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정부의 중소기업에 대한 연구개발투자 효과: 대기업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오윤정,용태석,Oh, Yunjung,Yong, Tae-Seok 기술경영경제학회 2014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2 No.3

        그 동안 정부는 기업부설 연구소의 인적 설립요건을 낮춤으로써 연구원수를 확대하고 중소기업에 대한 연구개발투자 확대를 통하여 중소기업의 연구개발활동과 투자를 유인해 온 바, 본 연구에서는 과연 그동안 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의 연구개발활동에 어떤 효과가 있었는지를 대기업과의 비교를 통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특정 산업이나 정부 R&D 프로그램에 국한하지 않고, 18,272개에 달하는 기업 패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부 연구개발 직접투자의 효과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그 동안의 정부 연구개발 직접투자로 중소기업은 연구원수가, 대기업은 매출액과 자체연구개발비가 증가되는 효과가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정부의 연구개발 직접지원이 오히려 중소기업의 자체연구개발비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야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소기업과 대기업 모두 자체연구개발비를 증가시키는 가장 큰 요인은 기업의 매출액으로 나타났으며, 매출액을 증가시키는 요인은 정부 연구개발 직접투자 보다는 기업의 자체연구개발비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demonstrate how different factors induce the Korean government's direct investment in research and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business enterprise in Korea. We analyzed that what factors made the government directly invest in research and development by using a total of 18,272 company panel data, which are not limited to specific industries or government-led research and development (R&D) program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rect investment for R&D by the government led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researchers in SMEs. For major companies, the direct investment resulted in the increase of sales and company's own R&D expenses. Moreover, this study found that government's direct support for R&D even led to the decrease of SMEs' own R&D expenses; however, this resul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most significant factor to increase both SMEs' and major company's own R&D expenses was the sales amount of the company, rather than government's direct investment for R&D. The factor that increases sales was the company's own R&D expenses, rather than government's direct investment for R&D. Through the analysis using Mixed Effects Model, this study suggested the policy should be changed to make SMEs invest in its own R&D expenses, rather than to secure researchers of SMEs by government's direct investment for R&D.

      • 국민 삶의 질 향상과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혁신역량 변화 방향 제언

        이승규(Seung-kyu Yi),용태석(Tae-seok Yong),김진경(Jink-yung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8 No.11

        본고에서는 OECD의 더 나은 삶 지표(Better Life Index, 이하 BLI)와 COSTII를 이용해 우리나라의 과학기술혁신역량이 삶의 질 관점에서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분석 결과 과학기술혁신역량이 삶의 질에 활용되는 정도가 OECD 34개국 중 최하위였다. 과학기술혁신역량을 구성하는 5개 부문은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가 환경>성과>네트워크>활동>자원 순으로 높았지만 한국의 역량 수준은 OECD 34개국 중 역량별 순위가 활동>자원>성과>네트워크>환경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필요한 과학기술의 첫 번째 변화 방향은 과학기술혁신역량의 균형적 포트폴리오 확보라고 할 수 있다. 혁신성장과 삶의 질 향상의 균형 있는 추진이 가능하도록 기존의 자원, 활동 부문 역량 중심에서 탈피하여 환경, 성과, 네트워크 부문의 역량의 향상이 필요하다. 특히 지원제도, 문화, 다양한 협력 역량 등의 강화가 시급하다. 본고에서는 국민수요조사와 해외동향을 바탕으로 세부역량 강화방안을 함께 제시하였다. 두 번째 변화 방향은 변화된 과학기술혁신역량 포트폴리오의 전문적 관리와 활용 기반 마련이다. 혁신역량의 모니터링과 관리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정책과 사업이 추진되는 시스템을 구축해가야 한다. 그 출발은 삶의 질과 사회문제 해결에 특화된 과학기술혁신역량 관리 체계와 전담 조직 운영이 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가칭)과학기술기반사회혁신지수’ 등의 개발, ‘사회문제과학기술정책센터’ 운영 등을 예시로 제시하였다. 세 번째 변화방향은 과학기술혁신역량의 사회적 활용 극대화를 위해 사회와의 소통과 연계 체계를 강화하는 것이다. 국민 삶의 질과 사회문제 해결은 과학기술만의 힘으로 어려울 수 있다. 정부연구개발비 총액의 증가가 둔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삶의 질 향상과 사회문제 해결에 대한 재정투자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삶의 질과 관련성이 높은 재정이나 시민사회 분야와 같은 사회혁신역량과 과학기술혁신역량의 환경 부문 역량의 연계 방안은 국민 삶 향상에 대한 시너지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지역문제, 사회적경제, ODA 등 다양한 분야 사회정책과의 연계도 과학기술의 사회적 역할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In this paper, we show that Korea "s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city has weak structure in terms of quality of life by using OECD" s Better Life Index (BLI) and COSTII. As a result, the level of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city was the lowest among the 34 OECD countries. In terms of quality of life, the 5 sectors that constitute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city were ranked in order of environment>performance>network>activity>resource, but Korea"s competency level was ranked in order of activity>resource>performance>network>environment among 34 OECD countries. Therefore, the first change direc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s securing a balanced portfolio of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city. In order to achieve balanced growth of innovation growth and quality of lif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ompetencies of environment, performance and network sector by moving away from the existing capacity of resources and activities. In particular, it is urgent to strengthen support systems, culture, and various cooperation capabilities. In this paper, based on national demand research and overseas trends, we suggested ways to strengthen detailed capacity. The second direction of change is professional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changed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portfolio. Based on the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innovation capabilities, we should build a system that promotes effective policies and projects. The departure can be a system of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city management specialized in the quality of life and solving social problems and a dedicated organization. In this regard, the development of "(tentative) science and technology-based social innovation index" and the operation of "Social Problem Science Technology Policy Center" are given as examples. The third direction is to strengthen communication and linkage with society in order to maximize the social utiliz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The quality of life and solving social problems of the people can be difficult due to the power of science and technology alone. In a situation where the increase in the total amount of government R & D expenditures is slowing, the efficiency of financial investment in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solving social problems should be raised. The linkage of social innovation capacity such as finance and civil society field with high quality of life and environmental capac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city can bring synergy effect to improvement of people"s life. The linkage with social policy in various fields such as regional problem, social economy, ODA will be a way to strengthen the social role of science and technology.

      • KCI등재
      • KCI등재

        EU와 한국의 IT를 통한 에너지효율화 정책 비교 연구

        이각범,박찬국,용태석 한국정보사회진흥원 2008 정보화정책 Vol.15 No.3

        에너지 효율화를 이루기 위해 세계 각국은 IT 인프라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특히, EU는 에너지와 IT의 융합 범위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고, 참여와 협력을 기반으로 공동연구과제를 추진해오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IT를 통한 에너지 효율화 연구주제는 전력분야에 국한되어 있으며, 에너지 융합 논의가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본 연구에서는 EU와 우리나라의 IT를 통한 에너지 효율화 정책을 연구주제 선정 과정 및 연구개발 범위와 추진방향, 에너지와 IT 두 부문의 유기적인 연계성, IT확산에 따른 리스크 대응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고, 국내의 IT와 에너지 간 융합 전략을 설정함에 있어 시사점을 도출한다. 앞으로 IT를 통한 에너지효율화 정책은 에너지 정책과 정보화 정책 간 긴밀한 연계성을 갖추어가야 하며, 차세대 IT를 어떻게 에너지 효율화에 접목시킬 것인가에 대해 그 기술도입의 우선순위와 응용범위를 구체화시켜 나가야 한다. 또한, 에너지 부문에 정보화가 확산되면서 나타나는 부작용과 위험요소 등에 적극 대응하면서 에너지산업의 성장 동력화를 위한 인프라를 갖추어가야 한다. The world has been making active use of IT(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for the energy efficiency. Especially EU's energy informatization strategy is prominent in terms of i scope and systematicness, based on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Korea, however, does research on energy-IT convergence focusing just on power grid and does not have a long history of research on energy-IT convergence. We carry out an in-depth study on comparing the energy efficiency policies of EU and Korea in terms of the R&D process, range, and direction. We try to draw implications in setting an strategy on the future convergence policy of energy and IT. The energy efficiency strategy and informatization strategy should be closely connected and policy makers should show concrete action plans to apply the next generation IT for energy efficiency. Furthermore the policy makers should pay attention to measures to cope with the risks stemming from energy informat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