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견고 구외 골신장술을 이용한 구순구개열 환아의 치험례 : CASE REPORT

        유난영,박호원,,김성민,이주현,서현우 大韓小兒齒科學會 2005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2 No.4

        구순구개열 환자에서는 이른 시기에 시행된 수술로 인한 구순이나 구개부의 반흔 형성으로 섭식장애나 발음장애를 동반한 상악의 열성장이 나타나게 된다. 때로는 집중적인 교정치료 후에도 심한 상악골 저형성증을 보이며, 이러한 경우 성장이 완료된 후에 골이식을 동반한 악교정 수술로 상악골을 전방이동시켜 안모의 개선을 도모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상악골의 전방이동은 연조직의 과도한 신장으로 인한 술후회귀현상, 추가적인 골이식이 필요하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골신장술은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는 최신 치료방법으로 구순구개열 환자, 두개골 융합증을 나타내는 환자 등에서 상악골을 포함한 두개 안면골의 개선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구외장치를 이용하는 골신장술은 골신장기간 중에 견인 방향의 조절이 보다 쉬우며, 충분한 양의 골신장이 가능하여 보다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증례는 상악 열성장을 보이는 구순구개열 6세 7개월의 여자 환아로, 변형된 구내 프로씨 1형 골전단술(modified Le Fort I osteotomy) 후 두개골을 고정원으로 이용하는 견고 구외 골신장술을 통해 상악골을 전진시켜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Patients with cleft lip and palate present severe maxillary hypoplasia due to scar of lip and palate, often accompanied by compromised mastication, speech abnormalities. Sometimes maxillary hypoplasia persist even though active orthodontic treatment was done. In theses cases, patients born with cleft lip and palate will be potential candidates for maxillary advancement with bone grafting after growth to correct the functional deformities and improve aesthetic facial proportions. But, maxillary advancement using standarf surgical approaches has several limitations: increased relapse tendency after maxillary advancement, necessity of additional bone graft and mandibular setback surgery. Distraction osteogenesis is current treatment modality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us has become popular for treatment of maxillary hypoplasia associated cleft lip and palate, craniosyntosis. Especoally, rigid external distraction, contrary to internal device, has adbantages; better vector control of osteotomized segment, effective traction of the bony segments, the ease of the application and removal the distraction device. This study showed that relatively successful result could be generated by using rigid external distraction osteogenesis(RED) in the case of cleft lip and palate with severe maxillary hypoplasia, 6 years 7 months old.

      • KCI등재

        한부모가족 아동 대상 예술치료 연구동향

        유난영,김서현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22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art therapy for single-parent families by analyzing a total of 109 papers, including 76 master's and doctoral theses published in Korea and 33 KCI-accredited academic paper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following six categories were investigated in this paper. The research results are art therapy by year, structured environment, research topic, research topic, research method, and treatment method. First, the research on art therapy for children from single-parent families started with 2 master's articles in 2002 and was expanded to 74 master's articles, 2 doctoral articles, and 33 academic theses by December 2021. Second, the study subjects were mainly school-age children whose mothers were the caregivers, and the main factor in single-parent families was divorce. Third, the research topics were mainly focused on identity development, communication and problem improvement. Fourth, most of the research methods applied qualitative research, and the ratio of single target art therapy was high in the research design for each area of ​​art therapy. Fifth, art therapy intervention showed the highest among art therapy methods. Sixth, the structured environment was 'within 3 months', 'twice a week', '40-60 minutes treatment time', '11-15 sessions', and 'group therapy' in order. This thesis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presenting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rt therapy programs for children of single-parent families through research trend analysis and further suggesting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석・박사 학위논문 76편과 등재지・등재후보지 33편, 총 109편의 논문들을 분석하여 한부모가족 아동의 예술치료 연구 동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의 분석 틀에 근거하여 연도별, 연구 대상, 연구주제, 연구 방법, 매체별 예술치료, 중재 환경을 바탕으로 논의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첫째, 한부모가족 아동의 예술치료에 대한 연구는 2002년 석사학위 논문 2편을 시작으로 2021년 12월까지 발표된 석사학위 논문 74편, 박사학위 논문 2편, 학술지 논문 33편으로 연구가 증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연구 대상은 학령기 아동으로 대부분 모(母)가 주 양육자였으며, 한부모 요인으로는 이혼이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주제는 자아 성장, 의사소통 및 문제 개선이 주를 이루었다. 넷째, 연구 방법으로는 질적연구를 적용한 연구가 많았으며, 예술치료 영역별 연구 설계는 단일 대상 미술치료의 비중이 높았다. 다섯째, 매체별 예술치료는 미술치료 개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중재 환경으로는 3개월 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주 2회 시행, 치료 시간은 40~60분, 치료 회기는 11~15회기, 치료 형태는 집단치료가 주를 이루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한부모가족의 아동 예술치료의 동향 분석을 통해 한부모가족 아동 대상 예술치료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으며, 더 나아가 개발 방향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COVID-19를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스트레스 인식유형

        유난영(Nan-Young Yoo),김영숙(Young-Sook Kim) 한국발달장애학회 2021 발달장애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Q 방법론을 적용하여 COVID-19를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스트레스 인식유형과 특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장에서 활동 중인 미술치료사를 대상으로 문헌분석과 심층 면담을 통해 40개의 진술문을 선정하였다. Q 분류는 미술치료사 30명을 P 표본으로 하여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Q 표본을 11점 분포도상에 강제 분포하도록 한 후 QUANL Program을 활용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총 4가지 유형이 도출되었으며. 유형 1은 ‘위기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적응형’, 유형2는 ‘변화된 치료환경을 불편해하는 안주 불안형’, 유형 3은 ‘안전한 치료를 위한 자기 돌봄형’, 유형 4는 ‘치료 효과를 위한 소통 중시형’으로 나타났다. 유형별 특성은 유형 1은 COVID-19 거리두기 상황에서 온라인과 같은 새로운 치료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적용하고 있으며, 유형 2는 거리두기와 같은 변화된 환경적 요인으로 상담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치료사로서 직업적 위기감을 느끼지만 주어진 환경을 극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 3은 위기 상황에서 치료의 필요성을 느끼지만, 안전한 상담을 위해 위생관리를 무엇보다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유형 4는 상담에서의 상호작용이 내담자의 심리적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여 내담자와의 소통에 중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COVID-19를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주관적 스트레스 유형과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는 추후 유사한 감염병 유행 상황에서 미술치료사가 스트레스에 대비할 수 있는 다양한 개입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ess percept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art therapists who experienced COVID-19 by applying the Q methodology. Therefore, in this study, 40 statements were se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art therapists working in the field and literature analysis. Q classification was performed using 30 art therapists as P sample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QUANL program after forcing Q samples to be distributed on an 11-point distribution map. A total of four types were derived from the analysis. Type 1 is adaptive type that can respond flexibly to crisis situations , type 2 is anxiety-anxiety type uncomfortable in a changed treatment environment , type 3 is self-care for safe treatment , type 4 is therapeutic effect , respectively.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e, in the COVID-19 separation situation, Type 1 is actively using and applying a new treatment space such as online, and Type 2 is a therapist and a professional therapist. It seems that you are overcoming the given environment. Type 3 patients feel the need for treatment in a crisis situation, but they value hygiene management above all else for safe counseling. The focus is on communica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ubjective stress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art therapists who experienced COVID-19 were identifie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a basis for finding various interventions that can help art therapists prepare for stress in a similar epidemic situation in the future.

      • 이혼가정 미술치료 연구 동향 분석 - 2017년~2021년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

        유난영(Nan-Young Yoo),김서현(Seo-Hyun Kim) 아시아상담코칭학회 2022 Asia Counseling and Coaching Review Vol.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017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이혼가정 미술치료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 학술지와 학위 논문 총 22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분석 틀에 근거하여 연도별, 연구 대상별, 연구 주제별, 연구 방법별, 중재 환경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2017년에 미술치료 연구가 40.9%로 2016년까지의 연구에 비해 높은 비율을 보였다. 둘째, 연구 대상은 아동이 81%, 주 양육자는 부(父), 이혼 후 기간은 5년 이상 6년 이하인 31.8%로 높았다. 셋째, 연구 주제는 심리 및 정서 관련 연구가 37.1%로 많았다. 넷째, 연구 방법은 사례연구가 95.5%, 측정 도구는 정서 및 행동을 평가하는 척도 검사가 33.3%, 투사검사는 집·나무·사람(HTP)이 10.4%의 비율로 사용되었다. 다섯째, 중재 환경은 치료 기간이 6개월 이상 12개월 미만, 주 1회, 진행 시간은 40분 이상 60분 이하, 치료 회기는 16회기 이상 20회기 이하, 치료 형태는 개인 치료가 59.1%로 가장 많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이루어질 이혼가정을 위한 미술치료 연구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nd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art therapy for divorced families published in Korea from 2017 to 2021. A total of 22 domest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and the discussions were addressed following by year, subject, topic, method, and intervention environment which were based on the analysis framework. The result of the analysis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es on art therapy in 2017 was 40.9%, which was higher than those in 2016. Second, the objects of the analysis were children (81%), the main nurturer was his or her father, and the period of divorce was high (31.8%) over 5 and below 6 years. Third, the subjects relating to psychological and emotional research was 37.1%. Fourth, the case studies was 95.5% for research method, the scale tests which values emotion and behaviors was 33.3% for evaluation tool, and HTP(House-Tree-Person Test was 10.4% for projection test. Finally, as for the intervention environment, the treatment period was over 6 under 12months, once a week, the duration time over 40mins under 60mins, the sessions over 16 under 20 sessions, and the individual treatment was the highest (59.1%) for therapy method. Based on this analysis, this paper anticipate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of art therapy for divorced families.

      • KCI등재
      • KCI등재

        성장 심리치료자들의 특성에 관한 연구치료 업무의 경험과 치료 회기에서 느끼는 감정, 성장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중심으로

        주은선,유난영 한국상담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18 No.3

        This study is a part of the “International Study of Development of Psychotherapists” (Orlinsky & Ronnestad, 2005). Using CCQKorea/04 of 166 Korean psychotherapists, this stud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therapists who report their perceived professional development as being in “growth” with therapists who are in either “mid-growth” or “deterioration” state. The main research questions are: 1) How different are the therapists in perceived “growth” group from therapists in “mid-growth” or “deterioration” groups in their “general therapeutic practice”?; 2) How different are the therapists in perceived “growth” from therapists in “mid-growth” or “deterioration” groups in their “in-session feelings?; 3) What are the variables influencing perceived “growth”?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education and training of the psychotherapist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심리치료자들의 성장을 위한 국제합동연구 (CRN: ISDP)의 한 부분으로서 현재 자신들이 전문적으로 성장하고 있다고 보고한 치료자들의 특성을 알아보고자하는 연구이다. 공통핵심질문지 (CCQ) 한국2004년도판을 사용하여 166명의 한국 심리치료자들을 대상으로 현재 자신들이 전문적으로 향상하고 있다고 느끼는지, 퇴보하고 있다고 느끼는지의 정도를 바탕으로 “성장 집단”과 “중간성장 집단”, “퇴보집단”으로 나누었다. 연구문제는 1) “성장 치료자들은 전반적인 치료업무의 경험이 다른 집단의 치료자들과 비교하여 어떻게 다른가?”; 2) “성장 치료자들은 치료회기 내에서의 느끼는 감정이 다른 집단의 치료자들과 비교하여 어떻게 다른가?”; 3) “성장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무엇인가?” 주요 결과는 성장 집단은 중간성장과 퇴보집단에 비해 전반적인 상담업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경험을 하고, 치료 장면 내에서 프로우 (flow)를 느끼며 불안은 매우 낮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본주의 치료”와 “절충적/통합적 치료 방법”에 근거하여 치료를 하는 치료자들이 전문적으로 성장한다고 보고한다는 것이다. 결과를 바탕으로 심리치료자들의 교육과 수퍼비젼에 대한 다양한 방안들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만성 신장질환자의 혈액투석 중 부작용에 대한 일반투석과 profiling 투석법의 비교

        강해숙,강현주,강의정,유난영,김아름,공진화,양영옥 병원간호사회 2007 임상간호연구 Vol.13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dverse reactions during hemodialysis with gradient ultrafiltration and high sodium dialysate could be reduced as compared to conventional hemodialysis. Method: Thirteen outpatients who had been on hemodialysis three times in a week for more than 6 months were recruited. he data were collected for 8 weeks from July 3 through August 26, 2006. Patients received conventional hemodialysis for the first four weeks, and then received profiling dialysis of gradient ultrafiltration & high sodium dialysate for the second four week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mean, standard deviation, paired t-test at significant level of .05. Result: The incident frequency of hypotension during sodium profiling hemodialysis was reduced, compared to conventional hemodialysis(t=1.210, p=.020). At the same time, the number of nursing interventions during sodium profiling hemodialysis was reduced significantly. Although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sured after profiling hemodialysis and conventional hemodialysi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levels of systolic and diastolic BP were increased and concentration level of sodium was increased from 138.0±2.2mEq/L in conventional hemodialysis(the first four weeks) to 140±2.9mEq/L in profiling hemodialysis(the second four weeks) with t=-1.627, p=.114. Conclusion: Due to the reduced number of adverse reactions and nursing interventions in profiling hemodialysis, we can expect an increase in patient's compliance toward hemodialysis. This study suggest that profiling hemodialysis would be more efficient hemodialysis and more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s in occurrence of adverse reactions. However, because of the limited number of cases of this study, the effectiveness of profiling hemodialysis is yet to be determined.

      • KCI등재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의 조절효과

        이응택(Lee, Eungtaek),유난영(Yoo, Nanyoung),주현주(Chu, Hyunju),임승희(Lim, Seunghu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한국청소년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청소년기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의 조절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회적 관계는 부모관계, 친구관계, 교사관계, 주변관계로 정의하였으며 각 관계 수준에 따라 피해경험이 가해경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 9월에서 10월까지 김포시에 소재한 초등학생 803명, 중학생 1.116명, 고등학생 597명 총 2,5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부모관계는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나 피해경험이 많더라도 부모관계가 좋은 집단은 가해경험이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에서 친구관계는 조절효과를 보였으나 친구관계가 좋은 집단은 피해경험이 많을수록 오히려 가해경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의 관계에서 교사관계는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에서 주변관계는 조절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피해경험이 많더라도 주변관계가 좋은 집단은 가해경험이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부모관계와 주변관계는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의 관계에서 완충효과를 지니며 친구관계는 악화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피해경험에서 가해경험으로의 발전 예방을 위한 부모와 주변관계 역할의 중요성을 제시하였고 친구관계에 대한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relationship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victimization and bullying experience.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2,156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Gimpo city were recruited as subjects. The data collected was then analyzed by means of the SPSS 18.0 statistics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ents, friends and surrounding relationships exhibite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victimization and bullying experience. Second,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did not exhibit any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victimization and bullying experie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arents and surrounding relationships appeared to have a protective function in terms of buffering the negative effects of school victimization experience on school bullying experience. However, relationships with friends appeared to have an aggravating effect. The findings were discussed within the context of creating intervention plans aimed at preventing school violence.

      • KCI등재

        청소년의 전학경험과 학교생활부적응의 관계에서우울·불안의 매개효과

        이응택(Eung Taek Lee),주현주(Hyun Ju Chu),유난영(Nan Young Yoo)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14 청소년 문화포럼 Vol.- No.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differences in depression·anxiety and school maladjustment according to school transferring experience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anxiety in the relations between school transferring experience and school maladjustment. The subjects consisted of 2,516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Gim p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ransferred students showed higher level in school maladjustment and depression·anxiety. Secondly, School transferring experience did not affect by school maladjustment, however, school transferring experience affected depression·anxiety, and then depression·anxiety impacted on school maladjustment. Third, school transferring experience showed that there was no direct effect on school maladjustment, but school transferring experience effected school maladjustment mediated by depression·anxiety, that is, depression·anxiety was showed perfectly mediated effect relationship between school transferring experience and school maladjustment.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we suggest an approach for decreasing the school maladjustment from school transferr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