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의대학교 재학 중국유학생 대학생활적응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연구

        오가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1994년 9월 한중문화교류협정이 체결되면서 한국과 중국 간 파견유학이 시작되었다. 이로 인해 재한 중국 유학생의 수는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2015년 현재 53,902명에 이르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전체 재한 외국인 유학생 85,193명의 60%를 넘는 수치로서 중국 유학생의 증가는 국가차원에서도 교육을 통한 국제 교류 강화라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중국 유학생들이 많이 유입되면서 이들을 둘러싼 여러 가지 문제 또한 발생하고 있는데 실제로 한국의 대학에 입학하여 학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대학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이탈하는 사례들도 보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동의대학교에 재학 중인 중국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 현황을 알아보고 중국 유학생들이 대학생활에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어 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Berry(2001)와 Sandhu & Asraba(1994)에 의해 검증된 문화적응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관련 변인을 근거로 각 변인들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부산 동의대학교에 재학 중인 총 142명의 중국유학생을 대상으로 중국어 설문지를 배포하여 수집하였다. 최종 수집된 127부의 설문지는 통계적 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문화적응 하위요인 중 통합을 높게 인식하고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차별감과 문화충격 요인을 낮게 인식할수록 대학생활 적응 지표인 학업적응, 사회적응, 그리고 대학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화적응 하위요인인 통합과 동화와 대학생활 적응 지표인 학업적응, 개인적응, 대학만족도의 관계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차별감과 문화적 충격 요인에 의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국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통합과 대학생활 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차별감을 느끼지 않게끔 노력해야 되고, 문화충격요인 등을 감소 시켜야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생태 관계성을 통한 공생 표현연구

        오가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随着工业化社会快速发展带来的负面影响,能源,生态,自然环境等正承受着巨大的压力. 然而,这样的恶性循环趋势还在不断的增长,自然环境遭到了毁灭性的破坏,威胁着人类的生存与发展.在这样的情况下,想要改善生存环境就应该从根本上解决问题,改变旧观念,建立起环保意识.对此社会各领域都做着不同的努力,这其中包括经济,科技,政治等.而作为工艺美术之一的陶瓷工艺领域也不例外,通过对作品的塑造来传达环保观念是区别于其他领域的艺术表现手段. 陶瓷工艺不仅可以实现作品的功能与效用,还能发现人们潜意识中的情感需求.作为陶瓷工艺的创作者,通过作品来引导人们建立起正面的理念行为是责任也是义务.陶瓷创作是综合性的艺术表达方式,通过对造型,材料,表现方式的研究与应用,以视觉传达的方式来让观赏者感受其想要传达的信息,以改变人们的观念和建立环保意识. 本研究的研究目的在于将近年来备受关注的环境问题,与陶瓷工艺结合起来,探究以生态为主题的陶瓷作品的价值.随着环保观念的深入发展,生态观念已不再仅仅局限于物质的可持续发展概念,而已经上升到物质与精神两方面达到人,自然,社会的和谐共生的文化概念.现在人们对陶瓷工艺的生态表现有了新的认识和理解.在陶瓷工艺逐渐被人们所认可的今天,它成为了人,自然与社会这三者关系平衡的载体,具有重要的生态价值和意义. 论文的第一章就生态和生态学理论本身进行了探讨.对生态和生态学的概念,历史和意义分别进行了理论性的概述.同时,对生态关联性美术示例作品进行了分析和研究.示例作品的表现内容主要是对生存环境的批判与反思,还有对生态之美的写照.将各个国家的现代生态美术案例作品分别从创作观念,艺术题材和技术参与中的生态表现进行归纳描述,更直接的了解了生态美学的概念和意义,而示例作品的表现方式和创作技法也对本研究者的作品起到借鉴作用, 第二章就自然与人类的共生关系进行了整体的梳理.对共生以及共生美学的概念和意义进行了理论性研究.对国内外部分共生美术作品按照创作年代顺序进行分析,更好的梳理了共生美学的发展概况和历史.其中示例作品的研究范围包括:雕塑,装置,影像等美术领域.作品艺术形式中的生态表现主要体现在两方面:一方面对自然的描绘与赞美,人文情怀的抒发与关心.另一方面是赤裸的揭露失去共生关系后对生态链的破坏和对生存环境的负面影响.示例作品的分析和研究也为后期的生态陶瓷作品的表现形式打下了基础. 论文的第三章“融合”对本研究的内容有着承上启下的作用.无论是本文研究者的作品所要传达的信息,还是创作的表现形式都是多角度,多样性的融合行为.本章节先理论性的论述了融合的概念和定义,随后,通过对社会,科学中跨界融合的示例扩展研究来深化概念及范围.最后,美术领域的融合性示例研究对接下来研究者的陶瓷作品起到了铺垫和引导作用.在本研究者的作品中不仅有生态与共生观念的融合,也有材料和制作方法的融合表现. 文章的第四章是实践性创作的一个章节.制作背景和制作目的的理论性阐述是作品的灵魂和主导思想.明确了创作目的,接下来就生态陶瓷创作的材料进行了分类研究.通过应用吸水性材料的陶瓷示例研究帮助理解特性以及表现方式.系统性的研究为本文研究者今后的创作奠定了理论基础,也总结了经验.然后,对研究作品的创作技法和制作过程通过实践进行了整体化的阐述.最后得出结论:恰当的材料和表现形式可以更好的表现作品的主题和传达内在意义. 第五章也就是本研究的最后一章是本研究者的作品分析,也是前一章节实践结果的展示.通过作品来传达作者的意识和思想这是文化传播的重要途径之一.观念的表达也是作品内在情绪的表达,为了更好的接收到作品所要传达的信息,首先进行了研究者个人观点的阐述.随后进行了先行作品研究,先行作品是研究者早期的生态陶瓷作品.通过对材料,形式,表达内容的分析,找出与现在作品的相同和不同之处,为之后的作品明确了发展方向.最后,根据材料和主题类别的不同对研究者的作品进行系统性的分类与分析.多角度,内容的作品分析和研究对主题的表达更加明确和清晰化. 这其中除了对作品材料,制作方法以及表现形式的说明外,还对现代生态陶瓷的生态价值和意义进行了讨论与总结.一方面归纳并总结了生态学理论对现代生态陶瓷的理论指导,另一方面分析讨论生态陶瓷的生态性价值.通过以上论述,论文得出结论:生态观念是未来生态陶瓷发展的重要价值取向之一,生态陶瓷是陶瓷工艺的重要组成部.作为主要的艺术干预手段,在环境保护的呼吁和导向上扮演着重要的角色. 生态陶瓷作品不单单是一个静态的展示艺术,更多的是通过视觉上的艺术表现来表达设计理念与环保意识.通过独特的形式美传达作品所要表达的内容以此来唤醒人类对于生存环境的担忧与关心.严重的环境危机需要急迫的提醒人类去参与到环境保护行动中去.通过艺术表现使人们发自内心的关心,积极地参与,是陶瓷工艺所要集中表现的课题和创作的目的. Although t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 promotes the progress of human beings from the perspective of visibility, we can't expect further development if we don't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At present, people have realized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 in science, politics and other fields, and discussed the countermeasures and methods to solve the problem, and the art field is no exception. In addition, human survival is closely related to the ecological environment because of the impact of the environment on social conditions. Now, many writers are very concerned about this kind of problem, and take it as the object of performance, directly or indirectly participate in the above topics through some behavioral activities. In this study, the works of the leading artists and researchers a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affinity. At the same time, the relevance of the environment is studied in many aspects to reflect the symbiotic ecology. The first is to examine the coexistence and contradiction between symbiosis and human society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pposition and unity of man and nature, the two-dimensional relationship between symbiosis and environment. The second is that each field of art has its own unique views on ecologism, and has different artistic views and opinions on ecological civilization and human civilization. In this paper, the case study of works is used as an indirect research object to express the natural equality and causality in life. In addition, a variety of views are compared and analyzed. And in this process, the theory of ecologism is understood. Cai Guoqiang's installation works, Courtney Mattison's ceramics works, Chris Jordan's photography works and other related art works are all includ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 works and the author, the artistic expression of individual relationship is sought. The third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ymbiosis and ecology through related works. Based on the art examples of coexistence and symbiosis in nature, this paper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symbiosis and ecology and the root relationship. The fourth is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concept,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absorbent materials as the basis, and to do aesthetic research on the works of absorbent materials. Fifthl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searcher's works, it wakes up the ecological value of nature and clarifies the significance of "symbiosis". In addition, through the recombination and re-creation of rare creatures, people's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symbiosis are guided, which also records the beauty of ecology and the preciousness of nature. Although it is a very small individual or something existing in the subjective consciousness of researchers, it is an individual in nature who should enjoy their right to exist. Therefore, in the construction of ecological structure, the details of the works show the negative factors caused by human-oriented environmental damage. In order to enhance the plastic effect, absorbent materials are used, which not only improves the richness of the work, but also reduces the damage rate. Through the use of the above materials, it is beneficial to eliminate the defects carried in the ceramic process performance. But it is also one of the defects that smoke will be produced during production. Symbiosis and ecology are the main research objects in this study. Through the analysis and use of absorbent materials, symbiosis can be better communicated to the viewers and have a positive impact. The view and significance of the spectators on "symbiosis" have changed qualitatively in the works, and they actively respond to the concept and scope of ecological art by various ways of expression. Energy, ecology and natural environment are facing tremendous pressure due to the negative impact brought by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ndustrialized society. However, such a vicious circle trend is still growing, to the extent that the natural environment has been devastated, which threatens the survival and development of human beings. Under such circumstances, improving the living environment requires to solve the problem fundamentally, change the old concept and establish the environmental awareness. Therefore, different efforts are being made in various fields of the society, including economics, science and technology, and politics. And so does the ceramic technology field, which is one of the arts and crafts. It conveys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protection through the shaping of works, which is a means of artistic expression that is different from other fields. ceramic technology not only can realize the function and utility of the work, but also can discover the emotional needs in people’s subconscious. As a creator of ceramic technology, it is a duty and also an obligation to guide people to establish positive concepts and behaviors through works. The ceramic creation refers to a comprehensive way of artistic expression. Through researches and application of modeling, materialsand expression methods, the viewer can feel the information conveyedin the manner of visual communication, so that it can change people's concepts and establish environmental awareness. The research aims at combining the environmental issues focused by people in recent years with the ceramic technologyto explore the value of ceramic works with the theme of ecology. With the in-depth development of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concept, the concept of ecology is no longer limited to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of material, which has risen to the material and spiritual aspects of human beings, the cultural concept of the harmonious coexistence of human beings and nature. Currently, people have a new understanding of the ecological performance of the ceramic technology. Under such circumstances, when the ceramic technology is gradually recognized by people, it has become the carrier for the bal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nature and society, and has a great ecological value and significance. The first chapter of the thesis discusses the ecology and ecological theory. It summarizes the concept, history and significance of ecology and ecology respectively and theoretically. Meanwhile, it analyzes and researches on the ecologically related art example works. The content of the sample works mainly involves the criticism and reflection on the living environment, as well as the portrayal of the ecological beauty. Moreover, it summarizes and describes the case works of modern ecological art of various countries from the perspectives of creative concepts, artistic themes and ecological expressions in technical participation, so as to have a more direct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and meaning of ecological aesthetics. And the expression methods and creative techniques of the sample works also play a reference role for the researcher's works. The second chapter organizes the overall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mankind, carrying outa theoretical research on the concept and meaning of symbiosis and symbiosis aesthetics. Meanwhile, it also analyzes some domestic and foreign symbiotic art works in accordance with the chronological order of creation to better organize the development and history of symbiotic aesthetics. In which, the research scope of the sample works includes: sculpture, installation, video and other arts fields. The ecological expression in the art form of the works is mainly shown in two aspects: on the one hand, it lies in the description and praise of nature, and the expression and concern of humanistic feelings. On the other hand, it barely exposes the damage caused to the ecological chain and the negative impact generated on the living environment after loosing the symbiotic relationship. The analysis and research of the sample works has also laid a foundation for the later expression of ecological ceramic works. The "fusion"in the third chapter plays aconnecting linkbetween the preceding and the following content of this research. No matter it is the information conveyed by the researcher's work or the expression of creation involvethe multi-angle and diverse fusion behavior. In this chapter,it discusses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fusion theoretically first, and then it deepens the concept and scope by expanding and studying the examples of cross-border fusion in society and science. And finally, the fusion example research in arts field has paved and guided the ceramic works of the following researchers. Not only the fusion of ecology and symbiosis, but also the fusion of materials and production methods have been shown in the works of the researcher. The fourth chapter refers to the practical creation. The theoretical elaboration of the production background and production purpose are the soul and dominant idea of a work. After clarifying the purpose of the creation, it carried out a classification research on the materials of the ecological ceramic creation. Through the research onthe ceramic example made of water-absorbing material, it aims to help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The systematic research has laid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future creation of the researcher of this thesis, while also summarizing the experience. Moreover, it comprehensively elaborates the creation technique and production process of the research works through practice. And the conclusion obtained is that: the appropriate materials and expression forms can better express the theme of the work and convey its inner meaning. The fifth chapter, the last chapter of this research, refers to the analysis of the researcher's work, which is also a demonstration of the practical results of the previous chapter. Conveying author's consciousness and thoughts through works is one of the important ways of cultural communication. The expression of concepts also involves the expression of the inner emotions of the work. To better understand the information conveyed by the work, the researcher's personal opinion has been elaboratedfirst. And then, the research on anterior works is carried out. Referring the anterior work, it refers to the ecological ceramic works created by the researchers in early stages. Through the analysis of materials, forms and expression content, it tries to find 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ith the current works, so as to clarify the development direction for future works. At last, the researcher’s works are systematically classified and analyzed in accordance with different materials and subject categories. The analysis and research of works from multiple angles and content clear and accurate the expression of the theme. Except for the description of work materials, production methods and expression forms, it also discusses and concludes the ecological value and significance of modern ecological ceramics. On the one hand, it summarizes and concludes the theoretical guidance of ecological theory to modern ecological ceramics, and on the other hand, it analyzes and discusses the ecological value of ecological ceramics. Based on the above-mentioned discussion, it has drawn the conclusion: ecological concept is one of the important value orienta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ecological ceramics, and the ecological ceramic sisaninse parable part of ceramics technology. As the main artistic intervention method, it plays an important role for the appeal and guidance of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The ecological ceramic works not only refers to a static display art, but also focuses more on expressing the design concepts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awareness through visual artistic expression. Through the unique beauty of form,it conveys the content expressed by the work to awaken human beings’worries and concerns about the living environment. The serious environmental crisis requires to remind human beings to participate in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actions. It is the subject that the ceramic technology needs to centrally manifested and the purpose of the creation making people caring and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environment protection actions through artistic expression from their hearts. 산업문명의 지속적인 성장으로 생태 및 환경은 커다란 압박을 받고 있다. 또한 이러한 악순환의 추세는 여전히 증대 되고 있으며 자연의 황폐화는 인류의 생존과 발전을 위협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생활환경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오래된 관념을 바꾸고 환경에 대한 의식을 확립해야 한다. 이에 경제, 과학 및 기술, 정치 등 사회의 각 분야에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술의 하나로서 도자공예 분야도 예외는 아니며, 작품을 통해 환경 보호의 개념을 전달해야 한다 도자공예는 작품의 기능과 유용성을 실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잠재의식을 통해 사람들의 정서적 욕구를 발견한다. 또한 창작자들은 사람들이 작품을 통해 긍정적인 생각과 행동을 확립하도록 인도하는 책임과 의무를 갖고 있다. 창작은 예술적 표현의 종합적인 방법으로, 조형, 재료, 표현 방법의 연구와 응용을 통해 감상자는 시각전달의 방식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느낄 수 있다. 이러한 기본적 인식은 사람들의 생각을 바꾸고 환경에 대한 인식을 확립하는데 도움을 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환경 문제와 도자공예를 결합하고 생태를 주제로 작품의 가치를 탐구하는 것이다. 환경보호 개념의 심층적인 발전으로 생태의 개념은 더 이상 물질적 지속 가능한 개발에 국한되지 않고 물질적 측면과 정신적 측면에서 사람, 자연, 사회가 조화롭게 공존하는 문화의식으로 상승했다. 이에 사람들은 도자공예의 생태적 기능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인식을 갖게 되었다. 오늘날 도자공예가 점차 사람들에게 알려지고 받아들여지면서, 인간과 자연과 사회의 균형을 이루는 매개체가 되었으며 중요한 생태적 가치와 의미를 갖게 되었다. 본 연구의 Ⅱ장에서 제 1 부분은 생태와 생태학 이론에 대해 논의한 후, 개념, 역사 및 의미를 각각 이론적으로 요약했다. 동시에 생태미술 사례 작품을 분석하고 연구하였다. 사례 연구는 주로 생존 환경에 대한 비판과 성찰, 생태의 아름다움에 대한 묘사로 이루어졌다. 다양한 국가의 현대 생태미술 사례 작품은 창작개념, 예술주제, 기술참여의 표현으로 나누어서 요약 및 서술하였다. 미학의 개념과 의미를 보다 직접적으로 이해하였으며 사례 작품의 표현 방법과 창작 기법도 본 연구자의 작품에 참고 자료가 되었다. 본 장의 제 2 부분은 자연과 인간의 공생 관계에 대해 전반적으로 정리하였다. 공생과 공생미학의 개념과 의미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국내외 해당 작품 중 일부를 제작 연도순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발전과 역사를 정리하였다. 사례 작품의 연구 범위에는 조각, 설치, 비디오 및 기타 미술 분야를 포함시켰다. 본 장의 제 3 부분인 "융합"은 본 연구의 내용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연구자의 작품이 전달하는 정보이든, 창작의 표현 형태이든 간에 모두 다양한 관점에서, 다양성으로 이루어진 융합 행위이다. 이번 장에서는 먼저 융합의 개념과 정의를 이론적으로 논의한 다음 사회와 과학에서 학제 간 융합 사례에 대한 연구를 확대하여 개념과 범위를 심화시켰다. 마지막으로 미술 분야의 융합 사례 연구는 다음 연구자들의 도자작품을 암시하고 인도하는 역할을 한다. 본문의 제 Ⅲ장은 실용적인 창작을 다루고 있다. 제작 배경과 제작 목적에 대한 이론적 설명은 작품의 핵심이자 지배적인 아이디어이다. 창작의 목적을 명확히 하고 생태도자 창작을 위한 소재를 분류하고 연구했다. 흡수성 소재의 응용한 도자 사례 연구를 통해 흡수성 재료의 특성과 표현 방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체계적인 연구는 본 논문의 연구자의 향후 창작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했으며 경험을 요약했다. 그런 다음 연구 작품의 창작 기술과 제작 과정을 실습을 통해 전반적으로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적절한 소재와 표현 형태는 주제를 더 잘 표현하고 작품의 내재적 의미를 전달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번 연구의 마지막 장인 제 Ⅳ장은 연구자의 작업에 대한 분석이며, 또한 이전 장의 결과를 나타낸다. 작가의 의식과 생각을 작품을 통해 전달하는 것은 문화 커뮤니케이션의 중요한 방법 중 하나이다. 개념의 표현은 작품 내면의 감정 표현이기도 하며, 작품이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더 잘 받기 위해 연구자의 개인적 의견을 먼저 설명한다. 이후 연구자의 초기 생태도자작품인 선행 작품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소재, 형태,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분석하여 현재 작품과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파악하고 향후 작품의 발전 방향을 명확히 정했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는 작품을 다양한 소재와 주제 카테고리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다양한 관점과 내용에서 작품을 분석하고 연구함으로써 주제의 표현을 보다 명확하고 세밀하게 정리했다. 작품의 소재, 제작 방법 및 표현에 대한 분석과 함께 현대 생태도자의 가치와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고 요약하였다. 작품에 대한 생태적 지위의 이론적 지도를 요약하였으며, 또한 생태도자의 생태적 가치를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위의 논의를 통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생태의 개념은 다양한 도자의 미래 발전에 중요한 가치 지향 중 하나이며, 이중 생태 도자는 도자 공예의 중요한 구성 부분이 될 수 있다. 주요 예술적 개입 수단으로서, 환경 보호의 요구와 지향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생태 도자 작품은 정적인 전시 예술일 뿐만 아니라 시각적인 예술 표현을 통해 디자인 이념과 환경 의식을 표현한다. 독특한 형태의 아름다움은 작품이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전달하여 생존 환경에 대한 생각을 일깨워준다. 인류가 환경 보호 조치에 참여할 수 있도록 심각한 환경 위기에 대해 알릴 필요가 있다. 이를 예술적 표현을 통해 대중들이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만드는 것이 본고를 통해 집중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이자 창작의 미래 방향이다.

      • 중국의 학교스포츠 발전에 관한 연구 - 선진국과의 비교 관점에서 : 선진국과의 비교 관점에서

        오가 배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개혁개방 이래, 중국의 경제발전은 비약적인 발전기에서 안정된 발전기로 이행하고 있으며, 경제의 급속한 발전은 중국 체육사업의 향상을 이끌었다.현 단계에서 선진국에 비해 경기체육 방면에서 중국은 이미 세계 스포츠 강국이 되었으나, 경기체육의 비약적인 발전은 다른 스포츠 분야의 진보를 이끌지 못하였고, 학교 체육, 대중 체육 방면에서 중국과 선진국은 여전히 큰 격차를 보이고 있다.특히 학교체육분야에서 선진국은 완벽한 학교체육정책법규체계, 완벽한 교사양성체계 및 체육과정의 선진이념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선진국의 학교체육의 건전한 발전을 보장하지만 중국의 학교체육정책법규체계는 아직 형성되지 않았다.정책 법규의 제정은 각 지역의 실제 상황과 결합되지 않고, 학교 체육 과정의 교과 내용이 단일하며, 교사 양성 체계가 미비하여 학교 체육 발전에 불균형이 나타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면 선진국의 학교 체육 발전의 장점을 더욱 거울삼아 중국 학교 체육 진흥 방안을 제공해야 한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학교체육 정책의 서로 다른 발전 단계의 체계적인 정리를 통해 서로 다른 발전 단계의 주요 특징을 밝힐 수 있도록 시도하고, 중국 학교체육 정책의 추가 개혁을 위한 역사적 경험과 시사점을 제공한다.둘째, 중국의 학교체육과 선진국의 학교체육의 비교를 통해 중국 학교체육의 진흥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주로 다음 다섯 가지 문제를 중심으로 연구한다. (1) 중국의 학교체육목표 설정 방안은 무엇인가. (2) 중국의 학교체육 정책도구 설정 방안은 무엇인가. (3) 중국의 학교체육 거버넌스 기제 전략은 무엇인가. (4) 중국의 체육교육과정 내용 개선 전략은 무엇인가. (5) 중국의 체육교사의 전문성 강화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중국과 선진국의 학교체육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선진국 학교체육의 정책목표, 정책도구, 정책 거버넌스 메커니즘, 체육과정, 교사양성 등 5가지 방면의 비교를 통하여 분석하였다.비교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중국 학교 체육 활성화 방안을도출하였다. 첫째,학교 체육 목표는 중국 학교 체육 발전의 3단계 정책 목표 체계를 수립하고 교육 목표의 명확성과 다양성을 증가시켜야 한다. 둘째, 학교 체육 정책 도구 방면에서는 학교 체육 권위 도구의 법정화와 권위 기구 설립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 셋째, 학교 체육 거버넌스 메커니즘은 법률 정책 이론 연구를 강화하고, 각 부서의 협력 능력을 강화하며, 학교 체육 정책 감독 제도를 완비해야 한다. 넷째, 체육교육과정 내용면에서 체육교습의 내용을 개선하여 청소년의 인격 형성과 육성기능을 중시하고 체육시간을 확실히 보장하며 흥미를 유발하고 청소년체육단련기관을 증설한다. 다섯째. 체육교사 양성 측면에서는 체육교사의 전문성 강화에 관한 법률시책 정비, 체육교사 자격인증제도 개선, 체육교사 입사 후 재교육 지원 확대.

      • 추체험 학습을 적용한 세대 공감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 서울생활사박물관 상설전시를 중심으로

        오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15

        사회 변화가 급속도로 이루어진 한국 사회는 세대 별로 유년 시절의 생활 경험에 차이가 크다. 따라서 세대 갈등은 현재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이 윗세대를 추체험해봄으로써 세대 간 이해, 공감, 소통을 이룰 수 있도록 박물관을 연계한 추체험 학습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급속한 사회 변화로 인해, 일상 속 기본적인 생활양식마저 세대 별로 차이가 있기에, 현존하는 여러 세대마저도 온전히 세대 간 경험들을 공감하고 맥락적으로 상상하는 것을 어려워한다. 2010년 출생인 2022년 초등학교 6학년은 ‘COVID19로 인한 펜데믹’ 때문에 기존 세대와 비교했을 때 더 차이가 크며 특징적인 소년기를 경험하였다. 따라서 윗세대가 겪었던 일상 경험에 대한 이해, 공4감을 해볼 수 있는 배움의 기회와 그들 스스로 생활의 특수성을 느끼고 다른 세대와 소통하는 기회가 필요하다. 본 연구자는 학습자가 윗세대 생활경험을 더 효과적으로 추체험할 수 있도록 ‘세대 공감’을 주제로 박물관을 연계한 추체험 학습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및 실행한 뒤, 결과를 논의하였다. 세부적인 연구의 내용은 첫째, 박물관을 연계한 추체험 학습 교육프로그램의 모형을 제안하였다. 둘째, 초등학교 6학년이 윗세대의 과거 생활을 추체험함으로써 윗세대를 이해, 공감하고 윗세대와 소통할 수 있는 학습을 위하여 인지, 정의, 심동의 3 가지 하위 목표를 세우고, 교육프로그램 모형 단계 별로 학습 요소를 선정하였다. 셋째, 박물관을 연계한 추체험 학습 교육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학습자가 부모 또는 조부모 세대를 이해, 공감하고 소통의지를 기를 수 있도록 서울생활사박물관 상설 전시를 연계하여 추체험 학습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서울 ○○초등학교 6학년 21명을 대상으로 실행하였고, 실행의 결과를 차시별 활동지 결과물, 박물관 경험 설문지, 박물관 관람 사전 설문지, 박물관 관람 사후 설문지, 프로그램 최종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연구의 결과 및 효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윗세대 과거 생활에 대한 이해가 향상되었다. 둘째, 추체험을 통해 윗세대에 대한 공감을 더 잘 할 수 있게 되었다. 셋째, 윗세대와의 소통 의지 및 노력이 향상되었다. 후속 연구를 통하여 박물관을 연계한 추체험 학습이 적극적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In Korean society, where social changes have been made rapidly, there is a large difference in childhood life experiences by generation. Therefore, generational conflict is a very important issue at pres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implement a follow-up experience learning education program linking museums so that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can further experience the upper generation to achieve understanding, empathy, and communication between generations. Due to rapid social changes, even basic lifestyles in everyday life vary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making it difficult for even several existing generations to fully sympathize with and imagine intergenerational experiences in context. Born in 2010, sixth graders in 2022 experienced a greater difference and characteristic adolescence compared to the previous generation due to the "pandemic caused by COVID19."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and sympathize with the daily experiences experienced by the upper generation, and to feel the specificity of life on their own and communicate with other generations. Researcher developed and implemented a re-enactment learning education program linked to the museum under the theme of "generational empathy" so that learners can more effectively re-enact the life experiences of the upper generation, and discussed the results. As for the detailed contents of the study, first, a model of a re-enactment learning education program linked to the museum was proposed. Second, by re-enacting the past lives of the upper generation, the six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set three sub-goals of cognition, affection, and psychomotor to understand, sympathize with, and communicate with the upper generation, and selected learning elements at each educational program model stage. Third, re-enactment learning education program linked to the museum was implemented. In order for sixth-grade elementary school learners to understand, sympathize with, and develop their will to communicate with their parents or grandparents, a re-enactment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in connection with the permanent exhibition of the Seoul Urban Life Museum. The developed program was implemented for 21 sixth graders at ○○ Elementary School in Seoul, and the results of the implementation were analyzed as the results of each activity site, museum experience questionnaire, museum visit pre-questionnaire, museum visit post-questionnaire, and program final questionnaire. The results and effects of the analyzed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understanding of the past life of the upper generation has improved. Second, through the re-enactment, students could better empathize with the upper generation. Third, the will and effort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generation have improved. Through follow-up research, I hope that re-enactment learning linked to museums will be actively used.

      • 한국관광객에 대해 상하이 목적지로서 이미지에 관한 연구

        오가 동국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Tourist destination image is an important factor which tourists think highly of during their decision-making of a tourist destination. Thus, establishing a positive tourist destination image could greatly raised the tourism attraction in the tourism marketing of destination. In recent years, South Korean tourists steadily increased and have become number of all inbound tourism origin countries of China since 2005. In 2011, the growth of Korean visitors was the highest which reached 4,185,400. Shanghai, as the largest and busiest port city in China, South Korean are the three major sources visitors. Because the big potential of South Korean tourists could bring, it is important to study how South Korean tourists perceived about the city image of Shanghai. This research aims to evaluate the tourist destination image of Shanghai by using random sampling method and empirical research taking South Korean tourists as study sample. On the basis of research results, the overall satisfaction degree of South Korean tourist on Shanghai will be evaluated and marketing strategy in the future will be proposed accordingly. Keywords: Tourist destination image, satisfaction, South Korean tourist, Shanghai

      • Family functioning and social support of Korean families with mentally-retarded children

        오가 Texas Woman's University 1984 해외박사

        RANK : 247599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가 긴장된 상황에 처한 개인의 병리학적,사회심리적 변화를 보 호하는 완충적 역할을 하는 점은 많은 문헌에서 지지되어왔다. 본 연구는 변인의 관계를 결정하기술연구로써 연구가설은 [가족기능지수에 의해 측정된 가족의 기능과 Norbeck의 사회적 지지 좇피�측정된 사회적 지지도 간에는 관계가 있다]이다. 서울시내 소재 관인특수학교에 적을 둔 졀≠렝紈嗤�대상으로 하여가족기능지수,가족의 강점질문지,Norbeck의 사회적 지지 질문지를 여자료수집을 하였다. 총 대상자의 65. 4%가 응답하였으나 최종분석자료에 사용된 응답가족은 73.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박아가족이 받는 총기능적 지지는 평균 99. 95(편차 =범위=21-230)로서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가족 (친가,외가포함)의 지지가 가장많은 편이었고(적 지지의 71. 8%) 친구나 동료가 36. 44%로 2위였다. 2. 정박아가족의 사회적 지지원수는 평균10. 지지원으로서는 가족이가장 많아서(87. 7%) 자신의 가족을 가장 의미있는 지지원으로 확인되시댁가족이 2위였다. 관심있게 보아야할 것은 정박아의 교육이나 건강관리에관여하는 전문인의 역할은 매우 미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3. 가설들은 모두 통계적 유의수준 . 5에서 지지되었다. 이족의 사회적지지도가 많을수록 가정의 기능지수가 높으며 사회적 지지도가 낮을수록 기능지수가냅막�해석되어진다. 4.가족의 기능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으로는 기능적 사회적 지지가 가장 유읔貶嶽括潔珦만�정박아의 성이 두번째 예측요인이었다. 이는 남자 정박아를 가진 가정이 여자 를 가진 가족에 비해 가족의 기능지수가 낮은것을 예측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 사용된구는 가족의 기능을 예측할 수 있는 간호사정의 도구로 개발시킬 필요성이 있으며 이의 활용을간호사는 가족의 사회적 지지체제의 분석과 평가가 가능해지기를 기대한다.

      • 정기선사의 항로구성전략에 관한 연구-한국과 중국의 주요 정기선사를 대상으로

        오가(WU JIA)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359

        정기선 시장에 있어서 운송서비스의 글로벌화와 컨테이너선의 대형화에 따라 정기선사가 경영전략의 일환으로서 특히 중시하고 있던 것이 운송활동의 합리화이다. 그 구체 적인 수단이 컨테이너정기선운송은 시스템 체계이다. 경제, 자연, 정치 등에 영향을 받고 선박회사의 관리수준, 화물운송서비스능력 등 다방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선대를 특정한 항로에 운항시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정기선 해운업에서 가장 중요한 의사 결정은 선박이 운항하는 항로의 결정이다. 정기선의 항로가 일단 결정되면 쉽게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이는 정기항로를 어떻게 구성하고 운항하는가에 따라 회사의 이익과 경쟁력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정기선항로를 선택, 결정하는데 미치는 영향을 잘 파악하고 결정하는 것이 회사의 운항편리성과 이익을 높이는 방법이 될 것이다. 날로 급격히 발전하는 해운경쟁시장 속에서 정기컨테이너 선사들은 경쟁력이 있고 고객들이 요구하는 서비스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항로를 선택, 제공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 중 각 대표 정기 선사들이 최고로 적합한 정기항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현재 한, 중 정기컨테이너항로를 제공하는 회사의 항로구성전략에 관하여 비교, 분석하고 그에 따른 보유선박, 배선패턴, 처리 물량, 매출수익성에 관하여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한국과 중국의 하구습지 보전·관리 체계에 대한 비교 연구

        우자 계명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327

        In 1971, the convention of wetlands of International Importance Especially as Waterfowl Habitats was signed in Ramsar, Iraq. Both Korea and China have signed the agreement, and continue to make efforts on wetland conservation and management. In terms of their close distance, the two countries are close to each other, which results in a close relationship in the fields of culture, trade, and environment. In addition, some parts of rivers in Korea and China flow together into the Yellow Sea, which also influences on the management and protection of estuarine systems of the Yellow Sea. In recent decades, Korea and China have been conducting estuarine wetland research. However, there is little research relating to comparative studies between these countries. Therefore, this study will reveal the advantages of estuary protection and management in both countries, and provide pathways for them to learn from each other, and protect the eco-system of the Yellow Sea togeth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and compare the estuarine wetlands protection and management system between Korea and China. In order to analyze the system in two countries, this report made reference to the relevant reports including laws and academic essays. Moreover, this research is based on some pre-study research related to estuarine wetlands, including the distribution of estuarine wetlands, the management body of estuaries, national planning, survey system, as well as legal frameworks. For doing in-depth research and analysis, this report focuses on Nakdong Estuary and Shanghai Chongming Dongtan National Nature Reserve. Moreover, this paper summarized the basic information of two research items, includ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research items, time period, categories investigation (plants, birds, benthic animals), the main unit management, and long-term plans. Furthermore, in order to figure out the extent how these two countries are awareness of the significance of estuarine wetlands, this paper carried out a survey, and used SPSS for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the protection awareness of estuarine wetlands, the understanding of those wetlands, the frequency of visits to these wetlands as well as the satisfaction with governmental estuarine wetland management. This study can be used for basic reference material in terms of future estuarine wetland research in China and Korea. Meanwhile, we are looking forward to seeing a closer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Korea on estuarine wetland research. 1971년 이란의 람사르에서 물새 서식처로서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의 보전에 관한 국제협약인 람사르협약이 체결되었다. 한국과 중국은 람사르 당사국에 가입하였고 지속적으로 습지에 관한 보전·관리를 실행해 왔다. 양국은 지리적으로 가깝게 붙어 있어 문화, 무역, 환경 등 여러 분야에서 협력하여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 또한, 양국은 일부 하천물이 황해로 흘러드는데 양국 하구 관리 및 보전 체계는 황해에 영향을 미친다. 양국은 하구습지와 관련 선행 연구가 각자 진행되어 왔는데, 양국 하구습지에 대한 비교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에 있다. 양국 하구습지에 대한 보전·관리의 장점을 제시함으로써 서로 장점을 배우고 더 발전시킬 수 있으며, 황해 생태 환경을 상호 협력하여 더욱 잘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하구습지의 보전·관리 체계에 대해 분석하고 비교하고자 한다. 양국 국가 차원에서 하구습지에 대한 보전·관리 체계를 분석하고자 보고서, 법령, 학술 논문 등 문헌자료를 고찰하였다. 하구습지와 주요 관련 선행연구, 하구습지의 분포, 하구습지의 관리주체, 국가계획, 조사 체계, 법제도 등 제시하고 비교하였다. 한국과 중국의 하구습지 보전·관리 체계를 더 깊이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 낙동강하구습지보호지역과 중국 상해충밍동탄조류국가자연보호지역을 연구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지 개황, 조사 항목, 조사 시기 및 기간, 분류군별(식물, 조류, 저서동물) 조사, 관리 주체, 연구대상지 관련 계획 등을 비교하였고 분석하였다. 또한, 양국 국민의 하구습지에 대한 인식도를 파악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SPSS 22 프로그램을 활용해서 통계 분석을 하였다. 하구습지에 대한 보호 의식, 하구습지에 이해 정도, 하구습지의 방문 빈도, 하구습지에 대한 국가 정부의 만족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한·중 하구습지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양국은 하구습지뿐만 아니라 습지에 대한 연구도 더 긴밀한 관계를 맺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