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가정 초기 청소년의 문화정체성 잠재프로파일과 예측요인

        장은애,정현희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22 청소년 문화포럼 Vol.- No.72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latent profiles patterns of early adolescents' cultural identity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further sought to explore determinants of the patterns. Data were collected from 1,347 student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To analyze the data, latent profil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Mplus 8.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patterns of the four subtypes such as 'Integration type', 'internal reflection type', 'internal conflict type', 'incongruity type'. Secondly, gender,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depression ,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peer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The implications for prevention and intervention for early adolescents' cultural identity a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초기 청소년의 문화정체성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분류된 잠재프로파일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2011(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2011: 이하 MAPS)의 초4패널 5차년도 응답한 1,347명이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1단계 접근방법을 보완한 3단계 접근방법을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다문화가정 초기 청소년의 문화정체성 잠재프로파일은 ‘통합형’,‘내적성찰형’,‘내적갈등형’,‘부조화형’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다문화가정 초기 청소년의 문화정체성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살펴본 결과, 개인요인 중에서는 성별, 자아존중감, 삶의만족도, 우울이, 환경요인 중에서는 교우관계, 교사관계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가정 초기 청소년의 문화정체성은 다양한 양상을 보이며, 다문화가정 초기 청소년의 문화정체성을 확립하는데 개인차를 고려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초기 청소년의 문화정체성 확립을 위한 개입 방안에 있어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A corpus-based analysis of media coverage of youth language culture in the UK

        방민희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16 청소년 문화포럼 Vol.- No.45

        본 연구의 목적은 코퍼스 언어분석 방법론을 사용하여 영국의 주요 언론에서 비속어(slang)으로 대표되는 영국 청소년 언어문화를 어떻게 다루고 인식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BBC를 포함한 영국의 주요 미디어에서 2000년대 이후 청소년 언어사용을 다룬 기사 100개를 수집해 구성된 코퍼스를 분석하였다. 코퍼스 분석 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영국 미디어에서 청소년들의 언어문화는 청소년들과 그들의 부모님과 선생님 사이의 관계적 문제로, 특히 양자 간의 소통의 문제로 제시가 되고 있다. 둘째, 청소년들의 비속어나 유행어 사용은 성공적인 학업성취와 취업에 장애로 작용하는 우려의 대상으로 인식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청소년들과 성인들 모두 국가나 사회의 도움이 필요한 수동적인 존재로 제시되고 있다. 즉 청소년들은 대학시험과 취업에서 유리하도록 언어사용에 대한 지도와 통제가 필요한 존재로, 그리고 성인들은 청소년의 언어를 이해해 그들과 소통의 관계를 형성하도록 도움이 필요한 것으로 대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언어문화 연구에 담화분석을 적용한 연구로서 한국에서는 아직 많이 시도되지 않는 영역으로 청소년언어 연구의 지평을 확장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방법론적으로 코퍼스언어학을 접목시키고 있다. 코퍼스 방법론 사용의 가장 큰 장점은 자료를 접근할 때 분석자의 주관적 관점이나 목적에 의해 분석과 해석의 방향이 결정되어지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분석과 해석의 엄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향후 연구로는 코퍼스를 사용하여 북한이탈 청소년과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언어문화와 정체성이 한국 언론에서 재현되는 방식을 살펴 보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treatment and perception of youth language culture in the mainstream British media, employing corpus methods. A corpus comprising 100 articles collected from BBC and five British newspapers is used for analysis. The finding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ly, the teenage use of slang is presented as an issue that causes difficulties in building relationship between young people and their parents/ teachers. Secondly, it is presented as a problem that disadvantages young people in achieving success in exams and employment. Lastly, young people and adults are construed as recipients of some form of intervention with adults needing help to understand the teenage language and young people needing instructions and discipline to stop them from using slang for their own benefit.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study to the field of youth language culture is that it has brought in a perspective of discourse analysis, expanding the scope of youth language study as it is shown that the media representation of young people and youth language in South Korea is an area of research that is yet to be fully explored. Another contribution is that it has sufficiently demonstrated the viability of using corpus methods, which are also yet to be widely employed in studying youth language in South Korea. The bottom-up approach to data in corpus analysis is effective in minimizing an analyst's own agenda and preconceptions influencing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nd thus strengthening the interpretive rigor. For future research, one meaningful avenue of research to consider is how young people from families of North Koreans settled in South Korea or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re viewed in terms of their linguistic identity and experience of adapting to the new language culture in the media. Understanding how our society views and treats these minority youth groups may help raise public awareness on tolerance and diversity, and develop and implement better policies and programs to educate and foster linguistic integration and understanding among South Korean youths.

      • KCI등재

        청소년의 신(新)문화공간 사례연구: 메타버스 중 ‘제페토(Zepeto)’를 중심으로

        송원일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22 청소년 문화포럼 Vol.- No.71

        This study used a collective case study to investigate what cultural activities youth are doing in Meta-verse platform Zepeto. In Zepeto, eight youth were interviewed in semi- structured questionnaires through chat, voice chat, and zepeto message. As a result, first of all, the youth cultural activities that appeared in Zepeto include exchange activities, play activities, dance activities, peer activities, consumption activities, communication activities, idol activities, webtoon activities, activities to increase followers, and fashion activities. Second, the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Zepeto can be similar because they use the same devices as the existing youth mobile culture. Third, Zepeto has activities related to messenger culture, social games and video sharing culture, SNS culture, and webtoon culture, just like youth mobile culture. Fourth, Zepeto has a chat, economic activities and ranking system just like the youth game culture. Fifth, it can be used as a space for people to be interested in and interact with other countries through Zepeto. Sixth, folk games that used to be played offline have been expanded to play online. Seventh, experience in Zepeto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dentity of the ego. Suggestions based on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 on communication is necessary. Second,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use Zepeto as an educational space. Third, online games needs to be extended to offline play.Fourth, Self-identity education is necessary. Fifth, there is no need to recognize Meta-verse as an unfamiliar cultural space. 본 연구는 메타버스 중 ‘제페토'에서 청소년들이 어떠한 문화 활동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집합적 사례연구를 사용하였다. 제페토에서 청소년 8명과 채팅, 보이스(음성대화), 젶메(제페토 메시지)를 통해 반구조화 질문지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출된 시사점은 첫째, 제페토에서 나타난 청소년문화 활동은 교류 활동, 놀이 활동, 댄스 활동, 또래 활동, 소비 활동, 소통 활동, 아이돌 활동, 웹툰 활동, 팔로워 늘리기 활동, 패션 활동 등이다. 둘째, 제페토에서 나타날 수 있는 특징은 기존 청소년 모바일문화와 동일한 디바이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유사할 수 있다. 셋째, 제페토는 청소년 모바일문화와 동일하게 메신저문화, 소셜게임 및 동영상 공유문화, SNS문화, 웹툰문화와 관련된 활동이 있다. 넷째, 제페토는 청소년 게임문화와 동일하게 채팅, 경제활동 그리고 랭킹시스템이 존재한다. 다섯째, 제페토를 통해 다른 나라에 대해 관심을 갖게 하거나 교류하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여섯째, 오프라인 놀이였던 민속놀이가 온라인에서도 할 수 있는 놀이로 확장되었다. 일곱째, 제페토에서의 경험이 자아정체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시사점을 토대로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통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제페토를 교육적 공간으로 활용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셋째, 온라인 놀이를 오프라인 놀이로 확장할 필요가 있다. 넷째, 자아정체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다섯째, 메타버스를 낯선 문화공간으로 인식할 필요가 없다.

      • KCI등재

        유럽 청소년·청년 대항문화와 대안문화의 기원과 전개양상에 관한 연구

        이영란,김민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18 청소년 문화포럼 Vol.- No.53

        This following paper focuses on the problematic of interfacing the youth counter-culture with the alternative culture which had been individually exploring in the youth culture studies so far. The main topics covers the genesis and streams, characteristics which are based on the inter-generational and the conflict of classes in the stratified post-war European society. This paper shows how European youth counter- and alternative culture had been a leading process which put new thoughts, attempts and actions against main cultural values and norm. Hippies and Punk(1970-1980), Skinhead and Hooligan(1980-1990), social engagement in the civic society(2000-present) have been periodically hot topics in case of Great Britain, Germany and France. Through this study, it turns out that European youth counter and alternative cultures have been playing essential roles in cultural and social changes in the European society. Besides Korean youth counter and alternative culture's authenticities and assignments are discussed in the Korean youth culture studies. 본 연구는 그동안 개별적으로 탐색되어진 청소년·청년 대항문화 및 대안문화가 서로 연계되거나 접점을 이룰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서구 유럽을 중심으로 청소년·청년 대항문화 및 대안문화의 기원과 특징, 전개방향과 양상 등을 탐색하였다. 연구를 통해 서구 유럽 청소년·청년 대항문화와 대안문화의 출발점에는 세대 간 갈등 및 계층·계급갈등이 놓여 있으며, 이는 지배문화의 가치와 지배계층이 주도하는 문화적 흐름에 의문을 제기한 일련의 과정이자 동시에 새로운 시대정신의 문화적 실천임을 밝혔다. 시대별로는 히피와 펑크(1970-1980년대), 스킨헤드와 훌리건(1980-1990년대), 그리고 시민사회와 사회참여(2000년-현재)를 영국과 독일, 프랑스 사례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본 연구를 통해 서구 청소년·청년세대의 대항문화와 대안문화의 사례들은 문화적 에너지의 주체이자 문화적 실천의 표상임을 밝히고, 이와는 다른 시대적 상황과 사회적 배경에서 형성·전개된 한국의 청소년·청년세대 대항문화와 대안문화가 갖는 독특성을 밝히고 그 의의와 과제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시설 청소년들의 문화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홍혜교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22 청소년 문화포럼 Vol.- No.71

        In this study, using the phenomenological method, we tried to understand their living world by revealing the culture shared or produced by teenagers living in residential care center as it is. To this end,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facility adolescents and two facility official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methodological procedure of the analytical phenomenology of van Manen (1998).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youth in the facility had distorted beliefs and expectations for the original family and parents. Over time, they break distorted family myths and accept themselves as they are. Second, facility adolescents are confused at the boundary of protection and control for themselves. As they go through the transition period, they realize that the facility is a fence that keeps them safe. Third, adolescents with diverse personalities experience various experiences through community life, learn healthy communication methods, and grow. Fourth, youth at the facility are in contrast to attend sponsorship events that clearly reveal their affiliation living in the facility, even though they are worried that they will be known that they are living in the facility. Finally, in this study, the meaning of the facility youth culture of ‘growth pain’ and‘boundary and space’ was confirmed. In addition, practical measures were suggested for facility adolescents to grow into healthy adults through performing adolescent development tasks such as forming ego identity, setting safe boundaries, and education on rights and responsibilities. 본 연구에서는 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하여,‘아동양육시설’에서 생활하는 청소년들이 공유하거나 생산해가는 문화를 있는 그대로 드러내어 그들의 생활세계를 이해하려고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5명의 시설 청소년들, 2명의 시설 관계자들과 심층면담을 수행하였고, 수집한 자료는 van Manen(1998)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방법적 절차를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 청소년들은 원가정과 부모에 대한 왜곡된 신념과 기대를 가지고 있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왜곡된 가족 신화를 깨뜨리고 현재의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게 된다. 둘째, 시설 청소년들은 자신들을 위한 보호와 통제의 경계에서 혼란스러워하지만, 과도기를 거치면서 시설이 자신들을 안전하게 지켜주는 울타리라는 것을 알아가게 된다. 셋째, 다양한 개성을 지닌 청소년들은 공동체 생활을 통해 여러 가지 경험을 하며, 건강한 의사소통 방식을 배우며 성장한다. 넷째, 시설 청소년들은 자신이 시설에서 살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질까 봐 전전긍긍하면서도 시설에서 살고 있는 자신의 소속이 명확하게 드러나는 후원 행사는 빠지지 않고 참석하는 대조적인 모습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확인한 ‘성장통’과 ‘울타리와 공간’이라는 시설 청소년 문화의 의미와 함께 자아 정체감 형성과 같은 청소년기 발달 과업 수행, 안전한 경계 설정, 권리와 책임 교육 등을 통해 시설 청소년들이 건강한 성인으로 성장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인지 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분노억제 청소년의 자아상, 정서표현 및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효과

        이봉은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10 청소년 문화포럼 Vol.- No.25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al Group Art Therapy on the self-image, emotional expression, and somatic symptoms of the youth who suppress their anger. The sample consisted of a total of 24 students who volunteered to attend the research among upper 30% of 184 G middle school students in Busan tested by Measurement of Anger-in, Those studen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led group by 12 students, respectively. Measurement instrument used for this study were Self-Image Questionnaire, Emotional Expressivity Scale, and Somatic Symptoms Scal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each pre and post test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were computed after implementing Cognitive Behavioral Group Art Therapy program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research, and t-test was implemen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self-image, emotional expression, and somatic symptom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es. First, Self-Image between the students who attended Cognitive Behavioral Group Art Therapy Program and those who did no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emotional expression between the students who attended Cognitive Behavioral Group Art Therapy Program and those who did no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Somatic Symptoms between the students who attended Cognitive Behavioral Group Art Therapy Program and those who did no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erefore,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y that Cognitive Behavioral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on self-image, emotional expression, and somatic symptoms of the youth who suppress their anger. 본 연구는 인지 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분노억제 청소년들에게 자아상, 정서표현 및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부산시 G중학교 2학년 184명에게 분노억제척도를 실시하여 상위30%안에 해당하는 학생들 중 희망자를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12명씩 무선 배정 하였다. 측정도구는 자아상 척도, 정서표현성 척도, 신체증상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인지 행동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실험과 통제집단의 사전과 사후검사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자아상, 정서표현성 및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인지 행동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분노억제 청소년은 참여하지 않은 분노억제 청소년들보다 자아상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인지 행동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분노억제 청소년은 참여하지 않은 분노억제 청소년들보다 정서표현성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인지 행동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분노억제 청소년은 참여하지 않은 분노억제 청소년들보다 신체증상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인지 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분노억제 청소년의 자아상, 정서표현, 신체화 증상에 효과가 있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인터넷과 청소년 일상문화의 변형

        조민식(Min Sik Cho)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12 청소년 문화포럼 Vol.- No.30

        On-line Game Culture is an inevitable feature to explain about the daily culture of youth. But the study about Game Culture is very weak since the history of Online Game is short. And also most of study ever since has been focused not only on the violence and pornography which were revealed on the process of acceptance of the Online Game for Youth, but also on being immersed in and addictiveness which occurs while participating in game. At this moment, when most children use internet before entering elementary school, and during most of the time on internet they spend it on online game, it is only natural that the daily culture of youth shows changing appearance. It is sure that online game is the important variable to explain cyber deviation of youth. But the reality can`t be overlooked that various aspects of actions are appearing beside the deviating actions in the reality while most youth are using online game. By focusing on the problems like these, I am trying to explain the rapid growth of online game culture in Korea and the cyber deviation which were derived from it, and other action appearances more systematically and critically.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change appearance of daily culture of youth according to online game on the basis of 4 fields such as leisure, learning, meeting (date), and family relation, by executing participant observance about 10 sites which ranked in the most access rates and teenagers are using popularly, and by carrying out FGI of 30 youth. Today, online game is not simple way of leisure activity and it has got through the daily life of youth and furthermore new action appearance and the change of daily culture are occurring.

      • KCI등재

        예술치유콘텐츠를 시청하는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과 이용 동기 연구: 유튜브 ‘이모르’채널을 중심으로

        김미연,김인설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22 청소년 문화포럼 Vol.- No.7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otivation of adolescents watching art therapeutic contents, as well 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motivation on content satisfaction. For its data collec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399 subscribers of the YouTube channel, Emor, which provides video clips on art therapeutic contents. For an analysis, an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participants’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motivation of adults and adolescents. Also,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verify the effect of viewing motivation on content satisfa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adolescents and adults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f-confidence, self-forgiveness, self-regulation efficacy and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In addition, among the adolescent group,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watching motivation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such as lack in self-forgiveness. The adolescents who were emotionally unstable had a stronger tendency to pursue exciting entertainment and relaxation via escaping to digital world. On the other hand, adolescents with high self-confidence and self-regulation efficacy showed strong motivation for gathering information. Lastly,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watching art therapeutic contents in Youtub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rt content satisfaction in terms of entertaining, relaxing and gathering information. 이 연구는 예술치유콘텐츠를 시청하는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과 이용 동기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이용 동기가 콘텐츠 만족에 미치는 영향 또한 살펴보고자 했다. 따라서 예술치유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유튜브 ‘이모르’ 채널의 구독자 39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성인과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과 이용 동기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이용했으며, 동기가 콘텐츠 만족에 미치는 영향검증을 위해선 다중회귀분석을 실행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치유콘텐츠를 시청하는 청소년은 성인과 비교했을 때 전문적 도움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했으며, 자기용서와 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 수준이 낮았다. 둘째, 같은 청소년이더라도 심리적 특성에 따라 예술치유콘텐츠를 이용하는 동기는 달랐으며, 자신감이 부족하고 자기용서를 잘하지 못하며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청소년일수록 오락과 릴랙스를 추구하는 경향이 강함이 확인되었다. 반대로 자신감과 자기조절효능감이 높은 청소년은 정보 추구 동기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예술치유콘텐츠 이용 동기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습관적 시청을 제외한 오락 추구, 릴랙스 추구, 정보 추구 동기 순으로 예술치유콘텐츠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자아탄력성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김경민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10 청소년 문화포럼 Vol.- No.2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 the correlations between parental disciplinary styles and their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as the intermediation of the ego-resilience. To achieve this goal, the research question was established as follows;First, Would the correlations between parental disciplinary styles perceived by their children and subjective well-being of students be?Second, Would the correlations between parental disciplinary styles and ego- resilience of students in adolescence be?Third, Would the intermediation of ego-resilience in parental disciplinary styles and students' subjective well-being be?To resolve this research questions, four kinds of questionaries for students of middle & high school were made, one was as for parental styles, another for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other for ego-resilience. Before asking students to give answers for the questionaries, each school was chosen (one middle school & one high school in Chon Ju) and required for help with this research of each principal, and were permitted it. And the questionaries were collected by it's teacher and handed out. SPSS WIN 12.0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the variables between the parental disciplinary styles and their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The statistical level for this questionaries was set at .05.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First, the parental styles were the major elements in subjective well-being of young people in middle & high school. When the students in middle & high school felt their parental disciplinary styles positive, they were found the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higher. Otherwise, they felt less happy. Second, ego-resilience was developed as teens answered the questionaries perceived their parental disciplinary styles positive. Third, the teens with higher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had as same level as with that of ego-resilience. Based on the idea mentioned above, this study suggested that subjective well-being was more predictive variables in succeeding every area of students' life. 이 연구의 목적은 자아 탄력성을 매개로 부모의 양육 태도와 중, 고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세웠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 태도와 그들의 주관적 안녕감 사이에는 상관이 있을까? 둘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는 상관이 있을까? 셋째로, 부모의 양육 태도와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에 있어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는 있는 것일까?이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중, 고등학생을 위한 4 종류의 설문지가 만들어졌고 하나는 양 부모의 양육태도에 관한 것이고 다른 것들은 주관적 안녕감과 자아탄력성 척도의 질문지였다. 설문지를 돌리기 위해 전주시의 1개의 중학교와 1개의 고등학교를 선정하였고 학교장을 통해서 허락을 받은 후에 주임선생님을 통해 배포되고 회수 되었다. SPSS WIN 12.0 을 통해 부모의 양육 태도와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 사이의 변인을 분석하였고 이 설문지의 통계 수준은 .05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가 중, 고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이었다. 청소년이 부모의 양육 태도를 긍정적으로 지각할 때 그들의 주관적 안녕감은 더 높았으며 그와 반대 일 때 행복감은 더 작았다, 둘째로, 설문에 응한 청소년이 부모의 양육 태도를 긍정적으로 지각할 때 자아탄력성이 발달되었다, 셋째로 주관적 안녕감이 높은 청소년이 자아탄력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에 언급된 것을 기초로 이 연구는 주관적 안녕감이 청소년의 모든 삶의 영역에서 성공을 예측할 수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