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공감척도 개발 연구

        오희정 ( Oh Hee-jung ),황해익 ( Hwang Hae-i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6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마주하는 관계 속에서 유아교사의 공감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525명이며 연구도구는 포커스그룹 인터뷰(FGI)와 전문가 적절성 검토를 거쳐 개발된 유아교사공감척도를 사용하였다. 2차에 걸쳐 개발된 시안의 검사양호도와 문항양호도를 SPSS 23.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검사양호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인타당도, 구성타당도, 공인타당도 그리고 신뢰도를 살펴본 결과, 표현적 공감, 성인 인지적 공감, 유아 인지적 공감, 유아 정서적 공감, 성인 정서적 공감의 다섯 가지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유아교사공감척도의 각 하위요인 및 총점 간 높은 수준의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김민주(2018)가 개발한 한국판 인지적·정서적 공감 척도(K-QCAE)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문항 전체 및 하위요인별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항양호도에서는 극단 값에 치우치는 문항이 없으며, 상·하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각 문항이 유아교사의 공감을 충분히 변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mpathy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context of the relationships they are facing. The research procedure consisted of developing a draft empathy scal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easuring the adequacy of the assessment tools, and analyzing the item quality in the final draft. The subjects were 525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A child teacher empathy scale was construct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and expert adequacy reviews. Adequacy of the assessment tools and analysis of the item quality of the draft were developed over two phases using the SPSS 23.0 program. The results were based on the adequacy of the assessment tools (construct validity, concurrent validity, and reliability) and the item quality (item response distribution, item discrimination) of the final draft. The resul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of the items, demonstrating the reasonability and high reliability of the scale to measure the empath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expects that th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enrich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 empath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s with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the scale provides useful data for conducting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y-related research. Furthermore, this research aspires that empathy will serve as an influential factor in happiness education in the future.

      • SCOPUSKCI등재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의 코인두강 집락이 경피내시경하위루술 감염에 미치는 영향과 감염의 위험인자

        오희정 ( Hee Jung Oh ),심기남 ( Ki Nam Shim ),최희정 ( Hee Jung Choi ),이종수 ( Jong Soo Lee ),송현주 ( Hyun Joo Song ),유금혜 ( Kum Hei Ryu ),김태헌 ( Tae Hun Kim ),정성애 ( Sung Ae Jung ),유권 ( Kwon Yoo ) 대한소화기학회 200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9 No.4

        목적: 경피내시경하위루술(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PEG)은 경장 영양법으로 시술 부위 감염은 가장 흔한 부작용이다. 최근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가 PEG 시술 부위 감염원으로 대두되고 있고 코인두강 내 MRSA 집락이 PEG 시술 부위 감염과 연관되어 있다. 이번 연구는 PEG 시술 전에 예방 항생제를 투여하였을 때 코인두강의 MRSA 집락이 PEG 시술 부위 감염에 미치는 영향과 시술 부위 감염의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9월부터 2005년 7월까지 다양한 질환에 의해 장기 경장 양양법으로 PEG를 처음 시행 받았던 31명을 대상으로 전향 연구를 시행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시술 전 항생제를 사용하고 코인두강 상재균을 도말하여 배양하였다. PEG 시술 후 1, 3, 7일에 시술 부위를 관찰하였고 시술 부위 감염 시 균을 도말하여 배양하였다. MRSA 코인두강 집락과 시술 부위 감염의 관계와 시술 부위 감염의 위험인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코인두강의 상재균 중에 MRSA가 10예(66.5%)로 가장 많았으나 MRSA의 코인두강 집락과 시술 부위 감염은 관계가 없었다(p=0.300). 합병증은 13예(41.9%)에서 발생하였고 시술 부위 감염은 4예(12.9%)였다. 시술 부위 감염과 성별, 연령, 원인질환, 재원 일수, 시술 전 급식 방법, 항생제 사용 형태 등은 상관관계가 없었다. 당뇨병 환자에서 시술 부위 감염률이 유의하게 높았다(p=0.015). 결론: 예방 항생제를 사용하는 환자에서 코인두강 MRSA 집락이 PEG 시술 부위 감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당뇨병은 시술 부위 감염의 위험인자였다. Background/Aims: Peristomal infection is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of 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PEG) insertion.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s the most commonly implicated organism of peristomal infection.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contribution of nasal MRSA to wound infection in PEG and the predictors of wound infection. Methods: A p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patients undergoing PEG between September 2003 and July 2005. All patients received antibiotics prior to PEG insertion. Nasal swabs were taken from a consecutive series of patients prior to PEG insertion. Wound status of the peristomal site were prospectively evaluated at day 1, 3, and 7 following the insertion of PEG. Results: Thirty-one patients underwent PEG insertion (mean age, 66±16 years). Ten patients (32.3%) had MRSA-positive nasal swabs. Peristomal infection did not have any relationship with nasal MRSA colonization (p>0.05). Peristomal infection occurred in 4 (12.9%) cases. The rate of peristomal infection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p<0.05). Conclusions: Nasal MRSA colonization is not associated with the risk of peristomal infections in patients receiving antibiotics prior to PEG insertion. Diabetes mellitus might be the risk factor for peristomal infection after PEG insertion. (Korean J Gastroenterol 2007;49:225-230)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소화성 궤양 치료에서 Helicobacter pylori 제균 삼제 요법과 추가적인 위산분비 억제치료의 역할

        정지민 ( Ji Min Jung ),심기남 ( Ki Nam Shim ),오희정 ( Hee Jung Oh ),나윤주 ( Youn Ju Na ),정해선 ( Hae Sun Jung ),정성애 ( Sung Ae Jung ),유권 ( Kwon Yoo ) 대한소화기학회 2008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1 No.1

        목적: 최근 Helicobacter pylori에 감염된 소화성 궤양에서 H. pylori만 제균하여도 궤양이 치유되고, 추가적인 위산분비 억제제의 투여가 필요 없다는 보고가 있으나, 국내 연구는 드물다. 이번 연구에서는 전향적으로 소화성 궤양 치료효과와 관련하여 H. pylori 제균 전, 후의 위산분비 억제 치료의 유용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5월부터 2005년 11월까지 상부위장관내시경검사에서 5 mm 크기 이상의 활동 위궤양 또는 십이지장궤양으로 진단된 환자 중, H. pylori 감염이 증명된 3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인 연구를 시행하였고, 28명의 환자가 연구를 완료하였다. 대상 환자들은 진단 시 H. pylori 제균치료 후 3주간 omeprazole 20 mg을 하루 한 번씩 복용하는 추가치료를 시행한 군(A군) 14명과, H. pylori 제균치료만 시행한 군(B군) 12명, omeprazole 20 mg을 하루 한 번씩 3주간 복용한 후에 H. pylori 제균치료를 한 군(C군) 12명으로 무작위 배정되었다. 제균치료 4-8주 후에 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H. pylori 제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신속 요소분해효소 검사와 조직검사를 시행하였고, 제균율, 증상 점수, 궤양의 크기, 내시경적인 궤양 치유율을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에 참여한 28명의 환자 중 24명이 제균에 성공하여 전체 환자의 제균율은 85.7%이었으며, A군이 87.5%, B군이 80.0%, C군이 90.0%로 세 군 간에 제균율 차이는 없었다 (p=0.80). 궤양 치유율은 A군이 100%, B군이 70%, C군이 90%로 세 군 간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p=0.20). 치료 전, 후의 증상 점수의 차이는 A군에서 1.8±1.2점, B군에서 1.5±1.1점, C군에서 2.3±1.1점으로 각 군 간에 의미있는 증상 점수의 차이는 없었으나(p=0.21), C군에서 증상 점수 차이가 큰 경향을 보였다. 결론: 소화성 궤양 치유에서 H. pylori 제균 전, 후에 PPI로 위산분비 억제 치료를 하는 것은 H. pylori의 제균율이나 궤양의 치유율에는 영향을 주지 못한다. 따라서, H. pylori의 제균치료만으로도 궤양 치유는 충분할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대상 환자 수가 작고 단일 기관에 국한된 연구이므로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Aims: It is not clear whether the anti-secretory therapy should be continued for symptomatic relief and ulcer healing before or after the eradication of H. pylori in patients with peptic ulcer disea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dditional anti-secretory therapy before or after H. pylori eradication in peptic ulcer disease. Methods: Thirty eight patients with H. pylori-positive active peptic ulcer were included. Patient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3 groups; standard 1-week triple therapy followed by omeprazole (20 mg, qd) for 3 weeks (group A), standard 1-week triple therapy only (group B), and omeprazole (20 mg, qd) for 3 weeks followed by 1-week triple therapy (group C). Endoscopy with the rapid urease test and histology for H. pylori was performed 4-8 weeks after the completion of treatment. The symptom was scored by a visual analog scale. Results: Of the 38 patients, 10 were excluded from the per-protocol analysis of this study. The H. pylori eradication rates were 87.5% (group A), 80.0% (group B) and 90.0% (group C) respectively. The peptic ulcer healing rates were 100% in group A, 70.0% in group B, and 90.0% in group C. There was no difference in H. pylori eradication rates and ulcer healing rates among three groups (p>0.05). Symptom score differences between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Conclusions: The standard one week triple therapy with or without 3-weeks anti-secretory treatment with omeprazole before or after the therapy does not affect H. pylori eradication rates, peptic ulcer healing rates, and symptom score improvement. (Korean J Gastroenterol 2008;51:11-18)

      • SCIESCOPUSKCI등재

        기계호흡에 의존하는 중환자들에게서 발생하는 마비성 장폐색과 관련된 인자들

        송지현 ( Ji Hyun Song ),정성애 ( Sung Ae Jung ),김성은 ( Seong Eun Kim ),송현주 ( Hyun Joo Song ),오희정 ( Hee Jung Oh ),유금혜 ( Kum Hei Ryu ),염혜정 ( Hye Jung Yeom ),김태헌 ( Tae Hun Kim ),심기남 ( Ki Nam Shim ),유권 ( Kwon Yo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6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2 No.1

        목적: 기계호흡 치료를 받는 환자들에서는 여러가지 소화기계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으나, 이들에서 관찰되는 마비성 장폐색이 기계호흡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는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저자들은 기계호흡 치료를 받는 환자에서 기계호흡 지표들과 전신상태를 반영하는 임상 지표들을 분석하여 마비성 장폐색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2월부터 2004년 7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내과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기계호흡을 시행받았던 817명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기질적 병변이나 약물로 인한 장폐색이 확인된 환자는 제외하였고, 기계호흡 시행 전후의 단순복부촬영을 비교할 수 있었던 29명의 환자를 최종 대상으로 하였다. 마비성 장폐색이 발생하였던 환자 14명(이하 마비성 장폐색군)과 발생하지 않았던 환자 15명(이하 대조군)의 내원 당시와 마비성 장폐색의 발생 여부를 진단한 시점에서 혈액검사 소견, 기계환기 관련 수치 및 임상지표들을 비교하였다. 결과: 38℃ 이상의 고열이 있던 환자는 마비성 장폐색군에서 의미있게 많았다(p<0.05). 기계호흡을 시행할 당시의 저산소증, 저혈압 유무, 체중당 1회 호흡량, 기계호흡 방식 등은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마비성 장폐색의 발생 여부를 진단할 수 있었던 시점의 혈액 소견 및 임상지표들을 비교해 보면, 마비성 장폐색군에서 혈중 백혈구수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고(p=0.05), 입원 당시에 비해 CRP가 증가한 경우가 마비성 장폐색군에서 의미있게 높았다(p<0.01). 사망률은 마비성 장폐색군이 대조군보다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p=0.14). 결론: 기계호흡 치료를 받는 환자에서 마비성 장폐색의 발생은 기계호흡관련 지표보다 기저질환 및 전신염증상태의 변화에 더 큰 영향을 받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기계호흡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에서 마비성 장폐색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기저질환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를 통하여 전신적 염증상태를 호전시키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Background/Aim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ho develop paralytic ileus while on mechanical ventilation.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817 patients on mechanical ventilation from December 2001 to July 2004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With the exception of ileus secondary to organic diseases, drugs and the diseases that affect bowel motility, 29 patients (14 in the ileus group and 15 in the control group) were enrolled.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on admission, at the time of starting ventilator treatment and at the time of the development of ileu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High fever was more common in the ileus group (p<0.05). The prevalence of hypoxemia and hypotension and the parameters of ventilatory settings were not different at the initiation of ventilator treatment. At the time of the development of ileus, the ileus group tended to have a higher leukocyte count (p=0.05), a significantly more prominent rise in the CRP level (p<0.01) and a higher mortality rate (p=0.14). Conclusions: In patients on mechanical ventilation, the status of infection or inflammation appears to affect the development of ileus more significantly than the ventilatory settings. Control of underlying inflammatory conditions may be important to prevent ileus.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6;12:55-62)

      • SCOPUSKCI등재

        진단 대장내시경 중 발생한 직장 천공을 내시경적 클립술로 치료한 1예

        송지현 ( Ji Hyun Song ),심기남 ( Ki Nam Shim ),김성은 ( Seong Eun Kim ),송현주 ( Hyun Joo Song ),오희정 ( Hee Jung Oh ),유금혜 ( Kum Hei Ryu ),염혜정 ( Hye Jung Yeom ),김태헌 ( Tae Hun Kim ),정혜경 ( Hye Kyung Jung ),정성애 ( Sung 대한장연구학회 2005 Intestinal Research Vol.3 No.2

        Colonoscopy has become the principal method for diagnosis, treatment, and follow-up of colorectal disease. However, colonoscopy is an invasive procedure with an associated risk of complications. Especially, perforation of the colon and rectum during colonoscopy is a rare but serious complication. The choice of conservative versus surgical treatment for this complication remains controversial. In general, conservative treatment is reserved for patient in good general health with good bowel preparation and absence of signs of peritonitis during 24 to 48 hours following the perforation. Conservative management consists of intestinal rest, intravenous fluids and antibiotics, nasogastric tube decompression, and frequent clinical examination. In case of iatrogenic perforation, if the wound is immediately closed with clips, contamination of the peritoneal cavity can be minimized. We report here a patient who sustained iatrogenic rectal perforation caused by diagnostic colonoscopy that was successfully treated by endoscopic clipping therapy. (Intestinal Research 2005;3:154-156)

      • 심한 낙타혹(Hump)의 형성을 동반한 제 2 형 막증식성 사구체신염(Dense Deposit Disease) 1예

        오희정,유민아,이영숙,김미연,김승정,강덕희,윤견일,최규복,성순희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2004 EMJ (Ewha medical journal) Vol.27 No.1

        Dense deposit disease (DDD), known as type Ⅱ MPGN, is an uncommon form of glomerulonephritis. It is an acquired primary glomerular disease, characterised by electron microscopic evidence of a continous, dense membrane deposition replacing the lamina densa. There is associated alternative pathway complement activation and a C3 nephritic factor maybe present. Patients with dense deposit disease tend to be young at clincal onset and more commonly have persistent nephrotic syndrome, gross hematuria, and acute nephritis episode and persistent depression of the serum complement level. The prognosis of dense deposit disease is worse than that of typeⅠMPGN. We experienced a patient with dense deposit disease that presenting persistent nephrotic syndrome, gross hematuria and having subepithelial hump. It is a first report of dense deposit disease having subepithelial hump in Korea, therefore we report this case with the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s.

      • 보리가루에서 분리한 β-Glucan의 생리적 기능성

        오희정,이서래 이화여자대학교 생명과학연구소 1996 생명과학연구논문집 Vol.7 No.-

        보리가루로부터 β-glucan을 추출, 정제하여 그의 소화관내 생리적 기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반투막을 이용한 in vitro 실험을 수행하였다. 보리가루로부터 β-glucan을 6.2%의 수율로 정제하였으며 그의 순도를 확인한 결과 총 식이섬유 81.6%, 수용성 식이섬유 72.9%, 불용성 식이섬유 8.7%, 수분 8.5%, 단백질 2.5%, 회분 7.4%였다. β-Glucan 제품의 수분보유력은 1g의 건조물당 6g이었다. 투석막을 이용하여 β-glucan 제품의 glucose 흡수 지연효과를 살펴 본 결과 β-glucan을 3% 첨가한 경우 투석 30분이 경과되었을 때 glucose retardation index가 13.5%였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그 효과는 감소하여 투석 2시간 후에는 그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Bile acid 흡수 지연 효과를 살펴 본 결과 투석 30분이 경과되었을 때 bile acid retardation index는 β-glucan이 1,3,5% 첨가된 경우 각각 3,12,18% 수준으로 같은 시간이 경과되었을 때의 glucose 흡수 지연효과보다 더 크게 나타났으며 시간이 경과할수록 그 효과가 감소하였다. In order to prove physiological function of β-glucan isolated from barley flour by enzymatic method, in vitro experiments simulating the passive membrane transport of gastrointestinal tract were carried out out using dialysis membrane. The yield of β-glucan from barley flour was 6.2% and its constituents were determined to give 81.6% total dietary fiber, 72.9% soluble dietary fiber, 8.7% insoluble dietary fiber, 8.5% moisture, 2.5% protein and 7.4% ash. The water holding capacity of the β-glucan preparation was 6g water/g dry material. The glucose retardation index after 30 minute dialysis was 13.5% in the presence of 3% β-glucan. As the dialysis period became longer, the retarding effect toward glucose absorption decreased and the effect was close to zero after 2 hour dialysis. The bile acid retardation index after 30 minute dialysis was 3,12 and 18% in the presence of 1,3 and 5% β-glucan, respectively. The effect was higher than the glucose retardation index and decreased as the dialysis time elap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