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仁祖代 經筵의 운영과 성격

        이경동 조선시대사학회 2019 朝鮮時代史學報 Vol.- No.90

        Gyengyeon (經筵; Royal Lecture) was where the king listened to his eminent government officials’ lectures on Neo-Confucian classics and held discussions with them in Joseon Dynasty. During the reign of Injo, the Lecture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revitalizing political system suspended in the early 17th century. In the process, Royal Lecture did not only put an emphasis on the legitimacy of the Coup of 1623 (仁祖反正), but also functioned as a sphere of discussing the general affairs of the state, compared to the other court discussing types as follows: Johoe (朝會; Formal morning audience with rituals), Yundae (輪對; Rotational audience) and Ingyeon (引見; Occasional audience on particular subject) etc. In this article, it is stated on the operation system of the Royal Lecture, centered with its types, frequency, attendance, and structure of discussion. The actual operation of the Lecture during king Injo period seems that it was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its model in the former part of Joseon period, while having flexibility of the system in the process. On the other hand, the Royal Lecture during the reign of Injo functioned as the main field of the state administration through audience between the king and his ministers, thus discussions on state affairs were also handled through the Lecture intensively. General tendency shows that the Lecture was led by lecturers during Jingang (進講; Lecture before the King), and after lecture, state affairs were discussed among higher officials such as State Prime Minister or Ministers. During the process of state affair discussion in the Lecture, the content of the discussion was closely related to actual position in office of the discussant. If the discussion was not related with actual positions in office, there were free debates between officials who were granted audience by their positions in the Lecture, generating more diverse views on issues. After the Manchurian Invasion of 1636, the Royal Lecture was resumed to overcome the political situation. However, it was suspended after 1639 because of deterioration of king’s health, even though it was still functioning as the sphere of state affair discussion. Other than deteriorated health condition of the king, the suspension of the Lecture was associated with the changes of state governance after the War. On the one hand, it was to exclude political force symbolized as Cheokhwaron (斥和論; Insistence on Rejecting Negotiation) centered with royal lecturers and remonstrating officials. On the other hand, it was because of systemic limitation of discussion function of the Lecture. With the Lecture suspended, Biguk-ingyeon (備局引見; Court Audience with Pibyŏnsa, the Border Defense Council) was regularized with frequency of three times a month, and the way of royal audience for the state management was limited to Biguk-ingyeon hereafter. 인조대 경연은 반정의 정당성 강화 목적에서 시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경연은 朝會, 輪對, 引見 등에 비하여 가장 일반적인 국정논의를 위한 현장으로 기능하였다. 경연의 제도적 운영에 관해서는 경연의 종류와 빈도, 참석자의 구성, 논의 구조 등을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인조대 경연의 실상은 대체로 조선전기의 경연 운영을 준행하면서 시행과정에서 제도적 유연성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山林職의 검토와 같이 조선전기와는 다른 측면에서 경연을 운영하려고 하는 시도들도 확인된다. 인조대 경연은 군신간 引接을 통한 국정운영의 주된 현장으로 기능하였으므로 국정과 관련된 논의들도 경연을 통해 집중적으로 다루어졌다. 대체적으로 진강 중에는 홍문관원을 중심으로 운영되었고, 진강이후에는 영사․지사나 특진관을 중심으로 국정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특히 경연 내의 국정논의 과정에서 논의의 내용은 논의자의 실직과 밀접한 관계를 가질 뿐만 아니라 입시한 관원들의 자유로운 토론이 진행되었으므로, 보다 다양한 시각의 논의들도 발생하고 있었다. 경연에서 다루어진 논의들은 朝報 등을 통해 조정 내외로 확산되면서 국정운영의 주요한 현장으로 기능하였다. 병자호란 이후 재개된 경연은 병자호란 이전과 마찬가지로 국정논의의 장으로 기능하였음에도 1639년(인조 17) 이후 인조의 건강 악화로 인해 중지되었다. 경연의 중지는 표면적으로 인조의 건강악화가 이유였지만, 국정운영상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하나는 척화론으로 상징되는 삼사를 중심으로 한 정치세력을 국정논의 내에서 배제하려는 데에 있었고, 다른 하나는 經典 진강과 국정논의를 병행해야 하는 경연이 가졌던 제도적 한계 때문이었다. 경연의 중지와 동시에 비국인견이 정례화되면서, 이후 국정운영을 위한 인접의 방식도 월3회 비국인견으로 제한되었다.

      • KCI등재

        Effect of R. leguminisarum Pre-incubated with Inducers, Naringenin and Methyl-jasmonate, on Nitrogen Fixation and the Growth of Pea at Different Salinity Levels

        이경동 한국환경농학회 2008 한국환경농학회지 Vol.27 No.4

        The legume-rhizobia symbiosis is an important source of plant growth and nitrogen fixation for many agricultural system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alinity stress on nitrogen fixation and growth of pea (Pisum sativum L.), which has antimutagenic activities against chemical mutagen, inoculated with R. leguminosarum bv. viciae cultured with additional plant-to-rhizobia signal compounds, naringenin (NA,15 uM), methyl-jasmonate (MJ, 50 uM) or both, under greenhouse conditions. Three salinity levels (0.6, 3.0 and 6.0 dS m-1) were imposed at 3 days after transplanting and maintained through daily irrigations. Addition of signal compounds under non-stress and stress conditions increased dry weight, nodule numbers, leaf area and leaf greenness. The inducers increased photosynthetic rate under non-stress and stress conditions, by approximately 5-20% when compared to that of the non-induced control treatment. Under stress conditions, proline content was less in plants treated with plant-to-bacteria signals than the control, but phenol cont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The study suggested that pre-incubation of bacterial cells with plant-to-bacteria signals could enhance pea growth, photosynthesis, nitrogen fixation and biomass under salinity stress conditions.

      • KCI등재

        조선시대 근기지역 서원의 강규와 강학

        이경동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1 민족문화논총 Vol.79 No.-

        본 연구는 조선시대 근기지역 서원의 강규와 강학에 대한 사례 연구를 통해 서원 교육의 지역적 특징을 고찰하고 시대적 성격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근기지역 서원은 설립 초기인 16세기부터 강학이 진행되었다. 이 시기 강학 자료는 이이가 제정한 은병정사학규와 문헌서원학규에서 확인할 수 있는 데, 거재와 정기 강학을 토대로 운영되었던 근기지역 서원 교육은 자율성에 토대를 둔 경서 강학과 토론을 위주로 하였다. 17세기 후반 박세채가 제정한 근기지역 서원들의 학규들을 살펴보면 강학 교재와 강학 방식을 구체화하였다는 특징이 있다. 세부적으로 강학 교재의 범주를 명시하였으며, 謁廟나 檢察 등을 포함한 강회 절차를 마련하였다. 18세기 근기지역 노론・낙론계 서원들의 강학은 평가규정의 도입과 강학의례의 체계화로 요약된다. 이재에 의해 제정된 학규나 강규에 의하면 강회에 講誦 절차를 포함하거나, 봄・가을에 試講을 열어 원생들의 학업성취를 평가하였다. 김원행은 석실서원을 운영하며 이재의 평가규정을 수용함과 동시에 강학과 관련한 의례를 상세하게 제시하였는데, 이는 근기 지역 서원 강학 의례의 실례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해 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조선시대 근기지역 서원의 강규와 강학은 시기별로 체계화되는 경향을 보이며, 강학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진행되었음이 확인된다.

      • KCI등재

        경기・강원지역 서원・사우의 현황과 특징* -서원훼철령 이후를 중심으로-

        이경동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3 민족문화논총 Vol.85 No.-

        본 연구는 1871년(고종 8) 서원훼철령 이후 경기・강원지역 서원・사우의 현황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지역적 특성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경기에는 69개소, 강원도에는 39개소의 서원・사우가 건립되었다. 해당 서원・사우들은 1871년 15개소를 제외하고 모두 훼철되었다. 15개소의 서원・사우들은 일제시기에도 존속하여 향사를 비롯한 다양한활동이 확인되지만 대체로 1950년 한국전쟁 과정에서 소실되면서 전체 혹은사우 등 건물 일부만이 복원되어 있다. 훼철된 서원・사우 중에서는 현재까지 18개소가 복설되었다. 오산의 궐리사는 가장 이른 시기인 1900년에 복설되었으며, 21세기초까지 지속적인 복설이확인된다. 해방 이후부터 복설이 본격화되었으며, 문중과 서원이 위치한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복설이 추진되었다. 일부 서원・사우의 경우 신설되거나 다른 지역에 존재했던 서원・사우가 경기・강원지역으로 이건되기도 하였다. 대표적으로 금천의 ⿅洞書院은 전통유교가 개신유교로 변모하는 과정에서 건립・운영되었으며, 고양의 ⿓江書院과 오산의 文憲書院은 본래 북한 지역에 존재했으나 문중의 주도로 향사 등 서원의전통을 계승하기 위해 이건되었다. 20세기 이후 경기・강원지역 서원들은 향사를 중심으로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이외에 서원지 간행 등의 출판활동, 문화재청 및 정부 재원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문화유산 활용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특히 문화유산 활용사업의 경우향사와 같은 서원 구성원만의 행사가 아닌 조선시대부터 전승된 서원의 전통을 계승하고 이를 일반 대중에서 확산시킨다는 점에서 주목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status of seowon (included in shrine) that existed in Gyeonggi-do and Gangwon-do after the nationwide seowon demoliton by the king in 1871.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69 seowon were built in Gyeonggi-do and 39 in Gangwon-do. All but 15 seowon were abolished in 1871. The 15 original seowon continued to exis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various activities, including ritual rites, can be confirmed. However, they were mostly destroy ed during the Korean War in 1950, and only some of them were restored. Among the abolished seowon, 18 were restored. Continuous restoration took place from the 20th to the 21st century. Looking at the overall trend, restoration began in earnest after 1945, and restoration was promoted centered on the descendants of the deceased and the local government where the seowon was located. The main purpose of Seowon's restoration is regular ritual rites in spring and fall. Some seowon were newly established, or those that existed in other regions were rebuilt in Gyeonggi-do and Gangwon-do. Among these, Nokdong-Seowon (⿅洞書院) was built for educational purposes in the process of Confucianism transforming into a modern religion. Yonggang- seowon (⿓江書院) and Moonhun-seowon (文憲書院) originally existed in North Korea, but was restored in Gyeonggi-do by the descendants of the deceased due to difficulties in access due to division of the country. Currently, seowon in the Gyeonggi and Gangwon regions are continuing their activities centered on ritual rites. In addition, seowon members are conducting publishing activities related to the seowon and promotion programs operated based on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government resource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promotion programs, attention needs to be paid to the fact that they inherit the tradition of seowon and spread it among the general public.

      • KCI등재

        목재 홍여하의 현실인식과 경세론

        이경동 조선시대사학회 2023 朝鮮時代史學報 Vol.- No.10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e of Hong Yeo-ha (洪汝河)’s perception of reality and statecraft, one of the representative intellectuals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o derive historicality about it. Hong Yeo-ha’s statecraft is characterized by a comprehensive review of cases that occurred in Chinese and Korean history and structured them. Hong Yeo-ha’s statecraft was based on the Neo-Confucian theoretical system and aimed for reform centered on institutional change in line with social reality. Hong Yeo-ha saw that the current problems could be improved through the reform of legislation consistent with the time. The direction of institutional reform is summarized as simplification and rationalization. The complex method of institution operation only continued to cause disruption, and the simple operation of the legislation system was considered to be a way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disruption. Hong Yeo-ha’s statecraft is divided into land system (田制), corvee label duty (徭役), and education, etc. He analyzed cases that occurred in history for each individual subject and presented solutions to the current problems based on this. For the land system and the corvee label duty he comprehensively reviewed the tax system (稅制) implemented in China. As a result, for the land system and the corvee label duty, he suggested simplifying the payment method and structuring it to prevent the intermediate exploitation of the local civil functionary (書吏). For education, he paid attention to seowon (書院), which has been growing into a rural social education institution since the mid-16th century in Joseon society. At that time, seowon was expanding nationwide, and he criticized the tendency to focus on activities other than education, such as ancestral rites, rather than education in actual operation, and saw that it was necessary to operate according to the nature of educational institutions. To this end, he argued that the education of seowon should be systematically operated through the enactment of educational regulations, etc., within seowon. 본 연구는 홍여하의 현실인식과 경세론의 구조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역사성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홍여하의 경세론은 중국 및 東國의 역사에서 발생한 사례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구조화하였다는 특징이 있다. 홍여하의 경세론은 修己治人으로 요약되는 성리학적 경세론을 기본 전제로 풍속 및 민심에 부합한 제도 개혁을 지향했다. 홍여하는 당대에 부합하는 법제의 개혁을 통해 현재의 문제점이 개선될 수 있다고 보았다. 제도 개혁의 방향은 간략화 및 규정에 따른 준수로 요약된다. 복잡한 방식의 제도운영은 폐단을 야기할 뿐이며, 이를 최소화하는 것이 폐단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여겼다. 홍여하의 경세론은 田制, 徭役, 敎育 등으로 구분되며, 주제별로 역사상 발생했던 사례를 기반으로 현재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田制와 徭役에 있어서는 租庸調, 兩稅法 등 중국에서 역대로 시행되었던 세제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전세제도는 역사적 사례를 바탕으로 간소화를 지향하고 중간 수탈을 방지하면서 부세 담당자였던 일반 농민들의 부담을 줄이는 방향으로 개혁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요역은 경국대전 등 제도에 부합한 운영을 지향하고, 身貢 또한 기존의 운영을 유지하는 차원에서 사적 수탈을 방지하고 국가를 중심으로 한 운영원칙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교육과 관련해서는 16세기 중반 이후 향촌사회 교육기관으로 성장하고 있던 書院에 주목하였다. 당시 서원이 교육보다는 제향 등 교육 외적인 활동에 집중하는 경향을 비판하고, 교육기관이라는 본질에 맞게 운영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 서원 내의 講規 제정 등을 통해 서원의 교육이 체계적으로 운영되는 것을 지향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