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 전공의 교육과정 비교 분석

        이원정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63

        As a specialized educational institute which is training education experts, reserve teachers and reeducating in-service teacher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s in charge of a big role in Korean education. In particular, the Major of Computer Education at the Graduate School contributes very much in computer education of teenagers who will lead the IT of Korea. Therefore, it will be a significant study comparing and analyzing about the curriculum in computer education major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the study, laying stress on 5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do, that is, Konkuk University, Korea University, Suwon University, Ajou University and Yonsei University, the curriculum in computer education major has been compared and analyzed. These 5 universities are evaluated ‘best’ and ‘good’ grade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valuation’ in 2004, 2005 which is done by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and have opened computer education major and have a school for the training of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merits and faults of curriculum in each Graduate Schools, to research a remedy and to establish more progressive model of curriculum in computer education major. I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the curriculum has divided in four parts, that is, basic completion subjects, common subjects, computer education subjects and non-common subjects, which are essential completion subjects to obtain a teacher’s license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 notified. Through these researches, I suggest desirable curriculums for each universities connected with The 7th Curriculum of The Korea National Curriculum. As the research of this study, current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ems to have distance from the national curriculum. Curriculums of graduate schools must be reorganized to meet the purpose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 make deep relation with curriculum of secondary school. As well, the lack of the doctor’s course should be recognized and more doctors’ course should be founded in mor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inally, the graduate schools should make exertion to develop more efficient curriculum through the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graduate schoolsand organize systemized and specialized curriculum which is needed required in the field. This study is limited in 5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therefore we need to study on more universities as well as foreign schools. By these processes desirable curriculum in computer education will be established.

      • 다문화 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제

        이보라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세계화 시대가 되어감에 따라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와 존중의 필요성이 부각되면서 다문화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제를 알아보고 관계를 조사함으로써 다문화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200명이며,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 졌다. 설문지의 구성은 교사의 배경변인 6문항, 다문화 교육에 관한 교사의 목표인식 6문항, 다문화 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 9문항, 교실환경구성 7문항, 문화의 다양성과 공통성에 관한 활동실제 16문항, 다른 사람들과 서로 돕기에 관한 활동실제 7문항, 올바른 갈등해결에 관한 활동실제 7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각 변인에 대한 기술적 통계치를 산출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변량분석(ANOVA)과 t-분석(t-test),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교사의 기관유형과 교육경력, 교사의 교육수준, 다문화 교육에 관한 학습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교육목표의 인식정도를 알아본 결과 국공립 어린이집과 공립유치원 교사들의 인식수준이 높게 나왔고 교사의 교육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문화 교육에 관한 교사의 태도에는 경력이 많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다문화에 대한 태도가 바람직하게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교육에 관한 실제는 기관유형과 교사의 교육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공립유치원의 교사와 대학원 이상의 교육수준을 지닌 교사가 환경구성과 교육활동을 더 활발히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 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제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현장에서 다문화 교육에 관한 활동을 잘 실시하는 경향이 보였다. As the world is more globalized day by day, understanding and respect on various cultures becomes important and attention on multicultural education is increasing. We conducted a survey on view and real situation regarding multicultural education targeting teachers of preschool and intend to know less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this study. This survey is conducted targeting 200 teachers of preschool and kindergarten located in Gyeonggi-do. ANOVA test, t-test, Cross-tab,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depending on study issu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view of preschool teachers on multicultu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itute, the educational career, the educational level of teachers, and whether he educated multicultural education. In investigating the goal of education, the level of recognition of teachers of national or public kindergarten is high, and significant difference has been shown according to the education level of teachers. The teachers of more career and the higher level of education have more preferable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Teacher's practices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different by the type of institute, the educational level of teachers. Third, the highers teachers gave importance ratings to multicultural education, the higher executtion score of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was.

      • 南·北韓 高等學校 數學 敎科書 比較 硏究

        정광채 水原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9663

        북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의 실상에 대해 보다 정확하게 알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러한 관점에서 북한의 수학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를 조사하여 남한의 수학교육과 비교 분석해 보고, 남한과 북한의 수학교과서의 내용을 비교하여 북한의 수학교육 체계를 일부나마 파악하고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남한의 일반계 고등학교 1, 2, 3학년 수학교과서와 북한의 고등중학교 5, 6학년의 수학교과서를 기준으로 외형적 체계와 내용전개방식, 학습범위와 수준, 구성비율 및 용어, 교육과정 등을 비교 분석하여, 남북한의 수학교육의 구성과 내용 면에서의 차이를 이해하고 분석하여 보다나은 수학교육 체계 및 내용의 개발을 위한 자료로 삼고자 하는데 있다. 남한 일반계 고등학교 자연계열 과정인 공통수학, 수학Ⅰ, 수학Ⅱ와 북한 고등중학교 5, 6학년의 수학교과서, 교육과정, 교육목표, 단원조직, 내용체계, 수학용어, 등을 비교 분석한 것이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북한 학제를 살펴보면 북한의 기본학제는 4-6-4제로 인민학교 4년, 고등중학교 6년, 대학교 4년으로 유치원 1년, 인민학교 4년, 고등중학교 6년을 의무교육이며, 그 이외의 특권층 자녀와 우수한 학생이 다니는 특수학교 및 예·체능 학교가 있다. 남한은 6-3-3-4제로 초등학교 6년, 중학교 3년, 고등학교 3년, 대학교 4년으로 되어 있고, 초등학교 6년과 중학교 3년을 의무교육으로 하고 있으며 특수목적 고등학교, 예·체능학교 등이 있다. 둘째, 북한은 모든 고등학교에 단일 편제가 적용되고 있으나, 남한은 일반계와 실업계, 일반계 고등학교는 인문계와 자연계로 운영되고 있다. 셋째, 남한의 일반계 고등학교의 인문계는 3년 동안의 총 이수단위 204단위 중 수학이 18단위로 8.8%이고, 자연계는 204단위 중 28단위로 13.7%이며, 북한의 고등중학교 5학년은 1년간 총 이수 단위 70단위 중 수학이 12단위를 6학년은 1년간 총 이수단위 64단위 중 12단위를 차지하여 2년 동안 134단위 중 24단위로 17.9%의 시간을 차지하고 있어 북한이 남한보다 비율면에서 높다. 넷째, 남·북한 수학교과서를 비교해 보면 남·북한 수학교육의 목표를 남한은 수학의 기본적인 지식과 기능을 가지게 하고 수학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기르게 하여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한 반면, 북한은 자연기초 과학부문들을 적극 발전시킴으로써 나라의 과학기술수준을 더욱 높이고 인민경제 여러 분야에서 발생되는 과학 기술적 문제들을 더 잘 풀어 나가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다섯째, 내용전개 방식을 살펴보면 남한은 대단원명, 중단원명, 소단원명, 본문, 자율학습문제, 연습문제, 종합문제로 정리되어 보기 좋으나, 북한은 앞단원이 어디서 끝나는가에 따라 단원의 위치가 달라지므로 산만한 느낌이.들지만 대단원명, 중단원명, 소단원명, 본문, 연습문제, 종합문제의 순서가 남한과 같다. 여섯째, 학습내용 및 구성비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6차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를 기준으로 하여 대수, 해석, 기하, 확률과 통계 영역으로 나누어본 결과 남한은 해석(39.9%), 대수(32%), 기하(16.5%), 확률과 통계(11.6%)이고, 북한은 해석(40.4%), 대수(29.7%), 기하(26.1%), 확률과 통계(3.8%)로 다루는 순서는 같다. 일곱째, 용어를 대 영역별로 구분하여 남북한의 표현방법이 다른 용어를 조사하였는데 용어자체 및 사용에 있어서 차이를 나타내는 용어를 많이 발견할 수 있었다. I think it need to be known more preciously the reality of education in North Korea. In this point, it needs to be understood the system of mathematics education in North Korea by investigating basic data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in North Korea. and contrasting and comparing the contents of the math textbooks betwee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This thesis aims for the improvement on the system and content of our mathematics education by understanding and analyzing the organizations and contents between South Korea's mathematics education and North Korea's. In order to do this, I contrast and compare the external systems, the objectives, the way of contents development, the learning scopes and levels, the rates of the constituents and terminologies and the curriculums shown the textbooks of the 1st, the 2nd, the 3rd grade in high school of South Korea (Math for everyone, Math Ⅰ, MathⅡ) and of the 5th and the 6th grade in higher middle school of North Korea. The result is the following. First, in the educational systems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he basic educational system of North Korea is 4-6-4, that is, 4 years of elementary school, 6 years of higher middle school and 4 years college. The 1 year of kindergarten, 4 years of elementary school and 6 years of higher middle school is the duration of compulsory education in North Korea and there are other special schools and artistic & athletic schools which are permissible only to the children born the privileged class and smart students. The educational system of South Korea is 6-3-3-4, that is, 6 years of elementary school, 3 years of middle school, 3 years of high school and 4 years of college. The 6 years of elementary school and 3 years of middle school is the duration of compulsory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there are special objective high schools and artistic & athletic schools. Second, all of high schools in North Korea are organized in a way, but South Korea's high schools follow the two-way organization; general and vocational, and the general high schools are divided into the natural science course and the liberal arts course. Third, in liberal arts course high schools of South Korea, mathematics is 18 units(8.8%) of the total 204 units for 3 years, and in natural science course high schools, it is 28 units(13.7%) of 204 units. In North Korea, mathematics forms 12 units of the total 70 units for the 5th grade in higher middle school, and 12 units of the total 64 units of the 6th grade. Therefore, mathematics makes up 24 units(17.9%) of 134 units for 2 years in North Korea, so the rate of mathematics in North Korea is higher than is South Korea. Fourth, comparing the objectives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in South Korea with objectives in North Korea, the South Korea's mathematics education aims for the development of ability for individuals to think in mathematics and to solve the problems creatively by having fundamental mathematics knowledge and skills. In contrast, North Korea hopes to solve the science technology problems better and raise the level of technology of science through the development of fundamental science parts such as mathematics, chemistry, physics and biology. Fifth, in the ways of contents development, the order of contents in math textbook of South Korea is Unit - middle unit - small unit- main part - exercises for self-study - exercises - formative test - summative test and the order is very clear to see. In North Korea, the order of the textbook organization is the same with South Korea, but the division between each unit is un clear. Sixth, I divided into algebra, analysis geometry, and probability & statistics sections in order to compare the learning contents and the rates of constituents. The result is that South Korea's textbook consists of analysis(39.9%), algebra(32%), geometry(16.5%), and probability & statistics(11.6%), but in North Korea the math textbook is made up of analysis(40.4%), algebra(29.7%), geometry(26.1%), and probability & statistics(3.8%). The order of the constituents is the same i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Finally, I investigate terminologies for each section that ate used differently in the two Koreas. Many terminologies that are different in the terminology itself and its usage can be found.

      • 敎育大學 敎育課程과 初等學校 敎育課程 連繫性에 관한 硏究

        임종생 水原大學校 敎育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curriculum of education college is related to that of elementary school and to seek after the method of improving the mangement of the curriculum of education colleage for the efficiency of education curriculum management through analyzing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 to the relation, if the curriculum of education college is made the use of to some extent in performing the rol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begin with, I set the problems for study for carrying out the above mentioned purposes. First, is there any relation between the curriculum of education college and that of elementary school? And how? Second, when it comes to the understanding of teachers about the degree of the contents which most of the education college students learned at their college being utilized in teach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how is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Third, what is a desirable method for the management of education curriculum of education colleg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 Through analyzing and reviewing the problems on the relation between the curriculum of education college and that of elementary school, I performed inquiry for the correct result. The result of the response as to question is revealed by the percentage. X² test was performed in order to check the difference of each variable. The final analysis on result is obtained through spss/pc^+. As a result, study has it that relation between the curriculum of education college and that of elementary school is very low. I, therefore, would like to suggest some methods for improving the management of education college curriculum so that the elementary education can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as the following. First, the focus of lesson should be changed : form the lesson which is composed of the theory-oriented lesson conducted by professors to the lesson which is composed of discussion-oriented, presentation-oriented lessons as well as research-oriented-activity lessons should be developed. Second, the management of education college curriculum should be enlarged to the subjects which are very closely related to the scene of education and performed. Besides, the academical system on the level of establishing orthodoxy should be prepared. Third, in order to beef up the degree of relation between the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elementary-school-education curriculum, it is required that the extension of education practice period should be done and the process of education practice should be managed in an efficient and systematic way. Fourth, the training process for education teachers who teach elementary school students, especially for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teaching subjects only, should be improved at an early date. Fifth,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system, on the governmental level, for the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of education college, should be prepared in the near future.

      • 컴퓨터 교육의 현황 및 개선 방안 : 일반계 고등학교 중심

        홍순자 水原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9663

        현대사회는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사회이다. 컴퓨터와 정보사회는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 이제 컴퓨터 교육의 실시는 필수적이며, 초· 중·고등학교의 컴퓨터 교육은 연계성이 있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계 고등학교에서의 컴퓨터 교육에 대한 정확한 실태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찾아 제7차 교육과정에서 컴퓨터 교과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다음과 같은 목적을 두었다. 첫째, 컴퓨터 교육 과정의 실태 분석과 문제점을 파악한다. 둘째, 고등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정보소양인증제도의 실효성을 분석한다. 셋째, 일반계 고등학교 컴퓨터 교육의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현행 컴퓨터 교과 6차와 7차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정보소양인증제도가 유명무실한 제도가 되지 않도록 학생들이 어느 정도 호응하고 있는 지를 실적 위주로 알아보았다. 또한 대학 입학 후 대학 수학 능력에 컴퓨터 교과가 어느 정도 필요한 지를 대학교의 교양 과정에서 컴퓨터를 필수로 이수하는 대학교를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조사 대상은 경기도내에 소재한 일반계 고등학교 3개 학교에서 남녀학생 191명을 임의로 추출하였다. 남학생과 여학생의 컴퓨터 교과의 인식 차이를 얻을 수 있었으며, 6차 교육과정과 7차 교육과정이 공존하고 있어 학년은 1, 2, 3학년을 고루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표들은 카이스퀘어 검정을 통과했으며, 유의(有意)수준은 5%로 잡았다. 표 안의 빈도수가 5 이하인 것은 의미가 약해지지만, 실제로 빈도수가 적은 것은 분석의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또한 무응답과 이상값은 결측치 처리를 하였으며 대체값으로 적용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컴퓨터 교육에 있어서 학년별, 남녀별로 관심 영역이 다르고, 특히 3학년 학생들은 컴퓨터 방면으로는 거의 관심을 가지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즉, 현행의 제도로써는 1~2학년에 집중하여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둘째, 남녀, 학년 구분없이 모두 그래픽에 흥미를 느끼고 있고 가장 배우고 싶어하는 영역으로 조사되었다. 그래픽에 대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도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러한 요구를 학교 컴퓨터 교육이 만족시켜주지 못한다면, 앞으로도 학교에서의 컴퓨터 교육이 학원 교육으로 대체되는 결과가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런 교육들이 대학입시에 현실적으로 반영되도록 정보소양인증제도 활용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넷째, 내년부터 시행되는 「정보사회와 컴퓨터」교과목 지도시에는 남녀 학생의 수준을 차별화하여 영역 선택을 하고, 또한 홈페이지 등 바이러스 감염 예방 지도와 더불어 정보 윤리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Present society is a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Now, performance of computer education is compulsory and computer educations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have to get connection each oth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guidance of computer education in the Seventh Curriculum through analyzing precise actual state of high school computer education and finding problem. First, analyze actual state of computer education and understand problem. Second, analyze effectiveness of Information Attainment Approval System(정보소양인증제도). Third, suggest improvement method of general high school computer education. This paper comparatively analyzed the sixth and seventh curriculum of computer education in Korea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found the degree of students' agreement on the basis of performance to prevent it from being nominal system. It surveyed the necessity of computer class for university academic capacity after university admission on the basis of university requiring computer class as compulsory class in cultural subject. Targets of this study were 191 students randomly extracted from 3 general high schools located in Kyung Gi Province. It was possible to get the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computer between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and it surveyed first-year, second-year and third-year students evenly because Sixth Curriculum and Seventh Curriculum coexisted. Results of analysis passed Chi Square(카이스퀘어) inspection and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5%. In table, when the number of frequency is less than 5, its meaning is weak but, actually, the thing that has a low frequency was excluded from target. In case of non-responses and extraordinary values, they were treated as missing value and were not applied as substitute values. Above results are summarized like follows. First, in high school computer education, the field of interest was different by grade and sex. Specially, it could be known that third-year students were not interested in computer. It means that the education focused on first-year and second-year students has to be performed in present system. Second, guide of graphic program was found as most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 for common (grade and sex in all). It was surveyed as most interest field regardless of sex and grade. Third, if school computer education can't meet those requirements, it seems to be transferred to private school. And that use of Information Attainment Approval System(정보소양인증제도) is necessary to actually reflect those educations to university admission test. Fourth, when guiding「Information Society and Computer」subject that will be performed from next year, it is necessary to select field through classifying student's level, guide homepage and precaution of virus infection and reinforce netiquette education.

      • 수원지역 일부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의 영양지식 및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정여주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aimed at knowing the teachers' nutrition knowledge and attitudes on nutrition education at child care center in order to develop educational materials to was teachers as well as become the basis in creating an infant nutrition educational program linked with related institution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y surveying the teachers of 93 day-care center in Suwon. A total of 17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of which 149 were collected and excluding those that were not answered a total of 148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Teachers were all female, most of whom were in the 20~30. Most of the teachers responded that nutrition education necessitate in day-care center. The 85.1% of the teachers had nutrition educational training. The nutrition education of teachers showed a difference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teacher had a career. As the teachers had higher career, they had nutrition educational training. The information source for nutrition education was mainly internet and guide book and magazine. Current nutrition education was being taught mainly by VTR. The main contents of nutrition education was being taught sanitation education and table manners. However lack of educational materials as well as lack of nutrition knowledge of teachers lead to difficulties in nutrition education of infant. The average score of nutrition knowledge of teachers was 10.48±1.84 out of possible 15 points. Most of the teachers had on above average knowledge about nutrition. However, those questions which had a low score were those on infant nutrition so it was concluded that most teachers had a low awareness on knowledge about infant nutrition. Therefore, an elaborate system that can consider the difficulties of instilling proper eating habits and need of children nutrition education as well as provide the necessary nutrition for teachers as well education for the children need to be implemented.

      • 대학 컴퓨터교육 강화 및 개선에 관한 연구

        오숙자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3 국내석사

        RANK : 249663

        현대를 일컬어 '정보화 사회' 혹은 '컴퓨터 혁명시대'라고 한다. 이는 산업, 기술 및 경영 등 사회 각 분야의 발전에 컴퓨터가 필수 불가결한 수단과 도구가 되면서 컴퓨터의 역할이 지대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수단과 도구인 컴퓨터를 운영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제작 기술의 개발과 컴퓨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이용기술의 습득이 중요시 되고 있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 논문에서는 대학의 전산 교육은 물론 사설전문 학원, 공공기관 및 기업의 전산교육 실태를 조사 분석하고 문제점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전문가적 전산요원의 양성을위한 전산학과 교과과정 및 최종 사용자적 전산요원의 양성을 위한 교양전산 교육의 교과과정 모델을 새로이 제시하였다. It is said that modern times is the informationized society or a revolutionary age of computer. It means as being a indispensable means and tools, computer plays the great role in each part of society, that is, industry, technology and administration, etc. Therefore for operating computer, this means and tools, the acquirement of software making technology and the efficient usage of computer are imfortant.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inquired into and analysized the conditions of computer education of the university, more over, private institutions, public corporations and firms, too. And it presented newly the model of the curriculum of computer science for expert and computer education as liberal arts for the computer ending agent.

      • 適用地域과 非適用地域에서 高等學校 數學敎科의 水準別 移動授業에 관한 意識調査

        이용송 水原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9663

        현재 우리 나라의 수학교육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점중의 하나는 -초등학생 정도의 수학능력을 가진 학생이 다른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중등학교 수학 수업을 받아, 결과적으로는 수업에서 소외되어 버리는 현상-을 해결하며 학생수준에 적합한 "제자리"를 찾아주기 위한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학생 개개인의 개인차를 최대한 고려하여 학생의 성장 잠재력과 교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수업방법의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와 같은 수업 방법의 하나가 수준별 이동 수업이다. 수준별 이동수업에서는 학생들의 학습능력이나 학습욕구가 교육활동에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학생들 수준의 교육 내용의 선정,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교수-학습의 방법, 평가 방법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수준별 이동수업은 교육개혁의 핵심인 수요자 중심 교육을 실현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는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학생의 능력에 부합되는 학습 내용을 차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수준별 이동수업은 교육개혁의 핵심인 수요자 중심 교육을 실현할 수 있다는 근본 취지에서는 동의할 수 있지만, 수준별 이동수업이 열악한 한국적 교육여건에서 일어날 수 있는 부작용과 폐단 또한 간과할 수 없으므로 수준별 이동수업의 시행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적용지역과 비 적용지역을 비교하여 문제점을 의식 조사하여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적용지역과 비 적용지역에서 수준별 이동수업 운영에 대한 학생들과 교사들의 의견과 학생들의 학습 의욕은 어떠한가 ? 둘째, 수준별 이동수업을 실시하는 것이 학생들의 수학교과 학력향상에 도움이 되는가 ? 셋째, 수준별 이동수업의 계속 실시여부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은 어떠한가 ? 넷째, 수준별 이동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의식 및 문제점은 무엇인가 ? 이러한 문제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수학교과에서 수준별 이동수업을 실시하고 있는 적용지역의 경기도 수원시의 여자고등학교, S여자고등학교, S고등학교, D고등학교의 남.녀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 비 적용지역인 경기도 화성군에 있는 S종합고등학교, O고등학교, K고등학교, B종합고등학교, S고등학교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사의 설문지는 학생의 설문조사를 시행한 고등학교와 그 이외 화성군에 있는 전 고등학교와 수원시의 일부 고등학교의 수학교과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준별 이동수업에 대하여 비 적용지역의 학생들이 적용지역의 학생들보다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학교과의 수준별 이동수업의 학습의욕은 적용지역, 비 적용지역 모두, 상위반 학생들이 하위반 학생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수준별 이동수업을 실시함에 있어서 하위반 학생들이 생각하는 문제점은 선생님들의 하위반 학생들에 대한 편견과 열등감으로 인한 자신감의 결여로 나타났다. 넷째, 수준별 이동수업을 담당하는 교사들은 대체로 이동수업을 경제적 긍정적으로 생각하지만, 반대하는 의견도 높았다. 비 적용지역에서 교사들은 찬성한다와 반대한다라는 의견으로 양분되어 나타났는데, 반대하는 의견이 꽤 많은 이유는 하위반 수업 시 학습의욕의 결여와 산만함으로 수업의 진행이 어렵기 때문이었다. 다섯째, 수준별 이동수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2단계(상. 하)에 분반보다는 다양한 세분화가 필요하고 다양한 수준의 교재가 필요하다. 또한 내신 산출의 획일적인 평가보다는 다양한 수준별 분반에 따른 평가가 이루어져야 수준별 이동수업이 효과적으로 수행 될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수준별 이동 수업 시 산만함을 줄이고 분실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학급의 인원을 줄이고 이동수업을 위한 특별교실을 확보하여 수업에 불편함이 없도록 환경을 조성해야 하겠다. One of the problems in secondary school education We face today is resulted from the fact that students with different mathematical abilities are all in the same class and under the very same instruction of a teacher. Rather inferior students often get lost and consequently grow to lose any interests or motives in learning.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the Group Teaching-Learning Method(GTLM), under which students are divided in two groups based on their learning abilities and taught with different teaching materials and in different teaching methods, has been devised and applied as an instructional method which is believed to contribute to developing individual capabilities and to enhancing educational efficiency. To apply the GTLM effectively, students' learning abilities and wishes should be reflected and appropriate teaching-learning subjects and materials and suitable evaluation methods should be developed. It is true that the GTLM realizes the consumer-oriented education which is the main issue of the educational reform. However, side effects that might arise from the GTLM should not be overlooked.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problems of the GTLM in mathematics education in two different regions (one is where each student takes an entrance examination to get an admission to a high school; the other is where each student just gets assigned randomly a high school to go) and hope to suggest some ways to improve the GTLM in two regions. For these purposes, we have made questionnaires for teachers and students in two different regions asking their opinions to the following questions" Does the GTLM based on students' abilities really help students make better achievements and have strong intentions to study? Do students like the GTLM and want it to be continued? How do teachers feel about the GTLM, its positive or negative factors? What would be solutions of the problems of the GTLM? Analyzing the answers of the questionnaire, we could conclude as follows: Students in the firs region accept the GTLM more agreeably than those in the second region; Students in both regions, however, appear to get more willing to learn mathematics; Students in lower level groups show lacks of confidence from feeling inferiorities to those in upper level groups; Most teachers respond affirmatively to applying the GTLM to mathematics education but they still find it hard to teach lower level groups due to students' indifferences and distractions. To obtain more effective results from the GTLM, it is suggested that students be divided in more than two groups based on their learning abilities, that various texts suitable to different level groups be developed, that evaluation be made according to each group's level, and that better environments such ad convenient classrooms for each small-size group be ready.

      • 유아교육기관 선택 요인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신경진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atisfaction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an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mother's choi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To describe it in detail, inquired into how is the difference of each variables in the factors affecting the mother's choi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who are i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and how is the difference of each variables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On th basis of these investigations,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mothers. and the data for managing and opera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With the above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of the study were made. First, is there the difference of each variables in the mother's choi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 Second, is there the difference of each variables in the mother satisfaction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 Third, is there the difference of the mother's perception of improvement and demand for the future offspring's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composed of 384 mothers who have been sending their offsprings to the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in new towns, H city of Geyonggi-do. For a tool for the study, used the questionnaire of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Mother's Choice of Kindergartens and the Level of its Satisfaction" developed by Lee, Ju Ah(2004), Park Hae Jung(2004), Kim Eun Sil(2007) that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the professional's advice to meet the purpose of this study. For the data processing, analyzed the data with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f-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factors affecting choice that are importantly regarded at the time of the mothers choose, the lower age,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parental education were considered the lowest, in contrast, the lower educational background, the more the educational process and special activity were importantly regraded. The high educated parents with more than post-graduate importantly regarded the parental education. The difference in employment was not shown and the difference in the factors of health management, educational process, special activity, physical environment, human environment and parental education was shown in come, however, the lower income in the general management, the more importantly considered. In a typ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the difference in each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was not shown in the factors of health management, educational process, special activity, physical environment, human environment and parental education, however,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child care center and private kindergarten was shown in the factors of educational process. Thus, the private kindergarten more importantly regards the educational process than the child care center. Overall, when choos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the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highly considered environment and a high average was shown in order of human environment, general operation, educational process, health management, parental education, and special activity. Second, in terms of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choi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all of general operation, health management, educational process, special activity, physical environment, human environment, and parental education were satisfied regardless of age, educational background an employment. The higher the mother's income, the higher satisfaction in the general operation and physical environment. In terms of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the typ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the public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had a lower satisfaction in the general operation than the private kindergarten. Satisfaction with the special activity in the child care center was higher than the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Satisfaction with the physical environment is lower in the private kindergarten than the public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Third, in the areas that should be improved the mos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the public kindergarten needs to improve the number of child and teacher per class, educational process, educational method, and human resource. The private kindergarten needs to improve the number of child and teacher per class, tuition fee, educational process and educational method. The childe care center needs to improve the number of child and teacher per class, human resource and a method of attendance. 본 연구는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 선택요인이 무엇인가를 분석하고,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진술하려고 공․사립 유치원, 어린이집의 어머니들의 유아교육기관 선택 요인의 변인별 차이가 어떠한가,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만족수준의 변인별 차이는 어떠한가를 고찰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조사연구를 기초로 유아교육기관 어머니들에 대한 정보와 유아교육기관 행정 및 운영에 대한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 선택은 변인별 차이가 있는가? 둘째 :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어머니의 만족도는 변인별 차이가 있는가? 셋째 : 향후 자녀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개선과 요구에 대하여 공립, 사립 유치원, 어린이집 어머니의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H시 신도시 지역에 소재한 공립 유치원 및 사립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어머니 384명이다. 연구도구는 이주아(2004), 박해정(2004), 김은실(2007)이 작성한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 선택 요인과 만족도 조사에 관한 설문지’를 연구목적에 맞게 연구자가 지도교수의 지도를 받아 일부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F-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들은 유치원을 선택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선택요인에 대해 연령이 낮을수록 물리적 환경과 부모교육을 가장 낮게 고려하였으며 학력이 낮을수록 교육과정과 특별활동을 중요하게 보았고, 대학원 이상의 고학력자가 부모교육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취업여부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수입별에서 건강관리, 교육과정, 특별활동, 물리적 환경, 인적환경, 부모교육 요인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일반적 운영에서 수입이 낮을수록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육기관 유형별에서는 일반적 운영, 건강관리, 특별활동, 물리적 환경, 인적환경, 부모교육 요인에서는 유아교육기관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교육과정 요인에서 어린이집과 사립유치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어린이집보다는 사립유치원이 교육과정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유아교육기관을 선택할 때 공․사립유치원, 어린이집 모두 물리적 환경을 가장 높게 고려하였고 인적환경, 일반적 운영, 교육과정, 건강관리, 부모교육, 특별활동 순으로 높은 평균을 나타냈다. 둘째, 유아교육기관 선택의 만족도에서 일반적 운영, 건강관리, 교육과정, 특별활동, 물리적 환경, 인적환경, 부모교육 등 모든 요인에서 연령, 학력, 취업여부와 상관없이 모두 만족하였으며 어머니의 소득이 높을수록 일반적 운영과 물리적 환경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유아교육기관 유형별 만족도에 대하여 일반적 운영에서 공립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비해 사립유치원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특별활동은 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에 비해 어린이집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물리적 환경은 공립유치원과 어린이집 보다 사립유치원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육기관에서 가장 개선되어야 할 영역 중 공립유치원은 학급당 유아수와 교사 수, 교육과정 및 교육방법, 인적자원 순으로 나타났다, 사립유치원은 학급당 유아수와 교사 수, 교육비, 교육과정 및 교육방법 순으로 나타났으며, 어린이집은 학급당 유아수와 교사 수, 인적자원, 등원방법 순으로 나타났다.

      • 특기·적성교육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차이 연구 : 수원시와 군포시 소재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윤경식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현재 초등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특기ㆍ적성 교육활동의 운영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을 알아보고 두 집단간의 인식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초등교육 현장에 가능한 특기ㆍ적성 교육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구명하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기ㆍ적성 교육활동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특기ㆍ적성 교육활동의 운영 현황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특기ㆍ적성 교육활동 운영 개선 방안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차이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군포시와 수원시 관내에 있는 초등학교 교사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에 사용된 조사도구는 본 연구자가 개발한 설문지로서 두 집단 모두 26개 문항으로 같은 내용으로 구성하였는데 24개 문항은 리커트형 5단계 척도로 2개 문항은 선택형으로 구성하였다. 모든 분석은 SPSS 10.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모든 문항의 5점 측도의 값은 전혀 그렇지 않다는 1점, 그렇지 않다는 2점, 보통이다는 3점, 대체로 그렇다는 4점, 매우 그렇다는 5점의 재계산되어 평균적인 경향을 알아보았다. 교사의 일반적인 특성과 학부모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그 인식정도의 차이를 t 검증과 ANOVA 분석을 통하여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특기ㆍ적성 교육활동의 문제점과 특기ㆍ적성교육활동의 권장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Chi-Square(χ^2)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모든 검증의 유의수준 α=.05 이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조사결과를 영역별로 요약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기ㆍ적성 교육의 필요성과 특기ㆍ적성 교육의 공교육화, 사교육비 감소, 학교 교육의 정상화, 아동의 특기신장, 방과 후 생활지도, 진로지도, 여가선용 등 목적에 대해 교사와 학부모 모두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특기ㆍ적성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가장 높게 인식하였고 다음으로 학교교육의 공교육화와 아동의 특기신장에 도움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한편 교사는 특기ㆍ적성 교육이 아동의 특기신장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학부모의 경우는 특기ㆍ적성 교육의 공교육화와 가정의 사교육비를 감소시키는데 목적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특기ㆍ적성 공교육화와 여가선용에 대해 학부모가 교사보다 높게 인식하고 그 차이가 큰 것으로 보아 양자의 입장 차이에 따라서 인식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특기ㆍ적성 교육의 운영 현황 즉 특기ㆍ적성 교육의 문제점, 경비의 수익자 부담, 재정지원, 부서별 적정학생 수, 전문강사의 필요성, 운영에 대한 만족도, 교육의 탄력적 운영, 교육의 사전지도, 운영시간 확보문제, 학부모의 의견반영, 권장 프로그램 등 대부분의 영역에 걸쳐 교사와 학부모 모두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교사 학부모 모두 특기ㆍ적성 교육의 지도자로 전문강사의 필요성을 크게 느끼고 있었으며 경비는 수익자부담이 당연하다고 인식하였다. 특히 학부모 입장에서는 재정 지원이 절실하다고 응답하였다. 특기ㆍ적성 교육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교사의 경우 교사의 전문적인 지식의 부족과 재정이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부모의 경우는 교육시설이나 담당교사의 부족과 교육내용의 부실을 더욱 큰 문제점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특기ㆍ적성 교육의 권장 프로그램으로는 교사의 경우 기악이나 컴퓨터를 선호하였으나 학부모의 경우는 컴퓨터가 월등히 많았고 다음으로 영어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요자인 학부모의 입장에서는 재정적 지원과 전문강사의 확보를 시급한 문제로 제기하여 공급자인 교사와는 많은 인식 차이가 있었다. 셋째, 특기ㆍ적성 교육의 개선방안으로 제시한 교사연수 프로그램의 필요성,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운영, 지도교사에 대한 별도수당 지급, 외부기관에 위탁교육 필요성, 평가에 외부인사의 참여 필요성, 계획과 운영에 학교와 학부모의 공조 등에 대해 교사 학부모 모두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전체적으로 특기ㆍ적성 교육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연수 프로그램이 가장 시급하며 다음으로 자율적 운영과 지도교사에 대한 별도수당을 지급해야 된다고 조사되었다. 한편 교사의 경우 지도교사에 대한 별도수당을 지급하고 외부인사를 지도강사로 활용해야 된다고 응답한 반면 학부모의 경우 교사연수 프로그램이 필요하고 특기ㆍ적성 교육이 자율적이고 독립적으로 운영될 필요가 있으며 평가에 외부인사가 참여해야 특기ㆍ적성 교육이 더욱 활성화 될 수 있다고 응답한 것으로 보아 양자의 입장에 따라 인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d compare teacher's and parents' opinions on the education for "the cultivation of children's talent and aptitude"(CCTA), and then to suggest a way of activating the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writer specified the following questions : First,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opinions on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education for CCTA? Second,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opinions on the present status of the education for CCTA? Third,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opinion on the remedy of the education for CCT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eachers and parents selected from primary schools in Gunpo and Suweon. 26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24 with Likert's Five-stage Measurement and two with multiple choices, were made by the present writ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Win 10.0 Version. For every question the response, "Never," was given 1 point; the response, "Not so," was given 2 points; the response, "Moderate," was given 3 points; the response, "On the whole, yes," was given 4 points; the response, "Absolutely yes," was given 5 points. The difference of teachers' and parents' opinions was analyzed by T-test and AVOVA Analysis. The problems and encouraging programs concerning the education for CCTA were examined by Chi-square (X^2 ) method. The degree of significance was made within 5%.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both teachers and parents thought positively of the necessity for CCTA, of the public education for CCTA, of the reduction of the cost of private lessons, of the normalization of school education, of the cultivation of children's talent, of the behavioral guidance after school, and of children's leasure time activities.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for CCTA was given the most high score. The next high score was given to the necessity of the public education for CCTA. Teachers thought that the education for CCTA helps to develop children's talent, while parents thought that the public education for CCTA helps to reduce the cost of private lessons. Parents felt the necessity of the public education for CCTA and of children's leasure time activities much more deeply than teachers. Second, both teachers and parents thought positively of the present status of the education for CCTA such as the problems implied in the education for CCTA, the payment of cost by parents, financial support, adequate number of children per the class for CCTA, the necessity of professional lecturer, the satisfaction in the management of the education for CCTA, the flexible management of the education, previous guidance of the education, securing time for the education, consultation with parents in the management of the education and recommended programs. Both teachers and parents agreed that professional lecturer should be invited. They also agreed that parents should pay the educational cost. Parents felt desperately the necessity of financial support. As for the problems concerning the education for CCTA, teachers admitted their lack of expertise and financial support, while parents pointed out the lack of expertise and financial support, while parents pointed out the lack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of teachers to take charge of the education for CCTA, and poor educational contents. Teachers recommended lessons in musical instruments and computer, while parents preferred computer, and then English lesson. The opinion of parents were different from teachers' in that they suggested financial support and invitation of professional lectures as the most urgent problems. Third, both teacher and parents thought positively of the remedies of the education for CCTA such as the necessity of training teachers, autonomous management of the education, payment of teachers taking charge of the educatino, the necessity of commissioning the education to outer institutes, the participation of guests in the evaluation of the education, and co-operation of the school and parents in planning and managing the education. The most urgent remedies, in turn, were thought to be the training of teachers, autonomous management, and payment of teachers assigned to the education. The responses of teachers and parents showed the following difference: teachers thought that the most urgent remedies are payment of teachers assigned to the education, and the invitation of professional lecturer, while parents thought that the most urgent remedies are training of teachers, autonomous management of the education, and the participation of guests in the evaluation of the education for CC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