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VID-19를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스트레스 인식유형

        유난영(Nan-Young Yoo),김영숙(Young-Sook Kim) 한국발달장애학회 2021 발달장애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Q 방법론을 적용하여 COVID-19를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스트레스 인식유형과 특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장에서 활동 중인 미술치료사를 대상으로 문헌분석과 심층 면담을 통해 40개의 진술문을 선정하였다. Q 분류는 미술치료사 30명을 P 표본으로 하여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Q 표본을 11점 분포도상에 강제 분포하도록 한 후 QUANL Program을 활용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총 4가지 유형이 도출되었으며. 유형 1은 ‘위기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적응형’, 유형2는 ‘변화된 치료환경을 불편해하는 안주 불안형’, 유형 3은 ‘안전한 치료를 위한 자기 돌봄형’, 유형 4는 ‘치료 효과를 위한 소통 중시형’으로 나타났다. 유형별 특성은 유형 1은 COVID-19 거리두기 상황에서 온라인과 같은 새로운 치료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적용하고 있으며, 유형 2는 거리두기와 같은 변화된 환경적 요인으로 상담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치료사로서 직업적 위기감을 느끼지만 주어진 환경을 극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 3은 위기 상황에서 치료의 필요성을 느끼지만, 안전한 상담을 위해 위생관리를 무엇보다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유형 4는 상담에서의 상호작용이 내담자의 심리적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여 내담자와의 소통에 중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COVID-19를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주관적 스트레스 유형과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는 추후 유사한 감염병 유행 상황에서 미술치료사가 스트레스에 대비할 수 있는 다양한 개입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ess percept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art therapists who experienced COVID-19 by applying the Q methodology. Therefore, in this study, 40 statements were se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art therapists working in the field and literature analysis. Q classification was performed using 30 art therapists as P sample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QUANL program after forcing Q samples to be distributed on an 11-point distribution map. A total of four types were derived from the analysis. Type 1 is adaptive type that can respond flexibly to crisis situations , type 2 is anxiety-anxiety type uncomfortable in a changed treatment environment , type 3 is self-care for safe treatment , type 4 is therapeutic effect , respectively.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e, in the COVID-19 separation situation, Type 1 is actively using and applying a new treatment space such as online, and Type 2 is a therapist and a professional therapist. It seems that you are overcoming the given environment. Type 3 patients feel the need for treatment in a crisis situation, but they value hygiene management above all else for safe counseling. The focus is on communica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ubjective stress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art therapists who experienced COVID-19 were identifie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a basis for finding various interventions that can help art therapists prepare for stress in a similar epidemic situation in the future.

      • 이혼가정 미술치료 연구 동향 분석 - 2017년~2021년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

        유난영(Nan-Young Yoo),김서현(Seo-Hyun Kim) 아시아상담코칭학회 2022 Asia Counseling and Coaching Review Vol.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017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이혼가정 미술치료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 학술지와 학위 논문 총 22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분석 틀에 근거하여 연도별, 연구 대상별, 연구 주제별, 연구 방법별, 중재 환경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2017년에 미술치료 연구가 40.9%로 2016년까지의 연구에 비해 높은 비율을 보였다. 둘째, 연구 대상은 아동이 81%, 주 양육자는 부(父), 이혼 후 기간은 5년 이상 6년 이하인 31.8%로 높았다. 셋째, 연구 주제는 심리 및 정서 관련 연구가 37.1%로 많았다. 넷째, 연구 방법은 사례연구가 95.5%, 측정 도구는 정서 및 행동을 평가하는 척도 검사가 33.3%, 투사검사는 집·나무·사람(HTP)이 10.4%의 비율로 사용되었다. 다섯째, 중재 환경은 치료 기간이 6개월 이상 12개월 미만, 주 1회, 진행 시간은 40분 이상 60분 이하, 치료 회기는 16회기 이상 20회기 이하, 치료 형태는 개인 치료가 59.1%로 가장 많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이루어질 이혼가정을 위한 미술치료 연구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nd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art therapy for divorced families published in Korea from 2017 to 2021. A total of 22 domest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and the discussions were addressed following by year, subject, topic, method, and intervention environment which were based on the analysis framework. The result of the analysis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es on art therapy in 2017 was 40.9%, which was higher than those in 2016. Second, the objects of the analysis were children (81%), the main nurturer was his or her father, and the period of divorce was high (31.8%) over 5 and below 6 years. Third, the subjects relating to psychological and emotional research was 37.1%. Fourth, the case studies was 95.5% for research method, the scale tests which values emotion and behaviors was 33.3% for evaluation tool, and HTP(House-Tree-Person Test was 10.4% for projection test. Finally, as for the intervention environment, the treatment period was over 6 under 12months, once a week, the duration time over 40mins under 60mins, the sessions over 16 under 20 sessions, and the individual treatment was the highest (59.1%) for therapy method. Based on this analysis, this paper anticipate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of art therapy for divorced families.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의 전학경험과 학교생활부적응의 관계에서우울·불안의 매개효과

        이응택(Eung Taek Lee),주현주(Hyun Ju Chu),유난영(Nan Young Yoo)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14 청소년 문화포럼 Vol.- No.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differences in depression·anxiety and school maladjustment according to school transferring experience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anxiety in the relations between school transferring experience and school maladjustment. The subjects consisted of 2,516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Gim p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ransferred students showed higher level in school maladjustment and depression·anxiety. Secondly, School transferring experience did not affect by school maladjustment, however, school transferring experience affected depression·anxiety, and then depression·anxiety impacted on school maladjustment. Third, school transferring experience showed that there was no direct effect on school maladjustment, but school transferring experience effected school maladjustment mediated by depression·anxiety, that is, depression·anxiety was showed perfectly mediated effect relationship between school transferring experience and school maladjustment.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we suggest an approach for decreasing the school maladjustment from school transferr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