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공포증 경향성자의 자기초점적 주의가 기억편향에 미치는 영향

        오지희,현명호 한국청소년학회 2012 청소년학연구 Vol.19 No.1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elf-focused attention on memory bias in social phobia-prone late adolescent individuals. After inducing self-focused attention to social phobia-prone individuals, we examined implicit and explicit memory biases. Using an tachistoscopic word identification task, we assessed implicit memory. Explicit memory was assessed by recognition task. In these tasks, three types of word stimuli were selected; positive words, negative words, neutral words. Negative word stimuli consisted of the threatening words that have the meaning of 'negative evaluation' and 'anxiety symptom' related to social phobia. Self-focused attention group shows implicit memory bias for the negative word stimuli. However two groups didn't differ in explicit memory performance for the all word stimuli. Also, two groups didn’t differ anxiety symptom related word stimuli.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cial phobia shows distinct symptoms that distinguish itself from other anxiety disorders.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사회공포증 경향성자의 자기초점적 주의가 기억편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후기청소년을 대상으로 사회공포증 경향성자에게 자기초점적 주의를 유발한 후 내현적 기억편향과 외현적 기억편향을 살펴보았다. 내현적 기억은 순간노출단어 명명과제를 통해, 외현적 기억은 재인과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단어자극은 긍정적 단어와 부정적 단어로 구성하였다. 부정적 단어자극은 사회공포증을 가진 사람의 두려움의 특징인 ‘부정적 평가’와 ‘불안증상’에 관련된 단어로 구성하였다. 실험결과, 내현적 기억과제에서 자기초점적 주의를 유발한 집단이 유발하지 않은 집단보다 외부의 부정적 평가와 관련된 단어에서 더 큰 기억편향을 보였다. 반면에 외현적 기억과제에서는 모든 단어조건에서 두 집단 모두 기억편향이 발견되지 않았다. 불안증상 관련 단어에서는 집단 간 기억 편향의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초점적 주의가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증가시켜 기억편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시켜주며, 사회공포증이 다른 불안장애와 달리 개별적인 특성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확장된 기술수용모델(ETAM)을 적용한 메타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가상세계 메타버스를 중심으로

        오지희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0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factors affecting consumers' intention to use metaverse by applying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 other words,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the metaverse were set as content quality, perceived enjoyment, social influence, self-efficacy, and investiga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xpa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r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296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the collected data from 267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AMOS 23.0.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which are the antecedent variables of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ffect the intention to use the metaverse, and perceived ease of use has an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Content quality and perceived enjoyment had an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intention to use metaverse. Social influence was found to affect perceived usefulness and intention to use metaverse. Also, self-efficacy was found to affect perceived ease of use and intention to use metaverse. 본 연구는 메타버스에 대한 소비자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즉, 메타버스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콘텐츠 품질과 지각된 유희성, 사회적 영향, 자기효능감으로 설정하여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의 관점으로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의 대학에서 296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통해 수집된 267명의 데이터를 SPSS 25.0과 AMOS 23.0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그 결과,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의 선행변인인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은 메타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콘텐츠품질과 지각된 유희성은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 그리고 메타버스 이용의도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영향은 지각된 유용성과 메타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지각된 용이성과 메타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우리의 일상과 미디어 이용 환경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올 뉴미디어로 주목받고 있는 메타버스에 대한 소비자의 수용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노인의 상실감, 응집감 및 우울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매개된 조절효과†

        오지희,김종남 한국건강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2 No.3

        This study discuss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a sense of loss, a sense of coherence, and the nature of depression which influences the ego integrity of the elderly. By targeting elderly participants aged 65+, the research utilizes the Ego Integrity Scale, the Scale of Sense of Loss for the Korean the Elderly, Sense of Coherence Scale, and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 Korea Version.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sense of loss and a sense of coherence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elderly's ego integrity; second, depression had a complete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 sense of loss and ego integrity; third, a sense of coherenc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of a sense of loss and ego integrity; lastly,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a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go integrity and two intertwined parameter, a sense of loss and a sense of coherence, was studied. Through analysis, partial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depression on ego integrity was founded. As the results above indicate, the study confirms the risk factors and protection factors of the ego integrity of elderly. Moreover, it illustrates the limit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oposes a novel understanding of how the elderly can age successfully; it also proposes possible directions for how to utilize the study's results in psychological adaptations of the community's elderly. 본 연구는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지속적인 증가로 초고령화 사회(super-aged society)에 진입할 것이라는 예측을 토대로 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이해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에 노인의 성공적 적응 상태라고 할 수 있는 자아통합감에 영향을 미치는 상실감, 응집감 그리고 우울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65세 이상 노인 388명을 대상으로 자아통합감 척도, 한국노인 상실감 척도, 응집감 척도, 한국형 노인 우울 척도 단축형을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실감과 응집감, 우울은 자아통합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상실감과 자아통합감의 관계에서 우울의 완전매개효과가 있었다. 셋째, 상실감과 자아통합감의 관계에서 응집감의 조절효과가 있었다. 넷째, 상실감과 응집감의 상호작용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역할을 이해하기 위해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하였고, 부분 매개된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자아통합감에 대한 위험요인으로 상실감과 우울을, 보호요인으로는 응집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상실감 혹은 우울과 같은 부정적인 상황에서도 어떻게 자아통합감이 회복되고 유지되며, 향상될 수 있는 지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이는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지역사회 노인들의 심리적 적응에 대한 개입 방향을 설정하는 것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점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Identifies Candidate Loci Associated with Platelet Count in Koreans

        오지희,김봉조,김윤경,문상훈,김영진 한국유전체학회 2014 Genomics & informatics Vol.12 No.4

        Platelets are derived from the fragments that are formed from the cytoplasm of bone marrow megakaryocytes−smallirregularly shaped anuclear cells. Platelets respond to vascular damage, contracts blood vessels, and attaches to the damagedregion, thereby stopping bleeding, together with the action of blood coagulation factors. Platelet activation is known toaffect genes associated with vascular risk factors, as well as with arteriosclerosis and myocardial infarction. Here, weperformed a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with 352,228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s typed in 8,842 subjects of theKorea Association Resource (KARE) project and replicated the results in 7,861 subjects from an independent population. Weidentified genetic associations between platelet count and common variants nearby chromosome 4p16.1 (p = 1.46 × 10–10,in the KIAA0232 gene), 6p21 (p = 1.36 × 10–7, in the BAK1 gene), and 12q24.12 (p = 1.11 × 10–15, in the SH2B3 gene). Ourresults illustrate the value of large-scale discovery and a focus for several novel research avenues.

      • 18세기 영국 극음악 장르의 발달과 특징 - 영국 오라토리오와 발라드 오페라 등장을 중심으로

        오지희 (사)음악사연구회 2019 음악사연구 Vol.8 No.-

        18세기 영국 음악사는 17세기 퍼셀 이후 19세기 영국음악의 르네상스가 등장하기 전까지 어둠의 시대로 불린다. 그러나 이 시기는 영국 극음악의 다양한 장르가 발전하던 때이며 이러한 극음악이 활성화될 수 있는 음악문화도 적극적으로 조성돼 있었다. 18세기 초·중반 영국은 이탈리아에서 건너온 오페라, 영국 오라토리오, 발라드 오페라 이 세 장르가 혼재해 있었다. 시기별로 유행하던 장르는 달랐지만, 중요한 것은 이 시대가 영국 극음악의 최전성기였다는 데 있다. 그것은 18세기 영국이 헨델과 같은 뛰어난 작곡가를 배출하지 못한 어둠의 시대가 아닌, 종합예술인 극음악을 활발히 누릴 수 있었던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음악활동 시기임을 뜻한다. 또한 18세기 영국에서는 숭고미 이론이 발달했다. 헨델의 오라토리오로 대표되는 영국 오라토리오에는 장엄함과 숭고함이 깃들어있었다. 헨델은 오페라를 만들면서 오라토리오도 작곡했다. 단지 시기별로 오페라에서 오라토리오로 중심이 이동했을 뿐이다. 한편 이탈리아 오페라가 한창 상연되던 시기에 영국적인 발라드오페라도 등장했다. 발라드 오페라에는 당시 유행하던 모든 다양한 노래가 들어있었으며 기존 영국 궁정 마스크가 갖고 있던 대사의 중요성과 연결된다. 영국식 오라토리오와 영국식 발라드 오페라의 성공은 이탈리아 레치타티보가 결코 영국식 가사를 이길 수 없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라 할 수 있다. English Music in the 18<sup>th</sup> century is so called ‘A Dark Age’, which means England from the 17<sup>th</sup> century after Purcell to the English Renaissance in the 19<sup>th</sup> century did not have creative composers like German musicians. However, this was the period that various type of English theater music had been developed. Moreover the people in England were eagerly fond of cultivating musical life. English music especially in the first half of the 18<sup>th</sup> century saw Italian opera and English oratorio by Handel, and the ballade opera by Gay. Those three genres were enjoyed in the same time. But I emphasize on the fact that this time was the highlight of that kind of theater music. This period was not a Dark Age but a positive, energetic age concerning on their theater music. England in the 18<sup>th</sup> century stressed the importance of the Sublimity theory. English Oratorio by Handel had some solemnity and sublimity in it. Handel produced Italian opera and English oratorio around the same age. He simply shifted the pivot on his greatest interests. Meanwhile, A ballade opera by Gay appeared while Italian opera had been in fashion. The ballade opera had quite diverse songs. And the dialogue was linked to the English Masques. After all, the success of the English oratorio and the English ballade opera showed that Italian opera recitativo could not survive in Englan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메타버스 이용 동기가 만족도와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가상세계 메타버스를 중심으로

        오지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2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6 No.2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the effect of metaverse use motivation on satisfaction and continued use intention. In other words, the motives for using the metaverse were revealed with a focus on metaverse users, and the effect of the motives for using the metaverse on satisfaction and continued use intention was investigated by applying the 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and the expectation confirmation model.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224 university students who had experience using the metaverse at two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data collected from 216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AMOS 23.0. As a result, the motivations for using the metaverse were information acquisition, usefulness, interaction, self-expression, and pleasure. In addition, excluding information acquisition, usefulness, interaction, self-expression, and pleasur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ntinued use intention. Also, it was found that usefulness, interaction, self-expression, and pleasure, excluding information acquisi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continued use intention through satisfac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strategy for securing the marketability of the metaverse by examining the acceptance factors related to the metaverse experience in detail.

      • 성역할 태도가 의복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내 여자 대학생을 중심으로

        오지희,한명숙 상명대학교 가정문화연구소 1992 가정문화연구 Vol.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dern/traditional sex role attitud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on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2) to study the relationships between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by sex role attitudes.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a clothing behavior measure, a sex role attitudes measure and a demographic information section was distributed. The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measure included six variables, which were silhouette, neckline, collar, sleeve, pattern and color.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d to 338 female collage students in Seoul area who met the criteria for the study.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the analysis of data included CROSSTAB, Multiple Regressions, Factor Analysis and Frequenc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between the traditional and modern sex role attitudes groups. 2)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in collar, sleeve, pattern and color as clothing purchasing between the sex role attitudes and demographic in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