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주도 대학생들의 생활체육 참여실태에 관한 연구 : 제주대학교를 중심으로

        김한회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대학교 학생들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대학생들의 건강과 체력, 생활체육 활동 여건, 현재 실시하고 있는 생활체육 활동, 운동경기 관람경험, 생활체육 활동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대학생들이 효과적으로 생활체육 활동을 실현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주대학교 학생 360명의 대상자를 선정한 후 연구자가 작성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SPSS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나타난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도 특성에 맞는 종목의 육성 및 보급 대학생들은 스스로가 건강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생활체육 활동은 그 중요성이 높으므로 젊음을 이용한 모험스포츠와 체험스포츠를 제주도 특성에 맞는 종목을 육성 및 보급하는 제주도차원의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제주도 차원의 생활체육 프로그램 개발 대학생들의 여가시간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수의 대학생들이 컴퓨터 게임(1.1%)에 빠져 생활체육 활동을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체육의 세계적인 추세를 보면 의식주, 건강, 여가선용 등 생활의 환경요소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의 기본조건이라는 측면에서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마을단위 생활체육 환경조성에 역점을 두고 있다. 그러므로 대학생들의 다양한 욕구를 수용하고, 과학적이고, 흥미로운 생활체육프로그램(1인 1스포츠 갖기, 마을단위 생활체육형태의 소규모 생활체육 프로그램)의 제공 등으로 대학생들을 생활체육의 장으로 끌어낼 수 있는 제주도 차원의 프로그램 개발이 특별히 요구된다. 셋째, 전문가를 이용한 운동처방 및 건강상담 시스템 구축 대학생들은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해 생활체육 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대학생들의 생활체육 활동은 건강유지 및 증진이 우선인 만큼 건강을 위한 생활체육 활동 이용방법, 적용범위등을 연구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즉 스포츠 의학자, 생리학자, 지역 내 의료기관이나 전문가를 이용한 운동처방 및 건강상담 등의 시스템 구축이 제주도 차원에서 뒷받침되어져야 하겠다. 넷째, 대학생들의 행동하는 생활스포츠 참여로의 유도방안 강구 여학생들의 운동경기관람 비율이 높아지고 있으며, 경기시설의 부족으로 인한 대학생들이 관람욕구가 충족되지 못하고 있다. 기존의 경기장 시설을 활용한 프로경기의 유치 등으로 보는 스포츠의 만 족을 극대화하고, 이를 행동하는 생활스포츠 참여로 유도하는 적극적인 방안(다양한 스포츠 경기 유치 등)이 강구되어야 하겠다. 다섯째, 제주도 차원의 생활체육 활동의 제반 행정지원과 환경조성 대학생들은 생활체육 활동이 삶을 질을 향상시킨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체험하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주도 차원에서 복지향상을 위해 생활체육 활동의 제반 행정지원과 환경을 조성하여 생활체육 활동을 통한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하게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disparities of university students' consciousness toward health and physical strength, conditions for sports for all activities, their own sports for all activities, viewing experiences of sport games, and sports for all activities. Taking it one step further, this paper prepares a variety of ways that help to realize their effective sports for all activities. I selected 360 Cheju National University students as subjects, questionnaired them, and analysed the questionnaires with SPSS. Accordingly, reform measures are as follows: First, promotion and distribution of local sports University Students are found to recognize themselves that they are healthy. Sports for all Activities are quite important for their health. Therefore, taking advantage of their youth and vigor, efforts are required in the level of Jeju administrative organs to promote and publicize venture sports and on the-sports, feasible in Jejudo. Second, Development of sports for all programs in the level of Jeju administrative organs. This survey shows that these days university students spend more time for their leisure activities, while a small number of them who are addicted to computer games(1.1%), consecutively, indifferent to sports for all activities. Looking into global tendency, the world is focusing on constituting suitable environment for sports for all in their own communities considering living factors such as clothing, food, housing, health, leisure and sports for all which are fundamental condition for daily life. Likewise, it is demanded to create a variety of programs in the level of the Jeju provincial office that are conducive to mak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 in sports for all. For example, we can think of campaign(one sport per one person or creation of sports for all that fit it with particular communities on a small scale). Third, systematizing prescription of exercising ways and counsel for health with the help of specialists. The rate of university students who do exercise regularly is rising and they are found out to do sports for all activities to keep their health. As much as the priority of their sports for all activities is to keep their health, it is required to develop practical methods and scope. That is, with the help of vital dynamists and physiologists, local clinics and specialists, we should systemize physical exercise prescription ways and counsel for health in the level of the Jeju provincial office. Fourth, conceiving methods to induc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on in sports for all. The rate of girl audiences is going up, but athletic facilities are still short of to satisfy their viewing desire. Therefore, it is indispensible to generate aggressive alternatives which lead people to enjoy sports for all. For example, to maximize viewing pressure, we can attract professional games, making use of existing gym facilities. Taking it one step further, it is desirable to have people enjoy sports for all there. Fifth, comprehensive financial support and constitution of suitable environment for sports for all in the level of Jeju provincial office. University students are found to recognize that sports for all activities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perform in their daily lives. Therefore, it is considered crucial to finance administratively and constitute suitable environment in the level of the Jeju provincial office in order to make them enjoy healthy and happy lives through sports for all.

      • 제주첨단과학기술단지 개발이 토지가격(土地價格)에 미친 영향

        김신덕 제주대학교 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87

        제주의 산업구조는 서비스업으로 편중되어 있고 청정자연환경을 강점으로 관광 상품이 국내에서 가장 큰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된다. 이러한 강점을 더욱더 강화하고, 새롭고 경쟁력 있는 산업을 추진하고자 제주특별자치도는 현재 제2차 제주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하고 있다. 이 계획의 중심역할을 하는 6대 핵심프로젝트는 투자 유치 및 토지 확보가 용이하고 지역사회 공감대 형성 및 시너지 효과가 큰 사업으로 이루어져 있어 제주 경제발전을 선도하는 선도 프로젝트의 역할을 다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6대 핵심프로젝트를 이루는 한 가지 요소 중 토지는 고유한 물리적 특성인 고정성과 부증성을 가지고 있다. 토지라는 자원은 이동이 불가능하고, 생산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6대 핵심프로젝트가 단계별로 진행되면 될수록 사업부지 인근의 지가는 상승하고 있다. 본 논문은 핵심 프로젝트로 인한 요인이 사업부지 인근의 토지가격에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 보고자 한다. 제주의 6대 핵심프로젝트 중 본 연구는 첨단과학기술단지 조성사업을 분석하되 개발사업 이외에도 토지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요인들을 동시에 고려하고자 한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2002년부터 2010년이다. 이 기간 중 2002년(조성계획 2년 전), 2004년(국가산업단지지정), 2007년(산업시설용지 공급 개시), 2010년(부지조성공사 준공 및 입주 시작)을 분석시점으로 하여 토지가격의 변화를 살펴본다. 또한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첨단과학기술단지조성사업 부지의 경계로부터 3㎞이내의 표준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헤도닉 모형을 추정하되 종속변수는 지가상승률로 하여 다중회귀분석방법을 이용하기로 한다. 이를 통해 첨단과학기술단지와 관련된 여러 가지 독립변수들이 어떠한 형태로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범위, 연구의 방법을, 제2장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의 일반현황과 특별자치도 추진과정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제주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의 변천과 성과를 살펴보았고, 제4장에서는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를 개략적으로 알아보았다. 제5장에서는 첨단과학기술단지의 개발과 지역경제의 변화(2000∼2012)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제6장에서는 선행연구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조사·분석하였다. 제7장에서는 연구의 시간적 범위 및 분석대상지역에 대해 개관하였으며, 제8장에서는 첨단과학기술단지가 토지가격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분석의 결과를 제9장에 나타냈으며, 마지막으로 제10장에서 분석의 결과와 성과에 대해서 요약하였다. 토지가격 상승률에 영향을 주는 독립변수로는 첨단과학기술단지까지의 거리, 제주대학교 상권, 아라택지개발지구까지의 거리, 남광초등학교 권역더미, 제주대학교 병원, 행정구역, 지목, 용도지역 등을 고려하였으며, 본 연구는 첨단과학기술단지의 토지가격 영향력을 보다 정밀하게 분석하기 위하여 첨단과학기술단지로부터의 거리 변수를 주요 분석 관심대상으로 하여 헤도닉 모형을 구성하였는데 모형1은 첨단과학기술단지로부터 2㎞ 이내의 공간적 범위를 설정하였고, 모형2는 첨단과학기술단지로부터 2㎞초과 3㎞이내를 공간적 범위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모형1에서는 첨단과학기술단지로부터의 거리변수가 인근 토지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10% 유의수준에서 유의하였지만 모형2, 즉 2㎞초과 3㎞이내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첨단과학기술단지의 영향이 인근 토지에 2㎞ 반경이내에만 영향을 미치고 그 이상으로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발견 할 수 있었다. 특이할만한 것은 모형2에서는 첨단과학기술단지의 영향이 없는 반면, 아라택지개발지구 변수는 10% 유의수준에서 유의하다는 것이다. 이는 모형2, 즉 첨단과학기술단지로부터 2㎞∼3㎞ 반경은 첨단과학기술단지의 영향권이 아닌 아라택지개발지구의 영향권 안에 들어가는 지역이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헤도닉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기 이전에 먼저 실시한 가격상승률 분석에서는 지속적 상승을 보인 토지 비중이 가장 많은 읍면동은 아라2동이었다. 그리고 그 다음으로는 월평동, 영평동의 순서로 가격 상승 필지의 비중이 높았다. 이 3개 지역은 첨단과학기술단지의 가장 인접한 지역이면서 오등동, 용강동, 아라1동에 비해 과거에 사람들이 덜 거주하는 곳이었다. 즉 개발 사업이 있기 전에는 사람들이 별로 선호하지 않아 낮은 가격이었다가 개발 사업이 있으면서 큰 폭으로 상승한 것이다. 반면 오등동, 용강동, 아라1동은 개발사업 이전에도 사람들이 많이 거주하는 자연취락지구가 많이 분포하고 있어 개발 사업이 있어도 그 상승폭은 나머지 3개 지역만큼 급격히 커지지는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단순히 지난 10년간 가격상승률이 어느 읍면동이 가장 많았는지만의 결론내릴 수 있었다. 그리고 그러한 가격상승에 영향을 준 것이 첨단과학기술단지의 영향이 일부 있었을 것이라는 추론만이 가능했다. 그러나 헤도닉 모형을 이용함으로써 단순히 추측에 그쳤던 토지가격 영향의 원인을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즉, 어느 읍면동이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는 단순한 추론이 아니라 첨단과학기술단지의 반경 2㎞이내까지는 영향을 미치고 그 이상의 공간적 범위에서는 첨단과학기술단지의 영향이 아닌 아라택지개발지구의 영향이 미친다는 구체적인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논문 연구동향 분석

        변상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학문적 정체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했다. 연구문제 1.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주제 동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대상 동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방법 동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4.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의 통계방법 동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 논문이 첫 게재된 1995년 9월부터 2020년 8월까지 총 390편의 논문을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 통계방법 분석 준거에 따라 시계열 빈도분석과 연구결과 간 교차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대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 논문에서 가장 많이 연구된 주제는 성격 및 적응 연구 177편(45%)이며 성과연구가 108편(28%), 진로 및 적성연구 45편(12%) 순으로 나타났다. 이외 연구는 모두 10% 미만으로 나타나 상담 연구 영역 이 성격 및 적응 연구 등 특정 주제에 집중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연구대상은 연구대상이 없는 논문 4편을 제외한 386편 중 100편(25%)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했다. 이어 중등 60편(15%), 고등 55편(14%), 성인 46편 (11%), 대학생 37편(9%) 순이다. 연구대상이 둘 이상인 경우를 제외하고 단일 연구대상에서 상담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은 전체 390편 중 370편(95%)이 양적연구로 확연히 집중된 반면 질적연구는 18편(4%), 혼합연구는 2편(1%)에 그쳤다. 양적연구는 매해 90%를 넘는 비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2015년 이후 질적연구가 소폭 늘었지만 2018년 최대 5편이 게재된 것을 제외하고는 아예 선택되지 않거나 한 해 1~2편 정도만 게재됐다. 넷째, 통계방법은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상담심리학전공이 증설된 초반에는 프로그램 효과를 보기 위한 사전-사후 t검증 방법을 사용했으며, 이후 변인 간 상관 및 인과 관계를 보기 위한 상관분석 및 회귀 분석 방법에 집중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2014년 이후에는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다변인간 인과관계를 분석하는 흐름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 통계방법의 흐름이 지속적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연구대상의 다양성과 통계방법의 변화는 상담현장에서 실제 과제를 풀어내고자 하는 연구자들의 노력으로 해석된다. 상담학은 실제를 바탕으로 한 연구이므로 보다 더 확대된 시선의 창의적 연구 노력이 앞으로도 이어지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the master's degree thesis in counseling psychology at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explore academic identity. To this end, we have established a research problem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How is the research topic trend of the thesis on master's degree at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trend of the thesis on the master's degree at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search Question 3. What is the trend of research methods in the thesis on master's degree at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search Question 4. How is the statistical method trend of the master's degree thesis at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total of 390 papers were conducted from September 1995 to August 2020, when a master's thesis on counseling psychology was first published, in accordance with research topics,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statistical method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the summary of the findings is as follows. First, 177 personality and adaptation studies (45%) were studied, followed by 108 performance studies (28%), and 45 career and aptitude studies (12%). All other studies appear to be less than 10%, confirming that counseling research areas are concentrated on specific topics such as personality and adaptation studies. Second, 100 (25%) out of 386 papers, excluding 4 papers without subjects, were targeted 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was followed by 60 middle and high schools (15 percent), 55 high schools (14 percent), 46 adults (11 percent) and 37 college students (9 percent). Except for cases where there is more than one subject, the least number of studies were conducted on counselors in a single subject. Third, 370 (95%) of the total 390 studies were concentrated on quantitative studies, while only 18 (4%) were conducted on qualitative studies and 2 (1%) on mixed studies. Quantitative research has maintained a ratio of more than 90% every year, and qualitative research has increased slightly since 2015, but only one or two were selected or published a year except for up to five in 2018.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early stages of the expansion of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nd Counseling Psychology at Jeju National University'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pre-post-t verification method was used to see program effects. Since 2014, we have shown the flow of analyzing multidimensional causality using structural equations. The above findings confirmed that the trend of research topics,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statistical methods in the master's degree thesis in counseling psychology at Jeju National University'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s continued to change. In particular, the diversity of subjects and changes in statistical methods are interpreted as researchers' efforts to solve real challenges at the counseling site. Since counseling is a practical study, we hope that creative research efforts with a wider perspective will continue in the future.

      • 제주 현악의 발전과 변천사에 관한 고찰

        김태근 제주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87

        String music history of Jeju has very short history due to inferior geographical and society condition. From this, it is a historical fact that there are shortage of informations and subjects of investigation. Also, although string music of Jeju has brought a lot of development within a short time, there are not enough informations of thesis or musical and also literature material based on string music history in music field of Jeju. This thesis is written to arrange and summarize string musical history of Jeju through looking at development and historical changes. It also looked through Jeju Chamber Orchestra, Jeju Philharmonic Orchestra and Jeju Youth Orchestra with Cheju National University as the central figure. Development of western music of Jeju started with wind music. During Japanese imperialism, brass music activity was the center of music such as elementary brass band activity. One of the most active band was Aewol Elementary School Brass Band. A Men of ability such as Kang Gae Don and Kim Gook Bae took activity part through conducting brass band and marching band during this time. After Korean War, The Music Association of Korea, Jeju Branch has been organized and like Tamla Choir, a civilian music actions have became revitalized. In 1970, Korean Brass Band Leader Association, Jeju Branch has made a new start. As a result, brass music field has been expanded and it was time for choir and church music activity to become vigorous. Traditionally, Jeju, which has long roots of brass music, used to be barren land for string music. It is not an overstatement when we say development of Jeju string started since Cheju National University established Music Department. Professor. Kim In Kyu, newly appointed in the Music department as a specialist of string, educated strings to non-specialists with the passion. In 1984, Jeju chamber Orchestra was established which was purely an art organization of civilians. This was the first Jeju Chamber Orchestra. It was the first big step for the development of string music where there was total nonexistence of string musical environment. In 1987, Jeju Philharmonic Orchestra has been established by Prof. Lee Sun Moon (Former string professor of Jeju National University, decease in 1997). Establishment of Jeju Philharmonic Orchestra was another result in the development of Jeju string music. In 1989, Jeju Youth Orchestra has been established by Prof. Jang Hyong young. This orchestra's activity was another opportunity for the development on Jeju string music. If 1980's brought development in string music playing activity of adult players from Jeju Chamber Orchestra and Jeju Philharmonic Orchestra along the establishment of Music Department of Cheju National University, 1990's was a time to support an opportunity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tring music playing activity. Another musical environmental changes occurred in 1990's. In 1994, Department of Applied Music has been established in Jeju Halla College and Department of Art Music has been founded in Cheju Tourism College in 1996. It was an opportunity to produce many distinguished string players due to the foundation of Speciality in String from Cheju Halla College and Cheju Tourism College. After the year 2000, many elementary schools started to educate violin and cello to the youngsters as an after school program which runs by Office of Education. This was the beginning point of accomplishing popularization of string players. Through the after school program, it became possible to educate youngsters as future specialist and also to give them dilettante life or cultural activity. Until now, string music of Jeju has made a lot of progress and there are many performing organizations activating but compare to other provinces, surely we are still in an inferior situation. However, for the development of Jeju string music, this kind of study should get performed more enthusiastically and more informations publishing will be needed, too. This thesis researches history of Jeju string music through interviews of senior musicians of Jeju and diversity informations. It lightens up the history of Jeju Chamber Orchestra, Jeju Philharmonic Orchestra, Jeju Youth Orchestra and Jeju National University. I'm sincerely Hoping this thesis would provide help and become bases of development in Jeju string music in the future. 제주의 현악역사는 열악한 지리적, 사회적 환경에 의해 매우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자료는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고, 연구 대상 또한 좁은 것이 사실이다. 또한 지금까지 제주현악은 짧은 기간 동안 많은 발전을 가져왔음에도 제주의 음악 분야 중 현악의 역사를 중심으로 발간한 논문이나 음악자료 및 문헌자료는 불충분 하였다. 본 논문은 제주현악의 발전과 변천사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제주의 현악역사를 정립하고자 하였고 제주대학교를 중심으로 제주현악을 이끌어온 제주실내악단과 제주시립교향악단, 제주청소년오케스트라의 활동을 살펴보았다. 제주 서양음악의 발전은 관악으로 시작 되었다. 일제 강점기에는 보통학교 관악대등 관악활동이 주를 이루었다. 그중 가장 활발한 활동을 한 관악대가 애월보통학교이다. 강계돈, 김국배 등의 인물이 이 시기의 관악대, 교악대를 이끌며 활동하였다. 한국전쟁이후에는 한국음악협회 제주도지부가 조직되었고, 탐라합창단 등 민간차원의 음악활동이 활성화되어가고 있었다. 1970년대에는 한국관악대 지도자협회 제주도지부가 발족되었다. 이로 인해 관악의 영역이 확대 되었고, 합창단과 교회 음악활동이 활발해 지는 시기였다. 전통적으로 관악의 뿌리가 깊은 제주에서 현악은 불모지나 다름없었다. 제주 현악의 발전은 제주대학교 음악교육과가 신설되면서 시작되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음악교육과 교수로 부임한 김인규는 현악 전공자로써 제주에 부임하였고, 그의 열정으로 비전공자들에게 현악을 교육시켰다. 1984년에는 순수 민간 예술단체인 제주실내악단이 창단되었다. 이것은 제주 최초의 현악실내악단이었다. 현악 환경이 전무했던 제주에서 현악실내악은 현악 발전에 큰 획을 긋는 일이라 하겠다. 또한 1987년에는 이선문(전, 제주대학교 음악학과 교수, 1997년 작고)교수에 의해 제주시립교향악단이 창단되었다. 제주시립교향악단의 창단은 제주현악 발달에 있어 또 다른 성과였다. 1989년에는 제주청소년오케스트라가 창단되었다. 장홍용(제주대학교 음악학과)교수의 노력으로 창단된 제주청소년오케스트라의 활동은 제주현악이 발전할 수 있는 또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1981년 제주대학교 음악교육과의 신설을 바탕으로 제주실내악단, 제주시립교향악단의 활동이 성인 연주자들의 현악 연주 활동에 발전을 가져 왔다면, 1990년대 제주청소년오케스트라는 중·고등학생의 현악 연주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계기가 된 것이다. 또한 1990년대 또 하나의 음악적 환경의 변화는 1994년에 제주한라대학에 생활음악과가 신설되고, 1996년에는 제주관광대학에 음악예술과가 신설 된 것이다. 2000년 이후 제주도교육청에서 시행하고 있는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에 의해서 많은 초등학교에서 바이올린과 첼로를 교육하고 있으며, 이는 현악 인구의 대중화를 이룰 수 있는 계기가 된 것이다.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을 통해서 전공으로써의 교육과 함께 취미생활 또는 교양활동으로써 교육이 가능해 졌다고 하겠다. 현재 제주의 현악은 많은 발전을 해왔으며 여러 연주단체들이 활동하고 있지만, 다른 지방에 비하면 아직도 열악한 상황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제주현악의 발전을 위해서는 이러한 연구가 더욱더 활발히 이루어 져야 하며, 더 많은 자료가 발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겠다. 본 논문은 제주의 원로음악가들과의 인터뷰와 다양한 자료를 통하여 제주현악의 역사를 연구하였고 그 중심에 있는 제주대학교와 제주실내악단, 제주시립교향악단, 제주청소년오케스트라의 역사를 조명하였다. 본 논문이 이후 제주의 현악발전에 밑거름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과 함께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치위생전공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

        박경선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71

        고교입시생이 대학이나 전공을 정함에 있어 많은 부분이 자신의 적성이나 흥미를 반영하지 못하고 주변의 권유나 취업전망, 또는 자신의 수능성적에 맞추어서 정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대학에 진학한 많은 수의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이나 흥미에 맞지 않는 전공과정을 견디지 못하고 중도에서 전과를 하거나 자퇴, 휴학이라는 선택을 하고 있다. 이는 중도에서 포기하고 다시 인생설계를 들어가는 학생 자신뿐만 아니라 그 학생이 속한 대학에서도 많은 낭비가 아닐 수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상황의 치위생전공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를 검증하고, 어렵다고 쉽게 포기하거나 좌절하지 않는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전공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서 치위생전공대학생들의 학업성취와 학과나 대학의 발전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치위생전공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은 어떠한가? 둘째, 제주의 지역적 요인에 따른 치위생전공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은 어떠한가? 셋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치위생전공대학생의 전공만족도는 어떠한가? 넷째, 제주의 지역적 요인에 따른 치위생전공대학생의 전공만족도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제주지역에 소재하는 H대학의 치위생과에 재학 중인 치위생전공대학생을 대상으로 2014년 11월 28일부터 12월 5일까지 설문을 실시하였다. 제주의 지역적 요인과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에 대한 조사임을 밝히고 학년별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본인이 직접 작성하게 한 다음 회수하여 전수 조사하였다. 학생 수의 한정으로 인한 연구의 신뢰도 보완을 위하여 제주출신 치위생전공대학생 중 2학년 2명을 선정하여 개별인터뷰(12월 8일)를 추가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치위생전공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은 군필자가 많은 남자가 높게 나왔고, 전공 관련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는 학생이 높았으며, 가정의 월 소득이 비례하지 않았으며, 고교성적도 비례하지 않았다. 이는 사회경험이 자기효능감에 도움을 주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교육과정 중 현장실습에 대한 필요성을 나타냈다. 둘째, 제주의 지역적 요인에 따른 치위생전공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은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소중 하나인 과제난이도 선호에서 괸당의 영향력을 인정하는 학생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유대관계의 영향력이 중요함을 나타냈다. 그러나, 개별 인터뷰의 결과 잘못된 영향력이 자기효능감에서 부(-)적이 역할도 할 수 있음을 나타냈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치위생전공대학생의 전공만족도는 현장 실습등의 경험이 많은 3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공 관련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는 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이 또한 사회경험이나 전공과정중 현장실습에 대한 필요성을 나타냈다. 넷째, 제주의 지역적 요인에 따른 치위생전공대학생의 전공만족도는 제주의 교육여건에서 긍정의 답변을 한 학생이 전공만족도의 모든 하위요소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 같은 결과는 대학의 교육여건이 개선되면 전공만족도도 높아진다는 것을 나타냈다. Highschool students mostly choose their major or university based on their surroundings, suggestions, job prospects, or Korean SAT score, rather than reflecting their aptitude or interests. This lead to the switch of major, drop-out, quitting of colleges of students. It is such a waste of time for students trying to designing their life plan as well as universities, which is trying to attract more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on the students majoring dental hygiene under the situation, thereby enhancing their satisfaction on major based on self-efficacy to accomplish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tudents and development of department and colleges. To meet this purpose, issue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level of self-efficacy of dental hygiene students based on demographic variables? Second, what is the level of self-efficacy of dental hygiene students based on the regional factors of Jeju? Third, what is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major of dental hygiene students based on demographic variables? Fourth, what is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major of dental hygiene students based on the regional factors of Jeju? To accomplish it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o dental hygiene students in H college from the 28th of November to 5 December, 2014. Students were told that the survey is about identifying regional factors, self-efficacy, and their satisfaction on majors.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every school-grade students for writing. The questionnaire then collected for analysis. To supplement the reliability of this study for its limited number of students, two sophomore dental hygiene students from Jeju was selected for individual interview(8 Dec, 2014).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self-efficacy of dental hygiene students based on demographic factors was high on men who discharged from military service and those who experienced part-time job while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high school scores were not proportionate with that. It implies that social experience help building self-efficacy and suggest the need for field practice in academic education. Second, self-efficacy of dental hygiene students based on regional factor of Jeju was high on students who admit the influence of ‘Geung-dang(close relation in Jeju language)’in preferring the level of tasks, which is low-level factor of self-efficacy. This reflects the importance of relational influence. However, individual interview results showed that wrong influence can act as a minus factor in building self-efficacy. Third, level of satisfaction on dental hygiene-majoring students based on demographic variables was high in junior students who have many experiences such as hands-on training, etc. Students who worked at related fields as a part time job were also high. It implies the need for hands-on training in social experience or major courses. Fourth,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major of dental hygiene students based on the regional factors of Jeju was high on those who positively responded to education situation of Jeju in all subordinated factors of satisfaction on major. This suggest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environment of college lead to the satisfaction of the major.

      • 국가교육과정과 사범대학 교육과정 연계성 분석 : 제주대학교 사범대학을 중심으로

        이재숙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71

        Nowadays, living in the so-called ‘intelligence an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universally characterized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e already witnessed its advent, shocked by ‘AlphaGo’ in March 2016, which has flooded our society with anticipation-mixed anxiety and voices of urgency toward upcoming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ivided into three ways. First, it aims to closely examine revision processes of National Curriculum which has focused on educating ‘future talent’ and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 in earnest since 2000s. Secondly, it concentrates on analyzing connectivity between National Curriculum and Curriculum in College of Education, whose goal is educating teachers who are assumed as another ‘future talent’ in charge of educating students of ‘future talent’. Finally,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it is designed to provide basic materials in developing progressive education curriculums that is equipped with more efficiency through fusion of National Curriculum and teacher-educating curriculum and consistent with original intent of college of education. Regarding these objectives, research problems are set up as follows. First, what kinds of difference exist between National Curriculum and Curriculum in College of Education? Second, in what way Curriculum in College of Education is associated with National Curriculum? Third, in what direction should be made the revision process of curriculum of Eduction of College in Jeju National University? In order to address these problems, the Department of Biology Education in Jeju National University was selected as this department has shown high ratio of successful applicants at national teacher certification exam. With a view to heighten objectivity and reliability in collecting reference materials, the department of Biology in Science College at Jeju National University was singled out for comparison analysis and its related documents were compiled through its web pages and yearly handbooks of Jeju National University. The related materials on the developments of revision process in National Curriculum were procured through related books published by Ministry of Education, introduction and detailed part of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t was verified that the curriculum of College of Education has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at of the similar department in the same university. It was also verified that the similar department showed more diversity and quantitative superiority in its curriculum compared with College of Education, which suggest that the curriculum of College of Education be revised. In addition, in terms of connectivity between National Curriculum and Curriculum in College of Education, it was verified that the revision process of National Curriculum has adapted to progress of society and world. However, it was difficult to identify connectivity between National Curriculum and Curriculum in College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se results, it is urgently necessary to narrow down the gap between National Curriculum and Curriculum in College of Education and then to develop complementary and ‘integrated’ curriculum. In particular, curriculum in College of Education should not exist as perfunctory procedure for teacher’s license, but effective and efficient curriculum for educating qualified teachers should be drastically prepared.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사회는 인터넷으로 통칭되는 디지털 정보기술의 발달로 치닫던 와중에 ‘지식정보사회’라는 커다란 장애물을 만났다. 이는 지금까지 모든 가치의 정점이었던 ‘물질’이 그 자리를 마침내 ‘지식’에 내어주게 된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지식정보화사회’의 영화는 오래가지 못했다. 오늘날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는 ‘지능정보화사회’ 곧 ‘4차 산업혁명사회’에 놓이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미 우리는 2016년 3월 4차 산업혁명사회의 서막을 알리는 ‘알파고’의 등장을 목격했으며 미래에 대한 기대 섞인 불안과 절박함의 목소리가 사회 곳곳에서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미 국가교육과정에서 꾸준히 논의되어 왔으며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본격화되기 시작한 ‘미래형 인재’와 ‘창의·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한 국가교육과정의 개정과정을 살펴보고 ‘미래형 인재’를 양성할 또 다른 ‘미래형 인재’인 교원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사범대학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분석하여 우수한 교원양성기관으로서의 사범대학 본래의 취지를 회복하고 국가교육과정과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융합’을 통해 보다 효율성을 갖춘 발전적인 교육과정의 개발과 편성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다음과 같은 연구 질문을 설정하였다. 첫째, 사범대학 교육과정과 일반대학 교육과정의 차이는 무엇인가? 둘째, 사범대학 교육과정과 국가교육과정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향후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은 무엇인가? 위 연구 질문에 대해 먼저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개설학과 중에서 임용시험에서 좋은 성적과 높은 합격률을 보이고 있는 생물교육학과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을 위한 유사학과인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와 국가교육과정의 개정 변천과정에 대한 자료는 대상학교 홈페이지와 각 해당년도 편람과 교육부 요람 및 국가교육과정 개정의 총론과 각론을 주요 참고자료로 삼아 수집자료에 대한 객관성과 신뢰도를 높이도록 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는 먼저 횡적인 분석을 통해 사범대학 교육과정과 일반대학 유사학과의 교육과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사범대학 교육과정 보다는 일반대학 교육과정이 교과목의 양적 우세와 다양성을 보이는 결과가 나타났다. 종적 분석에서 살펴본 사범대학 교육과정과 국가교육과정의 연 계성에서도 국가교육과정의 변천과정을 통해 사회와 세계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개정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정작 예비교원의 교육과정인 사범대학 교육과정에서는 두 교육과정 간의 연계성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세간의 가장 시급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청년실업‘은 교원 임용에 있어서도 예외는 아니다. 오히려 학교현장에 적합하지 않거나 수업 교과내용의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사범대학 교육과정은 더욱 근본적인 면에서 장기적 ’청년실업자‘를 양산시킬 수 있다는 예측들이 조심스럽게 나오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국가교육과정과 사범대학 교육과정의 연계성 비교에서 두 교육과정의 격차를 좁히고 상호 보완적이며 ‘융합적’인 교육과정의 개발이 시급하고 특히 사범대학의 교원양성 교육과정에서는 교원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한 ‘학점채우기’식이 아닌 교사로서의 자질을 갖출 수 있는 과감한 교육과정의 마련을 촉구해본다.

      • 제주지역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부적응 요인에 대한 개념도 연구

        이성미 제주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71

        제주지역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부적응 요인에 대한 개념도 연구 이 성 미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심리치료전공 지도교수 송 재 홍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지역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유학생활 과정에서 개인이 지각하고 있는 대학생활 부적응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개념적 구조를 밝히는데 있다. 기존에 국내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대학생활 적응과 관련한 연구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체류기간, 성별, 연령 등 일정한 변인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대학생활 적응의 상관정도를 수치적으로 파악하는 양적연구가 대부분 이어서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부적응 요인에 대한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유학생이 지각하는 대학생활 부적응 경험에 대해 보다 현실적이고 실제적인, 그리고 참여자의 인식구조를 시각적으로 알아 볼 수 있는 개념도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지역 중국인 유학생들이 인식하는 대학생활 부적응 요인과 심리적 차원은 어떠한가, 둘째, 제주지역 중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부적응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는 어떠한 가이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절차를 따랐다. 먼저, 제주지역에 소재한 J대학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어학연수생 제외) 15명을 대상으로 대학생활 부적응 경험에 대한 면접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110개의 진술문이 수집되었다. 전체 진술문을 종합‧편집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41개의 최종진술문을 획득하였다. 최종 진술문은 14명의 연구참여자들에게 분류를 부탁하였고, 각 진술문의 중요도를 5점 척도로 평정하게 하였다. 분류결과를 토대로 다차원 척도법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이용하여 각 연구문제에 대해 2차원, 4개의 군집으로 이루어진 개념도를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지역 중국인 유학생들은 ‘주관적-객관적’ 차원과 ‘환경적-개인적’차원이라는 2가지 차원에서 대학생활 부적응 경험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주지역 중국인 유학생들이 지각하는 부적응 경험을 추출한 결과 4개의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각 군집은 ‘한국어 능력부족으로 인한 학업상 어려움’, ‘경제적 어려움’, ‘사회‧문화 차이로 인한 대인관계 및 식생활 어려움’, ‘대학 시설 및 운영제도에 대한 불만’으로 명명되었다. 4개의 군집에 대한 평정결과를 살펴봤을 때 4개의 군집 중 ‘경제적 어려움’ 군집이 M=4.07로 대학생활 적응에 가장 어려움을 주는 군집으로, 다음으로 ‘한국어 능력부족으로 인한 학업상 어려움’ 군집이 M=3.74로 두 번째로 어려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의 수리논술 교육 현황과 개선방안 : 주요 사립대학의 수리논술고사 분석을 중심으로

        양은정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71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의 발표에 따른 2016학년도 대학 모집인원, 수시전형 모집인원 논술고사 실시대학과 논술고사 반영비율, 수능자격 기준, 특정대학의 논술성적 편차 등의 현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서울 소재의 주요 사립대학들 가운데 5개 대학인 고려대학교, 서강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연세대학교, 한양대학교를 선정하여 2012학년도부터 2014학년도까지 최근 3년간 이들 5개 대학 수리 논술고사의 논제 유형과 과목(영역)별, 단원별, 빈도수와 난이도, 대학별 출제 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최근 3년간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의 독서·논술학교에서 실시한 수리논술 교육의 현황을 분석하고, 수리논술 교육에서 실시한 진단평가, 실전모의고사 문제를 관련과목, 관련단원, 출제형태, 난이도, 단원별 출제빈도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주요 대학의 수리논술 문제 출제빈도와 종합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이 수리논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이고 행·재정적 지원방안과 대책을 제언하였으며, 학교 현장에서 수리논술 교육에 대한 수학교사의 효과적인 지도방안도 자세히 제언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이나 일선 학교에서는 수리논술 교육의 방향과 활성화 방안, 그리고 학교 수리논술 교육의 효과적인 방안과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리라 본다. 아울러 수학교사들은 학교 현장에서 효과적인 수리논술 교육을 위해 방향 설정과 지도방안 수립에 도움이 되리라 본다.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2016 university applicant numbers, nonscheduled admission applicant numbers, reflection rate of essay test, qualification standard of the scholastic aptitude test, and score deviation of essay test in specific universiti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five major private universities in Seoul, such as Korea University, Sogang University, Sungkyunkwan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and Hanyang University are selected, and their topics for mathematical essay test and the features of test in the past three years from 2012 to 2014 based on subject type, unit type, frequency of use, level of difficulty are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current state of mathematical essay conducted by ‘Reading and Essay School’ program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s analyzed, In the diagnostic test for mathematical essay education and mock test for real SAT, not only related subjects, related units, examination question trends, level of difficulty, the frequency of units are analyzed and its results are also compared to the frequency of questions in major universities mathematical essay tes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political,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plan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for vitalizing mathematical essay education,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ologies for math teachers who want to teach math essay test in schol should be also developed and implemented.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help math teachers build effective math essay teaching plan as well as they would be practical and helpful in establishing math essay education plan and effective strategies for school math essay education.

      • 지속가능한 제주관광을 위한 지오투어리즘 활성화 방안 : 성산일출봉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범훈 제주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8671

        The volcanic island Jeju, listed as the World Natural Heritage by the UNESCO, has witnessed an age of mega tourism in its history with 10 million local and global visitors in 2013. Despite its external growth and an increasing number of tourists, however, tourism in Jeju Island finds itself drawn into environmentally, socio-culturally and economically negative discourses to the extent that tourist destinations become further disconnected from the local community. Simply put, tourism in Jeju Island is in an urgent condition that requires sustainable qualitative growth strategies. In this context, the present study pays attention to geotourism, emerging globally as a new type of sustainable tourism. The present study aims to seek for measures to activate geotourism for the benefit of sustainable tourism in Jeju and thus to lay the foundation for coexistence between tourist destinations and local community. Seongsan Ilchulbong Peak located on the eastern seashore of Jeju Island has been chosen as the site for this case study. Seongsan Ilchulbong is the UNESCO-designated World Natural Heritage site and a globally renowned geopark. As for study methods, local and global literature review including relevant reports, SWOT analysis and a questionnaire survey were used to discuss the topic. In the early 1990s, geotourism was discussed in a narrow sense focusing on geomorphology and geological resources. At the turn of the century, however, a broad concept focusing on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a place has officially come the fore, extending the scope of a place to not only geomorphology and geological resources but also to daily life of local residents. Jeju’s history, culture, and nature are humanized with Jeju’s local history, culture and life. In this vein, this study reasons that geotourism in Jeju Island should be extensively applied as a broad concept. Here, the sustainability of tourism in Jeju Island is critically diagnosed from environmental, socio-cultural and economic perspectives. In terms of environment, large-scale development including golf courses for tourists is considered to threaten the eco-system of Gotjawal, which serves as the lung for vegetation in Jeju and the ground-water recharge furrow. In view of socio-culture, gambling addiction issues of those who use Jeju Racecourse and the resultant severity have been diagnosed. In light of economy, the controversial privatization and land sales surrounding Seopjikoji in the Seongsanpo Marine Tourism Complex are discussed. These are the cases of development eventually causing negative discourses that spread throughout the entire community. To activate geotourism around Seongsan Ilchulbong, this study has conducted SWOT analysis and a questionnaire survey. From the analysis and survey, measures for activating 5 content areas were derived, i.e. year-round Seongsan Ilchul Festival ;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increasing the awareness of geomorphology and geological resources; continual experience of Jeju Haenyeo’s life ; visiting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ic and cultural heritages ; and betterment of quality of life for local residents. As for the measures for activating geotourism in Jeju Island, whether to develop core contents driving natural and humanistic resources is regarded as the key to secure sustainability. As for Seongsan Ilchulbong, ‘year-round Seongsan Ilchul Festival’ was found to be an appropriate core content representing local place-ness, symbolicity and identity. Furthermore, specific measures for the year-round Seongsan Ilchul Festival were proposed. That is, the Seonsan Ilchul Festival should be held 12 times a year on the first day of each month by the residents of the heritage village Seongsanli with the support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World Natural Heritage Management Group, which would contribute to establishingSeongsan Ilchulbong as a sustainable heritage such that local residents could retrieve the pride in their World Heritage Village. For instance, conflicting parties in society may participate in the Seongsan Ilchul Festival with a monthly theme on the first day of each month. Then, relevant strategies were developed to turn the Seongsan Inchul Festival into a festival of hope, communication, impression and fun. Among the measures to activate the geotourism around Seongsan Ilchulbong, the ‘betterment of quality of life for local people’ was perceived as the foremost issue in real life. Seongsan Ilchulbong is a tourist destination representing Jeju, attracting an increasing number of tourists, while it is not the case with the Heritage Village. Thus, the disparity between the village and the popular destination Seongsan Ilchulbong is increasing. This issue was addressed here from the perspective of dealing with the residents’ long-cherished projects. First, the village’s overarching issue is the invasion of privacy due to the over-saturated parking lot for Seongsan Ilchulbong, which should be moved and expanded. Also, the KBS’ transmitting station occupying the land of the small village and spoiling its landscape need be moved. The issue of opening the current folk market daily instead of every five days is urgent for income generation for residents. These projects are significant for the coexistence of the World Natural Heritage Seongsan Ilchulbong with the Heritage Village, calling for an determined action by the provincial authorities. Here, three integral issues were derived in relation to realizing the sustainable Jeju tourism from the case study on Seongsan Ilchulbong. First, core geotourism contents held by local residents should be developed, Second, the village center should be consistently included in the geotourism course for visitors. Third, every stakeholder should participate in relevant monitoring and evaluation, which is expected to activate geotourism in Jeju Island as the foundation for coexistence between tourist attractions and local communit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ree ways. First, it suggests a new potential wayto realize sustainable tourism in Jeju by extending the scope of research on geotourism, emerging lately and globally as a sustainable type of tourism to humanistic resources associated with the geomorphological landscape and geological resources on the volcanic island Jeju endorsed by the UNESCO. Secondly, the present study provides an underdrawing of a sustainable place of coexistence via development of connected contents for activating geotourism as an effort to sort out the worsening disconnection between Seongsan Ilchulbong representing tourism in Jeju Island and the Heritage Village Seongsanli. Third, in that domestic research on geotourism is subjected to distinct logical arguments and perspectives in geography, geology, geomorphology and tourism, this study elicits meaningful implications for interdisciplinary ties. This study is limited to suggesting general directions without empirical efforts to shed light on the measures for activating sustainable geotourism in Jeju. Also, regarding the development in connection with contents for activating geotourism around the Seongsan Ilchulbong area, this study failed to discuss ‘Developing programs for experiencing the inland waters and marine tourism’ and ‘Developing imaginative space with classical scholars, calligraphers and poets’ due to priorities. Further studies should overcome those limitations and delve into geotourism from the disciplinary perspectives in order to drive sustainable local development and geotourism in Jeju Island in favor of coexistence of residents with tourist attractions. 제주는 세계자연유산 등재 등 유네스코 브랜드에 힘입어 2013년 사상 처음으로 국내외 관광객 1,000만 명이라는 메가 투어리즘 시대를 맞았다. 그러나 관광객의 수적 증가에 치중하는 외형적 성장의 이면에는 환경적, 사회․문화적, 경제적 측면의 지속가능성과 관련하여 부정적 담론이 확산되고 관광지와 지역 공동체와의 단절을 우려하는 목소리까지 등장하고 있다. 제주관광은 지속가능한 질적 성장전략을 모색해야하는 시급한 현안에 직면하여 있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필자는 세계적으로 지속가능한 관광 유형으로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지오투어리즘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화산섬 제주의 지속가능한 관광을 위한 지오투어리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나아가 관광지와 지역 공동체가 공존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이자 세계 지오파크의 대표 명소이며 제주도의 대표적인 해안관광지인 성산일출봉을 사례 연구 지역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방법은 선행 논문과 관련 보고서 등의 국내외 문헌연구, SWOT 분석과 설문 조사 등을 바탕으로 하였다. 지오투어리즘은 1990년대 초기에는 지형 및 지질자원에 초점을 맞추는 협의적개념으로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2000년을 전후하여 장소의 지리적 특성에 초점을 맞추는 광의적 개념이 등장하게 되면서 대상의 범위 역시 지형 및 지질자원 뿐 아니라 지역의 역사․문화와 주민들의 일상생활까지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확장되고 있다. 제주지역의 자연은 오랜 세월동안 제주인들의 역사․문화와 삶이 깃든 인문화된 자연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제주지역의 지오투어리즘 논의는 광의적 개념으로 확장하여 적용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이라고 판단하였다. 제주관광의 지속가능성 실태를 환경적, 사회․문화적, 경제적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진단하였다. 환경적 측면에서는 골프장 등 대규모 관광개발로 인해 제주 식생의 허파이자 지하수 함양지대인 곶자왈 파괴가 지속되고 있는 점을 고찰하였다. 사회․문화적 측면에서는 제주경마장 이용객의 도박 중독문제와 그에 따른 심각성을 진단하였다. 경제적 측면에서는 성산포해양관광단지의 섭지코지 사유화 및 부동산 투기 논란 등을 다루었다. 이들 사례는 제주사회에서 관광개발로 인해 대두된 부정적 담론의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성산일출봉 지오투어리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SWOT 분석과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산일출제의 연중 확대 상설화, 지형 및 지질자원의 인식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 제주해녀의 삶 체험 지속화, 근현대 역사문화유산 탐방,지역주민의 삶의 질 개선 등 5개의 콘텐츠 분야를 선정하였다. 제주지역 지오투어리즘 활성화 방안은 자연 및 인문자원의 콘텐츠들을 선도할 수 있는 핵심적인 콘텐츠 개발 여부가 지속가능성을 확실하게 담보하는 관건으로 판단하였다. 성산일출봉의 경우 ‘성산일출제의 연중 확대 상설화’가 지역의 장소성․상징성․정체성을 대표하는 핵심 콘텐츠로 적합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성산일출제의 연중 확대 상설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자연유산관리단의 지원과 유산마을인 성산리 주민들의 주관 하에 매월 1일, 1년 12회에 걸쳐 성산일출제를 실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그동안 세계유산마을이라는 자부심이 갈수록 약화되던 지역주민들에게 성산일출봉이 지속가능한 자연 유산이라는 인식을 확고히 심어주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매월 1일 개최되는 성산일출제에는 주제별로 한국사회 갈등의 당사자들이 참여하는 방안을 예시하였다. 이를 통해 성산일출제는 희망의 축제, 소통의 축제, 감동과 즐거움의 축제로 승화시킨다는 전략을 모색하였다. 성산일출봉 지오투어리즘 활성화 방안 가운데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 개선’ 분야는 가장 현실적인 문제로 인식되었다. 성산일출봉은 제주도의 대표적인 관광지로서 방문객이 급증하고 있는 반면, 유산마을은 성산일출봉 방문객들이 찾지 않음에 따라 성산일출봉 관광과 단절되는 양상이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분야는 주민 숙원사업 해결차원에서 접근하였다. 우선, 주민들의 일상에 불편을 초래하고 있는 주차장 이전 확충 문제는 마을의 최대 현안이다. 또한 면적이 협소한 성산리의 토지를 장기 점유하면서 세계자연유산 마을의 경관까지 헤치고 있는 KBS 제주송신소의 이전 문제도 해결 과제다. 현 오일시장의 매일 민속시장화 추진 문제 역시 주민소득 창출 차원에서 시급한 문제다. 이들 사업은 세계자연유산 성산일출봉과 유산마을의 공존 여부가 달린 현안으로 제주도 당국의 적극적인 추진을 주문하였다. 본 연구는 성산일출봉의 사례 연구를 통해 지속가능한 제주 관광의 실현을 위한 필수적인 사안 3가지를 도출하였다. 첫째, 지역주민들이 직접 실행하는 핵심적인 지오투어리즘 콘텐츠를 개발해야한다. 둘째, 지오투어리즘 탐방코스의 마을 경유가 지속화돼야 한다. 셋째, 이에 대한 모든 이해관계자들의 참여 하에 모니터링과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이는 곧 관광지와 지역 공동체가 공존하는 토대로써 제주지역 지오투어리즘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의의는 크게 3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최근 세계적으로 지속가능한 관광유형으로 부각되고 있는 지오투어리즘에 대한 논의를 제주의 지형 및 지질자원 뿐 아니라 문화․역사와 주민생활에 이르기까지 적용 대상을 확장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제주관광의 실현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제주관광을 대표하는 성산일출봉과 유산마을인 성산리의 단절 양상을 해소하는 방안으로 콘텐츠의 연계 개발을 통해 지속가능한 공존의 장을 모색하였다. 셋째, 국내의 지오투어리즘에 대한 연구가 지리학, 지형학, 지질학, 관광학 등 각 분야에서 별개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점에 주목하여 볼 때 본 연구는 제학문간 연계와 융합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제주관광을 위한 지오투어리즘 활성화 방안에 대해 보다 실증적으로 접근하지 못함으로써 큰 틀의 방향 제시에 그쳤다는 한계를 가진다. 또한 성산일출봉 지오투어리즘 활성화를 위한 콘텐츠 연계 개발과정에서 ‘해양관광 및 내수면 체험 프로그램 개발’과 ‘선비 묵객들과 시인들의 심상 공간 개발’분야를 논의하지 못한 점도 아쉬움으로 남는다. 앞으로 이같은 한계를 극복하는 지오투어리즘 연구가 다방면에 걸쳐 본격화된다면 제주지역 지오투어리즘은 관광지와 주민들이 공존하는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견인차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제주 국제학교 졸업생의 해외 대학 유학 생활 경험

        고선지 제주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71

        이 연구의 목적은 제주도 영어교육도시내의 국제학교를 졸업한 학생이 대학 진 학 후에 어떤 삶을 살고 있으며 유학 생활 중 자신의 경험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 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국제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에게 대학 생활 준비를 위한 필요한 지원 또는 국제학교 현장에서의 진로 상담적 함의를 찾아보았다. 연구문제는 제주 국제학교 졸업생의 제주 국제학교 졸업생의 재학 당시 학교생활과 가정생활은 어떠했는지 맥락 알아보기,해외 대학 유학 생활 경험 살펴보기,마지막으로 제주 국제학교 졸업생은 자신의 해외 대학 유학 생활 경험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으로 삼았다. 학생들 이 국제학교 재학 경험과 대학 생활 경험에 공통적으로 부여하는 의미를 찾아보 기 위해 질적 연구 방법 중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사용했다. 연구 대상자는 총 8명으로 연구 대상자와 1:1 면담과 그룹 인터뷰를 거쳐 자료 를 수집하고 면담 내용을 모두 문서 형태로 전사한 뒤 관찰노트,문헌정보 등을 함께 사용하여 분석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주 국제학교 졸 업생이 해외 대학 유학 생활에 부여하는 의미는 높은 성취 기대감에 따른 좌절 넘어서기,부여된 자율성만큼 반가운 책임감,어떤 사람으로 살아갈지 찾아가는 과정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국제학교 현장에서의 진로 상담과정에서 다음 과 같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국제학교의 고등교육 과정을 시작함과 동시 에 학생들의 적성과 흥미,그리고 진학을 희망하는 대학의 지역 등을 고려한 수 강 신청이 가능하도록 지원해야 하며 둘째,진로 상담 과정과 대학 생활 준비 과 정에서 학생들 개개인에게 초점을 맞춘 상담을 제공함과 동시에 대학 입학만을 위한 진로 상담이 아닌 대학 이후 생활을 위한 상담적 고려도 필요하다. 셋째, 대학 입시 지원 과정에서 최우선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상위 랭킹의 대학교 로의 진학이 아닌 학생의 적성이며 성향임을 상기하고 싶다. 이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제주 국제학교 2곳의 8명의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삼 아 연구 참여자의 범위가 제한적이다. 또한 심층 면담을 주요 연구 자료 수집 방 안으로 삼았으나 기초면접 1회,심층면담 2기회로 보다 깊은 면담이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점을 한계로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제주 국제학교 졸업생의 과거 국제 학교 경험과 현재의 해외 대학 유학 생활 경험에 초점을 맞추다 보니 대학 생활 이후에 대한 관찰이 부족하다. 유학 생활 중 향후 진로탐색과정,대학교를 졸업 한 후 학생들의 직업이나 진로와 같은 교육 경험 결과와 관련된 연구를 추가로 진행한다면 보다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 할 수 있으리라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