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예술다면 교육과정기준 총론 개발

        유지선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47

        [논문 초록] 초등학교 예술다면 교육과정기준 총론 개발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구자: 유지선 지도교수: 홍후조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과정학 전공 2019년 12월 예술교육은 학생들이 자신과 타인의 정서와 감흥을 이해하고 관리하는 능력을 통해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하며, 각 나라의 문화와 사람을 이해하도록 돕는다. 또한 학생들은 다양한 예술 영역을 경험하고 창작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여러 가지 예술의 창작 재료와 도구, 방법과 원리를 사용하여 사람들과 소통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 따라서 예술교육이 발달한 나라에서는 음악과 미술을 포함한 무용, 연극, 영화와 같은 예술 영역을 초등학교부터 가르쳐서 학생들이 다양한 예술적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프랑스의 경우 초등학교 고학년에서 공간예술, 일상예술, 언어예술, 소리예술, 공연예술, 시각예술 등의 예술 영역 구분 방식을 취하여 다양한 예술 영역을 예술교육에 포함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는 예술교육의 영역이 음악과 미술에 한정된 예술편면(片面) 교육으로, 학생들에게 다양한 예술적 경험을 제공함에 있어 한계를 가진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수준 교육과정 총론에서 예술교육의 영역을 협소하게 정의하고 있다. 둘째, 음악과 미술 교과가 교과 자체의 논리를 강조하다 보니 다양한 예술 영역들과의 연계 및 통합에 대한 고려가 미흡하다. 셋째, 다양한 예술 영역이 기존 교과에 단원, 주제, 소재 등으로 편입되어 있으나 교육적 효과를 보장할만큼 충분한 수업 시간이 배정되어 있지 못하다. 넷째, 문화예술교육으로 일부 학교에서 다양한 예술 영역을 학생들에게 가르치고 있으나, 모든 초등학생들을 위한 보편교육이 아니며 학교장의 학교 운영 방침에 따라 학생들의 학습권이 결정된다. 이처럼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예술 영역의 교육 기회를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는 근본적으로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서 예술 교육으로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예술다면 교육과정기준 총론 개발을 통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이 배우기에 적절한 예술교육 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예술다면(多面) 교육은 음악과 미술 이외에도 디자인, 공예, 연극, 무용, 영화, 사진, 만화・애니메이션 등의 예술 영역을 초등학교 4󰠏6학년 동안 학생들이 주기집중적으로 경험하도록 하여 소질과 적성을 개발할 수 있는 예술교육을 말한다. 예술다면 교육은 산업사회, 정보화 사회, 지능정보화 사회를 거쳐 오면서 발달해온 다양한 예술 영역을 사회, 학습자, 교과의 요구에 따라 초등학교 고학년에서 가르쳐야 함을 교육 목적으로 한다. 이에 그동안 학교에서 접하기 어려웠던 예술과 기술이 접목된 아티언스(artience=art+science) 또는 종합예술 등의 예술 영역을 학교 예술교육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예술다면 교육과정기준 총론은 어떤 내용으로 개발될 수 있는가? 둘째, 초등학교 예술다면 교육과정기준 총론은 어떤 형식으로 개발될 수 있는가? 첫째, 초등학교 예술다면 교육과정기준 총론 구안을 위해 예술다면 교육의 의미, 교과로서의 예술다면 교육의 위상과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국내외 초등학교 예술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예술다면 교육의 의미와 기본 개념에 해당하는 특징들을 추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예술다면 교육과정기준 총론의 교육 목표, 범위와 계열, 예술 영역별 목표, 내용 영역, 교수・학습 및 평가, 편성・운영 및 지원에 대한 내용을 마련하였다. 둘째, 예술다면 교육과정기준 총론은 가교 교육과정기준 형식과 가안, 초안, 수정안, 최종안의 순서에 따라 완성도 높게 다듬어 개발하였다. 이와 같은 형식과 절차에 따라 완성된 예술다면 교육과정기준 총론 최종안은 제1장에서 ‘초등학교 예술다면 교육의 방향과 목표’, 제2장에서 ‘초등학교 예술다면 교육의 4󰠏6학년 기준’, 그리고 제3장에서는 ‘초등학교 예술다면 교육의 편성․운영 및 지원’의 내용을 다룬다. 마지막으로 심의・축조된 최종안을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적용하여 실용안으로 다듬었다. 본 연구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방법과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국내외 예술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이론적 탐색 및 시사점을 도출하여 예술다면 교육과정기준 총론 구상안의 내용을 마련하였다. 구상안을 바탕으로 가안을 작성하였으며, 가안은 1차 FGI와 전문가 설문 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초안’으로 작성되었다. 초안은 2차 전문가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수정안’으로 다듬어졌다. 수정안은 2차 FGI를 통해 ‘최종안’으로 축조・심의되었다. 다듬어진 최종안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적용을 위한 간편 ‘실용안’으로 재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확정된 예술다면 교육과정기준 총론 최종안에 대한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예술다면 교육과정기준 총론은 ‘제1장, 제2장, 제3장’ 세 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교육과정 토대(curriculum platforms)로서 제1장에서는 초등학교 예술다면 교육의 방향과 목표에 대한 것으로 ‘도입 배경 및 취지, 성격, 비전과 가치, 교육목표’를 제시하였다. 기존의 학문 중심의 음악・미술 교육을 예술편면 교육이라 하고, 학생들의 예술적 적성과 소질을 반영한 다양한 예술 영역에 대한 교육을 예술다면 교육이라 정의하였다. 예술다면 교육의 도입 배경 및 취지에서는 현대의 다양한 예술 영역의 변화와 발전, 학교 예술 영역 확대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성격에서는 예술 영역의 다양화와 함께 매체를 활용한 융복합 예술교육, 다중지능의 개발, 다양한 예술 영역의 도입을 다루었다. 교육과정 중점 사항에서는 기존의 예술교육에서 다루지 않는 다양한 예술 영역을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경험하고 배울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둘째, 각론구성의 기본틀(curriculum frameworks)로서 제2장에서는 초등학교 4󰠏6학년 예술다면 교육의 교육 목표, 예술 영역, 내용 영역, 편제 및 시간 배당을 제시하였다. 교육 목표는 미적 감수성 개발의 적기인 4-6학년 목표와 예술교육 전반에 대한 일반목표를 나누어 제시하였다. 예술 영역은 대영역, 중영역, 예술다면 교육활동영역으로 분류하였다. 대영역은 기초예술・매체예술・종합예술 3가지, 중영역은 음악・미술・국악・무용・연극・디자인・영화・사진・만화・애니메이션・실용음악・종합예술활동 11가지, 예술다면 교육활동은 47가지로 제시하였다. 내용 영역은 이론적, 절차적 이해, 창작과 표현, 감상과 소통으로 분류하였다. 편제와 시간 배당에서는 기존의 40분 단위의 수업 시간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모듈 시간단위, 주기집중 및 블록타임 도입을 제안하였으며, 국어, 체육 등의 교과 연계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교육과정 실행지침(curriculum guidelines)으로서 제3장에서는 초등학교 예술다면 교육의 편성․운영 및 지원을 다루었다. 편성・운영에서 교수・학습방법으로는 프로젝트 방식과 협력학습, 그리고 평가에서는 교사의 관찰평가, 학생들의 학습활동지, 자기평가지 등을 종합한 과정중심평가를 실시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지원에서는 실행지침, 시설과 설비, 지원 사항, 질 관리 등을 다루었다. 특히 예술다면 교육 운영에서 학교 내의 부족한 시설과 설비를 보완하고자 예술 영역별 예술놀이차 운영을 제안하였다. ‘예술놀이차’는 특정 시설과 설비를 갖추고 지역 내 여러 학교를 순회하는 차량을 말한다. 이외에 예술다면 교육 지원을 위해 국가와 교육청, 교육지원청 등에서 해야 하는 역할을 나누어 제시하였다. 또한 지방자치 단체의 다양한 문화기반시설과의 연계를 통해 예술다면 교육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 방안을 구상하였다. 기준 문서의 ‘부록’에서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예술다면 교육과정기준 총론을 적용하여 운영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실행안을 첨부하였다. 초등학교 성취기준과 예술다면 교육활동 코드 연계안을 제시하여 교과 교육내용과 예술다면 교육활동이 어떻게 연계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예술다면 교육활동 진도표를 모의로 작성하였다. 이는 초등학교 4-6학년 학생들에게 예술다면 교육이 어떤 편제와 시간으로 운영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학교 내 부족한 시설과 설비를 보완하기 위한 예술놀이차 모의배정안을 제시하였다. 대상은 초공동화 현상으로 학생 수가 급격히 줄고 있는 중구 지역의 초등학교로 설정하였으며 모의배정안 제시를 통해 예술다면 교육의 실현 가능성 및 타당성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내용으로 개발된 초등학교 예술다면 교육과정기준 총론은 학교에서 다양한 예술교육에 대한 확대와 강화를 위한 하나의 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고학년은 예술적 감수성이 민감하게 발달하는 시기이므로 이를 발달시켜주기 위해서는 청각예술과 시각예술을 넘어서 몸예술, 공간예술, 첨단 매체를 활용한 예술 등 여러 예술 영역들을 학생들이 체험하고 경험할 수 있는 예술다면 교육이 요구된다. 예술다면 교육을 통해 초등학교 4-6학년 학생들은 다양한 예술 영역을 학교 예술교육 안에서 경험함으로써 예술적 소질과 적성을 기를 수 있다. 둘째, 기존의 다른 교과의 단원이나 주제로 편입되어 있던 다양한 예술 영역에 대해 일정 학습 시간을 보장하도록 모듈 개념을 도입하고 주기집중과 블록타임 활동 운영안, 예술놀이차의 운영 등이 요구된다. 기존의 선행연구 결과를 통해 보듯, 사진, 영화, 무용, 연극 등 각 예술 영역의 교육적 효과를 위해서는 일정한 학습 시간의 보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각 예술 영역을 6-8모듈로 하여 활동할 것을 권장함으로써 예술다면 교육의 효과를 보장하고자 하였다. 셋째,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에의 적용을 위해 각 교과에서 예술과 관련된 성취기준을 예술다면 교육활동과 연계하여 편성・운영할 수 있는 실질적 방안이 요구된다. 또한 시설과 설비가 부족하여 예술다면 교육을 편성・운영하기 어려운 경우를 위해 예술놀이차 활용 및 모의 배정안을 함께 제시하여 현행 교육과정에 예술다면 교육의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실제 단위 학교에서 특색있는 예술다면 교육과정을 계획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 따른 후속적인 실천과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다면 교육과정기준 총론이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다양하게 제시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교과의 도입이 초등학교에서 먼저 이루어진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학습권 보장을 위한 보통 예술교육으로 예술다면 교육과정기준 총론을 개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보듯 예술다면 교육이 현행 교육과정에서 충분히 실현 가능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안을 제시하였다. 이에 중등학교에서도 예술다면 교육이 실현될 수 있도록 ‘중등학교 예술다면 교육과정기준’에 대한 연구가 요청된다. 중등학교에서는 초등학교보다 좀 더 중장기적이고 심화된 내용으로 예술다면 교육이 편성・운영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둘째, 예술다면 교육활동을 구현하기 위해 단기・중기・장기적 프로젝트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과의 성취기준과 예술다면 교육활동 연계를 통해 6󰠏8모듈 기간 동안 프로젝트 방식으로 예술다면 교육활동을 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단기적 교육활동을 중・장기적 예술다면 교육활동인 핵심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운영할 수 있다. 핵심 프로젝트 활동은 교과(목)나 특정 프로그램의 핵심역량과 성취기준을 반영하여 수업에서 실시하는 중・장기 프로젝트 활동이다. 예술다면 교육활동에 총론의 핵심역량을 기를 수 있는 핵심 프로젝트가 적용되어 단기・중기・장기적 프로젝트 형식에 따른 다양한 예술활동이 제안될 수 있다. 셋째, 예술다면 교육을 원활하게 운영되기 위해서는 교사와 예술가(예술강사)의 협력이 필요하다. 초등학교 담임교사는 학생들의 수준과 발달에 적절한 교과 및 생활지도를 담당하고 있다. 이에 담당 학생들의 역량, 소질과 적성에 대해 면밀히 파악이 가능하다. 반면에 예술가(예술강사)는 예술에 대한 전문성이 있지만 각 학교의 특성과 개별 학생의 특징을 단기간에 파악하기 어렵다. 이에 교사와 예술가(예술강사)의 협력 수업은 학생들을 가르칠 때 발생할 수 있는 수업의 수준, 방향 등을 설정하고 수업을 원활히 하는데 도움이 된다. 예술가(예술강사)는 교사와의 협력으로 자칫 전문적으로 흐를 수 있는 수업 내용을 학생들의 수준에 맞게 개발할 수 있다. 또한 교사는 수업 동안 보조자 또는 관찰자로서 학생들의 예술창작활동을 자세히 관찰 및 기록할 수 있는 여유를 가짐으로써 과정중심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예술 영역을 학생들이 경험 및 체험하여 적성과 소질을 개발하고 예술 관련 진로를 탐색하도록 제안하는 초등학교 예술다면 교육과정기준 총론 개발 연구이다. 학생들은 예술다면 교육을 통해 각 예술 영역에서 자신에게 맞는 소질과 적성을 개발하고 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 본 연구를 통해 예술에 재능이 있는 다양한 인재들이 예술 향유자로 성장하여 일생동안 예술을 즐길 수 있기를 기대한다. 또한 예술 사교육으로 인한 가정의 부담을 줄이고, 예술로 국가의 위상을 높이며, 해외의 인재들이 국내로 예술을 배우러 오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ABSTRACT Development of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for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in Korean Primary Schools You, JiSun Under the Supervision of Professor Hong, Hoo󰠏Jo at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Department of Education Major in Curriculum Studies December, 2019 Art education helps students interact with others and understand other cultures and people by nurturing their ability to understand and manage the emotions and inspirations of themselves and others. Students also have a chance to experience and create a variety of art fields. This allows students to learn how to communicate with people using materials, tools, methods and principles for various art creations. In countries where art education is developed, various sub󰠏domains of art including dance, theater and film, music and fine art, are taught from the primary school level so as to expose students to rich artistic experiences. In the case of France, various arts domains such as space art, everyday art, language art, sound art, performance art, visual arts are incorporated into art education in the upper grades of primary school. In the case of Korea, student learning is confined to academic music and fine art, which poses limitations to having various artistic experiences in the context of art education. The reasons are as follows. First, the domain of art education is narrowly defined within the national curriculum. Second, as music and fine art subjects overly emphasize academic logic, there lacks consideration for linking and integrating the subject with various art genres. Third, various arts genres are incorporated into existing textbooks as units, subjects and materials, but not enough class hours are guaranteed to give students the effect of art education. Fourth, although some schools teach students various art fields as part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this is not part of common education for all primary school students. In other words, the right to learn is determined by school principal’s policies. Difficulty in providing students with educational opportunities in various domains of art in schools is essentially due to a lack of discussions on what should be taught in art education in the context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present a proper art education plan for upper grade primary school students through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for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for the higher grade students of primary schools based on the demands of society, educators and curriculum. The aim of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is to provide a diverse art experience that is reflective of the students’ artistic talents, aptitude and preferences, and to allow access to subjects like artience (convergence of art and science/technology), which was previously difficult to find in schools. this thesis has attempted to develop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for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in primary schools to help students unravel their talents and aptitude, explore career options in art, and develop an appreciation for art.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for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in Primary Schools presented provides general, universal, and classic standards for executing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Therefor The students in turn, will have access to diverse fields of art through this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and such experience will help them to build imagination, creativity, cooperative skills and communication skills. The main research questions explored in the current study are as follows: 1) What to include in our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for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in primary school? 2) How to build and develop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for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in primary school? First of all, to draft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for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the significance of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as well as its stature and role as a school curriculum were examined. The art curriculums of both domestic and overseas primary schools were analyzed, and those qualities that were identified as the significant and basic concepts of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were extracte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er set out the educational aims of our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as well as its scope and range, objectives for each of the art categories, the areas it will cover, standards for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and standards on the coordination, operation and support of these education programs. Next,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was constructed and polished to the highest degree of perfection through the five stages of a preliminary draft, initial version, revised version, and final version, using the methodology set out by the Bridging Curriculum Standards. The resulting final version is laid out as follows: Section 1 covers the ‘Aims and Objectives of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in Primary Schools,’. Section 2 covers ‘Standards for Fourth to Sixth Grade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And section 3 covers ‘Planning, Execution, and Support of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in Primary Schools.’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s and processes were employed for this study. First, domestic and overseas art curriculums were analyzed for a theoretical investigation and based on the conclusions drawn forth, a rough sketch of our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for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in primary schools was made. A preliminary draft was written up, which was turned into an initial version by incorporating the results of the first focus group interview(FGI) and expert surveys. The initial version was then polished into a revised version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second round of expert surveys, and a final version was constructed after a second FGI. Finally, the polished final version was reconstructed as a ‘practical version’ for application to the 2015 Revised Korean National Curriculum.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for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in Primary Schools’ is composed of three chapters and the appendix. The key points of the finalized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for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are as follows. Chapter 1 serves as the curriculum platform, and covers the aims and objectives of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in primary schools. It explains the background of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and its purpose, as well as its nature, visions, values and goals. Here, the conventional music and fine art education centered on theoretical knowledge is defined as ‘one󰠏dimensional art education’ and the broad󰠏spectrum art education that considers artistic aptitude and talents of students as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In the background and the purpose of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the various changes and developments that have taken place in the modern art landscape are mentioned, which point to a need for an expanded art education. The section on the nature of the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covers the diversification of the art domain,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new art domains, fusion art education (via media convergence), and development of multiple intelligence. This is followed by the key points of the curriculum, which emphasizes that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is all about giving students access to the various domains of art at school, which the conventional art education often fails to do. Chapter 2 of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for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presents a detailed curriculum framework. Here, the aims of the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for fourth to sixth graders are explained, and standards are provided on the different art domains, content areas, curriculum organization and time allocation. The aims section lists goals that are tailored for fourth and sixth graders, as well as the overarching goals for the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in general. In the identification of art domains, ‘art’ is categorized into three areas: main domains, sub󰠏domains, and activities domains for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The main domains include three fields of fundamental art, media art and composite art; the sub domain includes 11 genres of music, fine art, traditional Korean music, dance, theater, design, film, photography, manga/animation, applied music, and other applied arts; finally, a further 47 activities are identified as domains for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In the content area, the curriculum is sub󰠏divided into three areas of the understanding of art, creation and expression, and appreciation and communication. Finally, the section for curriculum organization and time allocation suggests introducing modules, block time scheduling, and epoch activities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40 minute periods. Ways to converge art education with other subjects, such as with Korean and physical subjects, are also suggested. Chapter 3 provides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and covers the coordination, execution and support of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in primary schools. The section on coordination and execution cover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 project based cooperative learning approach is suggested. In the section for evaluation, a process󰠏centric evaluation method is proposed, which combines observational evaluation by teachers, activity sheets, and self󰠏evaluation by students. The section on curriculum support covers practice standards, equipments and facilities, areas for support, and quality control. As a way of supplementing the lack of equipments and facilities for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at schools, specialized artplay trucks are also proposed. Here, artplay󰠏trucks refer to those vehicles that are equipped with specific tools and facilities, and which make visits to schools in a target region. In addition to these suggestions, different roles and responsibilities are proposed for the government,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district offices of education, to support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Other possible methods of support are also included, such as utilizing the various cultural facilities of local governments and communities for the smooth running of the curriculum. In the appendix, a detailed plan for adopting our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for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to the 2015 Revised Korean National Curriculum is included. By proposing a way to converge achievement standards for primary schools with codes of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we show how the current curriculum and the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curriculum can be conjoined. Next, a sample teaching schedule was also drafted. This should give an idea of how the multi dimensional art curriculum can be coordinated and run for fourth to sixth grade students, in terms of curriculum organization and time allocation. Finally, this study has also suggested a sample rotation chart for artplay󰠏trucks, which will hopefully make up for the insufficient equipments and facilities at schools. The targets of the sample rotation chart are primary schools in the Jung󰠏gu district, who are seeing a rapid decline in the number of students due to extreme hollowization. Through this sample rotation chart, this study shows the feasibility and validity of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For all these reasons described above, our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for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in Primary Schools may serve to expand and reinforce art education of a broader spectrum.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is study has proposed an multi dimensional art curriculum that goes beyond aural and visual art, allowing students to access and experience a broader spectrum of art. This includes art that uses body interaction, spatial art, and art that utilizes advanced media. Through this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fourth to sixth grade students will be able to experience the various domains of art as part of their art education curriculum, and develop artistic aptitude and talent. Secondly, the concept of modules was introduced to guarantee a certain amount of time for exploring the different domains of art, which had previously been covered as a sub󰠏theme or a sub󰠏unit of another subject’s curriculum. Epoch activities and block󰠏time scheduling were also suggested for a smooth execution. We have already seen through previous studies, that a set amount of time needs to be guaranteed for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in different art domains like photography, film, dance and theater. This study advises assigning six to eight modules for each of the art domains for an effective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Thirdly, we have proposed a plan to incorporate our Curriculum standards into the 2015 Revised Korean National Curriculum, by conjoin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art in each of the existing curriculums with our standards. As for the cases where the inclusion and execution of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may prove to be difficult due to the insufficient equipments and facilities, we have also proposed operating special artplay󰠏trucks. A sample rotation was included to increase the feasibility of including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into the current curriculum, and to help schools to draft up an actual curriculum for their own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Further suggestions dra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for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in Primary Schools should be tailored according to the different levels of the students. This study was based on the findings of previous research which showed that the first adoption of new curriculums occur at primary schools. Our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was established to include multi dimensional art as a general arts subject and thus guarantee our students’ educational rights. The conclusions of our study show that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is feasible and valid within the current curriculum framework. This calls for further study, this time to establish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for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However, this will require a medium to long󰠏term strategy with deepened contents for its coordination and execution. Secondly, short term, medium term and long term project strategies may be employed to execute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allocating six to eight module periods to run the curriculum like a project, conjoining it with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existing national curriculum. Through this approach, a key project may run by dividing it into multiple short󰠏term programs. Here, the key project refers to those mid to long term projects that have been implemented into the existing curriculum, tailored for the core competencies and achievement standards it describes. The implementation of a key project which will develop the core competencies of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will lead to further suggestions for short to long󰠏term projects. Thirdly, for the smooth execution of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close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and the artists is necessary. Primary school teachers are responsible for the education and guidance of their pupils that are appropriate to their level of development. Therefore, they have a good grasp of their students’ talents, capabilities and aptitude. On the other hand, artists may have expertise in art, but they are unable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chool and each student in the little time and interaction that they have. For this reason, co󰠏teaching by the teachers and the artists will lead to smoother execution of lessons, as teachers and artists work to set teaching directions and key the class to the needs of students. With the help of the teacher, the artist can tailor the content areas to meet the students’ level. As for the teacher, by participating in the class as an assistant or an observer, they will have more time for making detailed observations and process󰠏centric evaluations. This study aims to develop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for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in primary schools, so that students will have access to a wider range of art in building their aptitude and talents, and go on to explore related career options. Through this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students will have the opportunity to discover and develop their aptitude and talents in different art domains, and come to appreciate art. It is the hope of this study to see many art talents come to develop a life󰠏long appreciation of art. Furthermore, the researcher hopes this will lessen the burden for families in regards to private art lessons, and enhance our nation’s position in art so that one day, art education in Korea will attract international talents from overseas. Keywords: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for Multi dimensional Art Education in Primary Schools, Art Education in primary schools, fundamental art, media art, composite art, Artplay trucks, art domains, modules, epoch activities, block time scheduling.

      • 외국납부세액공제제도를 이용한 국제조세전략 사례 연구

        유지선 서울시립대학교 세무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우리나라는 납세자가 국외에서 벌어들인 국외원천소득에 대해서도 과세권을 행사하는 ‘worldwide system’을 채택하고, worldwide system 하에서 발생하는 이중과세의 문제는 외국에서 납부한 세금을 국내에서 공제해주는 제도인 ‘외국납부세액공제제도’를 통해 해소한다. 그런데, 국제거래에 대한 장벽이 낮아져 자본의 이동이 자유로워짐에 따라 새로운 경제 환경 하에서 외국납부세액공제제도의 여러 문제점과 한계점이 드러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동일하게 외국납부세액공제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미국에서 발생한 ‘외국납부세액공제 생성거래(foreign tax credit generator)’라는 유형의 국제조세전략을 살펴봄으로써, 외국납부세액공제제도가 내포한 여러 문제점 중 조세회피 및 탈세의 문제를 확인하고, 그러한 문제가 우리나라의 외국납부세액공제제도에 시사하는 바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외국납부세액공제 생성거래란 외국납부세액공제제도의 복잡성과 정보비대칭으로 인한 제도의 한계를 악용해 외국에서 실제로 납부하지 않은 세액 또는 외국에서 실제로 납부한 세액보다 더 큰 금액의 세액을 자국에서 외국납부세액으로 공제받는 방식의 국제조세전략이다. 본 연구는 미국에서 발생한 총 4개의 외국납부세액공제 생성거래 사례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토한 외국납부세액공제 생성거래 사례는 비록 미국에서 발생한 사례이나, 우리나라와 미국이 운영하고 있는 외국납부세액공제제도가 크게 다르지 아니하고, 4개 사례의 국내 실행 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그 중 3개 사례가 국내에서도 실행 가능한 것으로 평가됨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언젠가 유사한 원리를 이용한 조세전략이 발생 가능하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외국납부세액공제 생성거래는 과세당국의 정보획득의 어려움, 제도의 복잡성, 부분적 이중과세 등과 같은 외국납부세액공제제도의 구조적, 태생적 한계로 인해 조세회피 및 탈세의 유인이 증가함으로써 등장하게 된 국제조세전략으로 이해된다. 외국납부세액공제 생성거래와 같은 조세회피 행위는 외국납부세액공제제도 자체가 내포하고 있는 한계점이 해결되지 않는 이상 쉽게 근절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조세회피 및 탈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근본적인 해결방안으로서, 외국납부세액공제제도보다 납세협력비용 및 징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조세회피의 규제가 비교적 용이한 territorial system으로의 전환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South Korea currently adopts ‘worldwide system’ which taxes foreign source income earned by resident taxpayers. Double taxation issue arising under the worldwide system is resolved by using the ‘foreign tax credit system’ which allows the taxpayer to deduct taxes paid abroad from taxes liable in the resident territory. As the free movement of capital has become possible due to the increase of international trade, however, the foreign tax credit system has revealed many problems and limitations. This study is conducted to review the tax avoidance and evasion issue arising from the foreign tax credit system by analysing so called ‘foreign tax credit generator’, an international tax planning occurred in the U.S. using the foreign tax credit system. The study also considers the way to improve our current tax system for foreign source income. Foreign tax credit generator is a type of international tax planning using the foreign tax credit system, especially using the nature of such system – complication and asymmetric information. By executing the foreign tax credit generator, a taxpayer deducts overseas taxes from taxes liable in the resident country but in excess of the amount actually paid in the abroad. This study reviews and analyzes 4(four) foreign tax credit generator cases. In despite of the fact that the 4(four) cases occurred in the U.S., these cases are meaningful in that i) the foreign tax credit system adopted by South Korea and the U.S. are more or less very similar and ii) it was proven under the analysis that 3(three) out of the 4(four) cases could also be executed in South Korea. The foreign tax credit generator abuses the problems of the foreign tax credit system, such as the tax authorities’ difficulty of ensuring information on foreign source income, the complication of the system, partial double taxation issues, etc. These problems motivate and urge the taxpayers to avoid and abuse taxes. Tax planning such as the foreign tax credit generator can not easily be controlled or restrained unless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inherent to the foreign tax credit system is resolved. In this regard, this study recommend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the tax authorities to review the feasibility of adopting the territorial system as an alternative of the current worldwide system, which is a fundamental resolution to settle the tax avoidance and evasion issue arising from the foreign tax credit system.

      • 포노사피엔스를 위한 가정과 식생활 거꾸로 문제중심학습(FPBL) 교육안 개발과 FPBL이 중학생의 메타인지와 식품 선택 및 보관 행동에 미치는 효과

        유지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포노사피엔스인 중학생의 수업방법과 수업 도구 및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반영하여 중학교 가정과 ‘식품 선택 및 보관’ 단원의 거꾸로 문제중심학습(FPBL) 교육안을 개발하고 실행한 후, 이 수업이 포노사피엔스인 중학생의 메타인지와 식품 선택 및 보관 행동을 향상시키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에 참여한 중학생들은 대면과 비대면 수업상황에서 강의식 수업을 가장 많이 경험하였지만 대면 수업상황에서는 모둠 활동 수업을, 비대면 수업상황에서는 강의식 수업을 더 선호하였다. 이들은 다양한 온라인 수업 도구를 다룰 줄 알았는데 그중 가장 좋아하는 온라인 수업 도구는 미리캔버스이고, 가장 학습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온라인 수업 도구는 띵커벨이었다. 또한, 이들이 ‘식품 선택 및 보관’ 단원에서 ‘배우고 싶은 내용’은 조리실습, 식품별 효율적인 보관 방법, 식품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사항 등 이고, ‘요구사항’은 재미있는 수업, 쉬운 설명 등 이었다. 둘째, 개발된 중학교 가정과 식생활 FPBL 교육안의 수업주제는 ‘건강과 환경을 지키는 식품 선택 및 보관’ 이고 교육안은 ‘FPBL 수업 과정 13단계’를 적용하여 3주간 매주 2차시씩 블록 타임(총 6차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으며, 디딤 영상, 읽기 자료, 활동지 등의 학습자료와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교육안에서 제시된 학생 활동의 중심이 되는 실제적이면서 비구조적인 문제는 ‘TV 예능프로그램의 건강과 환경을 지키는 식품 선택 및 보관 미션 개발 공모전 참여하기’이다. 셋째, 개발된 교육안으로 수업을 받은 부산시 해운대구 Y중학교 3학년 학생 206명(남학생 111명, 여학생 95명)은 이 수업이 학습에 도움이 되고, 만족스럽고, 흥미 있고, 그들에게 적합하며, 수업참여를 유도하는 등, 다른 수업방법과 차별되는 좋은 수업이라고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수업에 참여한 중학생들의 메타인지와 식품 선택 및 보관 행동이 수업을 받은 후에 향상되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t-test 한 결과, 수업 전과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수업 전보다 후에 메타인지와 식품 선택 및 보관 행동이 향상되었다. 메타인지 하위요소인 ‘계획, 모니터링, 조절, 평가’의 모든 영역 점수와 전체 평균은 FPBL 수업을 받은 후에 더 향상되었고, 식품 선택 및 보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요소인‘건강, 환경, 안전, 대중매체’와 ‘가격’의 점수가 수업 전보다 후에 더 향상되었다.

      • 수행평가의 문제점 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유지선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Evalu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s in education. Evaluation is purposed on measuring accurate ability of students. But, existing traditional evaluation process is objective test questions and focusing on who is superior students. This ignores diversity and personality of students and only emphasizes the result. Especially in music evaluation, current evaluation process does not take count of distinctiveness of music and only focuses on certain area. This generated many problem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such thing as performance Assessment has been introduced. 21st century with knowledge and creativity, knowledge based and informative society is closest to essence of the evaluation and needs ability to adopt in real life. Performance assessment meets these qualifications. With introduction of the 7th Curriculum, performance assessment has been carried over ten years. In spite of its good intent, it has been criticised by students, teachers and student parents due to its improper management and lack of understanding in the process of its settlement.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methods of music assessment in secondary schools, problems and several plans to improve it in consideration that the new curriculum to be executed is a modified and complemented version of the present 7th curriculum. Though there have been many efforts for efficient performance assesment, it has many problems as follows : First, it is difficult to develop performance assesment tools and it has limitations in time and space. Second, as teachers have lack in expertise and autonomy, it can not be used in varied ways. Finally, as it is hard to decide the criteria of performance assesmen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evaluators may make errors, which negatively affects objectivity and fairness of the assesment. This study found such problems and tried to develop how to improve centering on the how to assess in music curriculum of secondary school.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First, performance assessment in music should use varied methods. Second, performance assessment tools should be developed, modified and complemented in a consistent basis. Third, tasks to be assessed should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students. Fourth, performance assessment should have balance in each area. Finally, flexible management plan and educational conditions for curriculum management in which performance assessment can be applied should be prepared. For music department, assessment should evaluate the whole areas of students evenly because it has to evaluate subjective factors such as originality, artistic, expressive and creative features and ability. However, unless the problems above are solved, it can not be recognized as valid. Teachers, schools, and research institutes should have expanded understanding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make every effort to have the conditions necessary for its settlement at schools. 교육과정에 있어서 평가는 무엇보다도 중요한 요소이다. 평가는 학생의 능력을 가장 정확하게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전통적 평가는 선택형 문항으로 구성된 지필검사로서 점수로 학생들의 우열을 나타내는 것에만 관심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학생들의 다양성과 개인차는 존중되지 않았고, 결과만을 중요시하는 교육이 이루어져 왔다. 특히 음악교과에서는 음악이 갖는 본질적인 특성을 무시하고 지적 영역만을 평가하는 기존의 평가방식에서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도입된 것이 ‘수행평가(遂行評價: performance assessment)이다. 제7차 교육과정의 도입으로 수행평가가 시행된 지 10여년이 지났지만, 좋은 취지에도 불구하고 학교현장에 정착되는 과정에서 부절적한 운영 및 이해부족으로 인하여 학생, 교사, 학부모로부터 많은 문제점을 지적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곧 시행될 새로운 교육과정이 현재 적용되고 있는 제7차 교육과정을 수정ㆍ보완한 과정임을 고려하면서 중학교 음악과 평가의 방법과 문제점, 그리고 개선을 위한 몇 가지 방안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효과적인 수행평가를 위해 많은 노력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문제점들이 있지만 대표적인 몇 가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행평가도구 개발의 어려움과 시간적ㆍ공간적 제약이 크다. 둘째, 교사의 전문성과 자율성의 결여로 인해 수행평가가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수행평가의 채점 기준(점수 부여 기준) 설정이 용이하지 않아 발생되는 평정자의 오류 가능성으로 인한 객관성과 공정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과 중학교 음악과의 평가에서 주로 사용되는 평가방법을 중심으로 개선방안을 연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과 평가에 있어서 수행평가는 그 방법을 다양하게 활용해야 한다. 둘째, 수행평가에 대한 도구 개발 혹은 수정ㆍ보완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학생수준에 맞는 평가과제를 실시하여야 한다. 넷째, 영역별 균형 있는 수행평가가 시행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수행평가의 적용을 위한 교육과정의 탄력적인 운영방안과 교육과정 운영상의 교육여건이 마련되어야 한다. 음악과의 경우, 음악이 갖는 본질적인 특성인 독창성, 예술성, 창의성, 표현성 등의 주관적인 요인 때문에 음악과의 평가는 학생의 총체적이고 지속적인 영역을 고루 평가할 수 있는 수행평가가 바람직하다 하겠다. 그러나 위와 같은 문제점이 해결되지 않고서는 객관적이고 타당한 평가로 인식되기는 어려울 것이다. 교사와 각각의 단위 학교, 연구기관 등은 수행평가에 대한 안목을 넓히고, 학교 현장에서는 수행평가를 정착시키기 위해 필요한 제반 여건을 갖추어 나가는데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박병순 시조 연구

        유지선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박병순 (朴炳淳, 호 구름재, 1917~2008) 의 생애와 문학적 세계관을 중심으로 시조에 나타난 시조 미학적 특성, 서정의 수용양상 시적지향, 사회적 지평에 대해 고찰하였다. 따라서 작가론을 통해 작품론에 대한 문학사적 의의를 밝히고자 주력하였다. 박병순은 시조시인으로서 한글보급운동과 시조부흥운동을 펼치며 근현대문학사에 족적을 남겼다. 박병순 시조는 자신의 내면적 체험을 공유하는 절제의 정신과 자연친화적인 사유에서 창작된 작품으로 대변된다. 그런 점에서 박병순 시조는 다음과 같이 조명되었다. 제Ⅱ장에서는 현대시조사적 문학배경과 박병순의 생애 등 문학 활동을 시기별로 분류하여 그의 시세계를 조명하였다. 12권의 시조집을 기본 텍스트로 삼아 그의 시세계에 드러나는 문학적 수용과정과 양상에 따라 시기별로 살펴보았다. 제1시조집『낙수첩』, 제2시조집『별빛처럼』, 제3시조집『문을 바르기 전에』, 제4시조집『새 눈 새맘으로 세상을 보자』, 제 5시조집『구름재 시조 선집『까지를 박병순의 ‘초기문학(1956년~1977년)’으로 분류하며, 제6시조집『가을이 짙어 가면』, 제7시조집『진달래·낙조처럼』, 제8시조집『해돋이 해넘이의 노래』, 제 9시조집『구름재 시조 전집』까지는 ‘중기문학(1981년~1993년)’, 제10시조집『행복한 날』, 제11시조집『먼길바라기』, 제12시조집『초록따라 바람따라』를 ‘후기문학(1997년~2005년)’으로 분류하였다. 박병순 초기 문학은 인간의 사상과 감정, 인생관, 생활신조 등을 작품화했다. 초기 시는 생활서정시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편수로는 349편이며 그 중 인생에 관한 시는 299편이고 자연에 관한 시는 50편이다. 인생에 관한 시중 생활서정에 관한 시가 107편으로 보아 박병순의 초기 시조는 ‘즉생활적(卽生活的)’인 것으로 보아 시조를 생활화하고 종교화하려는 시조관을 가진 것으로 나타난다. 그의 초기 시를 대표하는‘무궁화’는 시인의 올곧은 정신이 며 무궁화를 단순히 시적 소재 대상으로만 삼지 않고 그의 삶속에서 자신의 가솔들과 이웃, 겨레에 대한 이미지로서 그 안에는 무한한 애정으로 나타나고 있다. 중기문학은 시기적으로 제 6시집『가을이 짙어 가면』, 제 7시조집『진달래 · 낙조처럼』, 제 8시조집『해돋이 해넘이의 노래』, 제 9시조집『구름재 시조 전집』이다. 중기 문학 시조 사랑은 사랑하는 혈육과 이웃과 마음의 핏줄들의 가슴 복판을 휘어잡을 혼신의 노력과 온갖 정성과 심혈을 바쳐 온 것은 거짓 없는 시조 사랑을 실천한 시기다. 이러한 그의 철학은 ‘인생에 관한 시’는 초기시와 비슷한 분량이지만‘자연에 관한 시’에서는 소재에서 ‘꽃, 나무, 열매’와‘서정’을 다룬 시는 초기시보다 다작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중기에 와서는 자연에 대한 관심과 애정이 심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후기 문학은 생활의 풍경을 진솔하게 표현하는 반면에 교육자이자 한글학자로서 품격이 나타난 작품이 다수를 이룬다. 그의 시가 모두 한글로 표현하였고 꼬박꼬박‘단기’로 작품을 쓴 날짜를 표기한 것은 그의 그러한 면모를 잘 보여준다. 후기에 속하는 작품은 총 375편으로 인생을 소재로 쓰여진 작품이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변함이 없다. 그러나 초기시의 서정성과 중기시의 완숙미와는 다르게 후기시에 와서는 인생에 대한 감사와 회환이 두드러진다. 음에 대한 사유와 이웃과 주변에 대한 세심한 배려는 더욱 인간적으로 넓어졌다. 다른 시기와 더욱 특별한 시도는 성경을 인용했다는 것이다. 제 Ⅲ장에서는 시조 미학적 특성과 서정의 수용양상 고찰을 위해 그의 12권의 시조집의 언어를 탐색하였다. 그의 시의 언어는 첫째,‘시·공간의 언어’이며 둘째 자연, 사물에 관한 ‘관찰 언어’그리고 자신의 감정을 절제한 ‘내면의 절제 언어’로 정리된다. 시인에게 있어 언어는 이 세계의 표현물이며 언어의 안과 밖에서 외적이나 내적인 기교를 담당한다. 박병순은 시조 언어는 인위적으로 정제하거나 현란한 언어의 나열을 피하는 곳에서 마주치는 절제되고 담백한 수묵화와 같다. 제 Ⅵ장에서는 박병순 삶과 문학의 시적지향에서 오는 사회적 지평을 세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는 그가 추구하고자 한 것은 삶과 문학의 시적 형상화이다. 그의 의식 속에 들어 있는 자기성찰의 세계나 생활 문학적 특징과 탈속과 초월의 세계는 결국 그의 삶이 문학이며 문학이 삶의 현장으로 보여 진다. 많은 시인들이 시적 이론에 근거해 지나친 미화에 충실하거나 언어의 놀이로 전략하기 쉬운 오류를 범하는데 박병순은 체험을 통한 순수하고 정직한 삶의 미학을 보여주었다. 둘째로 그는 늘 겸허한 수용의 실천가로 사랑의 시적 형상화를 실천한 시인이다. 동시에 평교사로 평생을 청빈하게 살면서 그가 보여준 따뜻한 가족사랑은 작품 곳곳에서 발견된다. 마지막으로 박병순의 문학적 기능으로는 교육적 기능과 사회적 지평의 확대이다. 기독교 중심의 윤리의식에 입각한 인성시는 마침내 한글과 민족에 대한 사랑으로 확장된다.

      • Study for enhancing γ-aminobutyric acid (GABA), sialic acid, and immune response in fermented deer antler velvet using lactic acid bacteria strains

        유지선 전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Deer antler velvets are widely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for their anti-aging, antioxidant, and immunity-enhancing effects. Although there are studies on deer antler velvet extract (AV) fermented using Bacillus subtilis, very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s of AV fermented with probiotic stains. This study aims to evaluate whether each probiotic strain selected for fermented antler velvet (FAV) ha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nd produces unique changes to the metabolic profiles of FAV during fermentation as well as immune-enhancing activity. All the strains exhibited high proliferation and survival with 108–109 CFU/g in FAV. Two probiotic strains (L. rhamnosus LFR20-004 and L. sakei LFR20-007)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results that they significantly improved sialic acid contents, γ-aminobutyric acid (GABA) contents of AV and extended Caenorhabditis elegans life span. 65 metabolites were detect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in the FAV. FAV with L. rhamnosus LFR20-004 (FAV-4) is predicted to be able to synthesize 5 amino acids (aspartic acid, glycine, proline, serine, and valine), including essential amino acids. Also, co-fermentation with both strains (FAV-Co) increased the concentrations of 5 organic acids (citramalic acid, lactic acid, malic acid, malonic acid, and succinic acid). FAV not only improves the lifespan of C. elegans, but also extended the survival of C. elegans infected with Salmonella typhi, Listeria monocytogenes, and E. coli O157. Exposure of Cyclophosphamide (Cy) to mice splenocytes reduced cell viability, but the treatment of FVA increased cell viability compared to Cy only treated cells. Interestingly, cytokines such as IL-6, IL-10, TNF-α, IFN-γ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spleen tissues of the Cy-induced immunosuppressed mice. These results showed that FAV might stimulate the immune reaction and provide the scientific basis for dietary supplementary as probiotics-fermentation of deer antler velvet. 녹용은 노화 방지, 항산화 및 면역 강화 효과로 전통 의학에서 널리 사용된다. Bacillus subtilis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녹용 추출물에 대한 연구는 있으나 프로바이오틱스로 발효시킨 녹용의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본 연구는 발효 녹용(FAV)을 위해 선별된 각 프로바이오틱스 균주가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발효 중 FAV의 대사 프로파일에 고유한 변화를 일으키는 지와 면역 강화 활성을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모든 균주는 FAV에서 108-109 CFU/g로 높은 증식 및 생존율을 보였다. 2개의 프로바이오틱 균주 (L. rhamnosus LFR20-004 및 L. sakei LFR20-007)는 이들 균주가 발효 후 녹용 추출물의 시알산 및 γ-아미노부티르산(GABA) 함량을 모두 증가시키고 C. elegans의 수명을 유의적으로 개선했다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선택되었다. 65개의 대사산물이 FAV에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법(GC-MS)에 의해 검출되었다. L. rhamnosus LFR20-004 (FAV 4) 를 포함하는 FAV는 필수 아미노산을 포함하여 5개의 아미노산 (아스파르트산, 글리신, 프롤린, 세린 및 발린) 을 합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두 균주 (FAV-Co) 와의 동시 발효는 5가지 유기산 (시트라말산, 젖산, 사과산, 말론산 및 숙신산)의 농도를 증가시켰다. FAV는 C. elegans의 수명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Salmonella typhi, Listeria monocytogenes 및 E. coli O157에 감염된 C. elegans의 생존 기간을 연장했다. Cyclophosphamide (Cy)를 생쥐 비장 세포에 노출시키면 세포 생존력이 감소했지만 FVA 처리는 Cy만 처리한 세포에 비해 세포 생존력을 증가시켰다. 흥미롭게도 IL-6, IL-10, TNF-α, IFN-γ와 같은 사이토카인은 Cy 유도 면역억제 마우스의 비장 조직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FAV가 녹용의 프로바이오틱스 발효로서 면역 반응을 자극하고 식이 보충제의 과학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메르센 수, 페르마 수, 소수 판정법

        유지선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An infinitude of prime numbers exists, as demonstrated by Euclid around 300 BC, but efforts to precisely look for new prime numbers have been continued. Two sets of Mersenne numbers and Fermat numbers became an important and basic foundation is the number theory, through and after the 17th century. In particular, methods to distinguish primes from numbers have been developed by leaps and bounds, and recently got interested. For the last several decades,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public key encryption system, the encryption for security of electronic mails and so on uses prime factorization of numbers, which is hand to do. For example, the multiple of two big prime numbers are used for passwords in a certain system. In that case, the factorization to search the primes needs to use super-computers even for a long running time, which effectively delay the decryption of passwords. In this thesis, we examine various properties of Mersenne numbers and Fermat numbers. Also, we introduce methods to tell which number is prime. We specially introduce some methods to decide whether a given Mersenne or Fermat number is prime or not.

      • 장기요양관리자(케어매니저)의 역할과 양성방안

        유지선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부는 급속히 진행되는 고령화와 치매ㆍ중풍노인의 증가추세에 비해 핵가족화, 여성의 사회참여 증가로 가정에서 노인을 돌볼 수 있는 것이 이제는 한계에 도달했다고 진단하고, 이제 그동안 가정이 전적으로 감당해 왔던 치매ㆍ중풍의 고통을 우리 사회가 사회적 연대로서 함께 짊어지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도입을 절실하게 느끼고 이에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2008년 7월 시행 예정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2008년 7월 노인장기요양보험 체계에서는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제공과 보건 의료 및 복지서비스의 효율적인 제공을 위한 케어 매니지먼트를 구축하기 위해 대상자인 노인의 요양보호 욕구 사정, 케어 플랜 작성, 서비스 작성과 같은 관리자 및 조정자의 역할을 담당할 장기요양관리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되어 주요 선진국의 사례를 살펴보고 장기요양관리자의 정착에 기여하고자하는 것이다. 정부는 그동안 장기요양관리자에 대한 필요성과 자격에 대해 많은 논의 과정 속에 포함시키다가 최종 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는 장기요양관리자에 대한 명칭, 역할, 위치 등이 분명하게 기술하지 않았다. 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서는 장기요양관리자 대신 공단 소속 직원이 업무를 수행한다고 되어있다. 공단 소속 직원들로 하여금 케어매니저 역할을 어느 정도 수행할 수 있겠으나 서비스 현장에서 팀장 역할을 할 수 있는 장기요양관리자의 역할을 어느 정도 수행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수급 대상자의 욕구파악, 서비스 계획, 자원의 조정, 서비스 전달, 점검과 평가 등 모든 과정이 철저하게 준비되고 진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장기요양관리자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과 설명이 있어야 하겠다. 본 연구는 2008년 7월 시행될 노인장기요양보험법과 함께 이용자와 서비스 체계를 연결시켜주고, 다른 서비스 제공자들과 협력하여 이용자에게 수직적, 수평적 보호의 연속성을 보장해 주고, 이용자가 가장 높은 수준의 사회적, 경제적, 신체적 통합을 달성하도록 보장하는 1차 적인 책임자인 장기요양관리자의 역할 및 양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장기요양관리자의 역할을 ‘방문조사와 사정, 서비스 담당자회의 케어계획 작성, 서비스 사업자와의 연계조정, 지속적 관리, 재평가’의 역할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역할은 서비스 전달자 외에 그 기능이 축소 지향적이라고 볼 수 있다. 장기요양관리자의 기능과 역할이 이 정도에 그친다면, 일본에서 굳이 개호보험법을 개정해 가며, 지역 포괄 케어 매니지먼트 시스템을 구축하여 포괄적인 케어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없었을 것이다. 장기요양관리자에게는 사정자, 기획자, 중개자, 조정자, 점검자, 평가자, 교육자, 상담자, 정보제공자, 자원 개발 활용 및 관리자, 서비스에 대한 홍보자등 포괄적인 역할이 요구된다. 따라서 요양서비스의 질과 효율성 그리고 책임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장기요양관리자에 대한 명칭, 역할, 위치 등이 분명하게 기술된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조항이 신설되어야 할 것이고, 장기요양관리자의 국가 자격 제도화 및 선발 기준을 강화하고, 민간 양성 기관 유도 등 전문 인력의 확보에 대한 재논의가 있어야 할 것이다. The government has considered that there is a limitation in taking care of the old in a family. It is because that the formation of family has been changing to a nuclear family and women's social participation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while the old live longer than before and demented old·paralytics have been surfacing in increasingly large number. Accordingly, it has planned to put The Long-term Care Insurance Policy in effect within July, 2008, clearly understanding how our society desperately needs the introduction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Policy implying the intention to share the burden of dementia·paralytic with the society, which was totally has left to a family. It is anticipated that the roles of a care manager will be very important under the system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Policy, since he or she will be in charge of needs assessment of care protection, preparing service plans and care plans for the old as a manager and a controller to establish care management providing with effective welfare·medical service and user-centered service. To cope with the change,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make contribution to the settlement of the system of a care manager, researching the cases of advanced countries. Since the consciousness of the nation has been changing, desire for welfare has been more diverse and specialized. The public will need more integrated and specialized service in the near future.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train long-term care managers who can handle with service based on expert knowledge to supply the public comprehensive, general and long-term protection service for the old who need protection and care. The study suggested the roles and training measures of a care manager who would be in charge of connecting users and service system with The Long-term Care Insurance Policy which will be taken effect on July. 2008 as a genuine controller, securing the continuity of vertical·horizontal protection under the cooperation with other service providers and ensuring that users can meet by far the best social, economic, physical integration. The roles of a long-term care manager were considered as 'visiting survey and assessment, preparing care plan·managers meeting for service, mediating the connection with service providers, consistent management, revaluation', which reduced its other functions excluding a role of service delivery. If its roles and functions were just limited like the above definition, Japanese government did not see the necessity to offer comprehensive care service, establishing the inclusive system of community care and rectifying Long-term Care Insurance. It is urgent to train long-term care managers who will be experts to conduct The Long-term Care Insurance Policy, the national welfare project, but it is firstly introduced to the country as a pilot project so there are no developed curriculum and textbooks at the present. In order to successfully settle down The Long-term Care Insurance Policy, which is the regional welfare project executed by the country, professionals should be produced following appropriate rules. Therefore, the cases of advanced countries should be investigated ar first and then a developing project should be performed to produce proper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our reality. Instead to set up national qualification for a care manager, the government has planned to select and educate nurses or social workers as care managers. However, it is concerned that this process cannot be comprised of legal authority, because it is just a civil qualification. As human service, the quality of care service depends on accumulated experience, skill and knowledge of carer's, especially influenced by their personalities and health. Accordingly, it is inevitable for a care manager to receive specialized education and acquire knowledge. Also, they need to obtain a certain level of knowledge and skills to offer reliable service. 19% of care managers have bachelor's degree and 68% have master's degree in the United States. Actually, professional institutes or organizations control care managers and grant qualification in the United States. In Japan, the government control care managers and grant qualification, but non-professional workers can apply for the job, which means that the United States requires care managers to have a considerable education level, compared with Japan. From now on, it is expected to study and analyze the works of a long-term care manager, suggest its roles of a comprehensive model, establish main principles of vocational ethics, clearly state a position of a long-term care manager by means of revising laws related to a long-term care manager and finally propose its roles and a standard.

      •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음원결과물의 활용가능성에 대한 연구 : Internal Mix 환경 중심으로

        유지선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tudy on the production environment of music source and possibility of utilizing its outcomes in the tablet computer environment was made in this paper. The study on the iPad environment to use as many as application and to possess many users out of the tablet computers was performed. The computer has been developing rapidly for a few decades and tablet computer will be generally distributed computer in the future. Three years later, 2015, the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will be changed into the tablet computer and later one or two decades, when the students studied and grown in such environment, the role and extension of the tablet computer will be widened tremendously. The music production environment is not an exception, accordingly, the subject of this paper was decided. Two applications which can be produced into complete music source level were selected from the results of surveying and use of the application for music production and they were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MIDI hardware performance environment and internet mix environment. Then, two music sources which had been worked with same data in the desktop environment and iPad environment were compared and the experiment to verify no difference in sound quality between the music source produced under iPad environment and desktop environment was performed. The music work was available with an iPad including a few simple devices without expensive external tools and without studying on the tools of difficulty. The convenience and the manipulation under the desktop computer environment were compared for analysis because the hardware performance of simplest mechanism was equipped. The interview with sound engineer and the blind test for music source were made for the final conclusion. The objective comparison was made through the music source spectrum analysis utilizing the sound analyzer. The SNS has been spot lighted as a powerful promotion effect and next generation media market in Korea and abroad at the appearance of iPhone and it had been verified many times. The music source via iPad is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easily through SNS or you-tube because music source of iPad can be uploaded without special coding process. It can be utilized across the movie and education in diversified fields and various relations regarding to this were studied together at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In the coming days, applications and hardwares with fresh and amazing functions will appear and consequent studies will be continued. This paper will help to the study on the music producti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under the tablet computer environment. 본 논문에서는 태블릿 컴퓨터 환경에서의 음원 제작환경과 그의 결과물의 활용 가능성에 대하여 연구 하였고, 태블릿 컴퓨터 중에서도 가장 많은 애플리케이션을 사용 할 수 있고, 많은 유저를 보유한 아이패드의 환경에서 연구를 하였다. 컴퓨터는 수십 년간 빠른 발전을 해왔고, 앞으로는 태블릿 컴퓨터의 형태가 보급형 컴퓨터가 될 것이다. 3년 뒤인 2015년엔 초등학교 교과서가 모두 태블릿 컴퓨터로 바뀌며, 그 환경에서 공부하고 자란 학생들이 성인이 되는 10~20년 후에는 태블릿 컴퓨터가 하는 역할과 범위는 굉장히 넓어질 것이다. 음악제작환경도 예외는 아니며, 그래서 본 논문의 주제를 결정하게 되었다. 음악제작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조사 및 사용해 본 결과 그 중에 완성도 있는 음원 제작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두 가지를 선정 하였고 미디 하드웨어 퍼포먼스 환경과 Internal Mix환경을 바탕으로 비교, 분석 하였다. 그리고 데스크톱 환경과 아이패드 환경에서 동일한 수치로 작업한 두 개의 음원을 비교 하고, 아이패드 환경에서 제작된 음원의 음질이 데스크톱 환경에서 제작된 음원과 차이가 없다는 증명을 위한 실험을 하였다. 비싼 외부 기기와 어려운 툴을 공부하지 않아도, 아이패드와 간단한 기기 몇 가지로 음악작업이 가능했으며, 간단한 원리의 하드웨어 퍼포먼스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데스크톱 컴퓨터 환경과 편의성, 조작성 부분도 비교 분석을 해 보았다. 최종적인 결론을 위하여 사운드 엔지니어의 인터뷰 및 음원 블라인드 테스트를 진행 하였고, Sound Analyzer를 활용한 음원 스펙트럼 분석을 통하여 연구 객관적인 비교를 하였다. 아이폰의 등장과 함께 국내외로 SNS는 파급력 있는 홍보 효과와 차세대 미디어 시장으로 각광 받고 있고, 그것은 여러 차례 증명 되었다. 아이패드를 이용한 음원은 특별한 코딩 과정 없이 업로드가 가능하므로 SNS를 통하여, 또는 you-tube를 통하여 손쉽게 세계와 소통할 수 있으며, 영상 및 교육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면으로 활용이 가능 하고, 이에 관한 다양한 연관성을 본 논문의 결론에서 함께 다루었다. 앞으로 새롭고 놀라운 기능을 가진 애플리케이션과 하드웨어들이 등장 할 것이며, 그에 따른 연구도 계속 될 것이다. 본 논문이 태블릿 컴퓨터 환경에서의 음악제작 환경 연구와 개발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