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열왕기와 역대기의 여호람 기사 비교를 통해 본 역대기 저자의 의도

        황선우 한국개혁신학회 2023 한국개혁신학 Vol.77 No.-

        The life of Jehoram, king of Judah, is recorded in 2 Kings 8:16-24 and its parallel passage, 2 Chronicles 21:2-20. In terms of length, while the life of Jehoram in 2 Kings 8 is recorded in nine verses, 2 Chronicles 21 spends nineteen verses for the Jehoram narrative, which is more than two times longer than the Jehoram narrative in 2 Kings 8. The Chronicler enlarged the Kings’ Jehoram narrative by receiving most of the Kings’ Jehoram narrative and adding the Chronicler’s own source(Sondergut). In order to grasp the Chronicler’s intention in the Jehoram narrative, I compared and analyzed the Jehoram narratives in Kings and Chronicles. For the sake of of effective comparison, I examined the parallel passages of Kings and Chronicles, and then searched for the Chronicler’s intention in the Chronicler’s own source. By the investigation of the Chronicler’s alteration and addition, the Chronicler’s intention is revealed. In the Kings’ Jehoram narrative Jehoram was an evil king who walked in the ways of the Israelite kings following the house of Ahab. Nevertheless, Yahweh would not destory the kingdom of Judah for his servant David. The Chronicler, through the alteration and enlargement of the Kings’ passage, not only deepened the themes of Jehoram’s wickedness and the Davidic covenant, but stressed the theme of Yahweh’s retribution, which is one of the major concerns of the Chronicler. 유다 왕 여호람의 생애는 열왕기하 8장 16-24절과 그 평행본문인 역대하 21장 2-20절에 기록되어 있다. 분량으로 보면 여호람의 생애가 열왕기하 8장에서는 아홉 절에 기록된 반면 역대하 21장에는 열왕기하의 두 배가 넘는 열아홉 절에 걸쳐 기록되어 있다. 역대기 저자는 열왕기하의 여호람 본문을 대부분 받아들이고 자신의 고유한 자료(Sondergut)를 추가하여 열왕기 본문을 두 배 이상 확장시켰다. 이 소론에서 필자는 역대기 저자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열왕기와 역대기의 여호람 기사를 비교, 분석하였다. 두 본문의 효과적 비교를 위해 먼저 열왕기와 역대기의 평행본문을 비교, 분석한 후 역대기의 고유자료에 나타난 역대기 저자의 의도를 탐색하였고 그 결과 열왕기의 여호람 기사를 수정, 확대한 역대기 저자의 의도가 드러났다. 열왕기의 여호람 기사에서 여호람은 아합의 집과 같이 하여 이스라엘 왕들의 길을 걸은 악한 왕이었지만 여호와께서 그의 종 다윗을 위하여 유다 멸하기를 즐겨하지 아니하였음을 기록하였다. 역대기 저자는 열왕기 본문의 수정과 확장을 통해 여호람의 악함과 여호와께서 다윗에게 주신 약속의 주제를 심화하고 이에 더하여 역대기의 주요 주제인 여호와의 보응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펄스폭 연속가변 Quenched Dye Laser

        황선우,이영주,김성훈,최종운 한국광학회 1999 한국광학회지 Vol.10 No.2

        여기밀도 변화에 따른 펄스폭 연속 가변 Quenched Dye Laser(Q이)를 설계 제작하여 그 동작 특성을 분석하였다. 펌핑광원은 펄스폭 20 ns(FWHM), 에너지 150mJ의 XecCl 엑시머 레이저를 사용하였으며, 색소레이저의 활성매질은 Rhodamine 6G로서 에탄올(ethanol)용액에 2.5$\times$10-3[mol/l]의 농도로 용해되었다. 활성길이 5 nm인 색소셀에서 서로 평행한 양면을 공진기로 구성하여 색소레이저의 이완발진 출력특성을 얻었다. 이완발진의 펄스열에서 단일 펄스를 추출하기 위해 QDL를 구성하였다. QDL의 펄스폭을 가변하기 위해 초점거리 f=150 mm 접속렌즈를 이동시켜 색소셀에 조사되는 공간적 펌핑폭을 조절함으로써 여기밀도를 8.8$\times$1023[cm-3s-1]~2.8$\times$1023[cm-3s-1]까지 가변시켰다. 공간적 펌핑폭에 따른 펄스폭 가변 실험을 수행한 결과 QDL의 발진 펄스폭이 86 ps~201 ps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가변됨을 알 수 있었다. We have developed the pulse-width variable Quenched Dye Laser (QDL). QDL consisted of the dye cell of 5 mm length containing a $2.5{\times}10^{-3}$[mol/l] solution of Rhodamine 6G and the cylindrical lens focal length of 150 mm and quenching mirror. QDL system was pumped by s XeCl excimer laser with 150 mJ pulse energy in a 20 ns pulse at 1 Hz repetition rate. Pulse-width of QDL was measured by a noncollinear intensity autocorrelator. The focused thckness was measur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focusing cylindrical lens. Pulse-width of QDL as a function of the focused thickness (273.0${\mu}{\textrm}{m}$~845.0${\mu}{\textrm}{m}$) varied continuously from 86 ps to 201 ps.

      • XeCl 엑시머 레이저로 펌핑하는 극초단 색소레이저의 동작특성

        황선우,김용평 경희대학교 산학협력기술연구원 1998 산학협력기술연구논문집 Vol.4 No.-

        We have developed an ultrashort dye laser. The Quenched Dye laser(QDL) consisted of the dye cell of 5㎜ length containing a 2.5x10^-3[mol/ℓ] solution of Rhodamine 6G and a cylindrical lens with focal length of 150㎜ and a quenching mirror. The QDL system was pumped by a XeCl excimer laser with a pulse energy of 150mJ in a pulse width of 20ns(FWHM) at 1Hz repetition rate. The pulse width of 86ps was generated in the quenched dye laser.

      • Q-Switched Nd:YAG 레이저로 여기된 Quenched Dye Laser의 펄스특성

        황선우,이영주,김용평 慶熙大學校 1998 論文集 Vol.27 No.-

        The temporal behavior of a pulse attained by the Quenched Dye Laser has been compared with the theoretical value predicted by the rate equation model. In order for a Quenched Dye Laser operated with Rhodamine 6G at 590 ㎚, the dye was dissolved in methanol at a concentration of 1×10^-3[㏖/ℓ]. The QDL consisted of the cell of 5㎜ length, the cylindrical lens with focal length of 10㎝ and quencher mirror. A short pulse of 480㎰ was generated by QDL pumped by the frequency doubled Q-switched Nd:YAG laser with 5.2㎱ pulse duration and 5mJ energy.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found to be in well agreement with the theoretical simulation.

      • KCI등재

        山西省 平順縣 大雲院의 五代 <維摩經變相圖> 연구

        황선우 동악미술사학회 2015 東岳美術史學 Vol.0 No.18

        중국 山西省 平順縣에 위치한 大雲院의 彌陀殿 동벽에는 五代에 그려진 <유마경변상도>가 그려져 있다. 중국에서는 南北朝時代 이래부터 『유마경』의 내용을 도해한 조각과 부조를 찾아 볼 수 있으며 다양한 문헌기록을 통해 벽화의 형태로도 즐겨 그려졌던 주제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이 작품은 중원에 현전하는 唐代 및 五代의 벽화 가운데 사찰 벽면에 그려진 가장 이른 시기의 경변상도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 벽화는 五代인 940년에 건립된 미타전에 그려졌다는 점과 작품의 화풍을 통해 五代의 벽화로 알려져 왔으나 작품의 양식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이 이루어진 바가 없었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동시기 中原 및 돈황석굴 벽화와의 면밀한 비교를 통해 이 그림의 제작 시기가 五代임을 명확히 하였다. 비록 동시기에 그려진 벽화의 사례가 많지는 않지만 大雲院 벽화에 보이는 보살의 상호 및 비천의 표현뿐만 아니라 불국토와 구름의 형상에서도 동시기 작품과의 유사성이 보인다. 이와 더불어 五代 돈황석굴 <유마경변상도>와의 비교를 통해 두 작품 간의 유사성보다는 차이점에 주목하여 大雲院 <유마경변상도>의 특징을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하였다. 大雲院과 돈황 벽화 사이에는 주요 도상을 공유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유마와 문수의 옆으로 석가모니를 배치시킨 독특한 화면구도를 보이는 점과 주요장면을 선별하고, 산수와 구름을 이용하여 화면에 공간감을 부여하며, 세부도상의 표현을 간략화하여 작품의 주제를 부각시키고 있는 점에서 동시기 돈황석굴의 <유마경변상도>와는 대별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대운원 <유마경변상도>는 비록 화면에 손상이 있긴 하지만 중원에 현존하는 唐代 및 五代의 벽화 가운데 사찰에 그려진 가장 이른 시기의 경변상도이자 변방에 위치한 돈황 벽화에 비해 회화성이 뛰어나며 도상 간의 유기적인 화면 구성을 보이는 작품으로 중원의 五代 사찰벽화 전통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사례이다. A mural from the Five Dynasties illustrating the Vimalakirti Sutra(維摩經變相圖) is painted on the east wall of the Amitabha hall in the Dayun Temple(大雲院), located at Pingshun County(平順縣) in Shanxi Province(山西省), China. The tradition of depicting the debate between Vimalakirti and Manjusri has existed as early as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386-589). This mural in the Dayun Temple is especially a significant work of art as it is the earliest sutra illustration among the surviving Buddhist murals of the Central China This mural is believed to be from the Five Dynasties based on the construction date of the Amitabha hall(940) and its style of painting. However, a comprehensive analysis on its style and form has not been previously conducted. Thus, this paper aims to verify that the mural was produced in the Five Dynasties period through a comparative and detailed stylistic analysis with contemporary murals at Dunhuang cave temple as well as with works of art from the Central China. Despite the lack of mural paintings from the same period, there are similarities with the contemporary paintings as seen in the facial expression of bodhisattvas, the figure of apsaras, and the portrayals of the Buddha Land and clouds. In addition, this paper summarizes two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Dayun Temple mural by differentiating between the Vimalakirti Sutra illustrations of the Dayun Temple and of the Dunhuang. While both murals share some iconography, the Dayun Temple mural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that distinguish it from the Dunhuang murals of the same period. First, the Dayun Temple mural has an unusual composition which places Shakyamuni's preaching scene beside the main debating scene between Vimalakirti and Manjusri. Second, it emphasizes the main theme of the Vimalakirti Sutra by selecting major scenes and creating a sense of space and depth through representation of landscape and clouds while simplifying representation of minor scenes. Although the Vimalakirti Sutra illustration at the Dayun Temple is partially damaged on the surface, it remains an important work as it is the earliest sutra illustration among the surviving murals of the Central China from the Tang and the Five Dynasties period. Furthermore, compared with the murals at Dunhuang, it exhibits outstanding pictorial representation and organic composition representing the Buddhist mural tradition of the Central China in the Five Dynasties.

      • KCI등재

        Inhibi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2 Activity of Flavonol Glycosides from Cedreia sinensis

        황선우,하태정,고영희,전효곤,이준,권현숙,박기훈,양민석,Hwang Seon-Woo,Ha Tae-Joung,Kho Yung-Hee,Chun Hyo-Kon,Lee Jun,Kwon Hyun-Sook,Park Ki-Hun,Yang Min-Suk Korean Society of Life Science 2006 생명과학회지 Vol.16 No.3

        Cedrela sinensis is a broadleaf tree that is widely cultivated in Korea and China. It was used for treating enteritis, dysentery, and skin itch in oriental medicine. In this study, three major flavonoids, kaempferol-3-O-rhamnoside (1), quercetin-3-O-rhamnoside (2), and quercetin-3-O-glucoside (3), were isolated from the leaf of Cedrela sinensis.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these compounds were tested by inhibitory activity of matrix metalloproteinases-2 (Type IV collagenase) method together with a cytotoxicity and a apoptosis test against human cancer cell lines. 참죽나무는 멀구슬과 나무로서 한국과 중국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한방에서는 장염(腸炎), 이질(痢疾), 개선(疥癬) 등의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참죽나무 잎에서 3종의 flavonol glycosides를 분리하여 NMR을 통해 구조를 확인한 결과, kaempferol-3-O-rhamnoside (1), quercetin-3-O-rhamnoside (2)와 quercetin-3-O-glucoside(3)로 구조 동정되었다. 분리된 화합물들의 생리활성은 matrix metalloproteinase-2 저해 활성과 인체암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과 apoptosis실험을 통하여 항암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인체암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과 apoptosis 저해활성은 나타내지 않았으나, MMP-2활성저해 조사에서는 강한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quercetin-3-O-glucoside는 암세포에 직접적인 독성을 보이는 것이 아니라 암의 침윤과 전이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물질로 보여진다.

      • KCI등재

        傳 河南省 温縣 慈勝寺 벽화의 제작 시기와 도상 재고

        황선우 동악미술사학회 2021 東岳美術史學 Vol.- No.29

        傳 慈勝寺 벽화는 20세기 전반 국제적인 고미술상이었던 盧芹齋(영문명: C. T. Loo, 1880- 1957)가 1923년 중국 山西省과 河南省 경계 일대에 자리한 어느 사찰로부터 구입한 작품이다. 현 재 20여 점의 단편으로 전하는 이 벽화는 미국, 중국 그리고 프랑스 각지의 박물관 및 개인 소장 품으로 분산 소장되어 있다. 이 작품에 대한 초기 연구에서는 제작 연대를 元代 이전 또는 宋代로 추정한 반면 1985년, 당시 미국 넬슨-앳킨스미술관 큐레이터인 와이캄 호(Wai-kam Ho)는 동미 술관 소장 <여의륜관음보살도> 벽화편에 화기가 있음을 밝히며 제작 시기를 五代 廣順年間(951- 953)으로 앞당겼다. 뿐만 아니라 작품의 원봉안처를 하남성 온현 자승사로 추정하고, 벽화에 그려 진 보살이 밀교 존상이라는 주장을 제기하여 기존 연구와 차별되는 관점을 제시하였다. 이 글에서는 전 자승사 벽화를 둘러싼 몇 가지 쟁점들 가운데 제작 시기와 도상에 관해 재고 해봄으로써 지금까지 이루어진 연구 성과를 되짚어보고 더 나아가 중국 사찰 벽화를 연구하는데 있어 이 작품이 지니는 중요성을 알리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여의륜관음보살도>에 쓰인 화기가 지니는 한계점을 밝히고, 여러 작품과의 양식 비교를 통해 제작 시기를 오대로 단정 짓기보다는 벽화의 하한 연대를 北宋으로 보아야 한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여의륜관음과 허공장보 살로 알려져 있는 두 벽화편에 대해서는 두 존상 모두 현재 알려진 존명으로 볼 수 있는 근거가 다 소 부족하므로 밀교 도상으로 바라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여의륜관음은 보다 포괄적인 범주에 속 하는 관음보살로 칭하는 것을 제안했으며, 허공장보살은 지물의 형상에 근거하여 존명을 일광보 살로 볼 수 있는 가능성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The mural currently attributed to the Cishengsi was purchased in 1923 from a Buddhist monastery located near the border of Shanxi and Henan provinces by C. T. Loo (1880–1957), a renowned international Asian art dealer in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The mural, which survives in fragments comprising of more than twenty pieces, is currently held in private collections as well as museums in the United States, France and China. While early research dated the work to either the Song dynasty or before the Yuan dynasty, in 1985, Wai-kam Ho, then curator of the Nelson-Atkins Museum of Art, suggested a much earlier date of the Guangshun period (951–953) of the Five Dynasties based on the discovery of an inscription written on the Cintāmaṇicakra Avalokiteśvara mural, also housed in the Nelson- Atkins Museum. He further traced the provenance of the mural to a Buddhist monastery named Cishengsi in Henan province and proposed that the bodhisattvas depicted in these mural fragments are illustrations of esoteric deities. This paper reconsiders the date and iconography of the mural to reassess past scholarship and reflect upon its significance in the study of Buddhist temple murals from the central plains of China. This paper first evaluates the credibility of the inscription written on the Cintāmaṇicakra Avalokiteśvara mural and suggests that it can be dated to as late as the Northern Song dynasty based on comparative stylistic analysis. Further, the two murals that are identified as the Cintāmaṇicakra Avalokiteśvara and Ākāśagarbha in the collections of the Nelson-Atkins Museum of Art and Musée Guimet, respectively, are examined to show that there is a lack of iconographic clarity to firmly identify these deities by current titles. Instead, this paper suggests a more inclusive title of Avalokiteśvara for Cintāmaṇicakra Avalokiteśvara and a possible reinterpretation of Ākāśagarbha as Suryaprabha by rethinking the iconography of the mural outside of esoteric interpre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