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기 체험활동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이응택(Lee, Eungtaek),오승근(Oh, Seunggeu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연구 Vol.3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 체험활동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그리고 청소년기 체험활동은 이론적 근거에 의해 양적인 부분으로 참여시간, 질적인 부분으로 참여만족도로 구성하여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 2010(KCYPS 2010) 자료 중에서 초등학교 4학년 7차 년도(2016년) 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체험활동에 참여경험이 있는 고등학교 1학년 총 1,062명(남학생 487명, 여학생 575명)이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험활동 참여시간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체험활동 참여시간은 공동체의식과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학교적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체험활동 만족도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체험활동 만족은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쳤으나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체험활동 만족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또한 체험활동 만족은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어 공동체의식은 체험활동 만족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지녔다. 이러한 결과는 체험활동 참여시간 보다는 만족도가 학교적응의 관계를 더 잘 규명하는 것을 의미하고, 체험활동과 학교적응의 관계는 자아탄력성보다는 공동체의식을 통해 설명되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체험활동 만족의 중요성과 공동체의식을 매개로한 체험활동의 필요성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nse of community and self-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tial activities and school adaptation.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7<SUP>th</SUP> year (2016) data of the 4 primary panels of KCYPS 2010. A total of 1,062 students were in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and a sense of commun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level in experience activities and school adaptat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silience was not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of experience activity and school adaptation, but the mediating effect of a sense of community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activity and school adaptation was found to be mediated by a sense of community.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satisfaction in terms of experience activities was more meaningful than participation levels in experience activities. Based on these results, a number of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 KCI등재

        청소년 체험활동과 스마트폰과의존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의 매개효과

        이응택(Lee, Eungtaek),오승근(Oh, Seunggeu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한국청소년연구 Vol.3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체험활동이 스마트폰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두 변인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삶의만족도가 매개효과를 지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CYPS 2018) 중에서 중1 패널 2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체험활동에 참여경험이 있는 중학생으로만 선정하였으며, 총 2,145명이 분석대상이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체험활동 참여횟수는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체험활동 참여횟수는 스마트폰과의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청소년 체험활동 만족도는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스마트폰과의존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청소년 체험활동 참여횟수와 스마트폰과의존의 관계는 자아존중감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청소년 체험활동 참여횟수와 스마트폰과의존의 관계에서 삶의만족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청소년 체험활동 만족도와 스마트폰과의존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삶의만족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체험활동 참여횟수와 스마트폰과의존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험활동 만족도와 스마트폰과의존의 관계는 매개효과가 확인되지 않았으나 체험활동 만족도가 스마트폰과의존에 직접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폰과의존 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experience activities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To this end,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Korea Children Youth Panel of 2018 data(KCYPS 2018). The subjects for the study comprised a total of 2,145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d experience in participating in youth experience activitie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such youth experience activities did indeed have an effect 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However, the number of times of participation in youth experience activities did not affect smartphone overdependence. Secondly,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youth experience activities did not affect self-esteem of life satisfaction. However, the satisfaction with youth experience activities did indeed have an effect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Thirdly, only self-esteem was observed as having any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times participation in youth experience activities had taken place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a plan aimed at preventing smartphone overdependence.

      • KCI등재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의 조절효과

        이응택(Lee, Eungtaek),유난영(Yoo, Nanyoung),주현주(Chu, Hyunju),임승희(Lim, Seunghu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한국청소년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청소년기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의 조절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회적 관계는 부모관계, 친구관계, 교사관계, 주변관계로 정의하였으며 각 관계 수준에 따라 피해경험이 가해경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 9월에서 10월까지 김포시에 소재한 초등학생 803명, 중학생 1.116명, 고등학생 597명 총 2,5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부모관계는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나 피해경험이 많더라도 부모관계가 좋은 집단은 가해경험이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에서 친구관계는 조절효과를 보였으나 친구관계가 좋은 집단은 피해경험이 많을수록 오히려 가해경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의 관계에서 교사관계는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에서 주변관계는 조절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피해경험이 많더라도 주변관계가 좋은 집단은 가해경험이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부모관계와 주변관계는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의 관계에서 완충효과를 지니며 친구관계는 악화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피해경험에서 가해경험으로의 발전 예방을 위한 부모와 주변관계 역할의 중요성을 제시하였고 친구관계에 대한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relationship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victimization and bullying experience.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2,156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Gimpo city were recruited as subjects. The data collected was then analyzed by means of the SPSS 18.0 statistics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ents, friends and surrounding relationships exhibite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victimization and bullying experience. Second,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did not exhibit any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victimization and bullying experie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arents and surrounding relationships appeared to have a protective function in terms of buffering the negative effects of school victimization experience on school bullying experience. However, relationships with friends appeared to have an aggravating effect. The findings were discussed within the context of creating intervention plans aimed at preventing school violence.

      • KCI등재

        청소년의 전학경험과 학교생활부적응의 관계에서우울·불안의 매개효과

        이응택(Eung Taek Lee),주현주(Hyun Ju Chu),유난영(Nan Young Yoo)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14 청소년 문화포럼 Vol.- No.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differences in depression·anxiety and school maladjustment according to school transferring experience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anxiety in the relations between school transferring experience and school maladjustment. The subjects consisted of 2,516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Gim p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ransferred students showed higher level in school maladjustment and depression·anxiety. Secondly, School transferring experience did not affect by school maladjustment, however, school transferring experience affected depression·anxiety, and then depression·anxiety impacted on school maladjustment. Third, school transferring experience showed that there was no direct effect on school maladjustment, but school transferring experience effected school maladjustment mediated by depression·anxiety, that is, depression·anxiety was showed perfectly mediated effect relationship between school transferring experience and school maladjustment.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we suggest an approach for decreasing the school maladjustment from school transferring.

      • KCI등재

        고등학생의 부모와의관계 및 부모와의진로관련대화와 직업결정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

        이응택(Eung-Taek, Lee),최재혁(Jae-Hyuk Choi) 한국진로교육학회 2017 진로교육연구 Vol.3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부모와의관계 및 부모와의진로관련대화와 직업결정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 아동 청소년 패널데이터 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총 2,056명으로 남학생은 1,041명, 여학생은 1,015명이었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와의관계와 직업결정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특히 부모와의관계는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부모와의관계는 직업결정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부모와의진로관련대화와 직업결정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부모와의진로관련대화는 진로정체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진로정체감은 직업결정에도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부모와의진로관련대화는 직업결정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쳐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생 시기의 진로정체감이나 직업결정은 부모와의관계보다 부모와의진로관련대화가 더 중요하며, 부모와의진로관련대화는 진로정체감을 매개하여 직업결정에 도움을 제공하기 때문에 부모와의진로관련대화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된다. 또한 본 연구의 시사점을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verify mediated effects of career ident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relationship, career conversation and career decision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Korea Children"s Youth Panel Data 6.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studied was 2,056, with 1,015 males and females with 1,041 student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 first, the mediated effect of career identify was not significant in relation to parental relationships and career decisions. In particular, parental relationships did not affect the career identity, but parental relationship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ir career decision. The second, career conversation made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decision under the mediates of career identity. Career conversation involvement made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identify, and career identify made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decision. However, career conversation directly affect the career decision, thereby showing a partial mediates effect. Thus, career conversations and career decisions are better than parental relations. It is important to focus on career conversation because career conversations are important to help career decisions. Based on this finding, implications about the theoretical postulates for career decision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고등학생 학교폭력 가해행동 요인의 남·녀 차이분석

        이응택(Eung Taek Lee),이은경(Eun Kyoung Lea)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14 청소년 문화포럼 Vol.- No.3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on affecting school violence behavior in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used 486 high school students of the Korea welfare panel 7 data.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aggression and friend delinquency affected school violence behavior for male students. And Higher aggression level and having more friend delinquency appeared to increase school violence behavior. second, aggression, friend delinquency, self-esteem and support of teacher affected school violence behavior for female students. And Higher aggression level, having more friend delinquency and higher self-esteem level appeared to increase school violence behavior. But support of teacher appeared to make a dent in school violence behavior.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 we suggested how to approach for decreasing the school violence behavior in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 KCI등재

        청소년활동이 부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분석: 성별과 학급 비교를 중심으로

        이응택 ( Eungtaek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활동이 청소년기 부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며, 성별과 학급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동작구에 거주하고 있는 청소년 5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청소년활동 참여수준은 부적응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하지만 청소년활동 만족도는 부적응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성별과 학급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여학생의 경우 청소년활동 만족도는 부적응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중학생 대상에서도 청소년활동은 부적응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기 부적응행동에 청소년활동 참여정도보다는 만족도가 더 중요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청소년기 부적응행동 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youth activities on maladjustment behaviors and to examin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nd class. As a result, first, youth activity participation did not affect maladjustment behaviors. However, youth activity satisfaction had an effect on maladjustment behaviors. Second, youth activity satisfaction had an effect on maladjustment behaviors in case of female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a plan to prevent maladjustment behaviors.

      • KCI등재

        일반긴장이론에 근거한 청소년기 부정적인 사회적 관계와 사이버비행의 관계에서 공격성과 우울의 매개효과

        이응택 ( Eung Taek Lee ),이은경 ( Eun Kyoung Lea )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21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긴장이론을 근거로 부정적인 사회적 관계, 우울, 공격성과 사이버비행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는 것으로 부정적인 사회적 관계와 사이버비행의 관계에서 우울과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2018 한국아동·청소년패널데이터(KCYPS 2018)를 사용하여 총 2,590명의 자료((남학생 1,405명, 여학생 1,185명)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정적인 사회적 관계는 사이버비행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부정적인 사회적 관계와 사이버비행의 관계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구체적으로 부모, 친구, 교사와의 부정적 관계 모두 공격성을 매개로 사이버비행에 영향을 미쳤고, 그 중에서도 친구와의 부정적 관계가 공격성을 매개로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정적인 사회적 관계와 사이버비행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부정적인 사회적 관계가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도 유의미하지 않았다. 따라서 부정적인 사회적 관계와 사이버비행의 관계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관계 중 또래와의 부정적 관계가 중요한 요인임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사이버비행 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social relations, depression, aggression and cyber delinquency applying the general strain theory in order to measure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agg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social relationship and cyber delinquency. For this, we analyzed the total of 2,590 students (1,405 male students and 1,185 female students) using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KCYPS 2018).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egative relations did not directly effect cyber delinquence.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agg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social relationship and cyber delinquen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all negative relationships with parents, friends and teachers influenced cyber delinquency by manifested through aggression, and among them, it was confirmed that the negative relationship with friends had the greatest indirect effect on cyber delinquency through aggression.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social relationship and cyber delinquency. The direct effect of negative social relations on cyber delinquency was also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social relationship and cyber delinquency is mediated more through aggression rather than depression and that the negative relationship with peers is an important factor in cyber delinquency. Based on these results, we have proposed plans to prevent cyber delinquency in adolescenc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