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 유망직업 탐색·발굴을 위한 수요 조사에 관한 연구: 대전 산업특성을 중심으로

        장석인 ( Sug-in Chang ),김문준 ( Moon-jun Kim ),김진경 ( Jink-yung Kim ),황윤성 ( Yoon-seong Hwang ) KNU기업경영연구소 2021 기업경영리뷰 Vol.12 No.1

        본 연구는 대전시 산업특성을 반영한 ‘4차 산업혁명시대’ 유망직업 탐색·발굴에 대한 수요 조사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4차 산업혁명시대의 17개 영역 주력산업별 주요 단어와 핵심 Topic을 참고하여 4차 산업혁명시대 유망 직업군인 정보 생산직, 스마트 공장 운영직, IT솔루션 지원직으로 도출하였다. 또한. 대전시 주력산업 및 4차 산업혁명 산업분야 25,722개 업체 중 50%인 12,861개를 무작위 추출하여 2020년 10월 26일 ~ 11월 6일 동안 대전시 주력산업 및 4차 산업혁명 산업분야 업체의 대표 및 인사담당 임직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즉, 설문조사 결과 총 504개의 유효한 데이터를 통해 대전시만의 4차 산업혁명시대 에 요구되는 유망 직업군인 정보생산직(하위 4개 직군), 스마트공장 운영직(하위 3개 직군), IT솔루션 지원직(하위 6개 직군) 등에 대한 현재 보유인력 및 신규 필요인력, 필요학력, 필요능력, 월평균 급여수준 등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대전만의 특화된 일자리 창출 및 인적자원 재교육 및 인재양성을 위한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즉, 노동시장의 유연성 향상을 위해서는 각종 규제 완화 정책의 재정립이 필요하며 주요 산업별, 직업별 인력수급 전망에 대한 보다 정확한 예측과 양질의 정보공유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따라 노동시장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특정 분야에 대한 전문성에 공통적이며 범용적인 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교육의 질적 변화가 필요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시는 4차 산업혁명을 이끌고 있는 빅데이터,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가상현실 등과 같은 첨단 분야에서 일자리가 세분화되면서 해당 인력수요가 증가에 따른 신직업군에 대한 전략적 육성 방안의 정립과 정책실행의 일관성이 요구되었다.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demand survey for exploration and discovery of promising job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reflecting the industrial characteristics of Daejeon. For this purpose, information production workers, smart factory managers, and IT solution support workers were derived by referring to key words and key topics for each major industry in 17 area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Representatives and personnel of Daejeon-si major industries and 4th industrial revolution industries from October 26 to November 6, 2020 by randomly extracting 12,861 (50%) out of 25,722 companies in the major industries of Daejeon Cit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employees in charge. As a result of the survey, a total of 504 valid data were used to establish promising occupational groups require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Daejeon. In other words, current manpower and new manpower required for information production workers (lower 4 job groups), smart factory management jobs (lower 3 job groups), IT solution support jobs (lower 6 job groups), required education, required skills, average monthly salary level And the like were analyzed and presented. In addition, i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reating specialized jobs in Daejeon, re-education of human resources, and nurturing human resources. In other words, in order to improve the flexibility of the labor market, various deregulation policies need to be re-established, and the need for more accurate forecasting of the outlook for manpower supply and demand by major industry and job and the need for high-quality information sharing was emphasized. In order to cope with changes in the labor market according to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was necessary to change the quality of education to improve common and general abilities. For this, Daejeon City needs job segmentation in high-tech fields such as big data, artificial intelligence, IoT, and virtual reality that are lead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addition, the establishment of a strategy for fostering new occupational groups and consistency in policy execution was required as the demand for the relevant manpower increased.

      • 국민 삶의 질 향상과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혁신역량 변화 방향 제언

        이승규(Seung-kyu Yi),용태석(Tae-seok Yong),김진경(Jink-yung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8 No.11

        본고에서는 OECD의 더 나은 삶 지표(Better Life Index, 이하 BLI)와 COSTII를 이용해 우리나라의 과학기술혁신역량이 삶의 질 관점에서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분석 결과 과학기술혁신역량이 삶의 질에 활용되는 정도가 OECD 34개국 중 최하위였다. 과학기술혁신역량을 구성하는 5개 부문은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가 환경>성과>네트워크>활동>자원 순으로 높았지만 한국의 역량 수준은 OECD 34개국 중 역량별 순위가 활동>자원>성과>네트워크>환경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필요한 과학기술의 첫 번째 변화 방향은 과학기술혁신역량의 균형적 포트폴리오 확보라고 할 수 있다. 혁신성장과 삶의 질 향상의 균형 있는 추진이 가능하도록 기존의 자원, 활동 부문 역량 중심에서 탈피하여 환경, 성과, 네트워크 부문의 역량의 향상이 필요하다. 특히 지원제도, 문화, 다양한 협력 역량 등의 강화가 시급하다. 본고에서는 국민수요조사와 해외동향을 바탕으로 세부역량 강화방안을 함께 제시하였다. 두 번째 변화 방향은 변화된 과학기술혁신역량 포트폴리오의 전문적 관리와 활용 기반 마련이다. 혁신역량의 모니터링과 관리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정책과 사업이 추진되는 시스템을 구축해가야 한다. 그 출발은 삶의 질과 사회문제 해결에 특화된 과학기술혁신역량 관리 체계와 전담 조직 운영이 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가칭)과학기술기반사회혁신지수’ 등의 개발, ‘사회문제과학기술정책센터’ 운영 등을 예시로 제시하였다. 세 번째 변화방향은 과학기술혁신역량의 사회적 활용 극대화를 위해 사회와의 소통과 연계 체계를 강화하는 것이다. 국민 삶의 질과 사회문제 해결은 과학기술만의 힘으로 어려울 수 있다. 정부연구개발비 총액의 증가가 둔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삶의 질 향상과 사회문제 해결에 대한 재정투자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삶의 질과 관련성이 높은 재정이나 시민사회 분야와 같은 사회혁신역량과 과학기술혁신역량의 환경 부문 역량의 연계 방안은 국민 삶 향상에 대한 시너지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지역문제, 사회적경제, ODA 등 다양한 분야 사회정책과의 연계도 과학기술의 사회적 역할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In this paper, we show that Korea "s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city has weak structure in terms of quality of life by using OECD" s Better Life Index (BLI) and COSTII. As a result, the level of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city was the lowest among the 34 OECD countries. In terms of quality of life, the 5 sectors that constitute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city were ranked in order of environment>performance>network>activity>resource, but Korea"s competency level was ranked in order of activity>resource>performance>network>environment among 34 OECD countries. Therefore, the first change direc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s securing a balanced portfolio of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city. In order to achieve balanced growth of innovation growth and quality of lif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ompetencies of environment, performance and network sector by moving away from the existing capacity of resources and activities. In particular, it is urgent to strengthen support systems, culture, and various cooperation capabilities. In this paper, based on national demand research and overseas trends, we suggested ways to strengthen detailed capacity. The second direction of change is professional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changed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portfolio. Based on the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innovation capabilities, we should build a system that promotes effective policies and projects. The departure can be a system of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city management specialized in the quality of life and solving social problems and a dedicated organization. In this regard, the development of "(tentative) science and technology-based social innovation index" and the operation of "Social Problem Science Technology Policy Center" are given as examples. The third direction is to strengthen communication and linkage with society in order to maximize the social utiliz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The quality of life and solving social problems of the people can be difficult due to the power of science and technology alone. In a situation where the increase in the total amount of government R & D expenditures is slowing, the efficiency of financial investment in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solving social problems should be raised. The linkage of social innovation capacity such as finance and civil society field with high quality of life and environmental capac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city can bring synergy effect to improvement of people"s life. The linkage with social policy in various fields such as regional problem, social economy, ODA will be a way to strengthen the social role of science and tech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