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줄넘기 운동이 사무직 근로자의 신체조성, 근피로도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

        이경구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천) 2017 국내석사

        RANK : 249631

        이 연구의 목적은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6주간의 줄넘기 운동이 신체조성, 근피로도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사무직 근로자 20명을 줄넘기 운동군(jump rope exercise group; JEG, n=10) 및 통제군(control group; CON, n=10명)으로 무작위 분류하였다. 줄넘기 운동은 준비운동(10분), 본운동(28분) 및 정리운동(10분)의 1일 48분, 주3회, 6주간에 걸쳐서 실시하였다. 운동 강도는 점증부하방식으로 1∼2주(분당 100회의 속도, 3분간 6세트, 세트 간 휴식시간 2분), 3∼4주는 분당 110회 및 5∼6주는 분당 120회로 세트 수 및 휴식시간은 동일하게 설정하여 실시하였다. 신체조성(체중, 근육량, 체지방율, BMI), 근피로도(앞정강근, 배곧은근, 척추세움근, 장딴지근) 및 체력(눈감고외발서기, 윗몸일으키기, 앉아몸통앞으로굽히기, 플랭크, 악력, 하버드스텝)은 동일한 시간, 장소 및 동일자에 의해 줄넘기 운동 전 및 6주 후에 각각 측정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체조성은 줄넘기 운동전과 비교해서 운동 6주후에 두 집단 모두에서 통제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척추세움근의 피로도는 줄넘기 운동전과 비교해서 운동 6주후에 JEG에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하지만 앞정강근, 배곧은근 및 장딴지근의 피로도는 줄넘기 운동전과 비교해서 운동 6주후에 두 집단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윗몸일으키기, 플랭크 및 하버드스텝은 줄넘기 운동전과 비교해서 운동 6주후에 JEG에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하지만 눈감고외발서기, 악력 및 앉아몸통앞으로굽히기는 줄넘기 운동전과 비교해서 운동 6주후에 두 집단 모두에서 통제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이 연구에서는 줄넘기 운동이 사무직 근로자의 근피로도 및 체력을 개선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주요어: 줄넘기 운동, 신체조성, 근피로도, 체력, 사무직 근로자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body composition, muscle fatigue and physical fitness in white-collar workers. Twenty white-collar workers (n=20) were randomly assigned to Jump rope exercise group (JEG, n = 10) and control group (CON, n = 10). Jump rope exercise was performed for 48 minutes, 3 times a week, for 6 weeks. The body composition (weight, muscle mass, body fat, BMI), Muscle fatigue (Tibialis anterior muscle, rectus abdominis muscle, erector spinae muscle, gastrocnemius muscle) and Physical fitness (balance, sit-up, flexible, flank, grip strength, havard step)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6-week Jump rope exercise. In results, body composi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ime and group. After jump rope exercise, significant (p<.05) decrease in muscle fatigue of erector spinae muscle at JEG and increases in sit-up, plank and harvard-step at JEG were observed. However, no significant changes in muscle fatigue of Tibialis anterior muscle, rectus abdominis muscle, gastrocnemius muscle, and balance, grip strength and flexible were evid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jump rope exercise in white-collar workers seems to improve muscle fatigue and physical fitness. keywords: jump rope exercise, body composition, muscle fatigue, physical fitness, white-collar workers

      • 지속적 수동관절 운동(CPM)이 무릎관절연골 미세천공술 후 등속성 근기능과 관절기능, 통증에 미치는 영향

        김찬양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천) 2017 국내석사

        RANK : 249631

        이 연구에서는 미세천공술을 시행한 2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초기 6주간 CPM을 추가로 적용한 재활운동집단(Continuous Passive Motion Group, CPMG)과 전통적 재활운동집단(Conventional Rehabilitation Group, CRG)을 무선 배정하여 초기 6주간 CPM을 추가로 적용한 재활운동이 무릎관절의 등속성 근기능과, 관절가동범위, 기능점수, 균형감각, 통증지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구명하였으며 이 결과를 미세천공술을 시행한 환자들을 위한 재활운동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실험대상자들은 수술 직후 6주간 CPM을 주 3회, 하루 6시간, 적용하여 재활운동을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2way-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6주간의 재활운동 전·후 무릎관절의 굴곡근과 신전근의 등속성 근기능은 CRG와 CPMG 모두에서 근력과 근지구력이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p<.001), 집단 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근결손율 또한 두 집단 모두에서 굴곡근과 신전근의 근력과 근지구력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p<.001) 집단 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6주간의 재활운동 전·후 무릎관절의 관절가동범위는 굴곡의 경우, CRG와 CPMG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1), 신전은 두 집단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굴곡과 신전 모두에서 집단 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무릎관절의 기능점수는 재활운동 전 보다 재활운동 후에 CRG와 CPMG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1), 집단 간의 비교에서는 CPMG의 기능점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넷째, 6주간 재활운동 후 무릎관절의 균형감각의 변화는 CRG와 CPMG 모두 전방, 후·좌, 후·우 등의 세 방향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p<.001), 집단 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시각적 사상척도(VAS)를 이용한 주관적 통증수준은 재활운동 전 보다 후에 CRG와 CPMG 모두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p<.001), 집단 간 비교 결과에서 CPMG의 통증수준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상의 결과에서 미세천공술을 시행한 환자에게 초기 6주간 CPM을 적용한 재활운동은 무릎관절의 등속성 근기능과 관절가동범위, 균형감각에서 약간의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지만 CRG와는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시각적 사상 척도와 무릎관절의 기능을 평가 할 수 있는 Lysholme score에서는 CPMG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무릎 관절의 기능회복 및 통증 감소에 CPM이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이후 CPM을 이용한 추가연구에서는 보다 체계적인 실험설계와 다양한 대상자 선정을 통해 좀 더 명확하게 CPM운동의 효과가 구명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6 weeks' continuous passive motion on Isokinetic muscle strength, knee joint myofunction and VAS in 20 patients who underwent the knee cartilage microfrac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 First, both extension and flexion peak torque at 60°/sec and 180°/sec significantly decreased pre vs post 6 weeks’ rehabilitation program in both group(p<.001), but did not show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conventional rehabilitation group(CRG) vs continuous passive motion group(CPMG). In the muscle deficit results, both extension and flexion peak torque at 60°/sec and 180°/sec significantly increased(p<.001), and did not show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CRG vs CPMG. Second, in ROM of flexion, it significantly decreased pre vs post 6 weeks’ rehabilitation program in CPMG(p<.001), but did not show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CRG vs CPMG. Third, Lysholm scor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6 weeks’ rehabilitation program in both group(p<.001), and Lysholm score of CPMG was higher than that of CRG(p<.05). Forth, after rehabilitation program for 6 weeks, dynamic balance ability(forward, back-left and back-right) significantly decreased(p<.001), but did not show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CRG vs CPMG. Fifth, VAS scor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6 weeks’ rehabilitation program in both CRG and CPMG(p<.001), and VAS score of CPMG was lower than that of CRG(p<.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6 weeks’ CPM rehabilitation program had some effect of improving isokinetic myofunction, range of motion, and balance, but did not show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CRG vs CMPG. However, VAS and Lysholme score in CPMG showed positive effects. Therefore, we consider that CPM rehabilitation program has effects on the faster functional recovery of knee joint and reduce the pain.

      • 저강도 복합운동이 여성노인의 신체조성, 대사성위험인자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태성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천) 2017 국내석사

        RANK : 249631

        이 연구의 목적은 75세 이상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12주간 저강도 복합운동이 신체조성, 대사성 위험인자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75세 이상 여성노인 총 30명을 저강도 복합운동집단(Low-intensity combined exercise training group; LCG, n=15)과 통제집단(Control group; CON, n=15)으로 분류하였다. 저강도 복합운동은 총 80분간(준비운동 10분, 본 운동 60분, 정리운동 10분), 주 3회 12주간에 걸쳐 실시하였다. 신체조성(체중, 체지방률, 제지방량, 체질량 지수), 대사성 위험인자(허리둘레,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공복 시 혈당,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 인지기능 점수(MMSE-DS)를 저강도 복합운동 전과 12주 후에 각각 측정하였다.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및 제지방량은 운동 전과 비교해서 운동 12주 후에 LCG에서 각각 유의하게 개선하였다(p<.05). 대사성 위험인자 중 허리둘레는 운동 전과 비교해서 운동 12주 후에 LCG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5),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공복 시 혈당,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은 운동 전과 비교해서 운동 12주후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인지기능 점수 는 운동 전과 비교해서 운동 12주 후에 LCG에서 유의하게 향상하였다(p<.05). 이상의 결과, 이 연구에서 저강도 복합운동은 여성노인의 신체조성을 개선시켰으며, 신체조성의 개선이 허리둘레 및 인지기능 점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low-intensity combined exercise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metabolic risk factors and cognitive function in old-elderly women. Thirty old-elderly women were low-intensity combined exercise training group (LCG, n=15) and control group (CON, n=15). The low-intensity combined exercise training were performed for 80 minutes, 3 times a week, and for 12 weeks. Body composition (Body weight, %body fat, Lean body mass, BMI), metabolic risk factors (waist circumference; WC, systolic blood pressure; SBP, diastolic blood pressure; DBP, fasting blood glucose; FBG,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Triglyceride; TG) and cognitive functio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dementia screening; MMSE-D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12 weeks exercise. In results, body weight, %body fat, lean body mass and BMI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LCG after 12 weeks of exercise (p<.05). WC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LCG after 12 weeks of exercise (p<.05) but SBP, DBP, FBG, HDL-C and TG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effect between time and group. Cognitive funct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LCG after 12 weeks of exercise (p<.05). These result suggest that low-intensity combined exercise improves body composition, WC and cognitive function in old-elderly women.

      • 숙련자와 비숙련자의 신체조성과 1RM 근력의 상관성 분석

        이종학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천) 2017 국내석사

        RANK : 249631

        이 연구에서는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신체조성(근육량, 제지방량, 체지방량, 체지방률, BMI 등)과 상지(bench press, lat pull down) 및 하지(leg press, leg extension, leg curl)의 1RM 근력의 상관성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건강한 성인 총 52명을 대상으로 숙련자 집단{Trained group; TG, n=20 (M: 10, F: 10)} 및 비숙련자 집단{Untrained group; UTG, n=32 (M: 19, F: 13)}으로 분류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신체조성(체중, 체지방률, BMI 등) 및 상지(bench press, lat pull down) 및 하지(leg press, leg extension, leg curl)의 1RM 근력을 측정하여 집단 간에 각각의 차이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신체조성은 남성에서 체지방률이 비숙련자 집단과 비교하여 숙련자 집단에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1RM 근력은 남성에서 LP 및 BP, 여성에서 LP, LC, BP 및 LD가 비숙련자 집단과 비교하여 숙련자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신체조성과 1RM 근력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남성에서 숙련자의 BP 및 LD의 1RM 근력은 체중, BP의 1RM 근력은 BMI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남성에서 비숙련자의 LC의 1RM 근력은 신장, LP 및 BP의 1RM 근력은 체중 및 근육량, LP, LC 및 BP의 1RM 근력은 근육량, 그리고 LP, LC 및 BP의 1RM 근력은 제지방량과 각각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여성에서 숙련자의 LE 및 LC의 1RM 근력은 체중, LE, BP 및 LD의 1RM 근력은 근육량, LE, LC, BP 및 LD의 1RM 근력은 제지방량, 그리고 LE, LC 및 BP의 1RM 근력은 BMI와 각각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여성에서 비숙련자의 LP 및 LD의 1RM 근력은 체중, LC 및 LD의 1RM 근력은 근육량및 제지방량과 각각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 이 연구에서 숙련자는 비숙련자에 비해 주동근과 협응근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력은 근육의 크기뿐만 아니라 근육의 힘 등과는 무관하게 특정 동작에서 근력 발휘가 다르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characteristics (muscle mass, body fat, lean body mass, BMI) and 1RM strength (bench press: BP, lat pull down: LD, leg press: LP, leg extension: LE, leg curl: LC) in trained and untrained subjects. Fifty-two (n=52) subjects were divided to trained group {TG, n=20, (M: 10, F: 10) trained 6RM and more for 6 months} and untrained group {UTG, n=32 (M: 19, F: 13)}. All subjects were measured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1RM strength. In men, Body fat was significantly lower in TG compared with UTG. 1RM of LP and BP in men, and 1RM of LP, LC, BP and LD in wome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G compared with UTG. In TG men, 1RM of BP and LD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weight, and 1RM of BP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MI. In UTG men, 1RM of LC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height, 1RM of LP and BP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weight and muscle mass, and 1RM of LP, LC and BP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lean body mass. In TG women, 1RM of LE and LC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weight, 1RM of LE, BP and LD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muscle mass, 1RM of LE, LC, BP and LD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lean body mass, and 1RM of LE, LC and BP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BMI. In UTG women, 1RM of LP and LD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weight and 1RM of LC and LD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muscle mass and lean body mass. It seem that protagonist and synergist effective use trained men than untrained subjects, and may be display muscle strength from specific motion.

      • 진검 베기의 기본 동작별 근활성도 분석 : - 숙련자 VS. 비숙련자의 비교 -

        박종성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천) 2017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Kumdo practitioners with basic data on muscle movements and the use of the muscl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activities of the main movement muscles from two groups: expert group and unskilled group.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trained, Kumdo Training Group (KTG, n = 10) who had more than 3 years of experience in cutting with a sword, such as bamboo cutting, straw chopping, and paper cutting and the untrained, Control group (CON, n = 10) was classified as a group with less than one year of experience in sword training. With a force of length of 73cm and a weight of 1.2kg of a sword, all the subjects performed six basic movements of cutting such as the left diagonal down, the right diagonal down, the left horizontal straight, the right horizontal straight, the left diagonal up, and the right diagonal up. While they were performing the six basic movements, the degree of muscle activities of pectoralis major muscle, external oblique abdominal muscle, brachioradialis muscle, triceps brachii muscle, latissimus dorsi muscle, trapezius muscle, erector spinae muscle, and gluteus maximus muscle were measured and compared. The meaningful results of this research is mentioned below. Performing the movements of the left diagonal down, the right diagonal down, the left horizontal straight, the right horizontal straight, the left diagonal up, and the right diagonal up, the degree of muscle activities of external oblique abdominal muscle and erector spinae muscle were meaningfully higher in KTG compared with CON. In the case of trapezius muscle, however, while performing the movements of the right diagonal down, the left horizontal straight, the right horizontal straight, and the right diagonal up. the degree of muscle activities is shown meaningfully lower in KTG compared with CON Through this research, therefore, the difference of use of the muscle between KTG and CON can be verified while performing the movements of cutting with a sword. 이 연구의 목적은 검도의 숙련자와 비숙련자를 대상으로 베기의 기본 동작별 근활성도를 비교·분석하여 진검 베기 수련자에게 근육 사용 및 동작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검도 경력이 5년 이상인 숙련자 집단(Kumdo Training Group; KTG, n=10) 및 검도 경력이 1년 이하인 비숙련자 집단(Control Group; CON, n=10)으로 분류하였다. 모든 피험자는 날길이 73cm, 무게 1.2kg의 진검을 이용하여 왼쪽 사선내려베기, 오른쪽 사선내려베기, 왼쪽 수평베기, 오른쪽 수평베기, 왼쪽 사선올려베기 및 오른쪽 사선올려베기의 총 6 종류 베기동작을 수행하였으며, 베기동작 중 큰가슴근, 배바같빗근, 위팔노근, 위팔 세갈래근, 넓은등근, 등세모근, 척추세움근 및 큰볼기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바깥빗근과 척추세움근의 근활성도는 왼쪽 사선내려베기, 오른쪽 사선내려베기, 왼쪽 수평베기, 오른쪽 수평베기, 왼쪽 사선올려베기 및 오른쪽 사선올려베기 동작 시에 비숙련자 집단과 비교하여 숙련자 집단에서 각각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등세모근의 근활성도는 오른쪽 사선내려베기, 왼쪽 수평베기, 오른쪽 수평베기 및 오른쪽 사선올려베기 동작시에 비숙련자 집단과 비교하여 숙련자 집단에서 각각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이 연구에서는 베기 동작 시 숙련자와 비숙련자 간에 근육 사용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 운동경력의 차이가 필드하키선수의 등뼈 관절 운동성, 어깨 기울기 및 기능적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

        이승윤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천) 2017 국내석사

        RANK : 249631

        이 연구의 목적은 필드하키 선수를 대상으로 운동경력의 차이가 등뼈 관절 운동성, 어깨 기울기 및 기능적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필드하키선수 총 90명(남자: 45명, 여자 45명)을 대상으로 남녀별 운동경력의 차이에 따라 남자 필드하키선수 중학생 집단(n=13), 고등학생 집단(n=18) 및 대학생 집단(n=14)과 여자 필드하키선수 중학생 집단(n=18), 고등학생 집단(n=12) 및 대학생 집단(n=15)으로 분류하여 등뼈 관절 운동성, 어깨 기울기 및 기능적 움직임을 측정하였다. 남자(p=.002) 및 여자(p=.011) 필드하키선수에서 Bar-in front rotation은 중학생 집단과 비교하여 대학생 집단에서 각각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남자 필드하키선수에서 Lumbar-locked rotation은 중학생 집단(p=.001) 및 고등학생 집단(p=.002)과 비교하여 대학생 집단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여자 필드하키선수에서 Lumbar-locked rotation은 중학생 집단과 비교하여 대학생 집단(p=.013)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남자 필드하키선수에서 Shoulder gradient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여자 필드하키선수에서 Shoulder gradient는 중학생 집단(p=.011)과 비교하여 대학생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남자 필드하키선수에서 In-line lunge는 중학생 집단과 비교하여 고등학생 집단(p=.011) 및 대학생 집단(p=.016)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Trunk Stability push-up은 중학생 집단과 비교하여 고등학생 집단(p=.037) 및 대학생 집단(p=.027)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Rotary stability는 중학생 집단(p=.000) 및 고등학생 집단(p=.000)과 비교하여 대학생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Total score는 중학생 집단(p=.013) 및 고등학생 집단(p=.009)과 비교하여 대학생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Deep squat, Hurdle step, Shoulder mobility 및 Active straight leg raise는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여자 필드하키선수에서 Trunk stability push-up은 중학생 집단(p=.001) 및 고등학생 집단(p=.003)과 비교하여 대학생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Deep squat, Hurdle step, In-line lunge, Shoulder mobility, Active straight leg raise, Rotary stability, Total score는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이 연구에서 필드하키선수는 운동경력의 차이, 즉 운동경력의 증가에 따라 등뼈 관절 운동성, 어깨 기울기 및 기능적 움직임이 종목 특이적으로 변형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exercise history on thoracic mobility, shoulder gradient and functional movement in field hockey players. Subjects (n=90; M: 45, F: 45) were assigned to middle school players (M=13, F=18) high school players (M=18, F=12) and college players (n=14, F=12) by exercise history of male and female field hockey. All subjects measured the thoracic mobility, shoulder gradient and functional movement. Bar-in front rotation in male(p=.002) and female field hockey players(p=.01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ollege players than in middle school players. Lumbar-locked rotation in male field hockey play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ollege players compared to middle school players(p=.001) and high school players(p=.002). Lumbar-locked rotation in female field hockey play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ollege players than in middle school players(p=.013). Shoulder gradient in male field hockey player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but shoulder gradient in female field hockey play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ollege players compared to middle school players(p=.011). In-line lunge in male field hockey play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middle school players in high school players(p=.011) and college players(p=.016). Trunk stability push-up in male field hockey play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high school players(p=.037) and college players(p=.027) compared to middle school players. Rotary stability in male field hockey play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high school players(p=.000) and college players(p=.000) compared to middle school players. Total score in male field hockey play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ollege players compared to middle school players(p=.013) and high school players(p=.009). However, Deep squat, Hurdle step, Shoulder mobility and Active straight leg raise in both sexe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Trunk stability push-up in female field hockey play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ollege players compared to middle school players(p=.001) and high school players(p=.003).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erms of Deep squat, Hurdle step, In-line lunge, Shoulder mobility, Active straight leg raise, Rotary stability, and Total score.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of exercise history changes thoracic mobility, shoulder gradient and functional movements by specific to the sports.

      • 엉덩관절 모음근 수축을 동반한 교각운동이 코어 및 하지근육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윤수온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천) 2017 국내석사

        RANK : 249631

        이 연구는 엉덩관절 모음근 수축을 동반한 교각운동이 코어 및 하지근육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건강한 성인 12명(남성; 5, 여성; 7)으로 하였고, 안정적 지지면에서의 일반교각운동(General Bridge exercise, GB)과 엉덩관절 모음근 수축을 동반한 교각운동(General Bridge exercise with hip Adduction, GBA), 불안정적 지지면에서의 일반교각운동(Bridge exercise on a BOSU, BB)과 엉덩관절 모음근 수축을 동반한 교각운동(Bridge exercise on a BOSU with hip Adduction, BBA)을 무작위로 실시하였다. 측정방법은 각각의 교각운동을 시행하는 동안 표면 근전도를 사용하여 가쪽넓은근(Vastus Lateralis; VL), 넙다리곧은근(Rectus Femoris; RF), 안쪽넓은근(Vastus Medialis Obliqu; VMO), 큰볼기근(Gluteus Maximus; GM), 배곧은근(Rectus Abdominis; RA) 및 척추세움근(Erector Spinea; ES)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4가지 교각운동은 3초간 유지하여 3회 실시하였다. 그 결과 VL의 근활성도는 GB와 비교하여 GBA(p=.039) 및 BBA(p=.031)에서 각각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BB와 비교하여 GBA(p=.006) 및 BBA(p=.004)에서 각각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GB와 BB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RF의 근활성도는 GB와 비교해서 BBA(p=.008)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BB와 비교하여 GBA(p=.046) 및 BBA(p=.004)에서 각각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GB 및 BB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VMO의 근활성도는 GB와 비교해서 GBA(p=.028) 및 BBA(p=.016)에서 각각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BB와 비교해서 GBA(p=.002) 및 BBA(p=.001)에서 각각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GB와 BB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GM의 근활성도는 4가지의 운동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RA의 근활성도는 GB와 비교하여 BBA(p=.027)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GB, GBA 및 BB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ES의 근활성도는 4가지의 운동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엉덩관절 모음근 수축을 동반한 교각운동에서의 코어 및 하지근육의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리고 불안정한 지면에서의 운동 또한 운동의 효과를 극대화 시켜준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he effect of bridge exercise with hip adduction contraction on core and low limb muscle activity. This was a cross sectional study which included twelve subjects (male; 5, female; 7). The subjects were instructed to perform four different types of bridge which included 1) General Bridge exercise, 2) General Bridge exercise with hip Adduction, 3) Bridge exercise on a BOSU, 4) Bridge exercise on a BOSU with hip Adduction. The four different types of bridge exercise were conducted randomly and repeatedly. Surface electromyography was used to muscle activation of different of the VL(vastus lateralis), RF(rectus femoris), VMO(vastus medialis), GM(gluteus maximus), RA(rectus abdominis), ES(eretor spinea). Bridge exercises following different four types are measured 3 times and 3 second. In result, when the activities of vastus laterialis were compared, GBA has shown a significantly greater compared to the GB (p=.039), BBA has shown a significantly greater compared to the GB (p=.031). Also, GBA has shown a significantly greater compared to the BB (p=.006), BBA has shown a significantly greater compared to the BB (p=.004). But GB and BB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hen the activities of rectus femoris were compared, BBA has shown a significantly greater compared to the GB (p=.008). And GBA has shown a significantly greater compared to the BB (p=.046), BBA has shown a significantly greater compared to the BB (p=.004). When the activities of vastus medialis were compared, GBA has shown a significantly greater compared to the GB (p=.028), BBA has shown a significantly greater compared to the GB (p=.016). GBA has shown a significantly greater compared to the BB (p=.002), BBA has shown a significantly greater compared to the GB (p=.001). But GB and BB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hen the activities of gluteus maximus were compared, 4 exercis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hen the activities of rectus abdominis were compared, BBA has shown a significantly greater compared to the GB (p=.027). But GB, GBA and BB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hen the activities of erector spinea were compared, 4 exercis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increasing the activity of the core muscle and low limb muscle during bridge exercise with Hip Adduction Contraction or unstable surface.

      • 결정적 사건기법(CIT)을 활용한 스크린골프장 이용겸험 및 서비스개선에 관한 연구

        서이슬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천) 2017 국내석사

        RANK : 249631

        이 연구는 결정적 사건기법(CIT)을 활용하여 스크린골프장에 방문한 이용객들을 대상으로 방문하여 이용하는 동안 겪을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 접점에서 긍정적인 경험과 부정적인 경험의 차원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주요 서비스 항목을 도출하는 것과, 이용객들이 요구하는 개선 항목들을 추출하여 서비스개선에 효과적인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통해 스크린골프장 이용객들이 관련시설을 반복적으로 찾고 싶은 곳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이용객들이 생각하는 이상점(ideal point)이 무엇인지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다각적인 마케팅 전략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었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지역의 스크린골프장에 방문하는 이용객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stration)에 의해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현장에서 즉시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조사내용이 일부 누락되었거나 불성실하게 답변한 22부의 자료를 제외한 378부의 자료를 이 연구를 위한 유효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PASW 20.0과 CIT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분석을 하였다. 첫째, 연구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개인적 의견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스크린골프장 이용객들이 긍정적인 경험을 통해 느낀 중요 요인들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셋째, 스크린골프장 이용객들이 부정적인 경험을 통해 느낀 중요 요인들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넷째, 스크린골프장 서비스를 경험한 이용객들이 제안하는 서비스개선 요인들은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주요단어(key word)의 도출 이후 각 도출된 단어의 출현 빈도수를 분석하여 태그 구름(tag clou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결과물을 시각화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스크린골프장 방문객의 방문 후 긍정적인 경험에 대해 분석한 결과, 최종 5개의 단주요단어가 추출되었다.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것은 쾌적한 환경이었으며, 다음으로 분위기, 시각 및 청각적인 만족감, 친목도모, 그리고 다양한 경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크린골프장 방문객의 방문 후 부정적인 경험에 대해 분석한 결과, 총 6개의 단어가 추출되었다.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것은 시스템문제였으며, 다음으로는 시설, 탁한 실내공기, 소음, 그리고 분위기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크린골프장 방문객의 방문 후 서비스개선에 대한 요구상항에 대해 분석한 결과, 총 6개의 단어가 추출되었다.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것은 실내 환기였으며, 다음으로 흡연 및 음주, 시설, 안전, 시스템 순으로 나타났다.

      • 고관절 유연성 프로그램이 주니어 남자 골프 선수의 허리 통증 개선 및 드라이버 비거리 증가에 미치는 영향

        김정도 단국대학교스포츠과학대학원(천) 2015 국내석사

        RANK : 249631

        이 연구는 고관절 유연성 운동이 골프선수들의 요통과 비거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만성 요통을 가지고 있는 21명의 주니어 남자 골프 선수를 대상으로 고관절 유연성 운동군, 코어 및 근력 운동군, 대조군으로 분류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고관절 유연성 운동 프로그램은 준비운동 5분, 본 운동 30분, 마무리 운동 5분으로 구성하여 8주간 주 5회 실시하였다. 측정 항목으로는 신체 구성과 고관절 각도, 허리 통증, 드라이버 비거리를 측정하였으며, 사전과 8주 운동 프로그램 진행 후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자료처리는 반복이 있는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은 Tukey로 하였다. 통증과 고관절 각도 및 비거리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에 따른 고관절 각도 범위의 변화는 고관절 신전 각도와 외전 각도의 변화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유연성 운동 집단이 코어 및 근력운동 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집단에 따른 허리 통증 정도의 변화는 유연성 운동 집단과 코어 및 근력 운동 집단의 통증에 수준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p<.001), 유연성 운동 집단과 통제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1). 반면 코어 및 근력 운동 집단과 통제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셋째, 집단에 따른 드라이버 비거리 변화는 훈련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넷째, 고관절 각도 변화에 따른 통증 정도 및 드라이버 비거리에 관한 상관관계는 고관절의 사전 각도 값과 통증 정도 사전 값이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1). 또한 고관절의 각도 변화에 따른 통증 정도 변화량도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1). 고관절 각도 변화와 드라이버 비거리 변화량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1). 다섯째, 운동훈련 후 허리 통증 정도 차이에 따른 드라이버 비거리 변화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운동방법에 따라 고관절 각도의 변화와 통증 정도 변화는 유연성 운동군이 코어 및 근력 운동군과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개선 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운동방법에 따른 드라이버 비거리 변화는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고관절 각도가 향상됨에 따라 허리 통증이 개선되고, 드라이버 비거리 또한 향상된 결과가 나타났으며, 허리의 통증이 감소할수록 비거리가 향상됨이 나타났다. 따라서 골프선수들의 드라이버 비거리 향상을 위해서는 근력뿐만 아니라 고관절 유연성 운동을 통해 신체의 움직임이 원활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가동범위를 확보하는 것이 요통뿐만 아니라 경기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훈련방법이 될 것으로 제시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hip flexibility exercise on low back pain and the distance of driver in junior golf players. 21 junior golf play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hip flexibility exercise group (HFG), core and strength exercise group(CSG), and control group(CON). Exercise program consisted of 5 minutes of warm-up, 30 minutes of hip flexibility or core and strength exercise, and 5 minutes of cool-down for 8 weeks. Body composition, hip angle and back pain, and distance of driver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8 weeks exercise program. The data analysis including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in this study was carried out using SPSS 17.0 ver. programs, and in order to compare the relative differences of before and after the hip flexibility and core & strength exercise Two-way repeated ANOVA was performed. Post hoc was used to Tuckey. Correlation of pain, hip angle and driver distance was analyzed using the Pearson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anges of hip joint angle range after 8 week exercis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The changes in the angle of the hip extensor and abductor angle in HFG was showed the difference in CSG(p<.05). Second, the changes of the degree of back pain after 8 week exercis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FG and CON(p<.001). Whereas CSG and with low back pain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p>.05). Third, the changes of driver distance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p>.05).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ip angle and pre-values of the hip pain before exercise training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p<.001).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pain degree change amount according to the angle change in the hip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p<.001). The changes of hip joint angle and driver distanc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p<.001). Fifth, the changes of driver distance according to back pain after exercise training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p<.05). Therefore, the changes of hip angle and low pack pain after 8 weeks in HFG showed a more effect than in the CSG and CON. However, the changes of driver distance according to training type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other hand, the low back pain was decreased and driver distance was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hip angle. Therefore, this results suggested that there was need to improve range of hip motion as well as muscle strength for the improvements of driver distance, to decrease low back pain and increase golf performance.

      • 팔자걸음 중년여성의 생체역학적 분석

        이현주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천) 2017 국내석사

        RANK : 249631

        이 연구의 목적은 팔자걸음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생체역학적으로 보행패턴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하지에 병리적 결함이 없고, 독립보행이 가능한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보각이 15° 이상인 팔자걸음 집단(Toe-out gait group; TOG, n=7) 및 보각이 정상인 통제 집단(Control group; CON, n=9)으로 분류하였다. 정적상태의 발바닥압(최대압력, 평균압력, 몸무게분포, 표면적, 보각), 정적상태의 척추 및 골반정렬(몸통의 길이, 몸통의 앞/뒤 기울기, 몸통의 좌/우 기울기, 골반의 좌/우 경사, 골반의 회전각, 흉추의 후만곡, 요추의 전만곡, 척추의 분절 회전각, 척추의 분절 회전각 최소 값), 동적상태의 발바닥압(표면적, 보각, 최대압력, 평균압력, 걸음지속시간), 보행 시 근활성도(가쪽넓은근, 안쪽넓은근, 앞정강근, 가쪽장딴지근)를 측정하였다. 정적상태의 왼쪽(p=.000) 및 오른쪽 보각(p=.000), 정적상태의 척추 및 골반정렬에서 척추의 분절 회전각(+max)(p=.01), 동적상태의 왼쪽(p=.01)과 오른쪽 보각(p=.01), 가쪽넓은근(p=.001), 안쪽넓은근(p=.05), 앞정강근(p=.01) 및 가쪽장딴지근(p=.001)의 활성도는 CON과 비교해서 TOG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이 연구에서는 팔자걸음 중년여성은 척추회전각에 따라 정적 및 동적 자세의 보각에 영향을 미치고, 또한 걸음형태에 따라 하지근육의 활성화에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