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장년 대상 관점에서-

        임연제,김유천 아시아상담코칭학회 2024 Asia Counseling and Coaching Review Vol.6 No.1

        본 연구는 중장년 대상 라이프코칭 연구에 대하여 선행 논문을 토대로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들을 탐색하고, 퇴직 전․후에 있는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현재와 미래를 준비하여 가치 있는 삶의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탐색조사 중 문헌조사 방법을 활용하여 라이프코칭에 대한 학술지 논문 및 학위논문 최종 8편을 선정하여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논의하였다. 첫째, 라이프코칭 연구동향은 어떠한가? 둘째, 긍정심리기반 중장년 대상 라이프코칭은 무엇인가? 셋째, 긍정심리기반 중장년 대상 라이프코칭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0년부터 2020년까지의 국내 라이프코칭 연구는 라이프코칭 개념, 라이프코칭 효과, 라이프코칭 프로그램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고, 탐색적 연구 방법으로 여성 주부가 주 연구대상이었다. 둘째, 제2의 인생을 설계하는 시기인 중장년층은 현실적 다양한 이슈들에 대해 긍정적으로 문제 해결 방법을 찾아 자아실현을 위한 라이프코칭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셋째, 지금까지 살아온 자기 삶에 대한 긍정적 인정을 바탕으로 감사하기를 생활화하며 강점을 활용하여 이루고 싶은 목표를 수립하고 실행하면서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자신의 존재 가치와 자아를 발견하게 됨으로써 행복을 위한 의식과 생활의 변화에 큰 효과를 주는 라이프코칭은 노년기를 준비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라이프코칭에 대한 학문적 이해를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하였고, 퇴직 전․후 시기에 있는 중장년층의 자신이 원하는 삶과 가치 있고 균형 있는 삶을 사는 데 필요한 라이프코칭의 연구 발전에 의미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search findings on life coaching for middle-aged and older adults based on the previous literature and to propose a valuable way of life for middle-aged and older adults in pre- and post-retirement. To this end, eight journal articles and theses on life coaching were selected and reviewed using the literature review method during the exploratory surve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discussed in this study. First, what are the trends in life coaching research? Second, what is positive psychology-based life coaching for middle-aged and older adults? Third. How to apply positive psychology-based life coaching to middle-aged and older ad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omestic life coaching research from 2000 to 2020 included a variety of studies on life coaching concepts, life coaching effects, and life coaching programs, with female housewives as the main research subjects using exploratory research methods. Second, middle-aged people, who are in the process of designing a second life, emphasised the role of life coaching for self-actualisation by finding positive problem-solving methods for various practical issues. Third, based on the positive acknowledgement of the life they have lived so far, they proposed ways to live the life they want by practicing gratitude and using their strengths to set and implement goals they want to achiev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life coaching can be used to prepare for old age, as it has a great effect on changing consciousness and life for happiness by discovering one's self-worth and self-discovery. This study aimed to contribute to the academic understanding of life coaching and can be used as a meaningful resource for the development of life coaching research to help middle-aged and older adults in the pre- and post-retirement periods live the life they want and the life they need to live a fulfilling and balanced life.

      • ‘계획된 우연’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 -심리·신체적 건강문제를 경험한 2030대를 중심으로 한 상담코칭적 접근

        김해찬(Hea Chan Kim),유영은(Young Eun Yoo),이지성(Ji Soeng Lee),김유천(Yu Cheon Kim) 아시아상담코칭학회 2021 Asia Counseling and Coaching Review Vol.3 No.1

        본 연구는 커리어 탐색에 있어 중요한 시기임에도 심리 신체적 문제로 인해 원활한 커리어 탐색에 어려움을 겪는 20,30세대를 대상으로 개발한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으로, 계획된 우연 이론을 기반으로 상담과 코칭을 접목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은 총 6회기로 구성하였다. 주요 특징으로는 첫째, 계획된 우연 이론을 참가자로 하여금 이해하고 앞으로의 우연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기 위한 태도를 만드는 과정이다. 둘째,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이지만 상담적 요소를 추가하였다. 셋째,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일반적인 교수 체제 설계의 ADDIE 모형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으며, 코칭의 GROW 모델을 이용한 일련의 과정을 갖고 있다. 본 연구의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은 심리 신체적 건강 문제를 이겨내고 새로운 커리어를 만들어가는 대상들에게 초점을 맞추어 개발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효과성 검증에 대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을 통해서 20,30세대의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를 확립하고 심층적인 연구가 진행된다면 향후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에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is a career coaching program developed for the 20th and 30th generations who have difficulty in smooth career exploration due to psychological and physical problems, even though it is an important time for career search. The program was composed by combining counseling and coaching based on the planned happenstance theory. The career coaching program of this study consisted of a total of 6 sessions. The first characteristic is the process of creating an attitude for participants to understand the planned happenstance theory and actively accept future coincidences. Second, a counseling element was added to the career coaching program. Third,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ss focused on the ADDIE model of general teaching system design, and it has a series of processes that use the GROW model. In this study, the career coaching program was developed with a focus on the targets who overcome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th problems and create a new career. However, the program of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verifying effectiveness. Therefore, if this program establishes the theoretical basis for career coaching programs for the 20s and 30, and in-depth research is conducted, it will contribute to the research on career coaching programs in the future.

      • 관리자 코칭에 대한 지속가능성 연구

        김유천(Yu Cheon Kim) 아시아상담코칭학회 2019 Asia Counseling and Coaching Review Vol.1 No.1

        본 연구는 관리자의 코칭 행동(managerial coaching)에 대하여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들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탐색조사(exploratoryresearch)중 문헌조사(literature review)방법을 사용하였다. 관리자 코칭(Managerial Coaching)에 대한 국내 및 국외 논문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관리자의 코칭 행동에 대한 정의를 하고, 관리자 코칭 행동의 주요소가 무엇인지 파악한 후, 관리자 코칭 행동의 성과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관리자 코칭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통하여 관리자 코칭개념, 관리자 코칭 구성 차원(척도) 및 측정을 검토하였다. 둘째, 관리자의 코칭 지속가능성(Coaching sustainability)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관리자 코칭의 개념적 측면, 과정적 측면, 선행요인 측면, 스킬 및 행동 측면, 종속요인 측면,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측면 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관리자 코칭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에 대한 탐색적 연구로 인하여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탐색적 연구로 인한 한계가 있다. 둘째, 관리자 코칭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가 최근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관리자가 지속적으로 직원에 대하여 코칭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한 회의론이 남아있는 것은 현실이다. 셋째, 관리자는 기업 환경 및 기업 시스템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관리자 코칭에 대한 환경 및 시스템적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상기와 같은 연구 한계가 있음에도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다양한 측면에서의 분석이 필요하다. 둘째, 관리자 코칭의 지속성을 위하여 관리자 코칭의 내면적 측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관리 자의 환경적 요소를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관리자의 코칭에 주관성에 대한 연구(Q방법론)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managerial coaching behavior. The research method used the literature review method in exploratory research. In this study, first, the coaching behavior of managers was defined, the main elements of manager coaching behaviors were identified, and the results of manager coaching behaviors were discussed. For this purpose, the manager coaching concept, manager coaching composition dimension, and measurement were reviewed through theoretical review of manager coaching. Second, managers' coaching sustainability was reviewed. For this, the conceptual, process, priorities, skills and behaviors, subordinates,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manager coaching were reviewed.. This study intends to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despite the limitations. First, analysis from various aspects is necessary. Second, research on internal aspects of manager coaching is necessary for the sustainability of manager coaching. Third, research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managers is necessary. Fourth, research on subjectivity (Q methodology) is necessary for coaching of managers.

      • 군 리더십코칭 대화모델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이호진(Ho jin Lee),이용웅(Yong woong Lee) 아시아상담코칭학회 2022 Asia Counseling and Coaching Review Vol.4 No.2

        본 연구는 육군의 리더들이 리더십코칭을 통해 올바른 리더십을 개발할 수 있도록 군의 특수성을 반영한 군 리더십코칭의 대화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핵심요소를 탐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육군의 리더십코칭 환경의 특수성과 일반적인 코칭의 보편성을 분석하여 일반적인 코칭 대화모델의 기본 구조 위에 리더십코칭의 목표 달성에 필요한 고려사항을 반영하여 새로운 코칭 대화모델의 기본 구조를 구성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먼저 육군 리더십코칭의 특수성을 고찰하기 위해 육군 리더십코칭의 절차와 목적, 육군 핵심가치의 연계성을 고찰하여 육군 리더십코칭 대화모델의 고려요소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일반적인 코칭의 보편성을 도출하기 위해 기존의 코칭 대화 모델을 비교 분석하여 코칭 대화모델의 공통적인 기본 구조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결과를 반영하여 군리더십코칭 환경에 맞는 코칭 대화모델을 구성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 리더십코칭의 특수성을 고려한 고려요소는 목표중심의 대화, 사고의 확장, 신뢰관계 형성, 구체적인 실천방안 등이 도출되었다. 둘째, 코칭 대화모델의 기본구조는 관계설정- 목표설정- 현상황인식- 대안선택- 실행의 순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도출된 군 리더십코칭의 특수성과 기존 코칭 대화모델의 공통요소를 반영하여 각 절차별 강조점을 반영한 결과 ‘Trust- ARMY 모델’을 구성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key elements to develop a session structure model of military leadership coaching that reflects the specificity of the military so that Army leaders can develop proper leadership through leadership coaching. To this end, the focus was on constructing a new coaching session structure model by analyzing the specificity of the Army's leadership coaching environment and the universality of general coaching session structure model, reflecting the considerations needed to achieve the goals of leadership coaching. First, in order to examine the specificity of Army leadership coaching, the procedure and purpose of Army leadership coaching, and the linkage of Army core values were investigated to derive the factors to consider the Army leadership coaching session structure model. Next, in order to derive the universality of general coaching, a common basic structure of the coaching session structure model was deriv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xisting coaching session structure model. Finally, by reflecting the results derived, a coaching conversation model suitable for the military leadership coaching environment was constr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military leadership coaching, goal-oriented dialogue, expansion of thinking, formation of trust relationships, and specific action plans were derived. Second, the basic structure of the coaching conversation model was derived in the order of relationship setting, goal setting, current situation recognition, alternative selection, and execution. Third, the 'Trust-ARMY model' could be constructed as a result of reflecting the specificity of the derived military leadership coaching and the common elements of the existing coaching session structure model.

      • 강점 관련 국내 코칭 연구 동향 분석

        이동욱(Dong-uk Lee),정용석(Yong-seok Jung) 아시아상담코칭학회 2021 Asia Counseling and Coaching Review Vol.3 No.1

        본 연구는 강점 관련 국내 코칭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강점 관련 국내 코칭 연구에 기초자료 및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정 기준에 부합하는 2011년부터 2020년까지 발간된 국내 학술논문과 학위논문 총 36편을 분석 대상 논문으로 선정하였다. 선정한 논문을 연구 시기,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연구 변인, 연구 발간 유형별로 분류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강점 관련 국내 코칭 연구는 2011년에 처음 발간되어, 2015년을 기점으로 연구 편수가 늘어났다. 둘째, 연구 대상은 청소년(36.1%)과 대학생(25%), 성인(22.2%)이 주로 연구된 대상이었으며, 노인 대상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셋째, 연구 방법은 실험연구(77.8%)가 다수를 차지하여 연구 방법의 편중이 심하였다. 넷째, 연구 변인을 변인의 속성에 따라 6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심리 정서유형에 16개 변인, 진로 직업유형에 13개 변인 등 총 51개 변인이 총 83회 연구에 활용되었다. 다섯째, 연구 발간 유형은 석사학위 논문이 다수였다. 위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강점 관련 국내 코칭 연구에서 다뤄져야 할 연구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and implications for domestic coaching research related to strengths by analyzing trends in domestic coaching research related to strengths. To this end, a total of 36 domestic academic papers and dissertations published from 2011 to 2020 that meet the selection criteria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selected papers were analyzed by classifying them by research period,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research variable, and research publication type. Analysis Results First, domestic coaching studies related to strengths were first published in 2011, and the number of studies increased from 2015. Second, the study subjects were mainly adolescents (36.1%), university students (25%), and adults (22.2%), and no studies on the elderly were conducted. Third, as for the research method, experimental studies (77.8%) accounted for the majority, so the research method was highly biased.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 variables by classifying them into 6 types according to the attributes of the variables, a total of 51 variables including 16 variables in psychological/emotional type and 13 variables in career/occupational type were used in a total of 83 studies. Fifth, the majority of research publication types were master's thesi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we inte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research direction that should be dealt with in future strength-related coaching studies in Korea.

      • KCI등재후보

        상담심리 연구의 혼합연구 방법에 대한 동향 분석

        이경화(Kyoung-Hwa Yi) 아시아상담코칭학회 2023 Asia Counseling and Coaching Review Vol.5 No.1

        본 연구는 상담심리 관련 혼합연구 방법을 적용한 연구물들을 대상으로 하여 동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혼합연구 방법을 적용한 관련 연구와 혼합연구 방법 동향 분석의 선행연구를 고찰한 후, 상담심리관련 혼합연구 방법의 동향 분석을 위한 기준을 구상하고 그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2013년부터 2022년 6월까지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혼합연구 총 51편을 선정하였고, 분석기준은 연도별, 연구영역별, 연구 대상별, 혼합연구의 설계이유와 활용목적, 혼합연구의 설계방식 등이다. 분석 결과, 연도별로 꾸준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연구영역별로 일반 심리상담의 논문이 16편으로 가장 많았고, 연구 대상별로 성인기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혼합연구 설계이유와 활용목적을 제시한 논문 비율은 85%와 80%로 나타났고, 설계방식으로 동시적 내재 설계가 49%, 순차적 탐구설계가 39%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상담심리 분야에서 혼합연구 방법이 꾸준히 적용되고 발전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이에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 상담심리 연구 분야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studies applying mixed research methods related to counseling psychology. As a result of selecting and analyzing a total of 51 mixed studies from 2013 to 2022, there is an increasing trend by year, and the number of papers on general psychological counseling by research area was the highest at 16, and by research subject, adulthood showed the highest rate. The ratio of the papers presenting the reason for the design of the mixed study and the purpose of utilization were 85% and 80.0%, respectively, and the simultaneous internal design was identified as 49% and the sequential inquiry design as 39%.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examined the steady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mixed research methods in the field of counseling psychology, and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help the field of counseling psychology research.

      • KCI등재후보

        신경과학의 기억 재공고화 개념을 적용한 국내 상담분야 연구 동향 분석 : 주제범위 문헌고찰

        유문희 아시아상담코칭학회 2024 Asia Counseling and Coaching Review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주제범위 문헌 고찰을 통해 국내 상담 분야에서 신경과학적 발견인 기억 재공고화 기제에 대한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근거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전자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조사하여 2012년부터 2023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문헌 61편으로부터 선정 기준에 따라 6편을 최종 추출하였다. 문헌 분석 결과 신경과학적 측면의 기억 재공고화 기제를 통해 공포 반응, 외상 기억의 형성과 약물처치 반응, 고통 기억 노출, 자기 노출, 무의식적 정서기억, 기억 갱신의 예측 조건과 같은 다양한 심리 증상 및 반응 등을 설명하였으나, 기제를 주제로 한 다학제적 국내 선행연구 정보 활용 및 기제에 대한 체계적 정보 제공이 제한적이었다. 본 연구는 상담 분야에서 신경과학 측면에서의 기억 재공고화 기제에 대한 연구 현황을 지도화하여 지식의 격차를 식별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향후 상담분야에서 신경과학적 지식과 정보를 적용한 연구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aimed to examine the direction of research on the mechanisms of memory reconsolidation as a view of neuroscientific discovery in the counseling field through a scoping review in Korea. For this purpose, it was searched through electronic databases. It finally extracted six out of sixty-one papers from literature published in Korea from 2012 to 2023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lthough various psychological states were explained in the counseling field as a memory reconsolidation mechanism, access to and utilization of multidisciplinary neuroscientific information was limited.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identifying the gap in knowledge by mapping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on the mechanisms of memory reconsolidation from a neuroscience perspective in counseling.

      • KCI등재후보

        대학생 코칭 경험에 관한 귀납적 내용분석

        김해덕 아시아상담코칭학회 2024 Asia Counseling and Coaching Review Vol.6 No.1

        본 연구는 2022년 2학기와 2023년 1학기 중에 코칭교과목을 수강하고 코칭을 1회 이상 경험한 72명의 대학생들이 작성한 소감문을 분석하여 대학생들이 코칭에 대해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를 폭넓게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코칭을 경험한 학생들의 소감문에서 주요한 키워드를 추출하여 공통의 의미를 범주화하는 귀납적 내용분석을 통해, 총 3개의 대영역으로 분류하였다. 첫 번째 대영역인 ‘사고확장’과 관련한 중영역에는 내면 탐색, 관점 전환, 이타심 증대가 포함되었으며, 두 번째 대영역인 ‘긍정 정서’에는 심리적 안정, 자존감 상승, 강점 발견, 긍정성 상승이 포함되었다. 세 번째 대영역인 ‘실천적 목표행동 수립’에는 목표 수립, 문제 해결, 동기부여가 포함되었다. 본 연구는 코칭을 경험한 대학생들의 코칭에 대한 다양한 인식을 확인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해 대학에서 대학생 코칭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확산될 수 있는데 필요한 요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thoughts of university students on coaching by analyzing reflections written by 72 students who took coaching courses and had coaching experiences at least once during the second semester of 2022 and the first semester of 2023. Using inductive content analysis to extract key terms from the students’ reflections on coaching, the study classified common meanings into three major domains. The first domain, ‘Cognitive Expansion,’ included subdomains such as self-exploration, perspective shifting, and increased empathy. The second domain, ‘Positive Emotions,’ encompassed psychological stability, increased self-esteem, discovery of strengths, and heightened positivity. The third domain, ‘Practical Goal-Setting Behavior,’ comprised goal-setting, problem-solving, and motivation. Significantly, this research underscored the diverse perceptions of coach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coaching. The findings contribute to discussions on factors necessary for the ongoing growth and dissemination of university student coaching in higher education.

      • KCI등재후보

        교사 코칭역량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신현정 아시아상담코칭학회 2024 Asia Counseling and Coaching Review Vol.6 No.1

        본 연구는 2013년부터 2023년까지 국내에서 발간된 교사 코칭역량에 대한 14편의 문헌을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통해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사 코칭역량 관련 연구의 일반적 특성(출판유형, 연도별 분포, 연구 방법, 연구 주제, 연구 대상, 연구 지역, 그리고 연구 참여자 수)과 연구 제목에 나타난 주요 단어(키워드)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코칭역량에 대한 연구는 2013년에 시작되어, 2023년에는 이전 연도의 0-2편에 비해 4편이 발간되어 연구량이 증가하였다. 둘째, 한편의 실험 연구를 제외하고는 모두 양적 연구 방법이었고, 그중에서도 교사 코칭역량과 다양한 다른 요인 간의 상관연구의 형태가(71.4%) 주를 이루었다. 셋째, 연구 대상은 유아 교사(4편), 보육교사(4편), 영아 교사(3편), 초․중등교사(2편), 초등교사(1편)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각 연구 제목에 나타난 단어(키워드) 22개를 연구자는 8개의 범주로 도출하였는데,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 교사의 전문적 배경 요인, 효능감, 교육 환경 및 자원, 교사 코칭역량 척도, 전문성, 교육방법, 교사의 코칭역량 향상 프로그램 및 효과이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의 코칭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14 articles on teacher coaching competence published in Korea from 2013 to 2023 through a scoping review and to explore future research directions based on the findings. For this purpos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s on teacher coaching competencies (publication type, yearly distribution, research methods, research topics, research subjects, research regions, and number of participants) and keywords appearing in the research titles were analyze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teacher coaching competencies began in 2013, and the volume of research increased, with four articles published in 2023 compared to 0-2 in previous years. Second, all but one of the experimental studies were quantitative in nature, with the majority (71.4%) being correlational studies between teacher coaching competencies and various other factors. Third, the subjects of the studies were early childhood teachers (4 studies), nursery teachers (4 studies), infant teachers (3 studies), primary and secondary teachers (2 studies), and elementary teachers (1 study). Last, the 22 words (keywords) in the titles of each study were grouped into eight categories by the researcher: teacher-student interaction, teacher professional background factors, efficacy, educational environment and resources, teacher coaching competence scale, professionalism, pedagogical methods, teacher coaching competence improvement programmes, and effectiveness. These findings can be used as a basis for improving teachers' coaching competence and contribute to suggesting future research directions.

      • 군 리더의 독성리더십 예방을 위한 코칭방안의 탐색적 연구

        이호진(Ho jin Lee),김성묵(sung-muk Kim),이용권(Yong kweon Lee) 아시아상담코칭학회 2020 Asia Counseling and Coaching Review Vol.2 No.1

        본 연구는 야전부대 리더의 독성리더십을 예방하고 리더십 자기 계발을 촉진할 수 있는 코칭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문헌 조사를 통해 독성리더십의 개념과 하위요인별 특징을 행동과 성격적 특징으로 나누어 알아보았고, 심리학적 관점에서 리더의 독성적 행동 특성의 원인을 살펴보았다. 또한 야전부대 장병들의 설문을 통해 부하들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리더의 독성리더십의 실태를 리더십 점수와 비교하여 보았다. 그 결과, 리더의 독성적 행동은 심리적 경직성, 우울, 불안, 낮은 자존감 등에 기인할 수 있으며, 우수한 리더십을 발휘하는 리더의 경우에도 독성적 행위가 나타날 수 있음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군에서의 독성리더십을 예방하기 위한 자기 이해 코칭 방안과 향후 군 코칭 연구의 논의점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a direction for coaching to prevent toxic leadership from field unit leaders and promote self-development of leadership. To this end, the concept and sub-factorial characteristics of toxic leadership were divided into behavioral and character characteristics through a literature survey, and the cause of toxic characteristics of leaders was examined from a psychological perspective. The survey of field troops then compared the status of the leader's toxic leadership that his subordinates feel subjective with the leadership sco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ader's toxic behavior can be attributed to psychological rigidity, depression, anxiety, and low self-esteem, and that even for leaders with outstanding leadership, toxic behavior may appear. Based on these results, the discussion points of future military coaching studies were presented to prevent toxic leadership in the milit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