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의 통합적 인성함양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유주연(Ryu Joo-yeon),김순환(Kim Soon Hwan) 한국육아지원학회 2015 육아지원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의 삶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개인의 인성과 행복과의 관련성에 근거한 인성함양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교사들에게 적용함으로써 프로그램의 적절성과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목적은 교사가 스스로의 인성을 인식하고, 인성의 함양이 행복의 증진과 연결됨을 이해하며, 통합적 인성에 대한 이해와 실천적 태도를 형성하고, 자신의 인성이 유아교육현장에서 긍정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자기 성찰적 태도를 갖도록 하는 것이었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참여 교사들로부터 선정된 인성덕목인 재치, 정의, 사랑, 존중, 배려였으며, 프로그램의 방식은 소모임 형태로 강연, 토론, 토의, 게임 등이 활용되었다. 본 프로그램의 적용을 위해 I시의 한 유치원 교사 7명을 대상으로 4주간 총 8회의 프로그램을 각 60분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결과, 교사의 인성과 행복감의 전체 점수는 모두 증가하였으며, 교사들은 프로그램의 목표 중 실천적 태도를 형성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This study set out to develop a character cultivation program based on connections between personal character and happiness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lives of teachers participating in character education and to examine the effects and fitness of the program by applying it to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goal of the developed program was to help teachers perceive their own characters, understand that character cultivation was related to the promotion of happiness, form an understanding and practical attitude for an integrated character, and develop a self-reflective attitude to apply their characters to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a positive manner. The program content was comprised of the character virtues selected by the participating teachers, namely wit, justice, love, respect, and consideration. The program took a small group-based approach, making use of lectures, debates, discussions, and games. The eight-session program was implemented with seven teachers from a kindergarten in I City over eight weeks with each session lasting 60 minutes. As a result, the total scores of both teacher character and happiness rose, and the teachers reported positive effects across all the program objectives except for forming a practical attitude.

      • KCI등재

        유아의 놀이행동과 역량지각 및 사회적 수용감 간의 관계

        유주연(Ryu Joo-yeon),엄정애(Ohm Jung ae) 한국육아지원학회 2012 육아지원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만 4, 5세 유아의 연령 및 성별에 따른 놀이행동의 차이와 유아 놀이행동과 역량지 각 및 사회적 수용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4곳의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4세 유아 48명과 만 5세 유아 56명을 대상으로 역량지각 및 사회적 수용 감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들의 담임교사 9명을 대상으로 유아 놀이행동에 관한 질문지를 실시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연령에 따른 놀이행동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만 4세 유아와 만 5세 유아의 놀이행동에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유아의 성별에 따른 놀이행동 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남아와 여아 사이에는 거친 놀이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남아 가 여아보다 거친 놀이 행동을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놀이행동과 역량 지각 및 사회적 수용감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남아의 사회적 놀이와 인지적 역량지각 간의 정적 상관이, 여아의 정적인 혼자놀이와 인지적 역량지각 및 또래 수용감 간의 정적 상관이 나 타났다. 본 연구 의의는 놀이행동에 있어서의 성별의 차이를 밝혀내고 사회적이지 않은 놀이를 하는 유아들에게도 긍정적인 발달적 특성이 나타남을 보여줌으로써, 유아의 성별 및 놀이행동에 적합한 교육적 지원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하는 기초자료를 마련했다는 데에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lay behaviors of 4 or 5 year-old children on the basis of age and sex,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lay behavior, 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acceptance. For this purpose, we have conducted a survey of 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acceptance on 48 four-year-olds and 56 five-year-olds in 4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Furthermore, we've posed a questionnaire of children's play behaviors to their 9 class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the survey for children's play behaviors on the basis of age showed little difference between four-year-olds and five-year-olds.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children’s play behavior based on their gender. It was revealed that boys tended to behave more roughly than girls. Third, the surve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lay behavior, 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acceptance resulted in showing that boy's social play has affirmative relation with cognitive perceived competence and that girl's solitary-passive play has affirmative relation with cognitive perceived competence and peer-group acceptance.

      • KCI등재

        영아교사의 마음 읽어내기와 영아-교사 간정서적 가용성의 양상 및 관계

        유주연 ( Joo Yeon Ryu ),이승연 ( Seung Yeon L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2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마음 읽어내기와 정서적 가용성의 양상 및 관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은 서울ㆍ경기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13개월에서 24개월 사이의 영아 80명과 그들의 담임교사 40명이었으며, 연구도구로는 ‘마음 읽어내기 코딩 매뉴얼 2.1판(Meins & Fernyhough, 2012)’과 ‘정서적 가용성 척도 제 4판, 영유아 버전(Biringen,2008)’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는 영아의 마음과 관련된 적절한 발화를 마음과 관련된 적절하지 않은 발화보다 더 자주 사용하였으며, 영아의 마음을 적절하게 읽는 말과 적절하지 않게 읽는 말 간에는 유의한 관련이 나타나지 않았다. 변인의 측면에서는 영아의 월령, 성별, 교사의 경력, 영아반 경력, 영아 대 교사 비율, 어린이집 유형과 교사의 마음 읽어내기 간에 유의한 관련이 나타났다. 둘째, 영아-교사 간 정서적 가용성은 보통보다 높은 수준이었으며, 변인의 측면에서는 영아의 월령, 어린이집 재원 기간, 영아와 교사가 함께한 기간, 교사의 연령, 자녀유무, 영아 대 교사 비율, 어린이집 유형과 유의한 관련이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마음 읽어내기와 영아-교사 간 정서적 가용성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본 연구는 마음 읽어내기와 정서적 가용성의 개념을 사용하여 영아교사의 인지ㆍ언어ㆍ신체ㆍ정서적인 상호작용에 대한 포괄적이고 다각적인 이해를 제공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spects of infant teachers’ mindmindedness and infant-teacher emotional availability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80 infants (from 13 to 24 month olds) and their 40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instruments used were Meins and Fernyhough’s (2012) Mind-Mindedness Coding Manual Version 2.1 and Biringen’s (2008) Emotional Availability Scales (infancy/early childhood version, 4th edi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fant teachers made more appropriate mind-related comments than non-attuned mind-related comment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kinds of comments. In terms of variables, the infant’s age and gender, the teacher’s whole teaching career and infant teaching career, the infant to teacher ratio, the type of the child care center were related to infant teachers’ mind-mindedness. Second, the level of infant-teacher emotional availability was above average. The infant’s age, the total period that the infant had attended the child care center, the period that the infant had been together with the teacher, the teacher’s age, whether or not the teacher had their own child, the infant to teacher ratio, the type of the child care center were related to emotional availability. Third, mind-mindedness and emotional availabil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each othe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 comprehensive and multidimensional understanding on infant teachers’ cognitive, verbal, physical, and emotional interactions by using the new concepts of mind-mindedness and emotional availability.

      • KCI등재

        밀키트 선택속성이 소비자 만족, 구매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20~30대 1인 가구 밀키트 소비자를 중심으로

        유주연(Joo-Yeon Ryu),강승미(Seungmi Kang),유승철(Seung-Chul Yoo) 한국광고PR실학회 2021 광고PR실학연구 Vol.14 No.3

        20~30대 1인 가구는 ‘혼밥’문화와 더불어 HMR 및 밀키트의 급격한 성장을 주도했다. 특히 최근 코로나19 감염병 사태 이후 20~30대를 중심으로 국내외 밀키트 시장의 수요가 더욱 늘어나는 추세다. 밀키트 시장 규모의 급격한 상승에도 불구하고, 밀키트 관련 선행연구는 밀키트의 상위개념인 HMR 연구에만 집중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밀키트의 주요 소비층이자 트렌드 선도자인 20~30대 1인 가구를 중심으로, 밀키트 선택속성(편리, 가격, 품질, 즐김)이 소비자 만족, 구매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통합적으로 파악하고자 했다. 본 연구를 위해 밀키트 제품 구매 및 이용 경험이 있는 20~30대 1인 가구를 대상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연구결과, 밀키트 선택속성 4가지 중 3가지(편리, 가격, 품질) 속성은 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즐김 속성은 만족에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만족은 구매의도와 추천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만족은 밀키트 선택속성과 구매의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밀키트 제품 연구자 제조업계 및 광고PR 담당자에게 20~30대 1인 가구 소비자 특성과 연관된 기초자료 및 커뮤니케이션 방향성에 대한 함의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As a new consumer market with an increase of about 2.15 million in 2019,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ir 20’s and 30’s in Korea have led to rapid growth in HMR and Meal-Kits by the emergence of new food-related lifestyle trends such as a solo dining trend called “Hon-bap.” Being accelerated by the recent Covid-19 outbreak, the Korean meal-kits market is expected to grow to around 700 billion won by 2024. However, despite this rapid growth of the meal-kits market, the existing studies on meal-kits mainly focus on HMR with the higher concept of meal-kits. Therefore, this study integrates how meal-kits product selection attributes affect satisfaction, purchase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The sampling of this study was conducted on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ir 20’s and 30’s with experience in purchasing and using meal-kits products, and 314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hrough online survey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PLS analysis using SPSS 20.0. The results are as the following: First, the convenience, price, quality properties among meal-kits product selection attributes ha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Second, satisfac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purchase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Third, satisfac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eal-kits product selection attributes and purchase intention. Fourth, satisfac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eal-kits product selection attributes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 KCI등재

        최근 5년간 유아교육관련 학회지에 게재된 질적연구 논문의 동향 분석

        권연정 ( Yeon Jung Kwon ),유주연 ( Joo Yeon Ryu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2

        본 연구는 양적으로 팽창되고 있는 유아교육분야 질적연구물들의 전반적인 연구 경향을 체계적으로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향후 질적연구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2007년부터 2012년 6월까지 유아교육관련 9개의 학회지(『교육과학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아동교육』, 『아동학회지』, 『열린유아교육연구』, 『유아교육연구』, 『유아교육학논집』, 『한국교원교육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이상 가나다순)에 게재된 총 514편의 질적연구 논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질적연구 논문은 2007년에 78편에서 시작하여 2010년까지 해마다 꾸준히 증가하였지만 2011년 이후 소폭 감소하였다가 2012년 다시 증가하였고, 연구주제는 ``교사``, ``교수학습방법``,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의 세 분야에 치중되는 경향이 있었으며, 세부 연구방법상으로는 일반적인 질적연구 방법이 353편(68.7%)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방법에 따른 연구주제를 세부적으로 살펴본 결과에서는 ``교사`` 주제를 연구할 때 가장 다양한 질적연구 방법을 활용하고 있었으며, 연구참여자는 현직교사가 303편(40.2%), 유아가 293편(38.9%)으로 대부분의 질적연구의 초점이 교사 및 유아에게 맞추어져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육분야의 질적연구가 주제, 방법, 참여자에 있어서 보다 다양화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전 연구과정 및 출판에 있어 질적연구와 질적연구자를 지지하는 환경여건이 조성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discern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qualitative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is purpose, 514 qualitative research articl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among the 3,632 articles published in the last 5 years (2007 to June 2012) in nine major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s accredi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Korea Association of Child Care and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A summary of the study notes 1) the number of qualitative research articles per year: 78 articles were published in 2007, 86 in 2008, 99 in 2009, 107 in 2010, 104 in 2011, and 40 in the first half of 2012; 2) the research topics focused on ``teachers``, ``teaching learning methods``, and ``curricula and programs``; 3) in terms of qualitative traditions of inquiry, the most frequently employed category (68.7%) was ``general qualitative research``; 4) research participants mostly comprised teachers (40.2%)` and ``young children (38.9%). These figures suggest that the research topics, methods, and participants of qualitative studie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need to be more diversified. To achieve this, the current supportive circumstances for qualitative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ers should be reinforced.

      • KCI등재

        왜 그들은 ‘술방’을 보는가?: 소셜미디어 음주 일인방송 시청동기와 콘텐츠 태도에 대한 탐색적 연구

        강승미(Seungmi Kang),유주연(Joo-Yeon Ryu),유승철(Seung-Chul Yoo)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60 No.2

        본 연구는 이용과 충족 이론을 바탕으로 술방 시청동기에 대한 탐색적 분석과 시청동기가 술방 콘텐츠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효과 분석을 실시했다. 술방 시청동기에 대한 탐색적 분석 결과, 정보탐색, 음주 생동감, 시간때 우기, 사회적 상호작용, 대리만족, 재미의 여섯 가지 술방 시청동기를 도출했다. 또한, 성별 및 세대에 따라 시청동기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세대에 따른 시청동기의 차이는 유의했다. 정보탐색 시청동기는 30대와 40대와 비해 20대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음주 생동감 시청동기도 40대에 비해 20대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시간때우기 시청동기는 50대에 비해 20대, 30대, 40대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여섯 가지 술방 시청동기가 술방 콘텐츠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효과를 검증한 결과, 술방 시청동기 6개 요인 중 시간때우기, 대리만족 동기를 제외한 나머지 4개 술방 시청동기(정보탐색, 음주 생동감, 사회적 상호작용, 재미)가 술방 콘텐츠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술방 시청동기를 처음으로 분석했으며, 술방 시청동기 중 ‘음주 생동감’ 동기는 기존 먹방 연구에서 발견하지 못한 술방만의 차별적 동기임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초기 연구로서 학술적 함의가 크다. 또한, 술방 콘텐츠 제작 실무와 식품 소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함의를 준다는 점에서 실용적 가치가 크다. Based on the theory of Use and Gratification, this study conduct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Sulbang watching motivation and a research of Sulbang watching effect. Sulbang is defined as a drinking broadcast. The findings identified six factors: information seeking, drinking liveliness, time-passing, social interaction, vicarious satisfaction, and entertainment.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atching motivation by gender. However, three factors, information seeking, drinking liveliness, and time-passing,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atching motivation by generation. In information-seeking motivation, the mean value of 20s respondents was higher than those of 30s and 40s. In drinking liveliness motivation, the mean value of 20s respondents was higher than those of 40s. The mean value of the 50s was lower than those of 20s, 30s, and 40s in time-passing motivation. Also,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content attitude depending on the Sulbang watching motivation. The results showed four Sulbang motivations (information seeking, drinking liveliness, social interaction, and entertainment)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Sulbang content attitude. Research implications are that it presents the first step toward understanding Sulbang watching motivation in an integrated way. Overall, this paper contributes practitioners to build global strategies of Korean food media and discuss youth protection regulations.

      • KCI등재

        영아의 정서조절 유형과 영아-어머니 정서적 가용성의 양상 및 관계

        한영미 ( Han Young Mi ),유주연 ( Ryu Joo Yeon ),이승연 ( Lee Seung Yeo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3

        본 연구는 영아의 정서조절 유형과 영아-어머니 정서적 가용성의 양상 및 관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은 S시와 A시에 거주하는 생후 11-13개월의 영아 30명과 그들의 어머니 30명이었다. 연구도구로는 영아의 정서조절 유형을 알아보기 위해 Martins, Soares, Martins, Tereno와 Osorio(2012)가 사용한 `모양 맞추기 과제(the Shape Sorter Task)`를 변형하여 사용하고, 영아-어머니의 정서적 가용성을 측정하기 위해 Biringen(2008)이 개발한 Emotional Availability Scale(EAS) 4판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의 정서조절 유형의 양상은 과소 정서조절, 적응 정서조절, 과잉 정서조절 순으로, 과소나 적응 정서조절 유형에 비해 과잉 정서조절 유형에 해당하는 영아의 비율이 낮았다. 둘째, 영아-어머니 정서적 가용성은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학력과 영아의 성별 및 출생순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영아의 정서조절 유형에 따라 영아-어머니 정서적 가용성 중 비방해, 참여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영아의 정서조절 유형에 특별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으며, 영아와 그들의 상호작용을 지원하기 위한 성인의 반응적 역할이 필수적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spects of infants` emotion regulation styles and infant-mother emotional availability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0 infants (between 11 and 13 month olds) and their mothers living in S and A cities. As research instruments, a revised version of the Shape Sorter Task developed by Martins, Soares, Martins, Tereno, and Osorio (2012) was utilized in order to identify infants` styles of emotion regulation, and the Emotional Availability Scale (EAS, 4th ed.) developed by Biringen (2008) was used in order to measure emotional availability between infant and mother.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number of infants in each style of emotion regulation, there were under-regulation, adaptive style, and over-regulation in descending order; that is, the ratio of infants in over-regulation was lower than the ratio of those in under-regulation or adaptive style. Second, the level of infant-mother emotional availability was above average, and significant deferences were found depending on mothers` education level and infants` gender and birth order. Third, infants` styles of emotion regulat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maternal nonintrusiveness and infant involvement among the subordinate factors of emotional availability. These results imply that special attention is needed to infants` emotion over-regulation, and adults` responsive role is essential for infants and their interaction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 및 음악적 개념에 대한 실제이해와 음악교수 효능감과의 관계

        최정아(Choi Jeong Ah),권수현(Kwon Su Hyun),유주연(Ryu Joo-yeon) 한국육아지원학회 2014 육아지원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 및 음악적 개념에 대한 실제이해와 음악교수 효능감의 수준을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련성과 영향력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경상남도에 위치한 3, 4년제 대학의 유아교육과 학생 201명이었으며, 연구 도구는 Svengalis(1978)가 개발하고 Philips(2002)가 수정한 ‘음악적 자아개념 척도’, Kim, Lee, Kwon과 Park(2011)이 개발한 '유아교사의 음악적 개념 실제이해 측정 도구’, Riggs와 Enochs(1990)가 개발하고 방은영, 박찬옥(2005)이 수정한 ‘음악교수 효능감 검사도구’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 념과 음악적 개념에 대한 실제이해는 보통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악교수 효능감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 음악적 개념에 대한 실제이해, 음악교수 효능 감은 대체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과 음악적 개념에 대한 실제이해는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교수 효능감 전체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하위요인 중 음악교수 능력에 대한 신념은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이 더 큰 영향력을 미쳤고, 결과에 대한 기대감은 음악적 개념에 대한 실제이해만이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1) examin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self-concept in music, the actual level of understanding of musical content knowledg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and (2)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nd influence among them.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201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colleges in Gyeongnam, Korea. The measure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Self-Concept in Music Scale (SCIM), the scale of Understanding of Musical Content Knowledg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MTEBI).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 score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self-concept in Music and actual understanding of musical content knowledge were about the average, besides their music teaching efficacy was higher than the average. Second,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self-concept in music and music teaching efficacy, and the actual level of understanding of musical content knowledge. Third,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music teaching efficacy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elf-concept in music and the actual level of understanding of musical content knowledge. Among the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music teaching efficacy, 'the belief of music teaching ability' and 'the expectation of the results', pre-service teachers’ self-concept in music had more influence on 'the beliefs of music teaching ability' and actual understanding of musical content knowledge was the only influential factor on 'the expectation of the results'.

      • KCI등재

        국내외 ‘영아’ 관련 연구물의 최근 동향 분석 : 2000년~2013년 발간 논문을 대상으로

        이승연,권수현,권연정,김언경,나영이,유주연,최정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5 교육과학연구 Vol.4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search trends in infant research published from 2000 to 2013, in order to understand overall aspects in research topics, methods, and subjects in infant research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infant research. A total of 2916 journal articles and theses/dissertations, both domestic and foreign,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14 year period, 737 domestic articles, 634 domestic theses/ dissertations, 1242 foreign articles, and 303 foreign dissertations on infant research were published, and there was a steady increase in the number of articles and theses/dissertations over the years. Second, in terms of research topics, different patterns were found between the domestic ones and the foreign ones; the topic of “education and teachers” in the domestic ones and “development” in the foreign ones occurred most frequently. Third,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the domestic ones employed “survey” the most, and the foreign ones employed “experiment” the most among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hen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methods and topics, the foreign ones showed clear matches between topics and research methods, while the domestic ones preferred “survey” regardless of the topics. Fourth, in terms of subjects/participants, “infants” were the most researched in both the domestic ones and the foreign ones, followed by “parent” and “teachers.” Among the infants, the domestic ones focused on 25~36-month olds the most, while the foreign ones focused most on 0~12-month olds. In addition, in all types of infant research, there were more single subject studies than multiple subject o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