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림책 함께 보기에서 활용하는 매체에 따른 만 2세반 영아의 언어발달, 주의집중도, 그림책에 대한 태도 비교

        권연정,이승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3 교육과학연구 Vol.44 No.4

        본 연구는 교사와 만 2세반 영아들의 그림책 함께 보기 상황에서 활용하는 매체(그림책/그림책과 전자동화 병행/전자동화)에 따라 언어발달(수용언어, 표현언어), 주의집중도, 그림책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2세반 3학급의 영아 29명(34-45개월)과 담임교사 3명이었다. 연구절차는 사전검사, 5주간의 실험처치, 사후검사로 진행되었고, 자료분석을 위해 공분산분석과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그림책을 함께 본 집단과 그림책과 전자동화를 병행하여 함께 본 집단에서 수용언어, 표현언어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어 언어능력 발달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둘째, 그림책 함께 보기에서 활용하는 매체의 종류에 따라서는 주의집중도 변화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그림책에 대한 태도는 그림책과 전자동화를 병행하여 사용한 집단에서 가장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oddlers’ language development (receptive and expressive), degrees of attention, and attitudes toward picture books when they read together with their teachers using different instructional media (picture books only / picture books and electronic books / electronic books only) for a five-week period.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9 toddlers (34-45 months old) and their head teachers belonging to three two-year-old classrooms in a childcare center in Seoul.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use of picture books only and the use of both types of books (picture + electronic) proved to be effective in toddlers’ language development. Seco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toddlers’ degree of attention depending on the instructional media used. Third, in terms of the toddlers’ attitudes toward picture books, the group using both types of books (picture + electronic) demonstrated greater improvement than the other group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계획된 우연기술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진로포부수준의 매개효과

        권연정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9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1 No.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planned happenstance skill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spiration levels, investigating whether career aspiration level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the two skills. For this purpose, the subjects were 227 students attending a college which offers three-year degree program, with a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lanned happenstance skill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fluenced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eco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ffected the career aspiration level. Specifically among the sub-factors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the higher the level of curiosity, patience, optimism and risk-taking ability, the higher the level of career aspiration level. Third, the level of career aspiration had an impact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among the sub-factors of career aspiration level, the higher the achievement aspiration and education aspiration, the higher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ourth, the career aspiration level partially mediated between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provide implications for career counseling and program development for pre- 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y clarifying the main variable affecting their career self-efficacy.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계획된 우연기술,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포부수준의 관계를 확인하고, 계획된 우연기술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진로포부수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년제 전문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중인 22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계획된 우연기술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계획된 우연기술은 진로포부수준에 영향을 미쳤으며, 계획된 우연기술의 하위요인 중 호기심, 인내심, 낙관성, 위험감수 능력이 높을수록 진로포부수준이 높았다. 셋째, 진로포부수준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쳤으며, 진로포부수준의 하위요인 중 성취포부, 교육포부가 높을수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높았다. 넷째, 계획된 우연기술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포부수준은 부분매개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진로 변인을 밝힘으로써 예비유아교사의 진로상담 및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육 실행능력 간의 관계: 다문화교육 인식 매개 효과

        권연정,이미화,송나리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육 실행능력 간의 관계:다문화교육 인식 매개 효과권 연 정*ㆍ이 미 화**ㆍ송 나 리*** 요약: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이 다문화교육 실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인식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사립유치원 교사 221명을 대상으로 설문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빈도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 회귀분석, Sobel-test 방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 다문화교육 실행능력, 다문화교육 인식 모두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육 실행능력 간의 관계에서 다문화교육 인식을 매개로 하였을 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준비 정도를 예측하고 나아가 유아 다문화교육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할 것으로 기대한다. 핵심어: 다문화감수성, 다문화교육 실행능력, 다문화교육 인식, 유아교사, 매개효과 □ 접수일: 2022년 3월 8일, 수정일: 2022년 3월 25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주저자, 성신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박사과정(First Author, Doctoral Course, Sungshin Women’s Univ., Email: kyj9778@naver.com)** 공동저자, 성신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박사과정(Co-author, Doctoral Course, Sungshin Women’s Univ., Email: zzxx1109@naver.com)*** 교신저자, 성신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강사(Corresponding Author, Lecturer, Sungshin Women’s Univ., Email: nari0148@hanmail.ne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Ability to Practice MulticulturalEducation: The Mediation Eff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PerceptionYeonjung Kwon, Mihwa Lee, & Nari Song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effect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on multicultural education execution ability. To this end,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221 teachers i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an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of Pearson,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test method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al education execution abilit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perception all had a positive correl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execution abi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significant effect and a partial mediating effect when multicultural education awareness was mediated.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will predict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nd further seek directions to actively cope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for infants. Key Words: Multi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al Education Executive Ability, Multicultural Education Perception, Early Childhood Teacher, Mediating Effect

      • KCI등재

        실시간 원격수업에서 집단유형에 따른 협력학습이 예비유아교사의 논리적 사고력,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

        권연정(Kwon, Yeon-J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1 한국영유아보육학 Vol.- No.131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해 실행된 실시간 원격수업에서 집단유형에 따른 협력학습이 예비유아교사의 논리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D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40명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실시간 원격수업에서 집단유형에 따른 협력학습이 예비유아교사의 논리적 사고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 결과,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룹기반보다는 짝 기반으로 진행된 협력학습이 예비유아교사의 논리적 사고력을 더 크게 향상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둘째, 실시간 원격수업에서 집단유형에 따른 협력학습이 예비유아교사의 비판적 사고성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 결과,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즉, 실시간 원격수업에서는 집단유형에 따른 협력학습이 예비유아교사의 비판적 사고성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확대될 비대면 학습환경에서 실행되는 소집단 협력학습의 효과적인 교수학습 전략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according to group type (group vs. pairs) on the logical thinking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enden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real-time video classes conducted due to the COVID-19. To this end,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with 4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four-year university located in D city.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5.0 program to conduct ANCOVA.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operative learning according to group type in real-time video classes affects the logical thinking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u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Cooperative learning conducted in pairs rather than group-based significantly improved the logical thinking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egree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depending on the group type. In other words, in real-time video classes, cooperative learning according to group type did not affect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preparation of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small-group cooperative learning implemented in a non-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 that will be expanded after the COVID-19.

      • KCI등재

        만 2세반 영아의 스마트기기 이용에 대한 어머니들의 인식

        권연정(Kwon, yeon jung) 한국육아지원학회 2014 육아지원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서울 소재 어린이집 만 2세반에 재원중인 자녀를 둔 18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가정에서 실제적으로 영아들이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무엇을 어떻게 어디서 얼마나 이용하고 있는지와 발달수 준에 따른 스마트기기 이용특성 및 영아에게 스마트기기를 이용하게 하는 이유에 대하여 면담을 통해 심층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들은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주로 동 영상 시청을 하였고, 스마트기기 자체 기능과 유아용 어플리케이션도 이용하고 있었다. 둘째, 가정에서 영아는 주중(30~1시간 이내)보다 주말에 이용시간이 길고, 가정 이외의 장소에서 더 오랫동안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였다. 셋째, 영아가 12개월 전후시기에는 스마트기기를 새로운 '놀잇감' 또는 전화기로 인식하고 탐색 위주의 활동을 하며, 24개월 이후에는 스마트기기를 주도적으로 조작하면서 조작 기능 을 빠르게 습득해갔다. 넷째, 어머니들이 영아에게 스마트기기를 사용하게 하는 이유는 스마트기기를 베이비시터, 상호작용, 행동 보상, 소란을 잠재우는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바람직한 스마트기기 이용습관 형성을 위한 부모 및 교사 지침 제공과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필요 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mothers' perceptions on their two-year-old children's smart device (e.g., smartphone, tablet PC) use at home. In specific, 1) What are the toddlers doing with smart devices? 2) Where and how long are the toddlers using smart devices? 3)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smart device use according to the toddlers' developmental stages? 4) Why do the mothers let their toddlers use smart devices? The participants were 18 mothers of toddlers, who were attending two-year-old classrooms in childcare centers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mothers (1 time, for 40-120 minutes per mo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oddlers used smart devices mainly for watching videos, and then for utilizing built-in functions of the devices and applications for young children. Second, the toddlers used smart devices longer at weekends (1 hour above) than during week days (30~1 hour) and used them more outside the home than at home. Third, around 12 months of age, the toddlers showed a tendency to recognize smart devices as a new toy or telephone and mainly focused on exploring smart devices. When reaching 24 months of age, the toddlers were able to navigate smart devices independently and to learn the functions of smart devices quickly. Fourth, the mothers used smart devices as a means of babysitting, interaction, rewards, and keeping the toddlers quiet. The finding of this research could contribute to providing guidelines for parents and teachers and developing parent education programs on forming desirable habits for using smart device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

        권연정(Kwon Yeon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3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전공만족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포부의 관계를 확인하고, 전공만족도와 진로포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년제 전문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222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2018년 11월 5일부터 12월 4일까지 설문조사를 수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문제별로 Pearson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전공만족도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하위변인인 일반만족도가 높을수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전공만족도는 진로포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일반만족이 높을수록 진로포부의 하위요인 중 성취포부, 교육포부가 향상되었으며, 교과만족이 높을수록 교육포부 또한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포부에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 변인인 미래계획은 성취포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문제해결은 리더십포부에, 목표선택은 교육포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예비유아교사의 전공만족도가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진로포부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적, 내재적 요인을 밝힘으로써 대학생활 중 경험하게 되는 예비유아교사의 전공에 대한 주관적 시각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대학생활의 적응과 학업 및 진로에 대한 교육적 지원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spiration, investigating whethe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level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the two factors. For this purpose, the subjects were 222 students attending a college which offers three-year degree program, with a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jor satisfac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fluenced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pecifically among the sub-factors of major satisfaction, the higher the level of general satisfaction, the higher the level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level. Second, major satisfac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ffected the career aspiration. Specifically among the sub-factors of major satisfaction, the higher the level of general satisfaction, the higher the level of achievement aspiration and education aspiration. Furthermore the higher the level of curriculum satisfaction,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 aspiration. Third,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n impact on the career aspiration. Specifically, the making plans for the future which is a sub-factor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chievement aspiration, problem solving affected leadership aspiration, and goal sele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ducation aspiration. Fourth,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d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the career aspirati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provide implications for career counseling and program development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y clarifying the main variable affecting their career aspiration.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인권감수성과 공감능력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권연정(Kwon, Yeon-Jung)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0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인권감수성과 공감능력 및 다문화수용성의 수준을 알아보고, 인권감수성과 공감능력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전라북도에 위치한 J전문대학 3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230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문제별로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적률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 인권감수성, 다문화수용성 수준의 정도는 보통 이상을 나타내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일반적 특성(학년, 다문화교육경험)에 따른 인권감수성, 공감능력, 다문화수용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다문화수용성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인권감수성, 공감능력, 다문화수용성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공감능력은 인권감수성 및 다문화수용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넷째,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은 다문화수용성에 유의한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예비유아교사가 향후 다문화교육의 실행에서 중추적 역할을 수행할수 있도록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내재적 변인을 파악하여 교원양성 교육과정의보완과 다문화 교육적 지원책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evel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empathy,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verify the impact of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empathy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30 students enrolled in the three-year teacher preparation program at J college located in Jeollabuk-do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OVA, th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empathy, human rights sensibility,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the participants was above averag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human rights sensitivity, empathy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the students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year and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s), only multicultural acceptabilit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screpancy. Third, the results of correlations among human rights sensitivity, empathy,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that empath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Fourth, a factor affecting the participa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was their empathy. Th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that can support teacher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 KCI등재

        유아교사를 위한 액션러닝 기반 미디어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권연정(Kwon, Yeon-Jung),이승연(Lee, Seung Yeo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6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미디어교육에 대한 중요성 인식과 교수역량 증진을 위해 ‘유아교사를 위한 액션 러닝 기반 미디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평가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미디어교육, 유아 미디어교육, 액션러닝 교육방법에 관한 문헌연구와 예비연구를 통해 프로그램 시안을 구성하고, 내용의 타당성과 실현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전문가 검토를 거쳤다. 이를 통해 수정․보완된 프로그램 시안은 6명의 유치원교사와 러닝코치(연구자)로 구성된 소규모 학습 팀에서 적용 및 평가되었다. 프로그램 차시별 활동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여 내용 및 운영상의 문제점을 도출하였고, 프로그램 총괄평가의 결과를 종합하여 최종 프로그램 개발에 반영하였다. 개발된 최종 프로그램은 총 7차시로 구성하며, 현직 유아교사의 실정을 반영하여 오프라인 모임 횟수를 줄이고 온라인 커뮤니티를 보완적으로 활용하도록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1~3차시에는 기본적인 유아 미디어 교육에 대한 교과지식의 이해를 위해 강의 및 토론 중심으로 학습이 이루어지며, 4~7차시에는 액션러닝 교육방법의 7단계 과정을 적용하여 학습 팀이 교육현장의 실제 과제를 선정․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n action learning-based media educ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in order to increase their perspectives on the importance of media education and promote their teaching competence in media education. After extensive literature review on media education, early childhood media education, and action learning, pilot studies were implemented to draw up a draft of the program; the draft was modifi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expert review to improve its content validity and feasibility. Next, it was tried out and evaluated in a small learning team, which consisted of six kindergarten teachers and a learning coach (one of the researchers). The materials used in each session were gather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problems in the content or management of the program draft; the results of a summative evaluation were also reflected to finalize the program. The finalized program consists of seven sessions; the frequency of offline gathering declined while activities in online community increased. To be specific, the first to third sessions are mainly composed of lectures and discussions in order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understand basic subject knowledge on early childhood media education; in the forth to seventh sessions, learning takes place while the learning team(s) selects a real task of early childhood media education in practice and resolves it according to the seven stages of action learning.

      • 유치원 학교현장실습의 개선 방안 탐색

        권연정(Yeon-Jung Kwon) 공주교육대학교 글로벌인재교육센터 2023 교육실습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 실행되는 학교현장실습의 제도, 과정 및 단계, 내용 등의 현황을 살펴보고, 그 운영의 한계와 문제점을 통해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유치원 학교현장실습 제도, 실행과 관련된 국내외 문헌과 외국의 교사교육제도, 교사평가제도에 관한 자료를 바탕으로 문헌 연구를 실시하였다. 문헌 분석 결과, 상대적으로 짧은 학교현장실습의 기간, 실습의 질관리의 어려움, 실습 운영의 비체계성, 교육과정과 현장실습과의 미흡한 연계성, 제한된 교사 역할 학습 등이 유치원 학교현장실습의 문제와 한계로 도출되었다. 따라서 유치원 학교현장실습 제도의 개선을 위해서는 첫째, 교사양성과정에서 장시간의 학교현장 실습과 이에 따른 학점의 확대가 요구되며, 국내 뿐 아니라 국제교육실습, 인턴십 등 다양한 현장실습 제도의 운영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체계적인 학교현장실습 실행을 위해 예비교사 역량의 국가적 표준 기준 정립, 표준화된 실습 지침 개발, 전공교과가 학교현장과 연계될 수 있는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셋째, 질 높은 실습 경험을 제공하고 수업전문성을 향상시키려면 학교현장실습의 표준화된 평가체계의 확립이 필요하다. 이러한 유치원 학교현장실습 제도의 개선 방안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교원양성대학, 실습 유치원, 교육청 등 각 실습주체들의 긴밀한 협력이 선행되어야 하며, 교원양성대학 내의 교육실습지원센터(Practicum center)의 구축을 통해 중장기적으로 다양한 유형과 단계의 학교현장실습을 체계적으로 관리, 운영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system, process, stages, and contents of teaching practicum in kindergartens, an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through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its operation. To this end, a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data on teaching practicum system,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related to practice, and foreign teacher education system and teacher evaluation system. As a result of literature analysis,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eaching practicum at kindergarten was derived such as the relatively short period of field practice, difficulty in managing the quality of teaching practicum, unsystematic operation, insufficient linkage between curriculum and teaching practicum, and limited teacher role learning, etc.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teaching practicum system, first, long-term teaching practicum and corresponding credit expansion are required in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operation of various teaching practicum systems such as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ent teaching and internship there is. Second,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standards for pre-service teacher competency, th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teaching practicum guidelines, and the development of a curriculum that can link major subjects with school sites for systematic implementation of field practice.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tandardized evaluation system for teaching practicum in order to provide high-quality teaching practicum experience and improve instructional expertise. In order to realize such an improvement plan for teaching practicum system, close cooperation between each practice subject, such as teacher training colleges, kindergartens, and education offices, should be preceded. Teaching practicum of various types and stages should be systematically managed and operated in the mid to long-term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practicum center within the colle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