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긴장이론에 근거한 청소년기 부정적인 사회적 관계와 사이버비행의 관계에서 공격성과 우울의 매개효과

        이응택 ( Eung Taek Lee ),이은경 ( Eun Kyoung Lea )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21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긴장이론을 근거로 부정적인 사회적 관계, 우울, 공격성과 사이버비행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는 것으로 부정적인 사회적 관계와 사이버비행의 관계에서 우울과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2018 한국아동·청소년패널데이터(KCYPS 2018)를 사용하여 총 2,590명의 자료((남학생 1,405명, 여학생 1,185명)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정적인 사회적 관계는 사이버비행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부정적인 사회적 관계와 사이버비행의 관계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구체적으로 부모, 친구, 교사와의 부정적 관계 모두 공격성을 매개로 사이버비행에 영향을 미쳤고, 그 중에서도 친구와의 부정적 관계가 공격성을 매개로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정적인 사회적 관계와 사이버비행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부정적인 사회적 관계가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도 유의미하지 않았다. 따라서 부정적인 사회적 관계와 사이버비행의 관계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관계 중 또래와의 부정적 관계가 중요한 요인임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사이버비행 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social relations, depression, aggression and cyber delinquency applying the general strain theory in order to measure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agg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social relationship and cyber delinquency. For this, we analyzed the total of 2,590 students (1,405 male students and 1,185 female students) using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KCYPS 2018).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egative relations did not directly effect cyber delinquence.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agg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social relationship and cyber delinquen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all negative relationships with parents, friends and teachers influenced cyber delinquency by manifested through aggression, and among them, it was confirmed that the negative relationship with friends had the greatest indirect effect on cyber delinquency through aggression.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social relationship and cyber delinquency. The direct effect of negative social relations on cyber delinquency was also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social relationship and cyber delinquency is mediated more through aggression rather than depression and that the negative relationship with peers is an important factor in cyber delinquency. Based on these results, we have proposed plans to prevent cyber delinquency in adolescence.

      • KCI등재

        고등학생의 부모와의관계 및 부모와의진로관련대화와 직업결정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

        이응택(Eung-Taek, Lee),최재혁(Jae-Hyuk Choi) 한국진로교육학회 2017 진로교육연구 Vol.3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부모와의관계 및 부모와의진로관련대화와 직업결정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 아동 청소년 패널데이터 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총 2,056명으로 남학생은 1,041명, 여학생은 1,015명이었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와의관계와 직업결정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특히 부모와의관계는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부모와의관계는 직업결정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부모와의진로관련대화와 직업결정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부모와의진로관련대화는 진로정체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진로정체감은 직업결정에도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부모와의진로관련대화는 직업결정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쳐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생 시기의 진로정체감이나 직업결정은 부모와의관계보다 부모와의진로관련대화가 더 중요하며, 부모와의진로관련대화는 진로정체감을 매개하여 직업결정에 도움을 제공하기 때문에 부모와의진로관련대화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된다. 또한 본 연구의 시사점을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verify mediated effects of career ident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relationship, career conversation and career decision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Korea Children"s Youth Panel Data 6.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studied was 2,056, with 1,015 males and females with 1,041 student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 first, the mediated effect of career identify was not significant in relation to parental relationships and career decisions. In particular, parental relationships did not affect the career identity, but parental relationship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ir career decision. The second, career conversation made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decision under the mediates of career identity. Career conversation involvement made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identify, and career identify made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decision. However, career conversation directly affect the career decision, thereby showing a partial mediates effect. Thus, career conversations and career decisions are better than parental relations. It is important to focus on career conversation because career conversations are important to help career decisions. Based on this finding, implications about the theoretical postulates for career decision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의 전학경험과 학교생활부적응의 관계에서우울·불안의 매개효과

        이응택(Eung Taek Lee),주현주(Hyun Ju Chu),유난영(Nan Young Yoo)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14 청소년 문화포럼 Vol.- No.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differences in depression·anxiety and school maladjustment according to school transferring experience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anxiety in the relations between school transferring experience and school maladjustment. The subjects consisted of 2,516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Gim p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ransferred students showed higher level in school maladjustment and depression·anxiety. Secondly, School transferring experience did not affect by school maladjustment, however, school transferring experience affected depression·anxiety, and then depression·anxiety impacted on school maladjustment. Third, school transferring experience showed that there was no direct effect on school maladjustment, but school transferring experience effected school maladjustment mediated by depression·anxiety, that is, depression·anxiety was showed perfectly mediated effect relationship between school transferring experience and school maladjustment.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we suggest an approach for decreasing the school maladjustment from school transferring.

      • KCI등재

        고등학생 학교폭력 가해행동 요인의 남·녀 차이분석

        이응택(Eung Taek Lee),이은경(Eun Kyoung Lea)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14 청소년 문화포럼 Vol.- No.3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on affecting school violence behavior in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used 486 high school students of the Korea welfare panel 7 data.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aggression and friend delinquency affected school violence behavior for male students. And Higher aggression level and having more friend delinquency appeared to increase school violence behavior. second, aggression, friend delinquency, self-esteem and support of teacher affected school violence behavior for female students. And Higher aggression level, having more friend delinquency and higher self-esteem level appeared to increase school violence behavior. But support of teacher appeared to make a dent in school violence behavior.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 we suggested how to approach for decreasing the school violence behavior in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 도시를 위한 청소년 기후감수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

        오승근(Oh, Seung Geun),김미옥(Kim, Mi Ok),강선미(Kang, Seon Mi),조안나(Cho, An Na),김선경(Kim, Seon Kyung),이응택(Lee, Eung Taek) 인천발전연구원 2021 도시연구 Vol.- No.19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대상의 기후감수성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프로그램 개발은 분석, 설계, 개발 및 실행, 평가 단계로 진행하였다. 분석단계는 기후위기 관련 인식과 실태를 조사하였다. 설계단계는 요구조사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방향과 목적 그리고 목표를 설정하였다. 개발 및 실행단계는 프로그램 내용을 구성하였고, 5명을 대상으로 시범운영을 실시하였다. 평가단계는 프로그램 운영 시 문제를 기반으로 프로그램을 수정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8회기의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1-2회는 기후위기의 심각성 인식과 기후위기와 청소년과의 관련성을 탐색하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3-4회기는 기후위기와 먹거리의 내용, 5회기는 기후위기와 교통의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6-7회기는 기후위기에 적극적인 대응을 위한 참여자의 실천계획을 수립하도록 하였고, 8회기는 기후위기 대응에 필요한 지속적인 노력을 위한 방안탐색에 대한 내용이다. 본 프로그램은 청소년들이 기후위기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나아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실천행동을 마련하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This study develops a climate sensitivity improvement program. The program development was divided into analysis, design, development and execution, and evaluation. The analysis step investigated the perception and condition of the climate crisis. The design step set up the direction, purpose, and objectives of the program. In the development and execution step, content was developed according to program components. In addition, a pilot test was executed with five people to confirm the appropriateness of the program. In the evaluation step, the final program was derived by modifying the program based on the pilot test. The final program is a total of eight sessions. Sessions 1-2 are about understanding the seriousness of the climate crisis and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imate crisis and youth. Sessions 3-4 consisted of climate crisis and food, and Session 5 was composed of climate crisis and transportation. Session 6-7 were for participants to establish action plans to actively respond to the climate crisis and Session 8 consisted of exploring ways to make continuous efforts. This program will be effective for youth to recognize the problems of the climate crisis and to prepare practical actions to solve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