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음악교육학 석사학위 논문 경향 분석 연구 : 국내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중심으로

        채규조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문헌 정보의 홍수 속에서 음악학도들에게 필요한 자료를 신속 정확하게 찾는데 느끼는 곤란함과 자료검색을 위한 2차 자료의 필요성에 부응하여 음악교육 연구의 정보자료로서 음악교육 문헌관계 석사학위 논문의 총람을 작성하고 이를 장르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1993년부터 2002년 2월까지 제출된 국내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333편의 논문 총람과 내용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333편의 장르별 연구경향은 14개의 장르 중에서 음악교육론 영역과 국악교육영역에 각각 67편(20.1%)으로 가장 많은 연구를 보였다. 이는 본 연구의 대상 논문 작성자들 대부분이 초등교육에 몸담고 있는 교사로서 좀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음악교육을 하기 위한 노력의 표출로서 음악교육학적 측면에서 음악교육방법을 연구해 보려는 시도를 엿볼 수 있다. 또한 최근 들어 서양식의 음악교육을 답습해온 이제까지의 교육에서 탈피해 우리의 것을 바로 알고자 하는 국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기조를 반영하여 국악교육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장르별-연도별 연구경향의 전체적인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전국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논문이 발표되기 전인 1998년까지의 장르별 연구 비중을 살펴보면 음악교육론(28편), 성악교육(14편), 국악교육(14편), 작곡교육(11편), 교육과정(10편)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국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논문이 발표되는 1999년에는 국악교육 9편, 성악교육 7편, 음악교육론 3편으로 국악교육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이후 2002년까지의 장르별 연구 비중을 살펴보면 국악교육(49편), 음악교육론(39편), 성악교육(30편), 교육과정(23편), 감상교육(19편)의 순으로 나타났다. 1999년 이후 국악교육의 연구논문이 가장 많이 발표된 데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연구논문의 연구대상 시기인 6차 교육과정 때부터 국악교육에 많은 관심과 영역이 할애되었고 7차에 이르러 초등음악의 50%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어 국악교육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여진다. 1992년부터 1998년까지 1편도 제출되지 않았던 피아노 교육관련 논문과 불과 2편만이 제출되었던 음악 교육 평가 영역이 1999년 이후 피아노 교육이 총 7편, 음악 교육 평가 영역이 11편으로 많이 증가되었다. 또한 어느 영역에도 소속되지 않는 새로운 영역의 논문들도 1999년 이후 10편이 발표되었다. 셋째, 장르별-학교별 연구경향의 전체적인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음악교육론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부산교육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 인천교육대학교, 청주교육대학교였으며, 음악재능교육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진주교육대학교였다. 성악교육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공주교육대학교, 전주교육대학교였으며, 작곡교육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대구교육대학교였다. 국악교육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광주교육대학교, 부산교육대학교, 인천교육대학교, 춘천교육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였다. 이를 토대로 살펴보면 학교에 따라서 장르별로 비중을 두어 연구하는 영역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또한 서울교육대학교와 한국교원대학교의 경우는 14개 영역 중 종교음악교육, 유아교육, 특수교육의 특수한 영역을 제외하고는 고른 연구의 경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교원대학교에서 처음으로 초등음악교육전공의 연구 논문이 발표된 이래 전국의 11개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초등음악교육전공이 개설되고 논문이 발표되면서 양적, 질적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essay is to provide a general view of master's theses related to music education as a valuable source of music research and to analyze it according to the music genre. It is helpful for music researchers to find necessary information easily in the plethora of music materials and to resolve the difficulty of information searching. This research investigated a total number of 333 master's theses related to music subjects in elementary school, which was published in Korea from 1993 to February 2002.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research trend by a genre showed that 14 categories among 333 thesis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music education and traditional Korean music that were composed of 67 thesis(21.1 %). This revealed that most research was done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can be a good indication that teachers attempt to do systematic and scientific research of music education. It can be interpreted as a trend of avoiding imitating Western style of music education and higher interests in traditional Korean music. Second, the general analysis according to the genre and annual publication showed that 28 thesis were about special areas of music education with 14 being about vocal music, 11 about writing music, and 10 about music curricula before theses of music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were published in 1998. The theses relevant to music educ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at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started to be published in 1999. Nine theses were about traditional Korean music, seven on vocal music and three on music education. The trend of genre from 1999 to 2002 showed that 49 theses were made in the area of traditional Korean music, 39 about music education, 30 on vocal music, 23 about music education, and 19 concerning how to listen to music. It is believed that much interests in Korean music started at the 6th music curriculum contributed to the abundance of theses related to traditional Korean music, which comprised of roughly 50 % of 7th music curriculum. There was no thesis at the area of piano education from 1992 to 1998 and only two thesis at the area of music evaluation. However, since 1999 seven theses of piano education were published and eleven on music evaluation. Third, general analysis of this research proved that Busan, Seoul, Inchon, and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most theses of music education, and J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a lot of theses related to talented music education. Gongju and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most theses associated with vocal music. T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d most theses about writing music. Kwangju, Busan, Incheon, Chunche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order had more theses connected with traditional Korean music. This result illustrated the fact that different college explored different genre of music. Seoul and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d a tendency of studying a variety of spheres among fourteen areas except fields of religion, kindergarden, and special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thesis demonstrated that the amount of research exploring elementary school music was increased in the aspect of quality and quality at the eleve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inc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their first master thesis.

      • 한 초임교사의 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김은지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55

        이 연구의 목적은 초임교사였던 연구자가 한 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을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서술함으로써 교사 재교육기관의 교육을 통한 초임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그 의미를 해석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 및 결론을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가 교육대학원에 진학한 동기는 첫째, 교사 전문성의 신장과 학문적 욕구 해소라는 내재적 가치 실현 둘째, 자격증 취득 등을 위한 발령대기 상황의 대비책이라는 외재적 가치 실현을 위함이었다. 다음으로 한 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이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의 전문성 발달에 미친 영향과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는 교육대학원 학습경험을 통해 교육적 경험을 하고 교육자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는 반성적 실천가로서의 교수 전문성을 발달시킬 수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는 교육대학원 학습경험을 통해 학교교육에 대한 가치 변화가 일어났고, 초등학교 초임교사로서의 정체성과 역할에 대한 성찰을 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는 의미관점의 발달을 겪을 수 있었다. 셋째,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에게 교육대학원은 전문적 자본 발달의 장(場)이었다. 또한 연구자는 교육대학원에서 동료교사와 함께 학습하는 과정을 통해 동료교사에 대한 인식이 “함께 수업을 듣는 사람”에서 “교육에 관하여 함께 고민하고 성장하는 사람”으로 전환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대학원의 구성원들은 현장교사들이 교육대학원에서 전문적 자본을 개발 및 확장할 수 있도록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대학원은 현장교사들의 학습경험이 그저 ‘학위 취득을 위한 시간 때우기’에 머물지 않도록 교사 재교육 목적과 기능에 충실한 교육과정과 수업을 전개해야 한다. 셋째, 교육대학원은 단위학교나 지역교육청의 인적 및 물적 자원을 보다 적극적으로 공유하여 교육대학원 교육프로그램의 학문성과 현장전문성을 확대 및 심화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한 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을 초임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연결함으로써 교육대학원의 교사 재교육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는 교수 전문성 신장을 위해 교육대학원에 수학 중이거나 진학을 희망하는 현장교사들에게 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을 이해하고, 성찰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써 기여할 있을 것이다.

      •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의 초등음악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경향 분석

        권미경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의 석사학위 논문의 총람을 작성하고 각 학교별로 논문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석사학위 논문의 경향을 학교별로 파악하여 음악교육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최종적으로는 국내 초등음악교육계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국의 11개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의 2005년 8월부터 2008년 2월까지 석사학위논문 248개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논문을 연구영역과 연구방법을 기준으로 각 학교별 논문의 경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영역의 분류기준은 음악교육역사, 음악교육철학, 음악미학, 음악심리, 음악교육과정, 음악교재, 음악교수?학습방법, 음악교육공학, 음악교육평가, 음악교사교육, 음악특기적성, 국악, 다문화음악, 기타의 14개 영역이다. 그리고 연구방법은 역사연구, 기술연구, 실험연구, 문헌연구의 4가지를 기준으로 하였다. 학교별 논문을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은 논문을 발표한 학교는 53편의 논문을 발표한 경인교대였으며, 모든 영역을 연구한 학교는 없었으나 11개 영역을 연구한 학교로 경인교대가 해당되었다. 연구방법에서는 경인교대, 부산교대, 청주교대에서 네 가지 연구방법을 모두 사용하였고, 나머지 학교들은 2개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가장 많이 연구된 연구영역은 음악교수?학습방법이며 가장 많이 사용된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의 방법이다. 대다수의 논문들이 교육적 아이디어를 적용하여 지도안을 구안하는 형식을 취하였다. 저조한 연구를 보이는 영역으로는 음악교육역사, 음악교육철학, 음악미학, 음악교육평가의 영역이다. 그리고 역사연구의 방법이 가장 적게 사용된 연구방법이었다. 따라서 초등교육음악계의 발전을 위해서라도 저조한 연구를 보이는 영역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논문들의 흐름을 전체적으로 볼 수 있는 체계적인 분류기준의 정립이 필요하다. 그리고 지속적인 연구를 위해서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자료를 공개적으로 제시하는 각 교육대학교의 교육적 아량이 요구된다. This study makes pandect of master these in the field of the music education of the graduated school in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analyzes them.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understanding the tendency of theses in a master degree according to the national universities, showing useful data to the music education researchers and eventually contributing to internal elementary music education development. This thesis is based on 248 theses of the graduate schools in 11 national universities which were written from August, 2005 to January, 2008. It focuses on the theses trend in each university, using the criteria of the study scope and the study method. The study scopes use 14 areas: history of the music education,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music aesthetics, music psychology, processes of music education, music textbooks, music teaching methods, learning methods, engineering of music education, evaluation of music education, education of music teachers, the special ability of music, Korean classical music, multi-cultural music and other areas. The study method uses 4 kinds: history study, skill study, experiment study and documentary records study. Findings on analysis reveals that Kyengin Education University has published the highest amount of theses. It also shows that there is no university which has a thesis covering the 14 areas. However, Kyengin Education University has the theses which cover 11 areas. Some these of the Education University of Kyengin, Busan and Cheungju use 4 study methods and the others use at least 2 and more study methods. The most popular study scopes are music teaching methods and learning methods and the highest used study method is the documentary records. Most of the these use the study method using educational ideas and making a guidance plan. The least study scopes are history of the music education, philosophy of the music education, music aesthetics and evaluation of the music education. The least study method is history study. All in all, the research of the least study scopes should be progressed for the purpose of the development in the field of the elementary music. It is also essential to set the systematic classified criteria in order to understand the tendency of theses. It is, moreover, required that each university shows broad mind to allow researchers to access useful materials openly.

      • 학사지도(CA) 제도 이용자의 경험에 관한 연구 : 전주대학교를 중심으로

        이혜지 전주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Campus Life Adviser(CA) client have recognized and expericened the CA and to research what and how to improve in it.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CA client, used Focus Group Interview(FGI) method. 14 participants who have used the CA in Jeon-Ju Univ.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2 groups had seven participants. The result of study consists of 6 subjects - Recognition of CA client, Major function of CA which they feel, Motivation of its usage, Positive changes after using the rule, What to improve in the rule and Suggestions on how to invigorate it - including 22 categories 122 concepts.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method, the present study extracted from data based on view point of CA client. By looking through discussion for perception, functions, motivations, changes, problems, vitalization on CA, the experience on CA were summarized. The study has a meaning itself that it can provide basics on approaches to graduate map studies based on experiences of CA client ever. 본 연구의 목적은 학사지도(CA) 이용자들이 학사지도(CA) 제도를 어떻게 인식하고 경험하였는지 탐색하고 그들이 인식하는 문제점과 개선 방안은 어떠한지 알아보는데 있다. 학사지도(CA) 제도 이용자들의 경험을 탐색하기 위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방법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전주대학교의 학사지도(CA) 제도를 이용하고 있는 14명의 이용자를 7명씩 2그룹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는 ‘학사지도(CA) 이용자들의 인식’, ‘이용자들이 느끼는 학사지도(CA)의 주된 기능’, ‘학사지도(CA) 이용계기’, ‘학사지도(CA) 이용 후 나타난 긍정적 변화’, ‘학사지도(CA)이용자들이 바라본 운영의 문제점’, ‘학사지도(CA) 활성화를 위한 학생들의 제언’으로 6개의 주제가 도출 되었으며 22개의 범주와 122개의 개념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활용하여 학사지도(CA) 제도 이용자들의 시각에 근거한 자료를 추출하였고, 학사지도 제도(CA)에 대한 인식, 기능, 이용계기, 이용 후 변화, 운영의 문제점, 활성화를 위한 제언을 살펴봄으로써 학사지도(CA) 제도 이용자의 경험을 탐색해 보았다. 이에 본 연구는 그동안 연구되지 않았던 학사지도(CA) 제도 이용자들의 경험을 연구하여 각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학사지도를 연구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 한국어 초급 교재 문법 목록 비교 연구 :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에 따른 교재를 중심으로

        고아라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grammar list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2017) establish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is reflected in the textbook for beginners of Korean universities. To this end, the grammar items presented in the elementary Korean textbooks at Kyunghee University, Korea University, and Yonsei University were compar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grammar list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2017), and the basic sentences of each textbook were analyzed through the basic sentence patterns presented by Hyeonkyung Yoo et al.(2018). First, this study identified the realization of grammar items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of three universities before and after 2017, when 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was developed. It was confirmed what kind of changes it brought before and after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grammar rating list of 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is partially reflected through two versions in each textbook. First, grammar items that were not presented in previous textbooks were reflected in textbooks after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Second, the grammar items previously presented in different grades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grades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was possible to suggest two points of improvement for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for Korean Language. First, it is the unity of the curriculum and the evaluation institution. Because the curriculum and the evaluation institution are different, educational institutions have no choice but to follow the evaluation standards. Even though the curriculum institution which is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presents an international-level curriculum and present grammar items with reasonable reasons. Therefore, the curriculum and evaluation should be conducted on the same line. Second, providing sentences used in beginner’s textbooks should provided from simple sentences of basic Korean sentences, to complex sentences. It is desirable to recommend in the curriculum so that textbooks could reflect the procedure.

      • 傳統飮食의 觀光商品化 方案에 관한 硏究 : 전주비빔밥을 中心으로

        유경민 全州大學校 國際經營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development of industry and transportation which enables products of a region to spread nationwide. As a result of this and the influence of western food, Our traditional foods are disappearing. We in the Jeon-ju city must try to revive a flavor for traditional food and commercialize regional tourism product. Besides we have to develop the Jeon-ju Bibimbab, we also must Spotlight Native Local food meseums and exposition sites where foreigners experience traditional culture of the ,Jeon-ju. We car expect social and economic effect through commercialiging the Jeon-ju Bibimbab. Methods t o Commercialize Jeon-ju Bibimbab. · Improving and promoting the Jeon-ju Bibimbab. · Supporting and designating the Jeon-ju Bibimbab restaurant. · Developing tourism products connecting the Jeon-ju Bibimbab with sighteeing sites. · Franchising Jeon-.ju Bibimbab. · Publishing coupons of the Jeon-ju Bibimbab. In order to effectirely commercialize the Jeon-ju Bibimbab, we need to need t o make efforts to encourage coopetition between companies, universities and the government.

      • 역사·문화재를 매개로 한 도시재생에 관한 연구 : 전주한옥마을의 지역성을 중심으로

        김준 전주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23

        Although urban regeneration that carried forward for long to urban vitalization plan which city declines progressed in simply spatial and physical regeneration, Jeon-ju Hanok village pushed created urban regeneration successfully, utilizing inherent historical tradition and unique cultural properties. I tried to propose the progress direction of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that local residents are the main agent through strengthening of residents abilities, apprehending and analyzing actual condition of Jeon-ju Hanok village. Therefore in this study first examin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urban regeneration and conservation system of historical and cultural properties in that which is based on these properties, correlation with city and urban regeneration plan through historical and cultural properties. Then I considered case region through literature research, data collection, field study and so on where progressed successful urban regeneration by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properties, apprehended actual and present condition of Jeon-ju Hanok village urban regeneration that pushed Hanok village construction business where history and tradition is fresh preserving and succeeding to originality and static beauty that Hanok have. Decline problem of city recognized as the factor deepen gap between city and country, therefore, Urban regeneration that consider identify and historicity of city became necessary. Range of urban regeneration is about big city and the region physical, environmental, social, economical, historical and cultural decline progresses in local small city. Urban regeneration in historical and cultural aspect preserve and regenerate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of many environmental element, discover intrinsic value of traditional local living culture so reinforce city competitiveness by characteristic place marketing with inspiration pride of resident. Historical and cultural properties preservation system is dualize in large frame. Cultural protection administration appoint area and conduct preservation simply to protect cultural heritage by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Urban planning maintain conservation of traditional area in downtown by appointing use district of law about plan and use of territory to recreate traditional environment as the plan of urban development. While the potential that characteristic value of local culture has is becoming larger in correlation between historical and cultural properties and city, local-characteristic cultural element created through history of each city itself is becoming background of city competitiveness. Therefore necessity of discover and preservation about history and culture each city and country has is coming to the fore, the fundamental element for city vitalization begins from all contents of history and culture inherent in city itself. Under these recognition, promotion plan for sustainable city regeneration of Jeon-ju Hanok village drew through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o create landscape of perimetric obsolete Hanoks common future image of Hanok village have to be considered preferentially through administration and discussion between residents and experts rather than forced execution through reinforcement of regulation. Second, because diffusion of commercial facility could lead deteriora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being the cause of decrease in resident population, and work cavitation phenomenon of Jeon-ju Hanok village in the long term, to maintain identify of Jeon-ju Hanok village active plan preparation for diffusion prevention of non-residential facilities is necessary based agreement for making common future image through administration and discussion between residents and experts. Third, explaining hide stories of Hanok that philosophy of life is inherent rather than only landscape could enhance understanding about Hanok, so examining local characteristics and the value of history and culture newly and reviewing the growth process of city has our lives could make Jeon-ju Hanok village draw continuous interest. Finally, it has to be carried forward in inhabitants initiative village making through continuous intervention of administration and support, strengthening of residents abilities and drawing community participation as operation management main agent of sustainable Jeon-ju Hanok village urban regeneration construction business. Therefore, academic significance of this study could be found in the point that realizing common future image through originality and innovation as urban regeneration plan utilizing historical and cultural properties of Jeon-ju Hanok village area, for establishment of local identify emphasizing excessive diffusion prevention of non-resident facilities, excavation traditional culture contents, participation of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and residents so seeking for development direction of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thinks environment and future. Also it could be utilized to prepare direction of future urban regeneration business. 오랫동안 쇠퇴해가는 구도심 활성화 방안으로 추진되어 왔던 도시재생은 단순히 공간적․물리적 재생으로 진행되어 왔지만 전주한옥마을은 고유한 역사적전통과 독특한 문화재를 보전 활용하여 창의적인 도시재생을 성공적으로 추진하여 왔다. 이러한 전주한옥마을의 실태를 파악하고 특성을 분석하여 주민역량 강화를 통해 지역주민이 주체가 되는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의 추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도시재생의 이론적 고찰과 역사․문화재를 기반으로 하는 도시재생에 있어서 역사․문화재 보전제도, 도시와의 상관관계 그리고 역사․문화재를 통한 도시재생의 전략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후 역사·문화재를 보전 활용하여 성공적인 도시재생을 추진한 지역들을 대상으로 문헌연구, 자료수집, 현장조사 등을 통해 사례지역들을 고찰하였으며 한옥이 지니고 있는 독창성과 정적인 아름다움을 보전 계승하여 역사와 전통이 살아 숨 쉬는 한옥마을 조성사업을 추진한 전주한옥마을 도시재생의 실태와 현황을 파악하고 그 특성과 요인들을 비교 분석하여 전주한옥마을 도시재생의 성과와 과제를 도출하였다. 도시의 쇠퇴문제는 도시와 지역 간 격차를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인식되었고 따라서, 도시의 정체성, 역사성을 고려한 도시재생이 필요하게 되었다. 도시재생의 범위는 대도시와 지방중소도시 내 물리적,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역사․문화적으로 쇠퇴화가 진행되는 지역을 대상으로 한다. 역사․문화적 측면의 도시재생은 도시를 구성하는 많은 환경요소 중 역사․문화유산을 보존 재생하여 도시경관의 정체성을 확보하고 지역의 전통생활문화의 내재가치를 발견하여 주민의 자긍심 고취와 함께 특성 있는 장소마케팅으로 도시경쟁력을 강화한다. 역사․문화재 보존제도는 큰 틀에서 이원화 되어있다. 문화재 보호행정은 문화재보호법에 의해 지구지정 및 보존을 행하여 단순히 문화유산을 보호하자는 것이고, 도시계획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의 용도지역 및 용도지구의 지정을 통해 도심 내 전통지구의 보존을 유지하여 도시개발을 위한 방편으로서 전통적 환경을 재창조 한다는 것이다. 역사․문화재와 도시와의 상관관계에 있어서 지역문화의 고유가치가 지닌 잠재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각 도시의 역사를 통해 생성되어온 장소 특정적 문화요소 자체가 도시경쟁력의 배경이 되어주고 있다. 따라서 각 도시와 지역이 지닌 역사와 문화에 대한 발굴 및 보존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도시 활성화를 위한 기본적 요인이 바로 도시자체에 내재된 역사·문화의 모든 콘텐츠로부터 비롯되고 있다. 이러한 인식하에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해낸 전주한옥마을의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추진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변의 노후화된 한옥들의 경관형성을 위해 규제의 강화를 통한 강제적인 집행보다는 행정과 주민, 전문가들의 협의를 통해 한옥마을의 공통의 미래상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하고 둘째, 상업시설의 확산은 주거환경의 악화로 이어지고 거주인구감소의 원인이 되어 장기적으로는 전주한옥마을 공동화현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므로 전주한옥마을의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 행정과 주민, 전문가들의 협의를 통해 공통의 미래상을 만들어내기 위한 합의를 기반으로 비주거시설 확산방지의 적극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단순한 경관만이 아닌 삶의 철학이 담긴 한옥의 숨은 이야기들을 설명해줌으로써 한옥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장소의 특징과 역사, 문화의 가치를 새롭게 살펴보고 우리의 삶을 담고 있는 도시의 성장과정을 재조명한다면 관광지로서의 전주한옥마을에서 벗어나 지속적인 관심을 끌 수 있는 장소가 될 것이다. 넷째, 행정의 지속적인개입과 지원을 통해 주민역량을 강화하고 주민참여를 이끌어내어 지속가능한 전주한옥마을 도시재생조성사업의 운영·관리 주체로서 주민주도형 마을 만들기로 추진되어야 한다. 따라서 전주한옥마을 지역의 역사·문화재를 활용한 도시재생의 전략으로서 창의성과 혁신을 통한 공통의 미래상을 구현하고, 지역의 정체성확립을 위한 비주거시설의 지나친 확산방지와 전통문화콘텐츠 발굴 그리고 정부와 지자체, 지역주민의 참여를 강조하여 환경과 미래를 생각하는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의 발전방향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향후 도시재생사업의 방향을 마련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판단되는 연구라 할 수 있다 .

      • 전주지역 문화유산 활용 역사교육 방안

        이주수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23

        It has been a long time since the crisis of history education has been raised due to the reality of education focused on entrance examination. Despite the fact that the purpose of history education is to cultivate historical thinking, the current admission system is only forcing uniform history learning centered on memorization. Therefore, local history is draw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to uniform history education. This paper proposes a Korean history instruction plan to expand historical thinking ability through local history learning using cultural heritage of one's own region. Three methods were used for the study: first,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theme of this study were analyzed. Previous studies were analyzed in four types, and in the process, the contradiction between educational reality and policy was found. Second, the cultural heritage of Jeonju was analyzed by category, type, and culture to reflect it in the instruction plan. In additi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Jeonju were derived based on the analysis. Third, to present the problems of the current textbooks, eight kinds of Korean history textbooks were reviewed and the proportion of Jeonju area in Korean history education was analyzed. The contradiction found in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is that while previous studies consistently affirm the effects of local history education using cultural heritage, the policy support has not been realized. Also, as a result of analyzing cultural heritage in Jeonju, it was found that its history is long, and royal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re especially rich. Through this analysis,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Jeonju area were summarized into favor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cultural openness. Also, an analysis of all eight Korean history textbooks in high school raised the problem of poor introduction of cultural heritage and historical description of Jeonju.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is paper proposed a guidance plan for students to learn Korean history through the history and cultural heritage of their own region. This is an attempt to give back the essence of history education to students by utilizing teacher discretion in the classroom before expecting policy chan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and the historical thinking ability from local history to Korean history by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essence of history education is the cultivation of historical thinking ability. The guidance plan presented in this paper is expected to be used frequently in the classroom as an alternative to uniform national history education. However, even if teachers expand their discretion,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admission policy, students can not be free from the constraints of evaluation and teachers will also be passive. In order to return history to students as history, first of all, policy alternatives of local and central governments ar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