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간이 머문 풍경에 대한 드로잉 표현연구

        이선정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우리는 풍경이 언제나 그 자리, 그대로의 모습을 지키고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하지만 그 풍경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며, 그 속에 살아있고 움직이고 있다. 본인의 작업은 그렇게 꿋꿋이 시간에 녹아 흘러가는 풍경을 응시하고 관찰하며, 그 대상들이 머금고 있는 감수성과 분위기를 담으며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작업의 주된 소재들의 지점을 풍경, 사물, 인물로 확장하고, 이를 응시하는 본인의 시선도 확장하면서 일상 풍경에서 항상 발생하는 어떠한 장면 혹은 상황까지 포괄한다. 본인이 관찰했던 풍경 속 대상들은 언제나 그대로인 대상들이다. 하지만 그들은 아주 사소한 일상 속에 있으나, 묵묵히 자신의 자리를 지키며 기어코 살아가고 있는 풍경이다. 매일같이 지나는 길목에 있던 이러한 풍경 속에서 이 대상들을 인지하면서부터 가까이 다가가 자세히, 오래 바라보기 시작했다. 그 모습을 이렇게 바라보면서 기억에 담고 사진으로도 담는다. 그리고 기억을 회상하고 사유하며 초연했던 대상들을 목탄드로잉으로 담아낸다. 본인에게 있어서 드로잉은 시간이 머무른 풍경의 순간을 좇는 것이자, 사람과 풍경과의 관계에 대해 궁금해하며 소통하고자 하는 미지의 대화이다. 어떤 때에는 단숨에 완성되기도 하지만 오랜 시간 붙잡고 있거나 혹은 결론이 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드로잉은 내가 다가가 느끼고 스며들었던 풍경을 온전히 전달하기 위해 종이와 목탄 사이에서 대화하고 투쟁하고 기다렸던 나의 이야기이다. 이를 통해 시간을 머금고 있는 풍경 자체와 그 풍경을 응시하는 본인 마음의 인상과 감정, 기억에 집중하여 우리들의 모습을 환기한다. 또한 이 드로잉을 통하여 풍경을 모으는 방식을 설명하고, 기억하고 사유하며, 시간의 흐름 속의 풍경의 흔들리고 일렁이는 형상의 표현에 집중했던 과정을 전달하고 서술하였다. 이를 통해 대상이 머금고 있는 시간의 감수성에 대해 더 사유하고, 표현하는 데 의의를 둔다. 본 논문에서는 풍경을 다루고 있지만 다른 풍경회화 작가들에 비교하여 어떠한 점에서 유사하고 다른지를 비교 분석한다. 본인은 풍경에 개입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를 보아주고 존중하고자 하는 태도에서 그리기 시작한다. 본인은 시간을 머금고 있는 풍경을 바라보며, 관객들에게 시선을 유도하게 하는 중간 역할을 하고자 한다. We think that landscapes will always keep its place and its appearance as they are. However, landscapes change with the passing of time and live and move therein. My works gazes and observes the landscapes which are melt and flows in such time firmly and are done by containing the sensitivity and the atmosphere contained by the subjects. Points of key topics of the work are expanded to landscapes, objects and persons and by expanding my sight which gazes them are expanded, thereby including all scenes or circumstances which occur always in the everyday life landscapes. The subjects in the landscapes I observed are always the subjects as they are. However, they are in a very trivial everyday life, but they are landscapes which strongly live while keeping their places silently. From when I recognized these subjects in such landscapes which were in the roads which were passed every day, I started to step closely and look closely and longer. As I looked at them like that, I contain them in my memory and in photos. And, I contain the aloof subjects by recollecting and processing these memories in charcoal drawing. Drawing to me is going after the moments of landscapes where time stayed and imagery conversation to be curious and to communicat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he landscapes. Sometimes, it is completed at one breath, but sometimes it is takes long or is not concluded. Drawing is my story in which I conversed and battled between the paper and the charcoal to appropriately deliver the landscape to which I step toward and absorbed. Through this, by focusing on the landscape which contains time in itself and impressions, emotions and memories of my mind looking at the landscape, I recollect our appearance. Also, through this drawing, I explain, remember and own the method of collecting landscapes. Landscapes in the passing time shake, sway and transform their forms. The process of focusing in such expressions is delivered and stated. Through this, the meaning is placed on further owning and expressing the sensitivity of the time which contains the subjects. Although this thesis deals with landscapes, but it comparatively analyzes how it is similar and different in comparison to other artists of landscape paintings. I start to draw with an attitude of looking at and respecting the landscape as it is without interfering. By looking at the landscape which contain time, I attempt to play an intermediary role to lead the attention for the viewers.

      • 빈곤화 기제로서의 강요된 소비사회 : 중산층의 과부담 소비와 다차원적 박탈을 중심으로

        이선정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민초록 빈곤화 기제로서의 강요된 소비사회 -중산층의 과부담 소비와 다차원적 박탈을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이 선 정 이 연구는 소비사회의 빈곤 원인이 소득만이 아니라 강제된 소비에 있다는 현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비사회에서 소비는 사회구조적으로 결정됨으로써 지불능력을 초과하는 과부담 소비가 발생하고, 이러한 과부담 소비는 필수재이면서 선택의 자유가 배제된 소비의 결과라는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또한 과부담 소비는 저소득층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중산층에게도 발생하는 문제이며, 이로 인해 중산층도 다양한 차원에서 빈곤을 경험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소득 중심의 빈곤접근은 과부담 소비가 발생해도 중산층의 가처분소득이 빈곤선 밑으로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빈곤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된다. 즉, 전통적 빈곤접근은 과부담 소비가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중산층의 빈곤실태를 간과하게 된다. 따라서 소비로 인해 발생하는 빈곤은 소득중심의 빈곤이 아니라 다차원적 박탈을 토대로 접근해야 한다. 이를 통해서 소비사회의 빈곤 패러다임의 전환과 중산층까지 복지정책의 대상을 확대해야 한다는 함의를 도출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2단계의 분석과정을 거쳤다. 먼저 중산층의 과부담 소비항목과 소비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소비패턴 유형을 분석하였고, 둘째, 과부담 소비와 다차원 박탈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중산층은 경제학적 개념을 적용하고, 다차원적 박탈은 과부담 소비로 발생할 수 있는 경제적 결핍 차원과 심리․정서적 차원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분석자료는 소득과 지출에 대한 근거자료가 정확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한국복지패널 10차 자료를 이용하였다. 중산층의 과부담 소비와 그 수준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산층의 과부담 소비는 적자가 발생하는 소비패턴 유형으로 정의하였다. 소비패턴 유형은 가구의 소비지출 항목 중 집중적이면서, 다른 가구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지출을 보이는 소비항목을 중심으로 군집이 형성된다. 중산층의 소비패턴 분석결과 의료지배적 소비유형, 주거지배적 소비유형, 교육지배적 소비유형, 교통통신지배적 소비유형, 기타소비지출지배적 소비유형 등으로 나타났다. 이중 의료지배적, 주거지배적, 교육지배적 소비유형에서 가계수지 적자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위의 소비항목들이 고비용임에도 불구하고 어쩔 수 없이 이루어져야 할 항목들이고, 가구의 특성상 필수재이면서 소비자의 합리적 선택이 불가능한 소비항목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산층 과부담 소비는 의료비, 교육비, 주거비임을 확인하였으며, 소비패턴 유형을 기초로 분석한 과부담 의료비수준은 20.8%, 주거비는 22.0%, 교육비는 20.2% 이었다. 다음으로 중산층의 과부담 소비와 다차원적 박탈에 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과부담 소비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경제적 결핍을 측정한 물질적 박탈은 과부담 의료비와 주거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반면, 과부담 교육비는 물질적 박탈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가족 및 사회적관계 박탈은 과부담 의료비, 주거비, 교육비가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는데, 과부담 교육비가 과부담 의료비와 주거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을 미쳤다. 심리․정서적 차원의 우울은 과부담 소비항목에 따라 미치는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났다. 우울에는 과부담 의료비가 가장 영향력이 높았으며, 다음으로 주거비, 교육비 순이었다. 자살행동은 과부담 의료비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과부담 주거비와 교육비는 자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질환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고비용이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행동을 유발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현대 소비사회에서 과부담 소비로 인한 빈곤은 저소득층만이 아니라 중산층의 빈곤화를 심화시키는 구조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그 양상은 가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두 가지 함의를 도출할 수 있다. 첫째, 현대소비사회에서 소비는 복지정책의 중요한 개입영역이며, 중산층까지 대상을 확대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둘째, 복지정책의 개입을 저소득층의 보충적 소득지원으로 계층 간의 소비 불평등 완화에 국한 시키는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일상생활에 기본이 되는 소비재에 현실적인 지원 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할 것이다.

      • 욕망과 죽음 : 라캉 담론의 비극성

        이선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ragic implications of Lacanian discourse by considering what desire and death mean in the life of the subject from the viewpoint of Lacanian psychoanalytic theory. Accordingly, this dissertation is developed by searching for the answers to the following questions: how the death drive works in Lacan's three orders―the imaginary, the symbolic and the real, how the subject is generated in relation to desire and the death drive, what the life of the ethical subject is like, and how Lacanian discourse can be confirmed and testified by the reading of tragic texts such as Hamlet and Antigone. Lacan helped psychoanalysis, which had previously been limited to the fields of biology and psychology in the Freudian era, participate in a dialogue with other theoretical traditions such as phenomenology, existentialism, structural linguistics and anthropology, which allowed psychoanalysis to propose deeper answers to problems related to desire and death. The single most innovative contribution Lacan made was the discovery of the linguistic aspects inherent in the Freudian unconsciousness using Saussure's structural linguistics. Having obtained the concept of dynamic desire from Freud's theory of the unconscious, he connects dynamic desire with the linguistic Other. Thus his axiom that 'the unconscious is the Other's discourse' is developed into 'man's desire is the Other's desire'. The imaginary, the symbolic, and the real were researched sequentially in company with the development of Lacan's theories: what was central to Lacan's early works was the imaginary, and starting from "The Function and Field of Speech and Language in Psychoanalysis" (1956), the focus of Lacan's work moved to the symbolic and finally in the mid-1960s, the real emerged as the center of his theory. In the mid-1970s, he tried to conceptualize the interrelation of the symbolic, the imaginary, and the real in terms of the topology of a knot. In his view, these orders are tied together in the form of a 'Borromean knot.' The structure of the knot is such that the cutting of any one ring will liberate or release all of the others. Lacan uses the theory of knots to stress the relations which bind the imaginary, the symbolic, and the real, and which link the subject to each in a way that avoids any notion of hierarchy, or any priority of any one of the three terms. To describe the distinctive properties of the real as an excluded interior or an intimate exterior, Lacan coins the term extimitIJ. The single most important mediator that establishes the extimitIJ between the real and the symbolic is ‘death.’ Death not only illustrates the real as unknowable, but typifies the lost object of immediate experiences, subsumed and replaced but nevertheless not abolished by the signifier. In that regard, a paradox that death constitutes absent presence in the symbolic order can be established. What this paradox teaches us is that an entrance to the symbolic is always accompanied by the absent presence of the real. Asserting that the symbol manifests itself as the killing of the thing, Lacan relates the symbol to the death drive. In connection with the generation of the subjec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ymbol and the death drive explains the paradoxical state encountered by a subject by being structured as a linguistic subject. It is in the signifier and insofar as the subject articulates a signifying chain that he comes up against the fact that he may disappear from the chain of what s/he is. The subject's fading into an endless chain of signifiers corresponds to the operation of death, which tells us that the agency of death exists in the signifier. According to Boothby, Lacan makes use of the concept of the mirror stage to reconsider Freud's death drive and ego theory. Lacan's explanation for the formation of the imaginary ego in the mirror stage, generally corresponds to Freud's theory of the ego, in which the birth of the ego is understood as the phenomenon of libidinal cathexis during the narcissistic stage of development. Imaginary identification in the mirror stage causes serious alienation as well as generating a narcissistic ego. This alienating structure tells us about the birth of the ego and, at the same time, reveals the genesis of the death drive by showing how it derives from the conflict between the subject and its imaginary identity. In Freud's view, the instinctual energies of the id are unbound insofar as they have no cathexis to any particular ideas. The death drive is closely related to the mechanism in which the bound organization of the ego is traumatized by pressure from unbound instinctual energies. The unbinding force of the death drive represents the disintegrating return of the real against the structure of the imaginary. In so far as Lacan's three orders refer to the psychic reality in which an individual leads his or her life, the Oedipus complex is relevant to the direct and inevitable opportunity for his or her being structured as the subject in those orders. Although Lacan's framework for the Oedipus complex follows and builds upon Freud's, his approach to the issue is quite different from Freud's. Instead of the Freudian commitment to a phylogenetic, pseudo-biological explanation of the Oedipal structure, Lacan makes use of social, unconscious, and linguistic reasoning. Therefore, for Lacan, the Oedipal structure is understood as the process by which the subject enters the symbolic order by means of identification with the signifier, the Name-of-the-Father. In Lacan's later works, a more advanced explanation for the Oedipus complex appears. He postulates that the Oedipal process not only brings the subject into being but also produces the superego as a by-product. Lacan considers that the Oedipus complex and the overcoming of it can be understood better around the metaphor of the Name-of-the-Father, a process whose main function is to link the phallic function to its correlate, the castration complex. In early seminars, Lacan stands up for the father's absolute authority by arguing that Freud's Oedipus theory has failed to clearly distinguish the symbolic father's function from other functions of the father by focusing only on the imaginary father. However, starting with seminar ?? and seminar ??, the authority of the father loses its certainty, and the symbolic father, who represses the subject's incestuous jouissance by claiming "Do not" under the Name-of-the-Father, now reveals his perversion and jouissance-enjoying nature. The perverted superego or the father as enjoyer of jouissance has to do with the primal father, introduced in Freud's Totem and Taboo. The difference between the father as the prohibitor of jouissance and one who enjoys jouissance coincides with the difference between the ego ideal and the superego. If the ego ideal is the result of a resolution of the Oedipus complex, the superego is a malfunctioning of the control system, the paradoxical effect by which the law gives rise to its own contradiction. The graphs of desire present the process in which the subject's position is moved from the imaginary and the symbolic to the real, and at the same time show how Lacan's theory of the subject develops. In the completed graph, the vector through desire and fantasy encounters the jouissance vector, and this encounter reveals that pure jouissance is prohibited from entering the structure of the subject and replaced by a pleasure known as "the satisfaction of desire." In the early Lacanian theory, this desire was regarded as the key to a successful result of analysis. In other words, analysis was expected to lead the subject's desire to limit an overpowering experience of jouissance and to silence the drive's clamoring for satisfaction. However, in his late works, Lacan presented a new view that the aim of analysis was to deconstruct the unconscious desire that hindered jouissance and to make space for drive. In Lacan's later works, the position of the subject has obviously moved from desire to drive but this doesn't mean that desire is excluded or abolished in his theory of the subject, since for him, it is fundamentally impossible for someone who doesn't have any desires to gain the satisfaction of jouissance. The newly postulated aim of analysis is to first help the subject pursue his or her desire to the transgressive point and then to lead him or her to make a relationship with the objet a and to gain the satisfaction of jouissance without being interrupted by desire. In this sense, Lacan's ethical subject is located "between desire and jouissance." What Lacan pays attention to in his analysis of Hamlet is not so much Hamlet's incestuous desire per se, but rather the (m)Other's desire that dominates his desire. He explains the process by which Hamlet enters the symbolic order after solving the Oedipal conflict using the paternal metaphor. For Hamlet, the symbolic father, who functions as the Name-of-the-Father is his own dead father, namely his father's ghost. Through the paternal metaphor, he moves from a point where he wants to be the imaginary phallus(┵) to a point where he wishes to acquire the symbolic phallus(㎍); namely, his transformation follows a trajectory from 'being the phallus' to 'having the phallus.' This movement corresponds to the experience of separation after overcoming alienation. In this drama, the ghost, who is a perverted father content to enjoy jouissance as well as a strict superego blocking the subject's approach to his mother's desire, reminds us of the reason why Lacan calls perversion "pere-version." Just as Hamlet, wounded by the poisoned sword, and Laertes accidentally exchange blows with their swords, the protagonist is able to identify himself with the phallic signifier. This drama, through Hamlet, who finally comes to his own desire by giving up his life, demonstrates that only a tragedy culminating in death can give us an adequate image of desire, and at the same time shows the indivisible relation between death and desire. In the analysis of Antigone, Lacan elevates Antigone to a tragic hero and even to the ethical model of psychoanalysis. Antigone's desire is pure desire for Polyneices sublimated to the dignity of das Ding, and desire, as such, is connected to the death drive. Meanwhile, Lacan proposes that it is her sublime beauty that both fascinates us and startles us. In her unbearable splendor, she moves us and gives catharsis to us as an ethical model of psychoanalysis and as an example of a "subject between desire and jouissance," who puts the death drive into action by pushing her desire to the limit. For Lacan, the life of the ethical subject is the pursuit of a healthy encounter with the real, while maintaining the close bond with the symbolic by constructing a non-destructive relationship with das Ding in the form of sublimation. This is the very attitude required to fulfill the dialectic of desire and death in our lives. By discussing the relation between desire and death using Lacan's discourse, a singular conclusion has been drawn: the ultimate aim of the death drive is not the subject's biological death but the beginning of a new desire, namely creation ex nihilo, and human beings can become mature and ethical subjects, located between desire and jouissance, through the dialectic of desire and death.

      • Program Annotation : Hans Leo Hassler <Verbum caro factum est>, <Dixit Maria> Georg Friedrich Händel <Zadok the priest> Felix Mendelssohn-Bartholdy <Wie der Hirsch schreit nach frischem Wasser>, Ola Gjeilo <The ground - Pleni sunt caeli et terra gloria tua> Benjamin Britten 《A Ceremony of Carols

        이선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concentrates on the graduate recital program, I conducted, for the completion of the master’s degree. I have analyzed each composer’s life and their historical background that affected the works and compositional technique. Also for each piece, I analyzed the text chosen from poem and bible by the composers and characteristics of the musical expressions associated with the lyrics for giving a practical support to the performing artists. Subjects of analysis are <Verbum caro factum est> (And the word became flesh) and <Dixit Maria> (Mary said to the Angel) composed by Renaissance German composer Hans Leo Hassler(1564-1612), <Zadok the priest> composed by Georg Friedrich Händel(1685-1759), <Wie der Hirsch schreit> (Like as the hart desireth) composed by Romantic composer Felix Mendelssohn-Bartholdy(1809-1847), <The ground - Pleni sunt caeli et terra gloria tua> composed by Ola Gjeilo(b.1978) and the 19th century composer Benjamin Britten’s <A Ceremony of Carols>. Hassler is evaluated as a great composer who merge the Italian Renaissance style to the German choral music. Especially, he developed the German choral music by bringing Venetian polychoral style to the 16th century of Germany. The polychoral style was used in <Verbum caro factum est> (And the word became flesh). In his works, Hassler lay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the text’s unique stress and clearness of text delivery. So he used different texture on <Dixit Maria> (Mary said to the Angel). He used polyphonic style in the commentator’s text, whereas used homophonic style on the dialogue that Maria talks to the angel in order to deliver the Bible text more distinctly. Händel was an international composer and an eclectist that merge German, Italian, France and England traditional music style. And he made a musical reconciliation in his pieces. Besides, he interested in both of church and secular genre. Especially, he composed a wide repertoire of choral works in a short time. In 1712, Händel was naturalized as a England citizen after he had get a fame because of his Italian opera works. At that time, he get interest in anthem genre. In the George Ⅰ period, Händel became a court composer and composed 『Coronation Anthem』 for the coronation of George Ⅱ. <Zadok the priest> was a choral work based on the First Kings;1 and had three parts which are in complete contrast to each other. Despite Romantic composer, Mendelssohn is evaluated as a Classical Romantic composer because of the classical melodic line and harmonic texture. Especially, his choral works were based on Renaissance style from Giovanni Pierluigi da Palestrina(ca.1525-1594) and Baroque style from Johann Sebastian Bach(1685-1750) and Händel. 『Der 42. Psalm(Op.42)』 was based on the Psalms translated as a german language by the Martin Luther(1483-1546). This work was composed for soprano solo, four-part chorus of mixed voices, and the four voices of man. It consists of 7 part cantatas. <Wie der Hirsch schreit> (Like as the hart desireth) was composed by using Psalms;42 1 as a lyrics. He lifted up the meaning of text by keeping balance between polyphonic and homophonic texture. Particularly, he did not used the artificial dynamic marks but controled the dynamics by changing the appearance of instrument which was based on Baroque musical tradition. Gjeilo is one of the most prolific composer in the modern musical society. He composed pieces for piano, orchestra and a cappella choral works with an American modern music, Film music and Jazz music’s compositional style. <The ground - Pleni sunt caeli et terra gloria tua> is based on a chorale from the last movement of my Sunrise Mass (2008). It’s for choir and string orchestra. He wanted to convey a sense of having ‘arrived’ at the end of the Mass to have reached a kind of peace and grounded strength, after the long journey of the Mass. Britten was a central figure of 20th-century British classical music who bring the second golden age after the Henry Purcell(1659-1695). He emphasized the sound more than a melodic line, and used tonal music in spite of the 20th century composer. He used wide-ranging languages including English, Italian, French, German, Russian, Latin. Also he took creativity by using from medieval music tradition like mode and gregorian chant to modern musical style. He emphasized the melodic expressions associated with the lyrics. Particularly, he pursued the pure sound from the boy soprano. <A Ceremony of Carols> composed in 1942 was an important piece that imply all of his musical technique. This work was composed with Major-minor tonal composition system and Mode, besides he included Polytonality and Bitonality. Also, he used various rhythm for putting diverse into monotonous melodic line. And he used term ‘treble voice’ to emphasize the children’s pure sound. The work consists of 12 pieces including ‘harp interlude’ and have a circular form by placing the same piece on the beginning and ending. The writer of this thesis will enter into the composer’s intention closely by analyze work’s form and basic structure in order to give a practical support to the performing artists. And by setting the Renaissance composer Hassler to Gjeilo as a historical flow, the writer will find out the common musical foundation and technique to organize and emphasize a important basics for compose great choral music. 본 논문은 필자의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연주회 프로그램 곡목의 다양한 측면 분석이다. 이 분석을 통해 작곡가들의 생애와 당시의 시대적 배경을 살펴보고 더 나아가 작품과 작곡 기법을 알아봄으로써, 그들의 음악적 특징을 이해하고자 한다. 그에 더해서 특정 시 또는 성경구절을 음악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작곡가가 어떠한 양식을 사용하였는지 분석하고, 실제 연주자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한다. 분석 대상은 한스 레오 하슬러(Hans Leo Hassler, 1564-1612)의 <Verbum caro factum est> (말씀은 육신이 되어)와 <Dixit Maria> (마리아가 말하기를), 헨델(Georg Friedrich Händel, 1685-1759)의 『Coronation Anthem』(대관식 미사) 중 <Zadok the priest> (제사장 사독), 멘델스존(Felix Mendelssohn -Bartholdy, 1809-1847)의 『Der 42. Psalm(Op.42)』(시편42편) 중 첫 번째 합창곡인 <Wie der Hirsch schreit nach frischem Wasser> (사슴이 시냇물을 찾듯이), 야일로(Ola Gjeilo, 1978-)의 <The ground - Pleni sunt caeli et terra gloria tua> (대지 - 하늘과 땅에 가득 찬 당신의 영광) 마지막으로 브리튼(Benjamin Britten, 1913-1976)의 <A Ceremony of Carols> (캐럴의 제전)이다. 하슬러는 르네상스시기 이탈리아의 양식을 독일 음악에 적절하게 융합한 작곡가로 평가받는다. 특히 그는 안드레아 가브리엘리(Andrea Gabrieli, 1533- 1585)로부터 영향을 받아 베네치아 복합창(polychoral)양식을 독일합창음악에 도입하였다. 그의 작품 중 베네치아 복합창양식은 <Verbum caro factum est> (말씀은 육신이 되어)에서 잘 나타난다. 한편 하슬러는 말의 강세를 음악과 연관지어 잘 전달하고자 끊임없는 시도를 하였는데, 그런 시도는 모방적으로 진행되던 곡을 화성적인 양식으로 바꾸어 대화체의 가사를 명확히 전달하고자 한 <Dixit Maria> (마리아가 말하기를)에서 잘 나타난다. 헨델은 독일, 이탈리아, 영국의 음악에 모두 능통했던 국제적 작곡가였다. 초기에 이탈리아 음악이었던 오페라로 큰 명성을 얻었던 헨델은, 1712년 영국으로 귀화한 후 앤섬 등 영국음악에서 중요한 작품을 남겼다. 『Coronation Anthem』(대관식 앤섬)은 그가 조지 1세(George Ⅰ, 1660-1727) 재임 하에 궁정음악가로 일할 당시 쓴 그의 대표적인 앤섬 중 하나이다. 그 중 <Zadok the priest> (제사장 사독)는 3부분으로 구성된 대조적인 양상을 띠고 있는 합창작품으로 열왕기상 1장 성경구절을 바탕으로 작곡되었다. 낭만파 작곡가이지만 사용하는 대부분의 선율과 화성이 고전 양식에 가까운 멘델스존은 고전주의적 낭만파 작곡가로 평가받는다. 합창음악으로 범위를 좁히면 더 분명하게, 멘델스존의 음악은 팔레스트리나(Giovanni Pierluigi da Palestrina, ca.1525-1594)의 르네상스,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와 헨델의 바로크적 형식에 뿌리를 두고 있다. 루터(Martin Luther, 1483-1546)가 독일어로 번역한 시편 42편을 가사로 소프라노 솔로와 혼성4부 합창, 남성4부 합창을 위해 작곡한 『Der 42. Psalm(Op.42)』(시편42편)은 총 7악장의 칸타타 형식으로 이루어져있다. 그 중 시편 42장 1절 가사로 쓰인 제 1악장 <Wie der Hirsch schreit nach frischem Wasser> (사슴이 시냇물을 찾듯이)에서 멘델스존은 가사에 따라 적절하게 대위법적인 양식과 화성적인 양식을 사용하여 음악의 진행에 적절한 변화를 주었다. 특히 등장하는 악기의 수에 따라 곡의 셈여림을 조절하는 모습은 바로크양식을 바탕으로 했음을 알 수 있다. 야일로는 노르웨이 출신의 젊은 현대작곡가로, 최근 그의 작품들은 미국을 넘어 세계 곳곳에서 활발하게 연주되고 있다. 그는 영화음악과 재즈음악의 요소를 음악에 도입하기도 하는데 이는 그의 다양한 작품을 통해 나타난다. 야일로는 피아노와 오케스트라 작품뿐만 아니라 다수의 무반주 합창곡들을 작곡하였다. <The ground - Pleni sunt caeli et terra gloria tua> (대지 - 하늘과 땅에 가득 찬 당신의 영광)는 <Sunrise Mass> (해돋이 미사)의 마지막 악장을 기초로 작곡한 대표적인 합창작품 중 하나이다. 이 작품은 <Sunrise Mass> (해돋이 미사)에 연결되는 곡으로 평화, 기나긴 인생의 여정 끝에 존재하는 ‘도착(땅으로의 귀환)’의 의미를 전달하고자 한 작품이다. 브리튼은 헨리 퍼셀(Henry Purcell, 1659-1695) 이후 영국 음악의 전성기를 다시 끌어온 작곡가이다. 그는 영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독일어, 러시아어, 라틴어 등 다양한 언어를 그의 음악에 사용했으며, 그레고리오 성가 등 옛 음악부터 현대음악에 이르기까지 폭 넓은 음악적 소재를 사용하여 작품을 썼다. 또한 가사와 선율의 관계를 중시하는 한편, 효과적인 음향효과를 그의 음악에 나타내고자 하였다. 그는 어린이들의 맑고 깨끗한 음색을 추구했는데 이러한 특색은 1942년 작곡한 <A Ceremony of Carols> (캐럴의 제전)에서 잘 나타난다. 이 작품에서 브리튼은 중세, 르네상스의 선법뿐 아니라 고전시대의 장단조 조성, 현대의 복합 조성 등 한 개 이상의 조성과 선법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다양한 리듬 유형을 통해 단조로운 선율에 다채로운 표현을 담았으며, 소년 합창(boy soprano)의 맑은 소리를 추구하는 영국 합창의 전통에 따라 맑고 깨끗한 음색을 강조했다. 작품은 1번 <Procession> (입당)과 11번 <Recession> (퇴장)이 동일한 곡으로 구성된 순환적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하프 간주곡을 포함하여 총 12곡으로 이루어져있다. 작품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필자는 향후 해당 작품을 연주하려는 연주자들에게 보다 나은 연주의 길잡이를 보이고자 한다. 르네상스 작곡가인 하슬러부터 현재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야일로에 이르기까지 그들의 생애와 작품경향을 세밀히 살펴보고 그에 따른 적절한 작품을 분석하는 것은, 단지 연주기술에만 기초하지 않고 음악의 전체적 맥락에 바탕을 둠으로서 보다 효율적인 연주에 이르는 지름길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 나무의 생명 순환 이미지를 표현한 도자조형연구

        이선정 건국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글초록:자연의 반복되는 순환 속에서 인간은 성장하고 일생을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며, 변화에 익숙해진다. 인간과 나무는 자연 속에서 유한한 존재로서 생태 특징은 다르지만, 생명의 생성과 소멸을 반복하는 순환과정을 갖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순환의 과정을 인간의 삶으로 재해석하고 나무의 외적인 형태연구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나무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 간의 조형적인 특징을 발견하고, 불규칙한 변화를 강조하며 적절한 배치와 생략, 과장, 대비, 절단, 결합의 과정을 거친 후, 생명력이 있는 도자 조형물로 형상화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나무의 조형성을 표현하기 위해서 문헌을 통한 자연과 예술간 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나무의 고찰을 통해 나무의 개념과 특징, 기본구조를 알아보았다. 조형과정에서 나무가 자라는 과정을 살피면서, 인간과 같이 끊임없이 반복되는 생명의 순환과정과 나무의 뿌리, 줄기, 가지, 잎 등의 구성요소 들 간의 조형적 특징과 관계를 파악하여, 흙이 지닌 가능성과 사실적인 묘사로 자연미를 추구하였다. 또한 인간의 생성과 소멸의 과정을 연관지어 나무의 이미지를 표현하였다.본 연구자는 생명의 순환체인 작품 하나하나를 바닥에 설치함으로서, 숲을 연상케 하였고, 숲은 하나의 집합체로서 인간, 생명, 그리고 생명 순환의 의미를 부여하였다.또한 시작과 끝이 통하는 원의 형태를 통해 서로 다른 작품과 연결되어 보여지는 형태간의 연속성을 표현하고자 하였다.본 연구자는 나무의 형상을 통해 끊임없이 반복, 순환, 변화 하는 성장과정을 나타나는 생명력을 새로운 이미지의 조형물로써 형상화 하고자 하였다.작품의 제작은 나무의 형태를 통하여 이루어졌고, 성형방법은 판 성형과 압축성형, 코일링, 덧붙이기, 등 성형기법을 사용하였다.시유과정은 전체적으로 흑유를 분무 시유한 후 닦아낸 다음 물에 산화철 안료 10%를 혼합하여 스폰지로 찍어주기, 분무하기 등의 방법으로 시유하였다. 2차 소성이 끝난 후 색감이 미흡한 경우, 3차 시유 과정을 통해 표면에 저화도 안료로 밋밋한 부분을 표현함으로써 질감 느낌을 더욱 부각시켰다.이에 본 연구자는 나무의 순환과정에 대해 보다 주의 깊게 관찰하고 해석 할 수 있는 주관적인 조형의 형상화와 더불어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조형의 세계를 추구하고자 한다 영문초록: Human beings grow through the repeated cycles of nature. Throughout our lives, we live with nature, and become accustomed to its rhythms. Human beings and trees coexist in nature. Although these two entities differ from each other ecologically, they have much in common; both undergo the cycle of birth, life, and death. I am interested in re-interpreting the cyclical processes of life. The purpose of my work is to create a tree, a living thing, as a metaphorical ceramic piece. I discover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 tree by emphasizing its irregularities, eliminating, exaggerating, contrasting, cutting, and integrating from. I studied the concept, characteristics, and basic structure of a tree through observation in order to express the image of a tree. As I watched a tree grow, I became familiar with its life cycle, which is similar to that of a human be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roots, trunk, leaves, and their relationship to each other, express a tree in a realistic way. In expressing the image of a tree, I related the human cycle of birth, life, and death to that of a tree.By installing each of my works on the floor I intended to depict a forest. A forest is an aggregation, which has the meaning of human beings as living things and the life cycle.The circular shape of my work is intended to express the continuity of forms and the life cycle. The beginning and the end meet in a circle. I expressed the power of life as I depicted the growing process, which unendingy repeats and changes through the image of a tree. Shapes are made using a rolled slab, pressing in to a plaster mold, pressed shaping, coiling, attaching, and by other means. Black glaze is sprayed on the entire body and then wiped off before applying a 10% solution of rediron oxide and water with a sponge and spraying. When I did not get the desired color through firing- I applied glaze and fired again to a temperature.I will continue pursuing ceramics as I observe the life cycle of a tree carefully to produce works with my own originality and creativity

      • 콜라주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수업에 대한 연구 : 중등 미술교육에서의 협동학습을 중심으로

        이선정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의 사회에서 신흥 시각 미디어 교육은 미래 사회를 준비하는 사람의 유형을 육성 관련이 세계화와 정보화 사회의 나이를 예측하여 현장 교육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광고를 통해 새로운 의미와 가치, 시각적 매체를 찾아 창의적 사고와 비판을 목표로 학습자들을 인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사진을 광고로 표현하기 때문에, 언어 적 특성을 갖는다는 의미로 눈에 보이는 이미지는 접수 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중요한 해석과 판단 광고의 이미지에 필요하며, 반성과 비판에 대한 교육이 광고의 이해에 수행되어야한다, 방법은 이미지를 재현하고, 의미 광고는 표현한다. 광고, 시각적 매체에 대한 교육의 중요한 관점은 시각적 이미지를 합리적인 미학 연구의 대상으로 값을 형성하여 미술의 특성에 대한 이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학습자들은 자신이 만든 광고로 그룹 활동에서 사회적 상호 작용을 배울 수 있다. 이것은 다양한 광고를 검색하고 테마, 형태, 컬러, 및 어구의 특성을 파악하여 광고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생활 환경에서 찾을 수 있다. 학습자가 광고디자인에서 광고를 만들어 봄으로써 창의적인 디자인을 고안하기 위한 노력을 행사할 수 있기 때문이고, 광고 디자인을 쉽게 실용적으로 접근하고, 가까이 할 수 있는 콜라주를 이용한다. 미술 수업 시간에 동기를 부여 할 수 없는 흥미 없는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부담 없이 관심을 유발하여 미술 수업에 참여하고 쉽게 실기에 초점을 맞출 수 있고 예술 작품을 표현하고 대학 입시 위주의 수업으로 한정되어 있다. 그래서 광고디자인 수업은 특히 업무에 필요한 작가 등의 광고 기획자, 광고 디자이너, 카피라이터 등 광고 디자인에 대한 광고인의 임무를 역할별로 나누어져 있어 미술 교육 프로그램에서 중등 교육의 미술 수업에서 협동 방식으로 수업 할 수 있다. 학습자는 광고 할 수 있도록 제품 설정, 아이디어 스케치, 콜라주를 활용한 표현, 발표 및 토론의 과정을 통해 중, 고등학교 학습자들의 관심은 그들이 원하는 것을 파악하고 이해하고 차이를 식별하는 수업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고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으로 예술 교육에서 협동 학습의 가능성을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중등 교육 학습자를 위한 협동 학습에서 미술의 효과적인 수업을 위해 개발되었다. 협동 학습의 효과는 광고 디자인 교육를 통해 입증하고, 연구자의 교육 프로그램을 실제 교육 현장에서 검토 될 수 있다. 다음과 같이 연구에서 도출 된 결과이다. 첫째, 학습자의 참여 비율은 콜라주 기법을 통해 상승 할 수 있다. 그 미술 수업을 생각하는 많은 학습자들이 예술적 재능이 있거나 회화 잘하는 사람을 위해 주로에도 불구하고, '풀로 붙여 넣기'를 의미하는 콜라주 기법의 사용은 풍부한 시각적 자료로 인해 표현의 부담을 줄이고 풀로 붙이기 전에 구조를 생각하고 만들 수 있어 작품에 대한 실패율을 줄이고 이로 인해,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발생하고, 미술 수업 참여 비율은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쉬운 방법을 통해 자신감이 상승한다. 둘째, 학습자가 모둠 활동에 참여하는 모둠원들과 상의하고, 협동 학습을 통해 사회적 상호 작용을 배울 수 있다. 협동 학습은 학습자가 공통의 학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른 사람을 협력하여 개별 능력을 공유 할 수 있거 결핍을 방지하고, 채움을 배우고 동료들과 그것을 수행 할 수 있다. 셋째, 잡지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수업은 관찰 할 수 있는 능력, 이해는 학습자의 창의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것은 잡지의 콜라주 기법 사용으로 기존 제품을 재구성하는 미술수업으로 창의성과 자신감이 상승한다. 학습자는 공유하고 토론함으로써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고, 더 깊이 광고 디자인에 관찰 할 수 있는 능력을 개선하여 협동 학습을 촉진함으로써 서로를 이해함으로써 사회적 상호 작용을 배울 수 있다.

      • 유아교사출신 부모의 자녀 사교육 경험과 딜레마

        이선정 배재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교사출신 부모의 자녀 사교육 경험과 그에 따른 딜레마를 내러티브 탐구 방법으로 살펴보았다. 이에 본 연구의 연구문제로 첫째, 유아교사 출신 부모의 자녀 사교육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유아교사 출신 부모의 자녀 사교육에서 나타나는 딜레마는 어떤 것인가?로 선정하였다. 이를 위해 자료 수집은 2018년 4월부터 9월까지 4명의 유아교사출신 부모를 만나, 자녀의 사교육 경험을 면담한 자료와 연구 참여자의 저널, 연구자의 저널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결과를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결과는 4명의 유아교사출신 부모의 자녀 사교육경험과 삶의 배경을 내러티브 방법으로 재구성하였다. 연구 참여자 A는 어린 시절 사교육을 전혀 받지 못한 배경과 유아교사의 경험에 의해 놀이중심 교육관으로 자녀를 교육하며 사교육과 거리를 두지만 자녀가 취학 전 연령이 되면서 미술에 적성과 소질을 드러내며 사교육은 자연스러운 선택이 되고, 보다 나은 교육환경을 마련해주기 위해 유학도 고려하게 된다. 이렇듯 교육적 현실과 사회적 분위기에 따라 사교육에 대해 수용적으로 생각해 보게 되었다. 연구 참여자 B는 유아교사의 경험과 배경지식으로 자부심을 가지고 자녀를 교육하며 전인교육과 적기교육을 실천했고 사교육에 관심을 두지 않다가 영어교육, 주변의 정보, 뒤처짐에 대한 불안 등으로 갈등하게 되고 완벽주의 성향과 직업적 특성이 맞물려 딜레마를 겪게 되었다. 사교육의 긍정적인 면을 발견하게 되며 본인의 교육철학과 조율하고 현실적 대안을 찾아가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연구 참여자 C는 자녀교육과정에서 누구보다 유아교사 시절의 실천적 지식을 중요하게 여기며 이상적으로 교육을 실현해 가고 있었고 유아교사의 경험을 자녀교육에 적용하며 보람찬 삶을 살고 있었다. 남편과의 공통된 교육철학과 놀이중심의 확고한 교육적 소신으로 딜레마를 해결하고, 유아교육의 경험과 현실적 한계를 조율하며 사교육경험을 통해 교육관을 재정립하는 중에 사교육의 범주와 선택기준을 정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연구 참여자 D는 자신의 삶과 자녀교육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며 다양한 사교육 경험과 시행착오를 경험했다. 유아교사의 경험으로 자리 잡은 교육철학인 인성교육과 기본생활습관이라는 기준과 사교육 정보로 인한 현실적 판단 사이에서 내적 갈등이 드러났으며 그것은 자신의 교육적 기준에 대해 점검하는 기회가 되었다. 그 과정 안에서 신뢰할 수 있는 확실한 정보로 딜레마를 해결하고 삶의 우선순위를 정리해가며 엄마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해 가고 있었다. 두 번째 연구 결과는 유아교사 출신 부모들이 자녀의 사교육경험 중에 느끼는 공통된 딜레마를 연구자의 해석과정을 통해 다섯 가지로 정리해 보았다. 첫째, ‘보통 엄마 되어가기’이다. 유아교육 전문가였던 연구 참여자들은 풍부한 경험과 자신감, 뚜렷한 교육철학으로 중심을 잡으며 자녀를 교육하고 있었지만 자녀의 뒤처짐, 비교에서 오는 불안함에 흔들리며 ‘그냥 보통 엄마’임을 자각하고 딜레마를 겪었다. 둘째, ‘엄마표 교육의 실행과 한계 느껴보기’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과거 직업적 경험으로 가르치는 행위에 대한 자신감이 있었지만 ‘엄마표 교육’의 실행과정에서 감정조절의 문제와 결과 중심적인 기대로 인해 현실적 한계를 경험하였다. 셋째, 지키고 싶은 자존심 ‘적기교육’이다. 연구 참여자들이 사회적 분위기와 주변의 우려에 흔들리지 않고 끝까지 지키고 싶었던, 이론으로 배운 발달에 적합한 자녀교육의 적기를 만나는 과정은 힘겨워보였다. 넷째, ‘사교육은 도덕적 문제인가’로 딜레마를 경험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어린이의 삶과 교육자적 입장에서 사교육을 바라보며 사교육을 옳고 그름의 윤리적이고 도덕적인 문제로 인식하고 죄책감을 느끼기도 하며 내적갈등을 경험하였다. 다섯째, ‘누구를 위한 행복인가’라는 딜레마에 빠졌다. 연구 참여자들은 유아교사출신 부모로서의 경험에 비추어 사교육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주도권을 가지며 ‘자녀의 행복’이라는 명목아래 부모로서의 자기만족을 위한 자기합리화가 아닌지 갈등하였다. 유아교사 출신 연구 참여자들은 유아기 자녀의 사교육에서 알고 배운 것을 실천하는 과정 중에 딜레마를 겪었고 이러한 딜레마의 중심에는 나름의 생각과 가치관, 교육의 기준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교육적 소신에 의한 구체적인 교육방식을 실천하는 중에 딜레마를 경험하고 해결하는 과정에서 사교육에 점차 수용적이며 유연한 태도를 보였으며, 교육철학과 사교육의 현실사이에서 조율해가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dilemma about children's private tutoring of parents who used to b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experiences relatedto children's private tutoring of the parents who used to be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what are the dilemmas of the parents who used to b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children's private tutoring? For this purpose,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interviews with four parents who used to be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April to September, 2018. The interviews were about the experiences of children's private tutoring and the participants' and researcher's journal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first result was reconstructed with four parents' private tutoring experiences for their children and with their backgrounds of lives by narrative method. Participants A did not receive private tutoring at all in her childhood. With the experience of being an early childhood teacher and with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play-centered, she tried to keep a distance from the private education but she became to take the private tutoring naturally as her child showed special talent in art before going to elementary school. Even she became to consider to let her child go abroad to get better educational environment. As a result of this educational reality and social atmosphere, she became receptive to private education. Participant B, with the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 and with the pride of background knowledge, educated her children and practised whole-person education and right-time education without being interested in private education. But she came into conflict with the issues of English education, information from people nearby, and anxieties about not keeping up with new educational trend. These conflicts joined her perfect character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and became her dilemmas. As she found the positive points of private education, her educational philosophy compromised with reality and she was in the process of finding the realistic alternative. Participant C was ideally aware of the practical knowled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ir child's education process and she lived a rewarding life by applying her experienc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o children's education. The dilemma was solved by the common education philosophy of the play-centered education with husband. She showe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categories and selection criteria of private tutoring while re-establishing the educational perspectives by balancing between the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reality limitations and by the experience of private education. Participants D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ward her own life and her children's education, and she experienced various private education and trial and error. The internal conflicts were revealed between the standards of educational philosophy and actual judgement about private education with information. The philosophy was rooted deep inside with the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 which was for humanistic education and for habit of basic lifestyle. These conflicts gave a chance to check her own educational standards. In the process, she was establishing her identity as a mother by solving dilemmas and organizing her life priorities with reliable information. The results of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were summarized in 5 as follows, which were analyzed through the researcher's interpretation process of experienced dilemma by early childhood teacher parents during the private tutoring for their children. First, it was to 'become a normal mother'. The participants, who were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had a dilemma and were aware of the fact that they were just ordinary mothers by realizing that they were anxious about the comparison and possibility of their children left behind others, even though they were educating their children with a lot of experience, confidence and a clear educational philosophy. Second, it was to 'execute and feel the limitation of mom's education'. The participants were confident about their teaching by the past occupational experience, but they felt the realistic limitations due to the emotional control problem and result-oriented expectation in the process of 'mom's education'. Third, it was 'right-time education' which they wanted to keep. It seemed to be difficult to meet the right time suitable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education, which was a theory that they learned and wanted to keep it without being shaken by the social atmosphere. Fourth, it was the dilemma 'is private education a moral issue?'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looked at the private tutoring from the children's life and educational standpoint. They perceived the tutoring as a right and wrong ethical and moral problem, and felt the guilt and internal conflicts. Fifth, the participants fell into the dilemma of 'happiness for whom?'.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took the initiative in the process of choosing private tutoring based on their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conflicted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their self-rationalization for their own satisfaction as a parent under the reason for their 'child's happiness'. The participants who came from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d dilemma during the process of children's private tutoring and found that the center of this dilemma was the standard of their own thoughts, values and education.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specific educational methods based on their educational values, they experienced and resolved dilemmas related to the private education. They gradually took a receptive and flexible attitude to the private education and showed the coordination between the education philosophy and the reality of the privat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