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주 지역사 교육을 위한 초등학교 연계의 박물관 문화재 활용 교육 연구

        오명숙 제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Jeju has an independent and distinct history and culture that has resulted from the unique natural environment. Recently, with the diversification of history research, microscopic history education based on the history of life and culture has been expanded beyond the perception of whole history of a nation from a macroscopic perspective. Therefore,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regional living and traditional cultures due to the reinforcement of curriculum. Localized materials are additionally provided to supplement the textbook for the 3rd and 4th years of elementary school, given that new supplementary materials are necessary to utilize the social studies textbook amended in 2015 more effectively and provide regional history education that fits for regional characteristics. However, they are general learning materials that include the history and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phenomena of the region to help students to adapt to the community society as a member, and thus contain less description and content of the regional history. The regional history is also a part of localization; the sense of community as an independent and fundamental member is originated from the regional history. The revitalization of regional history education helps cultivate the identity of the region and becomes the driving force of regional develop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regional history and study revitalization measures, with focus on the 3rd and 4th years of elementary school where localized education is included in the regular curriculum. Based on the fact that the supplementary localized materials for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school significantly lack the regional history of Jeju, this study intend to revitalize the area of regional history by re-organizing the museum programs based on the regional relics preserved in the Jeju National Museum. Such attempt is based on the judgment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maximize the historical thinking and imagination of children and practice experience education efficiently by utilizing friendly and familiar regional cultural properties preserved in regional museums. To revitalize regional history education, which is the goal of this study, foundational systems and efforts are necessary first along with several sugges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systematize the topics of regional history education with specific and objective educational materials according to learners. Local researchers have been actively conducting studies regarding the history of Jeju. However, the results or content of the studies should be re-organized and shared as objective and systematic educational materials to educate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rather than simply treating them as academic research results. Second, the capabilities and positive attitude of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regional history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Knowledge based on field experiences beyond the teacher's manual and the activity paper in the museum has great influence on increasing the interest and motivation of learners. Third, learning should be practiced based on close connection between schools and regional museums. The current curriculum has many limiting factors to satisfy the historical imagination and curiosity of students in their 3rd and 4th years. Therefore, in learning based on close connection between schools and regional museums, we can expect very significant learning results as active learners in the process of direct observation and exploration of cultural properties. Lastly, the positive activities of regional museums are necessary. The Jeju National Museum operates various regional programs and educations in comparison to national museums in other regions. The museum, as a national museum in the region, reorganized the outreach museum program in the form of a mobile museum for the community. In particular, this program provides supplementary regional history classes using each after-school program targeting 3rd and 4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who learn the regional history. Museums have a limitation that spectators should visit it and schools may face various problems for outside school classes. However, the outreach museum program can address such problems and allow for various academic subjects. Students often learn the localization process by themselves through a socialization process while growing up as members of the community, but the regional history education is mainly administered through learning. This study suggested using regional museums for easy and interesting regional history education by supplementing the localized textbook currently distributed. However, the curriculum should be improved and the regional history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systematically in the future. 제주는 독특한 자연환경 속에 축적되어온 제주만의 독립적이고 특수성을 지닌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고 있다. 최근에 들어서 역사연구의 다변화로 거시적인 관점 의 국가 전체사 역사 인식을 극복하고 생활·문화사 중심의 미시적 역사교육이 확대 되었다. 이에 교육과정의 강화에 따라 지역의 생활문화와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2015개정 교육과정 사회교과서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지역사 교육을 위해 새로운 보완교재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초등 3·4학년 과정에서 교과서에 따른 지역화 보완교재가 별도로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지역구성원으로 공동체 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지역에 대해 역사뿐 만 아니라 사화·경제·문화적 현상을 포함하는 지역 전반적인 학습 교재이므로 지역 사적인 부분의 서술이 적고 내용도 소략하다. 지역사(史)도 지역화(化)의 한 과정이 지만 주체적이고 근본적인 지역 구성원으로서 공동체 의식은 지역사에서 비롯된다. 지역사 교육의 활성화는 지역의 정체성을 함양시키고 지역 발전의 원동력이 된다. 따라서 지역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역화 교육이 정규 교과과정에 편성된 초등 3·4학년 시기에 집중하여 활성화 방안들을 연구하는 것이 적절하겠다. 초등사회과의 지역화 보완교재에서 제주 지역사 영역이 상당부분이 부족하다는 점에 근거하여 국 립제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지역유물을 중심으로 박물관 프로그램을 재구성 하 여 지역사 영역의 활성화를 꾀하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는 지역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친근하고 익숙한 지역문화재를 적극 활용함으로써 어린이들의 역사적 사고력 신장과 역사적 상상력을 극대화하여 추체험 학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라 판 단하였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인 지역사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 몇 가지 제 안을 통해 우선 기반적인 체계와 노력이 필요하다. 첫째는 지역사 교육의 주제를 학습대상에 따라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교육 자료로 체계화할 필요성이 있다. 지역의 연구자들이 제주역사에 대해 활발한 연구들을 진 행하고 있다. 그러나 그 연구의 결과나 내용들이 학문적 연구의 성과에 그칠 것이 아니라 지역구성원들을 교육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체계화된 교육 자료들로 재구성 하여 공유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는 지역사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의 역량강화와 적극적으로 태도이다. 단순히 교사지도서와 박물관 활동지를 벗어나 현장을 체험한 현장 지식은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유발에 영향력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셋째는 학교와 지역 박물관과 긴밀한 연계학습의 필요성이다. 교과과정에서는 3·4 학년 시기에 갖게 되는 역사적 상상력과 호기심을 해결하기에는 제한적 요소가 많 다. 따라서 지역박물관과 학교연계 교육은 문화재를 직접 관찰하면서 탐구하는 과 정에서 능동적인 학습의 주체자로서 매우 유의미한 학습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역박물관의 적극적인 활동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국립제주박물관은 다른 지역의 국립박물관에 비해 지역프로그램구성이나 교육이 다양하게 운영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더하여 ‘찾아가는 박물관’으로 지역의 국립박물관으로서 지역사회를 위한 ‘이동박물관’ 형태의 프로그램의 재구성이다. 특히 지역사를 배우 는 3·4학년을 대상으로 각 방과후 학교 및 특기적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지역사 보완수업을 하는 방법이다. 박물관은 관람객이 직접 찾아와야만 하는 문제를 보완 하고 학교는 학교 울타리를 벗어나는 수업에는 여러 가지 해결문제가 있으므로 ‘찾 아가는 박물관’은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고 교과영역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 이 있다. 지역화(化)의 과정은 지역 구성원으로 성장하면서 사회화과정에서 스스로 체득하는 것이 많지만 지역사(史) 교육은 학습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보편적이 다. 따라서 현재 보급되고 있는 초등과정의 지역화 교과서를 보완하여 쉽고 재미있 는 지역사 교육을 지향하기 위하여 지역 박물관을 활용하였으나 앞으로 지역사 교 육이 교육과정에서부터 개선되어 체계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박물관 활동을 통한 성인여성의 교육적 성장에 관한 연구

        오명숙 백석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성인여성들이 대규모 종합박물관 자원봉사로 활동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학습활동과 결과를 질적 사례 연구방법으로 기술하고, 성인학습이론의 맥락에서 읽어낸 연구이다. 즉 성인여성들이 박물관이라는 공간을 어떻게 인식하고 학습 환경으로 활용하는지에 대해 조사하고 관찰, 면담하고 해석하였다. 사례는 하늘박물관에서의 성인 자원봉사자의 일상적・자율적 학습활동에 주목하여 그들의 지적, 정서적, 공동체적 측면에서의 교육적 성장을 조명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하늘박물관의 한 소모임을 연구참여자로 삼았다. 연구방법으로 참여관찰과 면담, 문헌연구를 사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박물관과 박물관을 좋아하는 사람들이면서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관람자를 매개하는 위치에 있으며 일상적으로 박물관관련 학습을 지속하는 사람들이다. 이들의 학습을 지속시키는 힘은 활동에 대한 의미 생성과 가치 공유였다. 이들 집단의 공동의 의미형성 과정은 박물관에 흥미를 가진 개개인이 모여 공동의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교수-학습 경험의 틀을 생성하고, 그 토대 위에서 유의미한 경험을 생성해 가고 있었다.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구성원 각자가 전체를 보는 가운데 조화로운 협력적 학습에 이르게 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결과적으로 활동가들이 의미 있는 대화에 몰입한 상태가 될 경우 마음과 마음이 맞닿은 느낌은 서로에게 의미 있는 타인으로 하나가 되는 경험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의 학습은 성인여성들에게 익숙하고 일상적으로 활용되는 수다의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이들에게 수다는 학습이라는 인식 없이 진행되는 일상적 대화였다. 그러나 이들의 수다는 의미 있는 수다였는데, 이들에게 수다는 학습 관리의 한 양식으로 자리 잡고 있었다. 이러한 이들의 학습은 서로가 서로를 돕는 고유한 학습 세계를 이루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들 활동가들의 대화를 통한 의미의 구성 과정은 네 과정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그 과정은 자원봉사활동을 통한 사회참여 및 의미탐색 과정이었는데, 특징은 대화를 통한 학습 관계망 구성과 일상적 숙고를 통한 교육적 성장의 과정이었다. 이 과정을 통해서 활동가들은 학습권적 주체의식이 형성되고 문제를 대하는 방식이 달라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의 학습에서 드러난 특성은 일상성, 통합성, 성찰성이었다. 학습과정에서 일상세계의 사람들의 관심사와 정서, 상황을 공유를 하는 가운데, 흥미를 촉진시켜 전체를 경험하는 통합성으로 이어졌고, 학습관계에서 상호존중과 겸허한 태도를 기초로 타인의 경험을 나의 경험으로 보는 가운데 전체를 보는, 성찰적 기제가 되었다. 이러한 학습관리는 인격형성을 위한 부단한 성찰의 과정이 되었다. 이들의 수다는 다섯 요소의 학습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다학습으로 예비적으로 명명되었다. 이 연구에서 드러난 연구 참여자들의 교육적 성장의 요소와 국면은 세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첫째는 맥락적 의미 형성이다. 이 요소는 학습자가 의미의 선별과정을 통해 공통된 자아경험 및 학습 집단으로서의 정체성을 이루었다. 둘째는 정서적 공유를 통한 일상적 숙고다. 포용과정에서 친밀한 정서로 맺어진 집단은 비슷한 취향을 선택하게 되는 데 그것은 모방과 같은 ‘자발적 동화’와 ‘상호전이’를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몰입된 이들의 관계는, 서로를 보는 관계가 되어 일상적 숙고의 상태로 빠져들게 된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자신을 재발견하는 국면을 맞이하게 된다는 것이다. 셋째, 불일치를 통한 성찰적 소통이다. 이는 상황을 재구성하는 경험 속에서 일어난다. 이 과정은 차이를 통해 문제를 발견하는 과정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결 고리’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학습자는 의미의 재구성 국면에 도달하게 된다. 이 세 단위의 도구적 개념은 대화와 차이, 갈등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자아-탈 경계-연결 고리는 학습자를 성장시키는 “학습의 연쇄”로 설명되었다. 이 연구의 의의는 의미의 재구성 과정을 실제를 통해 드러내고, 이 과정에서 포착된 학습방법을 수다학습으로 개념화한 것이다. 또한 이 과정은 학습권적 권리 주체로 전환되는 교육적 성장의 과정임을 알 수 있었다. 주요어: 평생학습, 박물관교육, 성인여성학습, 자원봉사, 학습의 연쇄, 학습관리, 의미의 재구성, 교육적 성장. 수다학습

      • 떡 스토어 스마트 시스템 이용 소비자의 만족과 신뢰를 통한 경영효율성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오명숙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우리의 떡 산업은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트렌드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지 못해서 빵, 과자 등에 ‘국민 간식’의 자리를 내어주었다. 최근 4차 산업혁명시대의 도래에 따른 새로운 기술들이 확산ㆍ보급됨에 따라 다양한 혁신적인 기술들로 인하여 개인의 생활뿐만 아니라 기업에서 하는 업무환경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비대면 채널의 서비스는 편리성을 제공하고 소비자의 선택권을 보장하며, 외식기업 측면에서도 저성장 환경에 대응하여 합리적 비용구조를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최근 많은 외식기업들에서 도입을 확대하고 있다. 기존 많은 연구에서 떡의 판매증대와 떡의 대중소비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안이 도출되었으나 스마트 시스템과 소비자 신뢰, 만족을 통한 경영효율증대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스마트 시스템(무인판매, 키오스크, 온라인판매, 기계화생산)을 이용한 떡 스토어의 소비자 만족과 신뢰를 통한 경영효율성 증대 방안과 필요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떡 스토어의 스마트 시스템 적용이 만족, 신뢰와 경영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실증적 연구를 바탕으로 실시하며, 국내·외 연구논문, 전문서적, 통계자료 등의 선행연구를 통해 스마트 시스템, 만족, 신뢰, 경영효율성 간의 관계를 연구 가설로 설정한다. 실증적 분석을 위하여 2021년 9월1일부터 9월30일까지 스마트 시스템을 적용한 떡 스토어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자기 기입방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립된 자료의 실증분석은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빈도분석,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파악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성별은 남자가 149명(38.2%)과 여자가 241명(61.8%)으로 나타났다. 결혼 여부의 경우 기혼이 302명(77.4%), 미혼이 88명(22.6%)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은 20대가 49명(12.6%)으로 나타났으며, 30대가 50명(12.8%), 40대가 75명(19.2%), 50대가 121명(31.0%), 60대 이상이 95명(24.4%)으로 나타났다. 떡 스토어의 1회 구매 금액은 1만원 미만이 111명(28.5%), 2만원 미만이 112명(28.7%), 3만원 미만이 100명(25.6%), 4만원 미만이 14명(3.6%), 5만원 미만이 39명(10.0%), 6만원 이상이 14명(3.6%)로 나타났다. 연구가설은 모두 채택되었으며 가설검증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 시스템을 무인판매, 온라인판매, 기계화생산, 키오스크로 구분하였으며 무인판매의 이용으로 쉽고 빠르게 제품을 구매하는 것에 대해서 만족을 하고 있으며 대면주문 및 결재보다 무인판매를 이용한 구매에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나 매장에서는 인적판매와 더불어 무인판매 방법을 적용하여 불필요한 대면을 꺼려하는 고객에 대한 배려가 필요한 것으로 보여 진다. 둘째, 온라인판매로 인한 빠른 정보의 접근과 언제 어디서든지 시간과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는 구매방법에 대해서 무인판매만족과 배송판매만족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떡 스토어에서는 온라인판매를 통해서 쉽게 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온라인 판매 방법에 대한 다양함과 편리성을 확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온라인 판매는 제품의 배송위치를 쉽게 확인 할 수 있고 도착 시점을 명확히 알 수 있는 배송업체를 활용해야 할 것이다. 셋째, 스마트 시스템을 활용한 키오스크는 주문, 취소, 변경이 수월하게 되어있으며 인터페이스의 명확함이 고객들의 정보신뢰를 이끌어 냄을 알 수 있었다. 떡 스토어에서는 키오스크의 편리성과 호기심을 자극하는 장점을 활용하여 매장에 활용하는 것이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온라인판매를 통한 구매의 효율성강화와 제품 정보를 명확하고 이해하기 쉽도록 구성해야 하며 그로 인해서 고객들이 원하는 떡 상품에 대한 정보를 쉽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며 배송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서 신속하게 처리 할 수 있는 운영체계를 구축해야할 것이다. 또한 기계화생산으로 일정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며 위생을 위해서 HACCP와 같은 제도를 도입한다면 고객은 보다 제품을 신뢰하며 판매량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무인판매, 키오스크의 활용으로 고객은 직원의 판매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구매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인지하고 있으며 온라인판매를 통해서 영업공간과 시간의 확대가 가능 할 것으로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계화생산으로 가격대비 품질 좋고 많은 양의 떡을 제공받을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떡 스토어에서는 스마트 시스템을 적용하여 원가감소, 인건비감소 및 영업공간시간의 확대와 매출증대를 꾀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여섯째, 무인판매만족, 배송판매만족은 정보신뢰와 배송신뢰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떡 스토어에서는 무인점포를 설치 할 때 유용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도록 프로그램 및 진열대를 구성해야 할 것이다. 정확한 배송과정의 안내와 상품을 받았을 때 제품에 대해서 즐거움과 재미를 줄 수 있도록 포장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일곱째, 기계화생산으로 제조되어진 제품을 통해서 위생적인 제품과 인건비감소로 인한 가성비 높은 제품의 생산이 가능 할 것이다. 또한 위생시설이 갖추어진 시설에서 제조되어진 제품은 고객의 신뢰를 형성 할 수 있으며 매출증대에서 기여 할 것으로 사료된다. 여덟째, 만족과 신뢰를 통해서 스마트 시스템을 적용한 떡스토어를 이용하는 고객이 증가 된다면 무인판매와 키오스크, 기계화생산으로 인건비감소, 원가감소 등의 경영효율이 증대될 것이며 온라인판매를 통해서 매장에서만 제품을 판매하는 것에서 벗어나 언제 어디서든 제품을 판매 할 수 있어 영업공간과 시간을 확대하는 효과를 가져다 줄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 한식의 한 부분으로 연구되거나 떡의 선택속성, 이용의도, 재구매의사 등에 대한 연구에서 벗어나 최근 기술기반의 스마트 시스템 도입으로 인한 떡 스토어의 경영효율에 대해서 연구함으로써 새로운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스마트 시스템에 대한 측정도구를 제시함으로써 향후 연구에서 활용할 수 있는 척도를 제시하였다.

      • 映像處理에 의한 HDD용 마그네틱 헤드 形象計測에 관한 硏究

        오명숙 淸州大學校 199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영상분석을 통해서 컴퓨터의 자기 기록매체인 하드디스크 중에 헤드의 규격을 계측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영상분석은 에지검출과 윤곽선검출 알고리즘을 사용하였으며, 에지검출은 소벨연산자를 사용하여 HDD(Hard Disk Driver)용 마그네틱 헤드에 대한 에지를 검출하였다. 소벨연산자로부터 얻어진 에지를 다시 세선화 알고리즘에 의해 HDD용 헤드 윤곽선을 검출하였으며, 세선화를 통해 얻어진 데이타를 형상계측에 필요한 기본 테이타로 사용하였다. 면적과 둘레, 길이, 각도, 높이와 평면도 등을 HDD용 마그네틱 헤드의 파라미터로 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HDD용 헤드 생산업체의 생산제품 규격을 기준치로 놓고, 기준치와 제안된 방법에 의한 측정치를 비교 검토 하였다. 그 결과 형상계측 파라미터에 의한 HDD용 헤드의 ABS (Air Bearing Surface), Center Rail 등의 측정치와 기준치가 서로 동일함을 보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연구한 시스템은 생산 라인에서 형상계측 파라미터로 HDD용 헤드의 규격을 측정할 수 있는 장비로의 사용이 가능하리라 본다. In this paper, we suggest the algorithm that can be used to measure the specifications of the HDD magnetic head by the image processing. The edge and contour detection algorithms are used for image analysis. Area, perimeter, distance, angle, height, and flatness are decided as a shape measurement parameters of HDD magnetic head, and specification of head is measured using the shape measurement parameter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the suggested algorithm, the measured values from the suggested algorithms are compared with the specifications of the company product standard specifications. It is found that the measured values from the suggested method are similar with the standard specifications. As a result, we could obtain the reliability from this system as a shape measurement for HDD magnetic head in product line.

      • 재침례파와 종교개혁가들의 교회관 비교 연구

        오명숙 베뢰아대학원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루터의 교회 이해는 그로 하여금 중세 로마가톨릭 교회의 외형적인 제도주의, 교권주의 등을 붕괴시키며 일대 교회개혁을 감행케 하였다. 그러나 그는 로마가톨릭 교회와의 역사적 연장선상에서 교회를 개혁하려 하였고, 그 개혁을 통해서 국가교회를 세우고자 하였으므로, 이는 로마가톨릭의 교회관을 완전히 탈피하지 못했을 뿐 아니라 신약성서적 교회에로의 완전한 회복을 실현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루터의 교회관은 가톨릭 교회관과 신약성서적 교회관 사이에서 적절히 타협을 하고 있다고 하겠다. 츠빙글리는 하나님의 말씀, 즉 성서는 하나님 의지의 계시로서 이것만이 신자에게 속박력을 가지고 있다는 신념으로 개혁 운동을 추진시킨 것으로 보인다. 이런 관점에서 로마의 교회관, 신앙관을 배격함으로써 의식적으로 가톨릭의 교권적 제도를 배격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그는 교회와 국가간의 관계를 절대적 협력관계로 이해함으로써, 국가가 교회의 일에 간섭할 길을 열어 놓고 있다. 칼빈은 교회의 본질과 표지로서 말씀을 강조하고 있으며, 교회를 “하나님의 백성”, “그리스도의 몸”, 그리고 “성도들의 어머니”로 강조함으로 공동체 의식을 중요시하였다. 그는 교회의 구조와 행정에 관해 “목사”, “교사“, ”장로“, “집사”의 네가지 직분을 강조함으로써 성직자와 평신도와의 구분이 다소 있는 계급적 성격을 드러내고 있다. 사회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시민 정부, 영적 정부를 주장하여 신정 정치의 의미를 도출하였으며, 침례에 관하여는 전통에 얽매여 유아 세례를 고수하는 형식과 제도주의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반면에 재침례파는 종교개혁가들의 개혁 운동을 미완성으로 보고 더욱 철저하고 급진적인 개혁을 시작하였다. 재침례파는 그 성격이 성경, 특히 신약성경에 권위를 두었으며, 초대 교회를 그 시대에 회복하려고 한 이상주의적인 교회관을 소유한 자들이었다. 그들이 이상으로 삼아 이루고자 했던 교회는 신자의 침례에 의한 자발적인 참여와 국가로부터의 교회의 완전한 분리와 세상적 삶과의 단절을 그 필수적인 본질로 보았다. 이는 ‘정교 분리원칙’이 철저한 신앙 양심의 자유에서 나온 것이다. 또한 진리의 문제에 있어서 재침례파는 그리스도의 사랑의 원리를 가지고 국가 권력의 온갖 강제를 거부하며 고난의 길을 걸었고, 그 고난의 길을 그들은 당연한 것으로 여겼다. 또한 드높은 윤리성을 간직하여 산상수훈의 가르침을 고난 속에서 철저하게 실천하여 비방자들에게서도 찬사를 받았던 재침례파 신자들의 뜨거운 삶은 하나의 신선한 충격이기에 충분하다. \ 그들의 사상과 실천은 이 시대의 교회와 그리스도인의 양심에 대하여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하고 있으며 신선한 도전이 된다고 확신한다. 또한 시대의 조류에 치우치기 쉬운 오늘의 기독교계에 성경에서 원리를 찾고 거기에 따라서 타협하지 않고 살았던 재침례파의 삶은 오늘날 교회의 설자리가 어디인지 말해 주고 있다고 본다. 재침례파 신자들은 그들의 시대에 있어서 분명히 역사를 한 발 앞서 간 사람들이었음에 틀림없다. 지난 시대에 이미 그들이 순교자들로 사라졌을지라도 그들의 정신은 시대와 지역을 뛰어 넘어 성서를 믿고 그리스도를 ‘주’로 고백하는 교회에게 참된 교회의 회복에 대하여 말하고 있다. 즉 오늘의 교회는 초대 교회의 신앙과 삶을 회복해야 한다는 것이다. Anabaptist was a large reformation act that began in the middle of the mainstream restoration and took place in all of Europe in the 16th century. Its historical background is similar in many ways to the mainstream reformists' background. As time went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rters of the mainstream religious reformists became conservative in devoting to their country. The anabaptists saw the mainstream reformists act as being incomplete and started a more thorough and radical reformation. Despite of these easy movements in the 16th century the anabaptists and religious reformists were not affected. And thus we are going to take a look at our position nowadays compared to the anabaptists and the religious reformists. The religious reformists took the traditional church's creed as the main stream in order to restore the church's essence, by equalizing God's words they achieved dealing holy orders, selling indulgence, economic exploitation, the corruption of the nepotism of the clergy and the corruption of the relationship of teacher and pupil the reformation about God's words with the ecclesiastical authority before the religious reformation. But they had a goal which was to reform a national church and also build it. On the other hand anabaptists had an idealism on the church thought which was to restore the early churches which had a main thought on the bible, especially on the new testament. And they held on to nonresistancy and moral acts. Anabaptists achieved a procession martyrdom even though they were tormented by Catholics, reformation power and country power. Anabaptists put a hard effort to restore the fallen church which had fallen from the basis of the early church. On this as anabaptists challenged the Roman Catholic church and the main religious reformists in the 16th century the anabaptists thought that their thoughts would bring up the problem of the christian conscience and that it would be a newly challenge for the nowadays church. Anabaptists life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nowadays christianity which was based on the swim of current, lived on the basis of the bible. Even though the anabaptists were long gone as martyr's their soul overwhelmed the people who believe in God and confess that they do believe in him and are also teaching them about the restoration of a true church. A church as to restore to the faith and lives of what was known as the golden century of churches which were the early churches.

      • 동화「바다와 이네기」외 6편의 창작 실제

        오명숙 단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글은 동화 「바다와 이네기」외 6편의 창작 실제와 그 의의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인격과 가치관이 형성되어 가는 시기에 있는 어린이들을 주된 독자로 쓰여진 동화는 그들의 잠재된 상상력을 끌어내어 다양한 반응을 하게 한다. 어린이들은 동화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하는 말이나 행동, 생각 등을 통해 다른 사람들을 이해하고 자신의 삶을 돌아보기도 한다. 어린이들에게 그러한 역할을 하는 동화는 교시적 기능과 쾌락적 기능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동화는 어린이들의 성장발달을 돕는 교육적 기능과 감동과 재미가 느껴질 수 있는 예술성이 녹아 있어야 문학 작품으로서 그 가치가 있는 것이다. 아동문학의 주요 독자층인 어린이를 대상으로 쓰여지는 동화는 먼저 동심을 이해하는 데서 시작된다. 동심은 단순히 어린이의 마음을 일컫는 것이 아닌 인간이 본래 지니고 있는 순수한 마음이다. 또한 독자들을 끌어들일 수 있는 흥미성은 동화에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흥미라는 것은 단순히 재미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자신이 경험하지 못한 삶에 대한 관심이기도 하다. 그런 의미에서 필자는 여러 계층의 삶에서 소재를 찾는데 노력하였다. 나와 다른 다양한 삶을 엿보면서 사회에 관심을 갖고, 그들에게 따뜻한 시선을 갖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창작에 임하였다.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쓰여진 「바다와 이네기」외 6편은 우리의 일상생활이나 주위 환경에서 발생되고 생겨날 수 있는 여러 가지 형태의 소재를 선택하여 나와 다른 이웃을 사랑하며 어떤 환경에서도 희망의 끈을 놓지 않는다는 공통된 주제를 담고 있다. 어린이들은 동화를 통해 정서, 갈등, 의문, 그리고 일상생활에 대한 경험을 여러 각도로 해석하고 받아들인다. 그러므로 교육과 문학적 기능을 함께 담당하고 있는 동화를 쓰는 작가에게는 치열한 노력이 요구된다. 기발한 아이디어와 신선함도 중요하지만 문장을 갈고 닦는 데 오랜 시간 정성을 쏟는 일도 게을리 해서는 안 된다. 필자는 「바다와 이네기」외 6편에서, 우리 주변에서 있음직한 일들을 소재로 선택하여 세상의 다양한 모습을 보여 주면서 어린이들에게 사랑과 희망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했다. 이는 어린이들에게 친근감을 준다는 장점도 있지만 동화가 지향하는 상상력의 극대화라는 명제에 제대로 도달하지 못한 것 같아 아쉬움으로 남는다. 이러한 아쉬움은 앞으로의 창작과정에서 해소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고자 한다. This dissertation is to investigate the creativity in writing the children's story; ‘Yineggi’ and Sea and six others, and its implications and meanings. Children's stories that have been written targeting children as main readers, who are in the phase of forming their sense of values along with characters, contribute to explicit children's latent power of imaginations and also make them react in a varied manner. Children understand others and contemplate their life through speeches, behaviors and thoughts of personae appeared in the stories. Children's stories playing such a role hold a didactic and pleasurable function. Children's story therefore display its values as a good literary work when it has artistic quality melted and spread throughout the story so much as to make young readers experience the educational function that will help them grow and feel emotions, and also to get fun. Children's stories written for children who are main target readers of juvenile literature begin from the understanding of child's mind. Juvenile's mind set is not simply equated with or does not always denote a child's mind, but it is a pure status of mind that is an intrinsic part of humans. And interests and fun that will attract young readers play an important role in children's story. Factor, such as interest or fun in the story does not pursue merely for the sake of pleasure itself. This is an interest in life that one has never experienced before. In that sense, I have tried to find stories out from various strata of life. Peeping a varied life of others which are different from mine, I have tried to look society with my best interests wishing that people would have warm eyes upon children, and with such a mind set I have engaged in writing of creative works for children. The children's story; ‘Yineggi’ and Sea and six others were written targeting higher graders of primary school having gathered various topics and stories that can be happened or arisen in our surroundings and everyday life. The stories carry a common theme in that characters never fail to hold the string of hope tight under any circumstances loving themselves and also neighbors. Children interpret emotions, conflicts, questions and experiences of daily life in a variety of angles through the stories. Therefore, a writer who writes children's stories that take charges of both educational and literary functions will need to make a great deal of effort. A remarkable idea and freshness may be necessary for writers, but at the same time, they should not become lazy to exert their efforts in order to increase writing skills over a long period of time patiently, not losing passion and sincerity. In the children's story; ‘Yineggi’ and Sea and six others, I tried to convey a message of love and hope to children showing the varied features of the world having collected topics that can easily be found out from circumstances surrounding us. These works have an advantage in terms of having presented friendly atmosphere and feeling to children, however, I, as the author, regretfully do not take it yet in a satisfactory manner, for it has not fulfilled such proposition as that it should arouse imagination of children to their maximum, which has been pursued by juvenile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