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온라인 대학행정 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도와 재이용의사에 관한 연구 : 몽골 '후레정보통신대학교'와 한국 '배재대학교' 비교 중심으로

        Ireedui, Nergui Irekh 배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re was a lack of customer service because universities could have customers without any efforts and they were at the position that could choose students who were consumers because of more new students than fixed number in the past. Many national universities were established after Mongolia changed from communism to democracy at 1990 and especially Mongolian realize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as their standard of living became high and the economy developed after 2000. After that, lots of private universities were established and the number of students studying abroad increased and then the idea of competition was introduced into the education of Mongolia. Many universities were requested to change a direction from provider-oriented to customer-oriented like a corporate management among these competitive environment. Universities started to use information technology which has developed quickly to retain existing customers and have potential customers. There is on-line service which use the Internet as a typical tool and universities are trying hard to improve customer service by providing customers, students, with various services. As a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ed, online services had lots of impacts on development of the Mongolian university administration. This paper compared online university administration services of ‘Baejae University’ of Korea and ‘Hule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versity’ of Mongolia and analyzed factors which have impacts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utilization, to identify this. This paper organized the concept of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 service and online marketing by synthetically adapting related theories and methods like an education administration, e-commerce and business administration and did a survey targeting students of ‘Huree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versity’ of Mongolia and ‘Paichai University’ of Korea to investigate the demand and motive for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 service and it evaluated the quality of the online university administration service. At the same time, it studied which impact the quality of service has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utilization and it searched for the method which could realize the development of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 service. Communication and corporality had impact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liability had an impact on the intention to reutilization among factors of online university administration service: corporality, reliability, responsibility, sympathy and communication at ‘Huree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versity’ of Mongolia. On the other hand, corporality and reliability had impact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overall satisfaction had an impact on the intention to reutilization at ‘Paichai University’ of Korea. It showed that students of ‘Paichai University’ would reuse it when they generally satisfied with that and the university was also trying hard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it showed that students of “Huree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versity’ of Mongolia” reused the service because it was necessary to them rather than they were satisfied with that service. So, “Huree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versity’ of Mongolia’ should invest lots of money into improvement of the service and marketing to improve students’ satisfaction. 과거 대학들은 대학의 정원보다 입학생이 많아서 특별한 노력 없이도 충분히 고객을 얻을 수 있었을 뿐 아니라 수요자인 학생을 선택할 수 있는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고객에 대한 서비스가 부재한 상태였다. 몽골은 1990년에 공산주의에서 민주주의로 사회가 바뀌면서 여러 국립대학교가 설립되었고, 특히 2000년 이후 경제가 발전하고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그 후 사립대학들이 많이 설립되었고 외국으로 유학 가는 학생 수도 증가하면서 몽골 교육 분야에도 경쟁 개념이 도입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경쟁 환경 속에서 몽골 내 대학들도 기업경영에서와 같이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의 체제로의 방향 전환이 요구되었다. 기존 고객을 유지하고 또는 잠재 고객을 획득하기 위하여 대학들은 빠르게 발전하는 정보기술을 이용하게 되었다. 대표적인 도구로는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서비스를 들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각종 서비스를 고객인 학생들에게 제공하여 고객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동통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온라인 서비스는 몽골 대학행정 발전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한국의 ‘배재대학교‘와 몽골의 ‘후레 정보통신대학교’ 의 온라인 대학행정서비스를 비교 분석하고, 고객만족도와 재이용 의사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교육행정학, 전자상거래학, 경영학 등의 관련 이론과 방법을 종합적으로 적용하여 대학행정 서비스와 온라인 마케팅의 개념을 정리하고, 대학 고객인 대학생의 대학행정 서비스에 대한 수요와 동기를 조사하기 위해 몽골 후레정보통신대학교와 한국 배재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분석하여 온라인 대학행정 서비스에 있어서 서비스 품질 평가를 하였다. 동시에 서비스 품질이 고객 만족도와 재이용의사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연구하였고, 대학행정 서비스 발전을 실현하는 방안을 탐구하였다. 온라인 대학행정 서비스 요소로 선정한 유형성, 신뢰성, 응답성, 공감성, 의사소통 중에서 몽골 후레정보통신대학교에서는 의사소통과 유형성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뢰성이 재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한국 배재대학교에서는 유형성, 신뢰성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만족도가 재이용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배재대학교 학생들은 서비스에 전반적으로 만족해야 재이용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며 학교 당국도 만족도를 향상시키고자 꾸준히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 전반적인 만족도가 재이용의사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결과를 보여준 몽골 후레정보통신대학교의 경우는 학생들이 대학에서 제공해 주는 온라인 서비스를 만족해서 재이용한다기 보다는 필요하기 때문에 재이용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후레정보통신대학교는 앞으로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서비스 개선 및 마케팅에 많이 투자해야 될 것이다.

      • 중국유학생의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교내 축제 프로그램의 참여 동기 및 참여유형에 관한연구 : 배재대학교 중국유학생을 대상으로

        이혜성 배재대학교 관광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55

        According to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 in South Korea is approaching 80 thousand. It's worth mentioning that the number of Chinese student has increased rapidly to more than 50 times over that of 1999 and up to 70% of the total foreign students. Specially, it is quite usual to observe that more than 90% of the foreign students in provincial universities are Chinese students. However, adverse effects have been brought about by competing for the quantitative growth of the Chinese students. After reaching its peak in 2007, the rate of increase has been declining from 66.1% to 19.5% in the year of 2009 (Korea Joongang Daily, 2010). Kim (2010) argued that in order to provide a successful and wonderful overseas study experience on campus, person in charge in the university have to develop different programs and provide students-oriented service to meet the diversified needs of foreign students. Even though,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by Kim (2009), the Chinese students, for example, were very dissatisfied with acculturation programs as well as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various activities on campus. The current situation is that many of the universities have adopted the approaches like scholarship for foreign student only, or the discount for dormitory charge, since it is just short-term tactics to attract foreign students, it is quite necessary to seek and develop strategies on how to attract and retain foreign students, especially the Chinese students in a long run. Nevertheless, researches on this topic are very scarce and limited. Therefore, the current study has focused on the Chinese students who has taken up the greatest portion of the total foreign students and attempted to analysis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their motivations as well as preferences for the campus festival programs, based on the demographic data. B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Chinese students, the planners and practioners in the university are expected to develop various student-oriented programs to improve the quality of both study and daily life of the students so that they can attract and retain as many foreign students as they can on a long-term base. And this is exactly where the main objective of the current lies in. According to the results, 5 motivation types: "excitement", "sociality", "escape", "knowledge", "ability" and 6 festival program types: "cultural appreciation", "gourmet", "sports", "lecture", "festival", "competition" were derived from the factor analyses. When comparing the mean values of the distinct motivation factors, the most important motivation that spur the Chinese student to participate into the campus festival program is "knowledge" (3.76), and then with "escape" and "sociality" as the second and third important motivations. In addition, "festival" (3.93) was found to be the most preferred program type, while "competition" and "cultural appreciation" were the second and third in order of preference by the Chinese stud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tests and ANOV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gender", "the level of education", "the length of stay" and "the standard of living" were found in different motivational factors. Besides, the preference of different types of campus festival programs will be varied significantly against "gender", "the level of education", "the length of stay", "the standard of living" and "the level of Korean". 교육과학기술부(2010)에 따르면 한국은 외국인 유학생이 "8만 명 시대"에 접어들었다. 이중에 중국 유학생의 수는 1999년 비해 50배 가까이로 급증했으며 전체 유학생중에 70%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특히 지방대는 중국 유학생 비율이 90% 이상인 곳이 적지 않다. 그러나 양적 성장 위주의 중국 유학생 유치경쟁이 벌어지면서 각종 역기능도 나타나고 있다. 중국 유학생의 증감률이 2007년 66.1%로 정점에 오른 뒤 2009년 19.5%로 크게 낮아졌다 (중앙일보, 2010). 김선아(2010)가 성공적인 유학경험을 제공해 주기 위해 학교에서는 유학생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나 실질적으로는 중국유학생들의 교내 "문화적응 프로그램"이나 "다양한 활동 참여 기회" 등에 대한 만족도가 아주 낮은 것으로 분석결과가 나왔다 (김혜진, 2009). 따라서 국내대학들은 각종 장학금 혜택이나 기숙사 실비 제공 등 단기적인 유치 전략뿐만 아니라 외국인 유학생 특히 중국 유학생을 유치 및 유지할 수 있는 장기적인 전략모색이 요구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이에 관련 논문이 아주 미흡한 상황이며 많은 연구자들의 시선을 못 이끌어내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당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교내 축제 프로그램에 참여할 동기 및 참여유형 선호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중국인 유학생의 특성 및 욕구를 파악하고 그들의 공부나 생활의 질을 높여주기 위해 다양한 교내 축제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영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외국 유학생의 유치 전략을 모색하는 데 주 목적이다. 요인분석 결과에 따라 중국인 유학생이 교내 축제 프로그램에 참여 동기는 "신기성", "사회성", "일탈성", "지식획득성" 및 "창의개발성"의 5개 동기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참여유형은 "문화체험 프로그램", "음식 프로그램", "스포츠 프로그램", "특강. 강연 프로그램", "명절. 모임 프로그램" 및 "경연대회 프로그램"의 6개 유형을 추출되었다. 요인별로 평균 비교분석의 결과에 따르면 5개 동기요인 중에서 "지식획득성" 동기요인이 3.76의 제일 높은 평균점수로 1위, "일탈성" 동기요인 3.73로 2위, "사회성" 동기요인이 3.68로 3위를 차지하였다. 또한 6개 프로그램 유형요인 중에서 "명절. 모임" 프로그램이 3.93의 제일 높은 평균점수로 1위, "경연대회" 프로그램이 3.63로 2위, "문화체험" 프로그램이 3.61로 3위를 차지하였다. 중국 유학생의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교내 축제 프로그램 참여 동기의 차이검증 결과를 보면 성별, 학력, 유학경력 및 유학 생활수준에 대한 참여 동기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유학생의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교내 축제 프로그램 참여유형의 차이검증 결과를 보면 성별, 학력, 유학경력, 유학 생활수준 및 한국어 능력에 대한 참여유형 선호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대학행정서비스에 대한 교육 수요자의 인식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배재대학교 재학생 대상으로

        황성연 배재대학교 법무행정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55

        This study is about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educational consumers with regards to university administration servic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university administration services on educational consumers (students) of Pai Chai University. It is meaningful to analyze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 service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fundamental resource for quality improvement. Below are the research questions based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administration service with regards to groups (gender, nationality, college and class)? Second, are there differences in convenience, promptness and accuracy, kindness (empathy), equity and responsiveness to university administrative services? Third, is there any difference in overall satisfaction evaluation in terms background variables (gender, nationality, college, class) for university administration serv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analyzing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college administrative services with respect to gender (male and female). Second, according to nationality,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Korean and foreign nationalities. Then,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university administrative services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students who provided university administrative services were treated without discrimination. Thir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university administrative services by dividing the respondents into colleges (Howard College, Seo Jae-pil, Appenzeler College, Kim So-wol College)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regards to convenienc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s mean score appeared to be the highest. This result might be attributed to the closeness of the Korean language center’s administration to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students with regards to the place where administrative services were provided.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university administrative services according to class, the convenience scor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e and lower grade students was high and it was lower as the upper grade. This was because the lower grade students had higher benefits of receiving university administrative services. In conclusion, students had higher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administrative services than average, but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college and college. This implies that the education reality of Korea, the strengthening of educational capacity requir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performance-oriented are focusing on performance rather than interest in students. In order to survive in the fierce competition between universities, if various programs, customized education and high quality administrative services are provided to students who are educational consumers, it will have more influence on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education administrative services. In order to improve university administration services qualitatively and qualitatively, research is needed to ensure that efforts and institutional mechanisms are established. 본 연구는 배재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대학행정서비스에 대한 교육 수요자의 인식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로 대학행정서비스가 교육 수요자인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대학행정서비스가 지향해야하는 점과 품질 향상을 위한 기초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 연구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행정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배경변인(성별, 국적, 단과대학,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대학행정서비스에 대한 편리성, 신속성 및 정확성, 친절성(공감), 형평성, 대응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대학행정서비스에 대한 배경변인(성별, 국적, 단과대학, 학년)에 따라 전체 만족도 평가의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남학생과 여학생으로 대학행정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차이가 없었으며, 대학행정서비스를 제공하는 자가 교육 수요자인 학생들에게 성별에 차별없이 제공하였다. 둘째, 국적에 따라 대한민국 국적자는 내국인으로, 대한민국 국적자를 제외한 자는 외국인으로 구분하여 대학행정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차이가 없었으며, 대학행정서비스를 제공하는 자가 교육수요자인 학생들에게 차별없이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셋째, 하워드대학, 서재필대학, 아펜젤러대학, 김소월대학, 한국어교육원으로 구분하여 대학행정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편리성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가장 높았던 한국어교육원은 대학행정서비스를 제공받는 사무실의 위치와 안내표시, 공부하는 분위기, 기본 교육시설의 위치에 대해 만족도 점수가 높았으며, 행정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소가 학생들이 느끼는 만족도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학년에 따라 대학행정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한국어교육원과 저학년 학생들이 편리성 점수가 높았고, 고학년으로 갈수록 낮았다. 이는 저학년일수록 대학행정서비스의 절차에 대한 홍보와 전화번호 안내 서비스, 기본 교육시설 등에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학생들이 보통이상으로 대학행정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만족가 높았지만, 단과대학별,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의 교육현실과 교육부에서 요구하는 교육역량강화, 성과중심 등을 중점적으로 학생들에게 흥미보다는 성과위주로 피로감을 쌓고 있다고 여겨진다. 앞으로 점점 더 치열한 대학 간 경쟁구도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교육수요자인 학생들에게 다양한 프로그램과 맞춤식 교육 및 질 높은 행정서비스를 제공한다면 대학교육행정서비스에 관한 인식과 만족도 그 이상 영향을 미칠 것이다. 대학행정서비스는 질적, 양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도록 각고의 노력과 제도적 장치가 마련될 수 있도록 연구가 필요하다.

      • 한국과 중국의 유아교사 양성교육과정 비교 연구

        오영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55

        A country’s future is depends on its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the first stage of one’s education experience. Pre-school teachers’ quality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it is apparently pre-school teachers’ pre-service education is the most important thing of Pre-school Teacher Education. Now there are much exchanges in much areas between Korea and China. It will promote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through exchanges between Korea and China. In this study the author investigated and analysised undergraduate cours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and China. S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pre-school teachers’ pre-service education curriculum of Korea and China.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subjects of study have been set up: 1. What is the purpose and targets of pre-school teacher education in Korea and China 1-1. What is the purpose and targets of pre-school teacher education in Korea? 1-2. What is the purpose and targets of pre-school teacher education in China? 2. What is the content of undergraduat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and China? 2-1. What is the content of undergraduat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2-2. What is the content of undergraduat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China? 3. How is the subjects of undergraduat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China and Korea? 3-1. What is the content of undergraduat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China? 3-2. What is the content of undergraduat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In this study, Capital Normal University, Tianjin Normal University, Northeast Normal University, Shanxi Normal University, Northwest Normal University In China, and Ewha Womans University, Chongang University, Paichai Universit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in Korea are selected as the research samples. The training objectives, training targets, curriculum structure and content in the universities of the two countries are analyzed and compare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below: 1. As for the training objectives, Universities in China focus on fostering excellent pre-school teacher, researchers and managers. But most Universities were reserched in Korea focus on fostering an excellent pre-school teacher first, and set up to fostering a specialist or a manager as a second focus. 2. As for training targets, Universities in China have different formulations. Similarly, they requirements students’ professional ability, research ability, management ability. Besides this, Universities in China require students’abilities in foreign language and computer, political quality and professional. Universities in Korea have different targets according to different educational ideas. They are more focus on students’ abilities and expound them. 3. As for curriculum structure, it is similar between Korea and China’s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There are just differents in names and proportion. 4. As for curriculum content, Universities of China offer similar subjects in common curriculum. Subjects of politics, moral, foreign language and computer take the most part and there are not many elective subjects. Universities of Korea offer various subjects in its liberal art course include foreign language and computer or other subjects as required subjects. Universities of China offer less elective subjects in other majors than universities of Korea. It takes less credits than universities of Korea. In specialized curriculum China pay much attention to theoretical subjects and artistic subjects. But Korea pay much attention to subjects that combinate theory and practice. In teaching practice, there is only one style. But in Korea there is also child care practice, beside teaching practice. 교육은 한 나라의 미래를 결정한다. 유아교육은 교육의 첫 단계로써 유아교육의 질은 물론 유아교사의 질에 달려있다. 또한 유아교사의 질은 유아교사의 양성 교육의 질에 달려있다. 한국과 중국은 각 영역에서 활발하게 교류하고 있다. 유아교육 영역에서도 양국 간의 교류를 통해서 교육의 발전을 더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유아교사 양성 교육과정을 4년제 대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했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유아교사 양성교육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한국과 중국의 유아교사 양성교육 목적 및 목표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1-1. 한국과 중국의 4년제 대학교 유아교사 양성교육 목적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 인가? 1-2. 한국과 중국의 유아교사 양성교육의 목표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2. 한국과 중국 4년제 대학교 유아교사 양성교육과정의 내용은 어떠한가? 2-1. 한국과 중국의 유아교사 양성교육과정의 구조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2-2. 한국과 중국의 유아교사 양성교육과정의 내용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한국의 5개 4년제 대학교의 유아교육과, 중국의 5개 4년제 사범대학교의 학전교육의 교육과정을 조사했고 양국의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 교육과정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의 목적에 있어서 중국 대학교는 우수한 유아교사, 연구원, 관리자의 세 가지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의 대부분의 대학교는 우수한 유아교사를 육성을 하는 것을 기초로 하고 나아가 전문가로써의 성장에 교육목적을 두고 있다. 교육 목표에 있어서 중국의 각 학교는 교육 목적에 따라 전문 능력에 대한 교육 목표를 다르게 진술하지만 공통적으로 교사로써의 전문능력, 연구자로써의 연구능력, 관리자로써의 관리능력을 요구한다. 그밖에 직업 도덕, 정치소양, 외국어와 컴퓨터 능력에 대한 요구에 대해서도 진술하고있다. 한국 대학교의 교육 목표는 각 대학교의 교육 이념에 따라 차이가 크다. 중국의 교육 목표에 비해서 전문 능력을 강조하고 구체적으로 진술하고 있다. 둘째, 교육과정의 구성에 있어서 한국과 중국의 교육과정 구조는 거의 비슷하고 명칭과 각 부분의 비중이 다르다. 또한 중국이 전공 과정을 세분화 하는 학교가 한국보다 많다. 셋째, 교육과정의 내용에 있어서 중국 각 대학교의 공공(公共)과정은 한국 대학교의 교양과정의 역할과 비슷한데 각 대학교가 개설하는 교과목은 큰 차이가 없다. 정치·도덕, 외국어의 비중이 가장 크며 대부분은 필수과목이고 선택과목은 적다. 한국의 교양 과정은 중국보다 학점이 적고 비중도 작다. 선택할 수 있는 교과목이 많고 각 학교가 개설한 교양 과목의 차이가 크며 공통적으로 외국어와 컴퓨터를 개설한다. 중국의 타과(他科) 선수 과목은 학점이 적고 선택할 수 있는 과목도 많지 않은 반면 한국의 일반선택 과정은 선택할 수 있는 교과목이 많고 학점도 중국보다 많다. 중국 대학교의 전공과정은 한국 대학교의 전공과정보다 이론과 예능을 더 중요시하고 한국 대학교의 전공과정 중에 이론과 실천이 결합되는 교과목이 중국 대학교보다 더 많다. 중국은 교육 실습만 있으나 한국은 교육실습과 보육실습 두 가지가 있다.

      • 일본의 지역대학과 지역사회 연계를 통한 생존전략 : 코치대학교와 유스하라정을 중심으로

        신선혜 배재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일본의 지역대학과 지역사회의 생존전략에 대한 것으로 일본전역에서도 인구감소와 고령화가 15년 이상 선행되고 있는 코치현의 코치대학교와 유스하라정을 대상으로 한다. 우선, 코치대학교는 지역화를 목표로 조직을 개편하고, 지역과 관련된 학과를 신설하며, 산·학·관이 연계하여 지역의 산업인재를 양성하는 등 지역과 밀착된 ‘대학만들기’를 해 왔다. 더하여 코치대학교에서는 지자체와 연계하여 내부공동체 시스템을 구축하였는데 이 시스템은 특임교원을 지역에 직접 파견하는 것으로, 배치된 지역에 상주하면서 지역사회의 과제해결을 위해 활동을 한다. 또한 지역의 커뮤니티를 중핵으로 중간역할을 하면서 대학의 기능을 강화하는 지(知)와 지(地)의 거점 역할을 확대하고 있다. 한편, 지자체마다 지역대학에 대한 요구가 다르기 때문에, 유스하라정 사례를 통하여 지역대학과의 연계 실태를 파악하였다. 유스라하정은 중산간지역의 불리한 조건 속에서 지속적인 인구감소와 고령화에 대응하여 ‘지역만들기’를 해 왔다. 그 과정에서 지역사회의 거점대학인 코치대학교뿐만 아니라, 지역대학, 중앙의 동경대학, 그리고 국제교류를 하고 있던 한국의 대학과도 연계하여 지적, 인적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왔다. 또한, 지역 인재의 확보 및 육성을 위한 ‘유스하라사람만들기’의 일환으로 코치대학교와 연계협정을 맺고 출장강의를 통하여 평생교육의 장을 만들어 가고 있다. 이러한 상호작용으로 최근, 코치대학교에서는 ‘지역협동학부’를 신설하였는데, 모집 대상은 고교졸업생을 비롯하여 일반인, 회사원, 지역의 지도자 등으로 평생교육자이고 지역사회에서 일할 인재를 뽑고 있다. 이렇게 지역대학과 지역사회의 연계를 통하여 본 생존전략은, 오늘날 인구감소·고령화 문제로 어려움에 처해 있는 한국의 지방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함에 있어 시사점이 크다는 점을 강조하는 바이다. This case study covers the survival strategy of a local university and regional society in Japan. Specifically, it covers that between Yusuhara-cho and Kochi University located in Kochi prefecture that have experienced a decrease and aging of the population for more than fifteen years. As the first measure, Kochi University has committed to “Universtiy Making” closely related with the region by restructuring its organization, establishing new departments related with the region, and educating workforce for the local industry through industry, university, and government-wide cooperation. Moreover, Kochi University established the Kochi University Inside Community System by affiliating with the local autonomous entity. This system directly dispatches a University Block Coordinator to the community to stay there and do various tasks. Also, the position serves as a “pipe” medium to strengthen the “Center of Community” function of the university, while also prioritizing the local community. Meanwhile, as each local autonomous entity has different requests from a local university, we examine the affiliation of local university through the case study of Yusuhara-cho. Yusuhara-cho has committed to “community making” in response to continuous decrease and aging of the population, despite its geographical disadvantage as a mountainous area. In thie process, it actively utilized intellectual and human resources through affiliation with Kochi University-designated university in the regional community-, other local universities, University of Tokyo and other universities in Korea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Also,.in its “making Yusuhara people” program for acquiring and developing local human resource, it signed a professor exchange program with Kochi University to provide education dedicated to senior citizens. As a result of this interaction, Kochi University recently established its “faculty of regional cooperation”, which admits high school graduates, employees of firms, local leaders and many other types of people to work in the regional community as lifelong learners. Such survival strategy of affiliation between local university and regional community has indeed many implications in searching methods of symbiosis between those in Korea also suffering decrease and aging of population.

      • 대학교 부속유치원 교사로 살아가기

        강주희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대학교 부속 유치원 교사로 살아가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경험과 그 경험이 갖는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대학교 부속 유치원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교직생활을 이어나갈 수 있게 해 주는 보람된 요소들은 무엇인지 그리고 미래에 대한 희망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대학교 부속 유치원 교사들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교사들의 근무환경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A광역시에 위치한 대학교 부속 유치원 교사 8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대학교 부속 유치원 교사들의 다양한 경험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 참여자별로 총 26주 동안 각2회씩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은 비 구조화된 면담과 반 구조화된 면담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집단 면담, 연구 참여자의 저널, 연구자 저널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연구 자료는 질문내용별로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생성된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대학교 부속 유치원 교사로 살아가기 위해 겪는 경험을 교사의 어려움, 보람, 희망으로 나누어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 부속 유치원 교사들은 끝이 보이지 않는 유치원 업무에서 발생하는 직무스트레스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는 대학교 부속 유치원의 기관 특성으로 인한 것으로써, 일반 유아교육기관의 역할과 동시에 ‘대학교의 기능’을 수행해야 하는데서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근무환경에 대한 이해와 개선을 목적으로 근무시간의 탄력적 조정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교사들은 늘 새로워야 하는 교실 환경을 구성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이러한 어려움은 수업참관준비 및 외부 유치원 공개로 인한 창의적이고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교실환경을 보여주어야 한다는 부담감에서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어려움을 지원하기 위해 창의적인 미술활동을 연구하고 개발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가질 수 있도록 근무환경을 개선하고, 미술 교육 연수 지원 등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교사들은 과중한 업무로 인해 야근을 반복적으로 할 수 밖에 없는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부속 유치원의 특성상 일반 유아교육기관의 교사들이 해야 하는 수업준비 및 서류업무 외에도 언제 올지 모르는 참관을 대비한 교실환경개선과 교육활동연구로 인한 업무량이 늘어나는 데서 기인한다. 넷째, 대학교 부속 유치원 교사들은 언제나 열려있어야 하는 배움의 현장을 제공하기 위한 사명을 감당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는 대학교 부속 유치원이 예비유아교사 뿐 아니라 학회 또는 연수를 통해 오고가는 많은 유아교사들을 위해 언제나 열려있는, 준비된 곳이어야 하는 주위의 바람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여진다. 다섯째, 대학교 부속 유치원 교사들은 예비유아교사들의 길라잡이로서의 역할을 감당하는 데 느끼는 어려움을 이야기하기도 하였다. 이는 초임교사의 경우에는 현장참여 및 관찰 또는 참관을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의 눈에 비추어질 자신의 수업에 대한 자신감 부족과 언제 실수할지 모르는 불안감으로 인한 것이었다. 여섯째, 대학교 부속 유치원 교사들은 유아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여러 가지 연구의 몫을 감당해야 하는 어려움을 감수하며 살아가고 있었다. 이는 대학교 부속 유치원의 역할과 기능인 ‘연구적 기능’을 수행하는 데서 겪게 되는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대학교 부속 유치원 교사들은 외부적인 요인에서 오는 어려움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어려움은 ‘대학교 부속 유치원’에 대한 주위의 큰 기대에서 비롯된 것으로 무엇이든 완벽한 교사가 되어야 한다는 부담감을 느끼기도 하며, 이는 어느 누군가에게 비추어질 교사로서의 외적인 모습과도 관련이 있다는 생각에 단정한 옷차림, 말투, 행동에까지 교사다운 모습을 갖추어야 한다는 부담감을 느끼게 하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대학교 부속 유치원 교사’에 대한 학부모들의 특별한 기대감으로 인해 학부모와의 관계형성의 어려움과 부담감을 느끼게 되는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대학교 부속 유치원 교사들은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교사로 살아가면서 느끼는 보람으로 인해 교사 생활을 지속해 나갈 수 있는 힘을 얻기도 한다. 이러한 보람으로 첫째, 대학교 부속 유치원 교사들은 주위 사람들의 인정과 지지 속에서 ‘자부심’을 느끼고 있었다. 이러한 자부심은 가족, 학부모, 동료교사 그리고 참관을 통해 오고가는 많은 사람들의 인정과 격려를 통해 느끼고 있었다. 둘째, 대학교 부속 유치원 교사들은 교사와 함께 변화하고 성장해 가는 아이들의 모습을 통해 보람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업연구 및 활동을 통해 유아들이 즐겁고 행복해하는 모습을 보면서 보람을 느끼고 교사 스스로도 성장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성취감을 경험하는 데서 기인한다. 셋째, 대학교 부속 유치원 교사들은 학부모에게 인정받는 교사가

      • 고비중 한국어 시험 설계의 타당도 연구 : 듣기 영역을 중심으로

        황정현 배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교육 내용을 평가할 때에 평가가 교육에 종속된 것처럼 생각했던 적이 있으나, 사실은 교육이 평가에 종속되었던 경우가 더 많이 있었다. 특히 개인과 사회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고비중 평가(high-stake tests)는 교육내용을 평가한다는 차원을 넘어서서 학습자들과 교사들에게 학습해야 할 방향을 제시해주기도 하며 교육에 큰 영향력을 끼친다. 현재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고비중 시험으로 TOPIK과 KLPT가 대표적이다. 이 두 시험은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을 측정한다는 점에서 동일한 목적을 가졌다고 할 수 있다. 또한 TOPIK과 KLPT 모두 대학 입학 및 졸업, 취업 등의 자료로 활용되고 있으며,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도 한국어 학습과 평가의 자료로서 사용되고 있다. TOPIK과 KLPT 지침서에는 이 시험의 결과를 입학의 자료로 사용한다고 밝혔으나 의사소통 능력을 측정하는 두 시험으로는 학업 능력을 측정할 수 없다는 의견이 나오면서 각 대학교에서 대학입학시험을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는 학교가 늘어나고 있다. TOPIK, KLPT, 외국인 대학입학시험은 고비중 시험으로서 수험자들의 한국어 학습 방향에 많은 영향을 끼치며, 수험자의 인생을 결정지을 수 있을 만큼 중요한 의사결정 수단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평가 도구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듣기는 의사소통 능력의 네 가지 기술 가운데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이며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가장 먼저 발달되어야 할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듣기 학습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평가 도구의 질을 높여야 한다.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듣기 시험이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충실하게 측정하여야 한다. 즉, 평가 시험의 타당도를 확보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평가 도구는 타당도, 신뢰도, 실용도가 갖추어져야 하는데 타당도는 검사의 질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어떤 평가 도구가 신뢰도와 실용도가 갖추어졌다고 하더라도 평가의 타당도를 확보하지 못한다면 그것을 근거로 추론한 결과는 신뢰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수험자와 그 결과를 사용하는 기관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한국에서 치러지고 있는 고비중 시험이 믿을만한 근거를 가지고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제대로 측정하고 있는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TOPIK, KLPT, 배재대학교 한국어학업능력평가를 분석하여 각 시험에서 타당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찾아내고, 그것을 바탕으로 고비중 한국어 시험 설계의 타당도 확보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Ι장에서는 연구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연구 방법과 범위를 기술하였으며, 본 연구를 위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기술하였다. 먼저 Weir(2005)의 Language Testing and Validation에서 제시한 타당도에 대한 개념을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삼고 그 내용을 기술하였다. 그 다음 TOPIK, KLPT, 배재대학교 한국어학업능력평가의 듣기 영역 현황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이론 기반 타당도와 문맥 타당도로 나누어 각 시험의 타당도를 분석하고 타당도 확보를 위한 시험 설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론 기반 타당도는 Bachman & Palmer(1996)에서 제시한 언어 능력 모형을 기반으로 분류하였고, 문맥 타당도는 Weir(2005)가 제시한 기준을 기반으로 하여 지시사항, 평가의 목적, 반응 형태, 평가 항목들의 순서, 소재, 기능, 대화자 변수(속도, 성) 총 7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고비중 시험의 설계 방안을 결과 사용의 합목적성, 실제성, 다층적인 능력 측정 등의 세 가지로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한국어 시험들의 문제점을 살펴보았고, 시험을 설계할 때 필수적이며 근본이 되는 타당도 확보의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In testing educational achievement, it sometimes seems that testing is part of education. More frequently, however, education seems subordinate to testing. In particular, high-stakes tests, those that can have a great influence on individuals and society, can reach far beyond the mere evaluation of educational content and can provide future guidance for both students and teachers. Currently, two of the most influential tests used for evaluating the communication abilities of Korean students are TOPIK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and KLPT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The two tests have the same objective: evaluating a student’s fluency in Korean. These tests are used as the basis for evaluating an applicant's college admission qualifications, are required for graduation and sometimes for employment. The tests are also used as a tool when teaching Korean and in assessing people's Korean proficiency. The handbook for both tests indicates that the test results are used for college admission. However, some educators feel that the tests are not adequate for evaluating an applicant's Korean learning ability. Increasingly more schools are developing their own independent admission tests. As high-stake tests, TOPIK, KLPT and college entrance exams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direction of Korean learning; they can be critical tools in setting a course for the applicant's life. Therefore, the tests need to be closely examined as evaluation tools. Among the four sensory aspects of communication, listening is the most widely used in daily life; people first learn a language through hearing it spoken. Thus, an evaluation tool for listening comprehension needs to be improved for more efficient learning. To evaluate listening comprehension the most effectively, it is important to evaluate what needs to be measured in a test; that is, to determine the validity of a test. In general, an evaluation tool should be valid, reliable and practical. Validity i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that determines the quality of a test. Even if a test is reliable and practical the results cannot be trusted without validity of the test. The results of an invalid test will have a negative impact on both the applicants and the institutions that uses i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or not high-stakes Korean tests are based on accurate expectations and whether or not they measure adequate items. This study identifies factors that affect the validity of a test. TOPIK, KLPT and a Korean ability test developed by P University will be analyzed. Based on the identified factors, the study aims to suggest how to ensure the validity of high-stakes Korean tests. The paper is organized as follows. Chapter Ⅰ illustrates the research objectives and needs, describes the paper’s scope and methodology and examines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Chapter Ⅱ provid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It adopts Weir's concepts of the validity of a test, as provided in Language Testing and Validation (2005), as the theoretical basis. The paper examines the current condition of listening comprehension tests, including TOPIK, KLPT and a Korean ability test developed by P University. Chapter Ⅲ analyzes the validity of each test in terms of its theoretical background and context, but also discusses how to design a valid test. The validity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is based on the language capability model, as suggested by Bachman & Palmer (1990). The validity of the context is divided into seven items for analysis: instruction, test objective, form of response, the order of evaluation items, materials, function and dialogist variables (speed, gender).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provides suggestions as to w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a high-stakes Korean test. The study identifies problems in current Korean tests and provides suggestions to ensure the validity of a test. Validity is essential and fundamental to designing a robust language test.

      • 대학 내 학생조직 관리 효과성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이비 배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research on student organization management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is an important aspect of student management, especially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student organization has gradually become the core evaluation factor reflecting the quality of College Students' education. Therefore, scholars have conducted basic theoretical and practical research on the organizational management of college students, mainly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al structure, efficiency evaluation framework, management case investigation, human resource management led by students and other results and empirical case studies. However, there is no scientific and comprehensive evaluation system for the efficiency of student organization and management. In order to explore the process management efficiency that can not be expressed by the theoretical tools of business entropy and dissipative structure, which has gradually appeared in the theoretical evaluation system of non-profit organization governance since the 21st century, it can be applied to the internal organization of college students and reveal the essence of College Students' organizational governance. Therefore, according to the current research situation, this study uses the 'entropy and dissipative structure theory'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technology to study the organizational management efficiency of college students and its influencing factors, constructs the evaluation model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efficiency of college students, and deeply analyzes the structure and ways of influencing factors. First, what is the standard to define the organizational management efficiency of college students? Second, what is the method of designing a scientific, systematic and measurable comprehensive evaluation index system of College Students' organizational management efficiency? Third, what is the method to measure and analyze the results and process efficiency of College Students' organizational management samples? Fourth, what are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approache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organizational management efficiency of college students? Fifth, facing the actual work, how to establish the method of optimizing th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college students? In view of the low efficiency of College Students' organization and management, through the previous literature research and the investigation of 17 vocational and technical colleges in Shandong, this study uses structural equation model technology and entropy loss structure theory to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 variables and evaluation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organization and management efficiency', 'influencing factors of students' organization and management efficiency' This paper puts forward three research questions of 'what countermeasures and ways should be taken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management efficiency of college students', and sets the corresponding research objectives. Then, driven by the construction of theoretical platform and empirical research,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of 17 vocational and technical colleges in Shandong, this paper summarizes three factors and variables affecting the organizational management efficiency of college students, namely, basic management activities, environmental impact activities and value promotion activities. It also establishes the factor model affecting the efficiency of College Students' organization and management, and summarizes the evaluation index system of College Students' organization and management efficiency. According to the evaluation index system, this paper makes an in-depth analysis on the process and result management efficiency of 17 university student unions, and verifies the factors affecting the management efficiency. Finally, it puts forward countermeasures from the two aspects of 'student organization and student leadership' and 'universities and government departments', and puts forward suggestions on how to optimize th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college students. Thus, the proposed research problems are solved. 대학에서 학생 조직의 관리에 대한 연구는 학생 관리의 중요한 부분이며, 특히 학생 조직의 관리 효과성은 점차 대학생의 교육 품질을 반영하는 핵심 평가 요인이 되었다. 따라서 학자들은 대학생 조직의 관리에 대한 기본 이론적이고 실용적인 연구를 수행했으며, 주로 조직 구조의 특성, 효과성 평가 프레임 워크, 관리 사례 조사, 학생 리더의 인적 관리 등 결과 및 경험적 사례 연구에 중점을 두었다. 그러나 아직 학생 조직의 관리 효과성에 대한 과학적이고 포괄적인 평가 시스템은 구성되지 않았다. 21세기 이후 비영리 단체 거버넌스의 이론적 평가 시스템에서 점차 등장한 경영 소산 구조 이론 도구는 표시할 수 없었던 프로세스 관리 효과성 상태를 탐색하기 위해 대학생 조직 내부에 적용하여 대학생 조직 관리 문제의 본질을 드러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의 연구 상태를 고려하여, '구조 방정식 모형' 기술을 이용하여 대학생 조직의 관리 효과성 및 그 영향요인을 연구하여 대학생 조직의 관리 효과성 평가 모형 구축 및 영향요인의 구조 및 경로에 대한 심층 분석한다. 첫째, 대학생의 조직 관리 효과성을 정의하는 기준은 무엇일까? 둘째, 대학생의 조직 관리 효과성에 대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이며 측정 가능한 종합 평가 지수 시스템을 설계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셋째, 샘플 대학생 조직 관리의 결과 및 프로세스 효과성을 측정하고 분석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넷째, 대학생의 조직 관리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구조와 기능 경로는 무엇일까? 다섯째, 실제 업무에 직면하여 대학생의 조직 관리를 위한 최적화된 방법을 확립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본 연구는 대학교의 학생조직관리 효율이 높지 못한 상황에 대하여 전단계의 문헌연구와 17개 산동지역 직업기술대학의 조사연구를 통하여 구조 방정식 모형 기술과 손실 구조 이론을 운용하여 '대학생 조직관리 효과성의 영향요인 변수와 평가 분석','학생 조직관리 효과성의 영향요인','대학생 조직관리 효과성 제고에 있어서 어떤 대책과 방식을 취해야 하는가'라는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제시하고 상응한 연구목표를 설정하였다. 그 후, 이론 플랫폼의 구축과 실증 연구의 추진으로 17개 산동지역 직업기술대학의 설문 조사를 통해 대학생 조직 관리의 효과성에 영향을 주는 3대 요인 변수, 즉 관리 기본활동, 환경영향 활동, 가치 향상 활동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대학생 조직의 관리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모형을 구축하고 대학생 조직의 관리 효과성의 평가 지표 체계를 귀납하였다. 평가 지표 체계에 따라 17개 대학의 학생회 과정적과 결과적 관리 효과성을 깊이 있게 분석하고 관리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했다. 마지막으로 '학생 조직 학생 지도자'와'대학교와 정부 부서'두 가지 측면에서 대책을 제시하고 대학교 학생 조직 관리의 최적화 방식을 제안했다. 그리하여 제기된 연구 문제를 해결하였다.

      • 한국어 초급 교재의 비교 연구 : 문법 항목을 중심으로

        윤지영 배재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대부분의 한국어 교육은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습득이 아닌 학습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문법교육은 간과할 부분이 아니다. 그러기 때문에 초급 단계에서 제시되는 문법 중 문장을 이루는 기초 요소인 조사와 어미의 올바른 학습은 중요하다. 또 학습에 기본이 되는 교재의 내용은 그만큼 중요한 비중을 지닌다. 그래서 본 논문은 각 대학 기관에서 개발한 교재를 선별하여 그 안에 제시된 교수요목을 기반으로 조사와 어미의 제시순서와 명칭, 내용 기술 방법을 비교하였다. 이는 기존 교재에 나타나는 문법 항목 간의 차이와 문제점을 찾아보고 그 문제점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해 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2장에서는 문법에 대한 정의와 문법 교수와 문법중심 교육과정에 대해 살펴보았고, 3장에서는 현재 한국어 교육에서 사용되고 있는 초급 교재들 중 교수요목이 제시되어 있고 수업시수가 200-320시간을 기준으로 하는 대학에서 개발한 교재를 선정하였다. 분석 교재는 서울대학교 『한국어 1』, 연세대학교 『한국어 1』, 이화여자대학교 『말이 트이는 한국어 1』, 서강대학교 『서강한국어 1, 2』와 경희대학교 『한국어 초급 Ⅰ, Ⅱ』 7종이다. 선별된 문법 항목은 조사 ‘-이/가’, ‘-은/는’, ‘-을/를’, ‘-에’, ‘-에게’, ‘-(으)로’, 종결어미 ‘-(스)ㅂ니다/(스)ㅂ니까’, ‘-아요/어요/여요’, ‘-았어요/었어요/였어요’, ‘-(으)ㄹ 것이다’, 연결어미 ‘-고’, ‘-지만’, ‘-(으)면’, ‘-아서/어서/여서’, ‘-ㄴ데/은데/는데’, ‘-(으)니까’, 선어말어미 ‘-시-’, ‘-았/었/였-’, ‘-겠-’, 전성어미류 ‘-(으)ㄴ/는’, ‘-(으)ㄹ’으로 교수요목과 본문의 문법 설명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격조사는 모두 동일한 종류를 제시하고 있으나 보조사의 경우는 차이를 보였다. 또한 격조사와 보조사의 명칭 경계가 모호하였고 ‘particle’과 ‘marker’로 혼란을 보이며 가끔 ‘suffix’로 제시되는 경우도 있었다. 부사격 조사의 경우는 다양한 기능을 모두 제시하지 않고 선별하여 제시하고 있다. 어미 역시 제시된 종류가 동일하지 않으며 명칭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같은 종류의 어미에도 다른 용어를 제시하고 있으며 ‘ending’과 ‘marker’를 사용하여 조사와의 경계를 혼란스럽게 한다. 또한 연결 어미도 부사격 조사처럼 제시하여 설명하는 문법 항목에 많은 차이를 보인다. 이는 각 문법 항목이 지니는 기능을 학습 수준에 맞추어 각 기관마다 차이를 두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3. 6장에서는 앞의 비교를 바탕으로 문제점에 대한 의견을 정리하고 제언하였다. 4장에서는 본 연구에 대한 결론을 제시하였다. As most of the learners of Korean are adult learners who are learning this language in a formal context, the grammar is an essential part of the instruction. In this paper, I investigate how the grammar is dealt in the textbooks. Chapter II gives a short account of the definition of the grammar. Grammar instruction and grammatical syllabus are also themes of the chapter. Chapter III, the main part of the paper, is a comparative study of some commonly used textbooks. Here, the descriptions of 21 grammatical items were compared. This includes questions about the relative order of the grammatical items introduced in the textbooks, the way how they are defined and described, and also the terminology.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these areas, and especially the terminology and the translations seemed to be confusing. So, some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improvement in chapter IV.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