military reconnaissance

        이승윤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손자병법의 지피지기 백전불태(知彼知己 百戰不殆)의 말처럼 전쟁의 승패에 가장 중요한 것은 적에 대한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이를 토대로 자신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하는 것이다. 우리 군은 적에 대한 불확실성을 제거하기 위해 군사 정찰의 여러 분야에 힘을 쏟고 있다. 이러한 우리 군의 노력 중 하나가 최근 각광받고 있는 무인 정찰기, 드론을 활용한 군사 정찰이다. 최근 드론의 발전은 군사 정찰에도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급속도로 발전하는 드론의 비행능력은 우리 군이 미래 군사 작전 간 전장 확대에 발맞춰 대응할 수 있도록 가능케 해준다. 이러한 드론의 발전에 따라 우리 군도 차기 군단급 무인기인 송골매(RQ 101k), 차기 대대급 무인기인 리모아이(RQ 103K) 등을 실전배치를 목표로 지속적인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드론의 발전에도 소규모 부대의 특성상 중대급 부대는 경량화된 드론을 운용해야 한다. 이에 따라 불가피하게 운용가능시간과 같은 드론 제원의 제한사항들이 발생한다. 또한, 적의 핵심목표위주로 대화력전을 수행하는 상급부대와는 달리 중대급 부대는 작전 지역 내 공격해오는 적들과 가용한 모든 자산을 활용하는 전면전을 수행한다. 따라서, 드론 제원의 제한사항과 전면전이라는 중대급 부대의 특수성에 의해 차량경로문제(Vehicle Routing Problem, VRP)나 외판원문제(Traveling Salesman Problem, TSP)을 통해 드론의 정찰 경로를 설계하는 기존 연구만으로는 효율적인 중대급 정찰 드론의 경로 설계가 제한된다. 중대급 부대의 효율적인 드론 정찰 경로를 기존 연구와는 다른 접근법을 통해 설계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중대급 부대에 적용 가능한 여러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해당 시나리오별 최적의 군사 드론의 정찰 경로를 설계하였고, 해당 시나리오별 군사 드론의 정찰 시간을 비교함으로써, 부대의 가용 시간별 최적의 군사 드론 정찰을 계획할 수 있도록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중대급 부대는 작전가용 시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적과의 전투에 승리할 수 있을 것이다.

      • 회복 탄력성, 조직 몰입, A형 행동 유형이 직무 스트레스와 안전 행동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이승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도화된 현대 산업에서의 사고는 Human Error가 결합 된 복잡한 형태로 변화되었음을 주목하고, 인간의 안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 산업에서 증가하고 있는 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가 안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성격 유형과 심리적 요인(회복 탄력성, 조직 몰입, A형 행동 유형)의 조절 효과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주요 집단의 특성에 따른 연구 변수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경기권, 충청권의 250개 사업장 근로자 2,098명을 대상으로 선행 연구에서 검증된 측정 도구를 활용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을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는 첫째, 직무 스트레스와 안전 행동의 관계에서 개인의 성격 유형과 심리적 요인은 유의미한 상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직무 스트레스와 안전 행동의 관계에서 회복 탄력성과 조직 몰입 수준은 긍정적인 조절 효과가 나타났으며, A형 행동 유형의 성격 유형은 부정적인 조절 효과가 있는 것을 검증하였다. 둘째, 연구 대상자의 주요 집단의 특성에 따라 연구 변수의 차이 분석을 진행한 결과, 직무 스트레스와 안전 행동은 주요 집단 특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그 차이는 상호 부(-)적인 관계임을 확인하였다. 직무 스트레스는 연령대가 높을수록, 비정규직 근로자이거나, 회사 규모가 작거나, 건설업/전기공사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일 경우 직무 스트레스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와 반대로 안전 행동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정규직 근로자이거나, 회사 규모가 크거나, 제조업/서비스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일 경우 안전 행동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산업 현장에서 안전 행동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성격 유형과 심리적 요인이 중요한 요소임을 인지시키고, 효과적인 인적 자원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또한, 향후 산업 현장의 근로자 안전 심리 증진을 위해 사업장과 정부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고 접근 방향을 제안 함으로써 정책적·실무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noted that accidents in advanced modern industries have changed into complex forms in which human errors are combined, and tried to study the factors that affect human safety behavior. In this study, the effect of increasing job stress of workers in modern industry on safety behavior was analyzed,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sonality type and psychological factors (resilie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type A behavior pattern were verified. In addition, we compared and analyzed whether differences in study variables appear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in groups. For the stud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using measurement tools verified in previous studies for 2,098 workers at 250 workplaces in the Gyeonggi and Chungcheong region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individual's personality type and psychological factors had a significant mutual influ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afety behavior. In other word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afety behavior, it was verified that resilie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s had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and type A behavior pattern had a negative moderating effec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research variabl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in groups of study subjects, job stress and safety behavior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in group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s were in a mutually negative (-) relationship. did As for job stress, higher age groups, non-regular workers, small companies, and workers in the construction/electrical construction industry showed a higher level of job stress. Conversely, safety behaviors were found to be higher in the case of higher age groups, full-time workers, large companies, or workers in manufacturing/service industries.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recognized that individual personality types and psychological factors are important factors in expanding safety behavior in industrial settings, and basic data were provided to prepare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plans. In addition,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by discussing the roles of workplaces and the government and suggesting approaches to improve workers' safety sentiment at industrial site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