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東北亞海域에서의 海洋境界劃定에 관한 硏究

        박대화 韓國海洋大學校 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9647

        Those countries located in the Northeast Asian sea have not agreed to the maritime security and boundaries and tried to set it saying their own claims. As the law of the sea develops, the principle of maritime security and boundaries has changed from natural extension to distance and as the development of science, related countries become able to calculate the reserves through researches. Also, those countries located in the Northeast Asian sea are trying to keep their national security based on stronger military power from a rapid economical growth. Like this, the maritime security and boundaries is necessary through peaceful negotiations for the peace of the Northeast Asian sea as their concerns are getting complex on the sea as time goes. For the maritime security and boundaries, there are two solutions; the first one is to solve through the machinery of law and the second one is to solve through conversation of related countries. Solving through the machinery of law is an extreme measure chosen when it cannot be solved through conversation and the agreement is to make the security and boundaries agreement through efforts of accomplishing their own demands. Those countries located in the Northeast Asian sea area have negotiated for a long time by many people on the maritime security and boundaries and their results have been showed in the Joint Continental Shelf Agreement and the Fisheries Agreement. If any country tries to make the maritime security and boundaries ignoring agreements made by long time negotiations as in the above, it could cause more severe disputes as all the problems that each country claims will show up to the surface eventually. In leading cases of the machinery of law, they respected past agreements made by related countries and made the maritime security and boundaries. In cases of both countries' agreements, they respected the existing agreements and decided the boundary by choosing the middle line that each country claimed. Most of all, the boundary agreement through agreements of both countries considered related countries' benefits fairly as much as possible. Thus, the maritime security and boundaries agreement that countries around the Northeast Asian sea area should be made by a peaceful way and should be based on the agreement made by a long time negotiations. As the conclusion, surrounding countries of the Northeast Asian sea should made the boundaries agreement for the sea that each country does not agree and the method should follow the recent trend of according to the agreement made by the decision of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 중국과 한국의 손해보험산업 효율성 비교 연구 : - DEA와 Malmquist 모델을 중심으로 -

        ZHANG JING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47

        금융 산업의 3대 축 중 하나이자 국민 경제의 중요한 부분인 보험 산업은 사회 경제의 발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보험 산업의 핵심 주축인 손해보험도 경제 발전과 사회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그 중에서도 중국과 한국의 손해보험 시장은 세계적인 수준이며, 특히 아시아 시장에서 큰 규모와 높은 성장률을 유지하고 있는 유일한 국가들이다. 그러나 현재와 같은 성과를 달성하기까지 두 국가의 성장 배경에는 차이점이 있다. 중국의 경우 정부의 주도로 자국 손해보험사를 보호하기 위한 정책들을 꾸준히 시행하였으며, 이로 인해 시장에 진입한 외국계 손해보험사들은 여러 가지 규제를 받았다. 반면, 한국의 경우 1988년부터 보험시장을 단계적으로 개방하기 시작하여 10년 뒤인 1998년부터는 시장을 완전히 개방하였다. 이후 한국의 손해보험사들은 외국계 손해보험사들과 치열한 경쟁을 하였고, 이런 경쟁 환경 속에서 지금의 양적 성장을 이루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중한 양국의 손해보험사들의 효율성을 각각 분석하고, 27개 중국계 종합 손해보험사와 한국계 종합 손해보험사들의 효율성을 국가 간에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자료 포락 분석(DEA)과 Malmquist 생산성 지수를 사용하여 중국과 한국의 손해보험회사에 관한 효율성 및 효율성의 변화와 상대적 수준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중국의 27개, 한국의 11개 등 총 38개 종합 손해보험회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포락분석(DEA)을 이용하여 손해보험사들의 기술효율성, 순수기술효율성과 규모효율성 등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Malmquist 생산성 지수를 사용하여 효율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투입변수는 노동력(임직원 수+설계사 수), 자기자본, 순사업비이며, 산출변수는 수입보험료, 투자수익, 책임준비금 등으로 2014년부터 2018년까지 5년간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우선 중국 손해보험사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중소형 손해보험사들의 규모효율성이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규모의 비효율에 있는 손해보험사 중 중소형 손해보험사는 규모수확체증(IRS) 상태에 있어 규모의 확대를 통한 효율성 향상이 요구되며, 대형 손해보험사는 규모수확체감(DRS) 상태에 있으므로 규모의 축소를 통한 효율성 향상이 필요하다. Malmquist 생산성 지수의 경우 27개 손해보험사 중 9개사를 제외한 대부분의 중국계 손해보험사들의 효율성이 진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한국 손해보험사 대상 분석 결과, 대부분의 손해보험사들이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순수기술효율성(BCC)은 한화손해보험을 제외한 모든 보험사들이 효율 경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규모의 비효율에 있는 손해보험사 중 하나손해보험을 제외한 모든 보험사들이 규모수확체감(DRS) 상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 투입량에 대한 적절한 조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Malmquist 생산성 지수의 경우 11개 손해보험사 중 3개사를 제외한 대부분의 한국계 손해보험사들의 효율성이 진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국과 한국 간 비교 분석 결과, 2014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 손해보험사들의 기술효율성, 순기술효율성, 규모율성이 중국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5년 평균값을 기준으로 분석한 Malmquist 생산성 지수의 경우 중국이 한국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국의 경우 기술 진보가 효율성 향상을 촉진하였고, 한국의 경우 기술 진보 및 순기술효율성의 진보가 효율성 향상을 촉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자유로운 경쟁 체계 속에서 성장한 한국 손해보험사들이 효율적인 경영 체계를 갖추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국 손해보험사들의 경우 외국의 유명 손해보험사들과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다양한 상품을 개발하고, 꾸준한 기술혁신을 추구해왔다. 이러한 노력들이 현재와 같은 한국 손해보험 시장을 형성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2020년부터 시작될 중국 손해보험 시장의 완전한 개방은 중국계 손해보험사들에게 새로운 자극제가 될 것이고, 거대하고 매력적인 중국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할 외국계 손해보험사와의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한 다양하고 혁신적인 개혁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As one of the three pillars of the financial industry, the insurance sector plays significant role in national economy. Non-life insurance, as a key component of insurance sector, makes great contributions to the social development. China and Korea are the only countries ranked in the first-tier non-life insurance markets with large scales and high growth rates, especially in Asian markets. Although they have similar market and growth rate, the social environments behind the scenes in the two counties are different. In China, local non-life insurers enjoy the domestic policy protection whereas foreign non-life insurers are strictly regulated. In comparison, the opening process of insurance market in Korea started in 1988 and achieved complete openness in 1998. The growth of insurance is achieved under the competitive environment among local and foreign non-life insurers. Therefore, this thesis focused on the efficiency of non-life insurers in China and Korea,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fficiencies of total 38 non-life insurers. Data envelope analysis (DEA) and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MPI) were adopted to analyze the efficiency change and estimate the relative efficiency level for the selected non-life insurance companies. The 38 companies, including 27 in China and 11 in Korea, were measured by DEA from three aspects which are technical efficiency, pure technology efficiency, and scale efficiency. In addition, the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was used to measure the efficiency change. Generally, the input variables employed in this study are formed with laboring force (number of employees + number of planners), proprietary capital, and Ratio of Net Operating Expenses. The output variables are income insurance premiums, investment income, and liability reserves. The data used for analysis are collected from 2014 to 2018 and three-folded findings are made in this thesis. First, by analyzing the non-life insurance companies in China, it was found that the overall scale efficiency of small- and medium-sized non-life insurers was low. Specifically, continuous expansion on scale (Increasing Returns to Scale) is necessary to further improve their efficiency. Besides, large scale companies are found in a state of scale reduction(Decreasing Returns to Scale) status,and scaled down strategy is needed to improve their efficiency. It is investigated by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that the efficiencies of 18 of the 27 Chinese companies are increasing. Second, by analyzing the non-life insurance companies in Korea,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m are operating efficiently. Particularly, by analyzing the pure technology efficiency (BCC), it is investigated that all insurance companies except Hanwha Insurance are on the efficiency boundary. Moreover, apart from the non-life insurance, the diminishing return to scales (Decreasing Returns to Scale) of all non-life insurance companies with poor scale efficiency are seemed to be falling, rendering the need of appropriate adjustment to the input amount. With the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it was found that the efficiency of 9 of the selected 11 Korean company are increasing. Third, with the comparative study between China and Korea, it was found that, from 2014 to 2018, Korean non-life insurers had higher technological efficiency, higher net technological efficiency, and higher scale ratio than China. However, the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analysis based on the five-year average obtained opposite conclusions. The efficiency improvement is promoted by technological advancement in China whereas is the technological advancement and advancement in net technological efficiency in Korea.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Korean non-life insurance companies, which grew up in a free competition system, have more efficient management systems. In order to survive from the fierce competition with famous foreign non-life insurers, they have developed varieties of products and pursued steady technological innovation. It is believed that these effort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form the current Korean non-life insurance market. Therefore, the complete opening of the Chinese non-life insurance market, which will begin in 2020, will be a stimulus for Chinese non-life insurers. Various innovative reforms are needed to be made to win the competition with foreign non-life insurers who will enter the huge and attractive Chinese market.

      • 중국의 회색지대 전략과 한국의 대응방안 연구

        남동우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47

        중국은 현재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이라는 ‘중국몽’을 실현하기 위해 힘찬 항해를 하고 있다. 덩샤오핑의 개혁개방정책으로 인한 폭발적인 경제 성장과 이를 바탕으로 건설하고 있는 강한 군사력이 오늘날 중국을 견인하는 핵심 역량이다. 국력의 신장과 함께 해양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된 중국은 해양국가임을 표방하고, 2013년을 전후로 ‘해양강국 건설’과 ‘해상실크로드’ 구축이 포함된 ‘일대일로’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중국 지도자들의 해양강국 건설을 향한 공개적이고 강력한 의지 표명은 국가안보정책 및 전략에 큰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바로 남동중국해가 중국의 해양강국 건설과 일대일로 정책의 성공을 보장할 수 있는 중심축으로 부상하였으며, 남동중국해에 대한 도서영유권과 해양관할권은 절대 양보할 수 없는 중국의 핵심이익이 되었다. 문제는 지속적인 경제 성장에 집중할 수 있는 안보환경을 보장하고, 평화발전이라는 기본노선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해상굴기를 할 수 있을까? 하는 것이다. 바로 평화와 전쟁사이의 공간에서 가용한 모든 수단으로 모호하고 점진적인 방법을 통해 국가전략 목표를 달성하는 회색지대 전략이 주목받는 이유이다. 중국은 이러한 상황에서 국가 핵심이익인 남동중국해의 도서영유권과 해양관할권 확보를 위해 회색지대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중국의 회색지대 전략은 남중국해에서 시작하여 동중국해를 거쳐 한반도 서남해역까지 확대되고 있다. 현재 서해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련의 상황들을 면밀히 살펴보면 중국의 회색지대 전략이 이미 진행 중임을 알 수 있다. 중국의 회색지대 전략의 실체를 진단하고 우리 실정에 부합하는 대응전략 마련이 필요한 이유이다. 이 연구는 중국의 회색지대 전략의 실체에 접근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응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실체에 접근하기 위해 중국 회색지대 전략의 제반 수단들을 경쟁 대상국에게 어떻게 적용하고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각각의 국가마다 역사적 배경이나 이해관계가 다르고 현격한 국력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적용 방식이 달라질 것이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중국의 회색지대 전략은 경쟁 대상국에 따라 차별화된 방식을 적용해 왔을 것이다’라는 가설을 세우고 논지를 전개하였다. 이러한 가설 검증을 위해서 ① 분석대상국가 선정, ② 비교분석지표 선정, ③ 분쟁자료 분석, ④ 대응방안 제시 등의 절차를 적용하였다. 분석대상 국가는 약소국인 필리핀과 베트남, 동급국인 일본, 강대국인 미국 등 4개국을 선정하였다. 비교분석지표는 ‘수단의 빈도’, ‘수단의 종류’, ‘수단의 강도’ 및 ‘수단의 양면성’ 등 총 4가지를 선정하였다. 이를 위해 회색지대 전략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수단의 종류별 및 강도별 분류를 시도하였다. 수단은 총 3개 영역, 11개 범주, 32개 유형으로 구체화했으며, 강도는 저강도, 중강도, 고강도, 초고강도 등 4개로 분류하여 연구에 적용하였다. 분쟁 자료는 2009년부터 2021년 6월까지 남동중국해에서 분석대상국가에게 적용한 것을 수집하여 이를 4가지 지표로 가공해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쟁 자료를 2009년부터 수집한 이유는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중국과 미국의 국가정책과 전략이 이때부터 커다란 전환점을 맞이한 해이기 때문이다. 수단의 빈도 분석 결과 전체 발생 빈도 및 연도별 발생 빈도에서 차별화가 식별되었다. 전체 발생 빈도는 일본(221건) > 미국(106건) > 필리핀(64건) > 베트남(60건)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중국은 필리핀이나 베트남에게는 주도권을 가지고 이미 확보한 해양지형물에 대해 실효적 지배 조치를 취해 나가고 있기 때문에 분쟁 건수가 제일 낮으며, 일본에게는 국제분쟁화 및 현상변경을 지속적으로 시도하고 있기 때문에 분쟁 건수가 제일 높게 형성되었다. 미국의 경우는 미국이 주도권을 가지고 있고, 미국의 적극적인 개입에 중국이 강력히 대응해 나가는 상황으로 일본보다는 낮지만 필리핀이나 베트남보다는 높게 형성되었다. 연도별 발생 빈도에서의 차별화는 필리핀, 베트남 및 일본의 경우 특정 연도에 분쟁 건수가 급증했다가 이후 감소하는 경향이 반복되는 반면, 미국의 경우는 분쟁 건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는 필리핀, 베트남 및 일본과는 특정 이슈로 인한 극한 대립 이후 긴장완화를 위해 협력을 시도하는 ‘대립과 협력의 양면전술’이 작동하고 있기 때문이며, 미국은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을 ‘경쟁자’로 규정하고, ‘신냉전시대 돌입’을 공표하는 등 전략의 변화와 함께 중국에 대한 압력이 전 방위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수단의 영역 분석 결과에서도 차별화가 식별되었다. 수단의 영역별 비율에서 준군사적 수단과 군사적 수단의 적용 비율에서 차이가 발생했다. 필리핀과 베트남은 준군사적 수단이 압도적이었지만, 일본에게는 비슷한 수준이었고, 미국에게는 군사적 수단이 압도적이었다. 이는 경쟁 대상국의 국력차이와 해군의 일정 부분 임무를 해안경비대와 같은 준군사력에 맡기고 해군은 보다 먼 해양에서 미국과 일본을 상대하는데 집중하고자 하는 중국의 해양전략 변화의 영향으로 판단하였다. 수단의 범주별 적용 비율에서도 차별화가 뚜렷하게 발생하였다. ‘외교’를 제외하고 필리핀의 경우 ‘해양법집행’과 ‘해상민병대 운용’이, 베트남의 경우 ‘해양법집행’과 ‘기업단체 협력’이 높게 나타났다. 일본은 ‘해양법집행’과 ‘현시’가 미국은 ‘현시’, ‘위협’, ‘도발’ 순으로 높았다. ‘해양법집행’과 함께 ‘해상민병대 운용’이 중국의 회색지대 전략에서 가장 핵심적인 수단이지만 경쟁 대상국의 국력 차이에 따라 적용 양상은 큰 차이를 보였다. 베트남에 ‘기업단체 협력’이 높은 이유는 중국과 베트남간의 석유탐사 및 개발관련 오랜 갈등의 결과로 분석되었다. 일본의 경우 군사적 수단 보다 ‘해양법집행’이 높은 이유는 임계점을 넘지 않으려는 상황 관리 측면과 댜오위다오/센카쿠열도 분쟁에 대한 미일동맹의 적용을 차단하기 위한 전략적 포석이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미국이나 일본과 같이 어느 정도 이상의 군사력을 보유한 국가에게 ‘현시’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음을 이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수단의 강도 분석 결과 비군사적 영역을 제외하고 고강도 이상 발생 비율에서 일부 차별화가 식별되었으나 큰 의미를 부여할 수준은 아니었다. 초고강도 발생 빈도에 있어서는 전체 11건 가운데 필리핀, 베트남 각 1건, 일본 4건, 미국 5건으로 동급국이나 강대국을 대상으로 더 많이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차별화가 식별되었다. 양면성 측면에서는 뚜렷한 차별화가 발생하였다. 수단의 공세적 적용이 필리핀, 베트남 및 일본에게는 82% 이상이었으나, 미국에게는 40%로 정반대의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는 중국이 약소국과 동급국에게는 상대국의 의지를 꺾고 자신의 전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의도성을 가지고 공세적으로 수단을 적용하고 있으며, 강대국에게는 미국의 공세적 행동에 대응하는 수단의 방어적 적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중국의 회색지대 전략은 점차 우리의 현실이 되어가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중국 회색지대 전략의 실체를 고려하여 한국의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국가적 차원의 대응전략을 수립해야한다. 이를 위해 먼저 중국의 회색지대 전략의 실체를 정확히 규명하고, 국가안보전략과 연계된 ‘(가칭)국가해양안보전략’을 수립하여야 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미래 지향적인 해양해군전략이 보완되어야 한다. 둘째, 대응전략 수행을 위해 해군력을 강화해야 한다. 장차 예상되는 분쟁 양상을 바탕으로 해군의 부대 재배치 및 제7기동전단에 새로운 임무 부여 등 현존 전력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고, 중국을 대상으로 한 ‘현시’ 전력 건설이 시급하다. 이지스 구축함의 지속적인 건조와 경항공모함 건조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적극 추진해야 한다. 또한, 현존 전력인 해군-해양경찰 간의 전력을 통합하여 중국을 상대할 때 전투력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셋째, 동맹 및 국제협력 강화가 필요하다. 한반도 안보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수단은 한미동맹이다. 현재는 물론이고 미래에도 한미동맹은 우리 안보의 버팀목이 될 것이다. 일본과의 협력 관계 구축도 필요하다. 역사적정치적 걸림돌이 존재하지만 해양안보에서 만큼은 협력이 필요하다. 동아시아를 비롯한 한반도의 안보는 어느 일국의 의도와 능력으로 해결할 수 없다. 동아시아 해양안보 협력이 필요한 이유다. 한국도 국가적 차원에서 협력할 분야는 협력하고 우리나라의 이익이 결부된 핵심 분야는 주도적으로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 중국의 해양에 대한 위협이 서해나 이어도는 물론이고 남해와 동해까지 한반도 전 해역에서 출현할 조짐이 보인다. 이 연구는 이러한 시점에 중국의 회색지대 전략의 실체를 파악하고, 대응방안을 마련하는데 결정적 단서를 제공하는 그 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 China has been on the powerful voyage to realize the Chinese Dream of achieving ‘the great rejuvenation of the Chinese nation’. Based on the explosive economic growth caused by Deng Xiaoping’s reform and opening up policy, the strong military power became the key force leading today’s China. China, which ha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ocean along with the expansion of its national power, is actively pursuing the establishment of a maritime powerhouse and ‘Belt and Road Initiative’ that includes the establishment of ‘the Maritime Silk Road for the 21st Century’ around 2013. The Chinese leaders officially and strongly expressed their willingness to build a true maritime power, and it brought about major changes in the national security policies and strategies. The South China Sea and East China Sea emerged as the central axis to guarantee China’s success to have a true maritime power and Belt and Road Initiative. Also, the sovereignty of islands and maritime jurisdiction over the South and East China Sea became a core interest of China, which would never be set aside. The questions are whether China is able to focus on the rise of great maritime power securing the security environment which could keep the stable economic growth, and following the path of peaceful development. That is why the gray zone strategy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by achieving the national strategic goals through the ambiguous and gradual way with the all available means in the area between the peace and the war. In this situation, China has been presenting a gray zone strategy to secure the sovereignty of islands and maritime jurisdiction of the South and East China Sea, which are the core interests of the country. The influence of China’s maritime expansion policy is opening out from the South China Sea through East China Sea and then reaching to the southwest sea of the Korean Peninsula. Careful observations on current events in the West Sea of Korea reveal that China's gray zone threat is already underway. Thus, it is highly advised to diagnose the reality of China’s gray zone strategy and have a response strategy that fits our situation. This study aims to approach the reality of China’s gray zone strategy and present countermeasures. In order to approach the reality,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how the means are being applied to competing countries. It is noted that each country has a different historical background, interests, and national power. Thus, this study focuses on the application methods which are significantly different to each country. Based on the background, this study developed the argument by hypothesizing that ‘China’s gray zone strategy would have been applied in a differentiated method depending on the competitive target countries’. To verify this hypothesis, procedures such as ①selecting countries to be analyzed, ②selecting comparative analysis indicators, ③analyzing data accumulated over a specific period, and ④ presenting countermeasures were applied. Four countries were selected as the target countries for the analysis : the Philippines and Vietnam which are weak countries, Japan which is a comparable country, and the United States which is a strong country. The total of four types of comparative analysis indicators were selected, including ‘frequency of means’, ‘kind of means, ‘intensity of means’, and ‘two-sidedness of means’. Based on previous studies, redefining the concept of the gray zone strategy, classifying the means by kind and intensity were attempted. The means were embodied in a total of 3 domains, 11 categories, and 32 types. The intensity was classified into 4 types as low intensity, middle intensity, high intensity, and ultrahigh intensity to be applied to the study. The data regarding to dispute which was caused by the China’s gray zone strategy applied to the 4 target countries from 2009 to the first half of 2021 on the South and East China Sea, was collected and processed to 4 type indicators and used for the analysis. The reason for the selection of dispute data since 2009 is that the year 2009 was the major turning point for China and the U.S. to change their policies and strategies regarding to East Asia. As a result of frequency analysis, significant differentiation was identified for each competing country. The total number of the frequency of occurrence was 221 in Japan > 106 in the United States > 64 in the Philippines > 60 in Vietnam, due to the differences in China’s approach to disputes with competing countries. The lowest number of disputes was reported with Philippines and Vietnam because China has the initiative to take an effective control about pre-secured marine geographical features. With Japan, the number of disputes was the highest because China has continued to attempt to make international disputes and revision of status quo. The U.S., has taken the initiative and China has strongly responded to U.S. active intervention, so the number of disputes was lower than in Japan but higher than in the Philippines and in Vietnam. The differentiation in the frequency of occurrence by year shows that the number of disputes soared in a specific year and then decreased in the Philippines, Vietnam, and Japan. On the other hand, conflicts have grown continuously in the United States. This is because ‘two-sided tactics of confrontation and cooperation’ is used to ease tensions of extreme confrontations due to certain issues with the Philippines, Vietnam, and Japan. In the case of U.S., it is because the pressure on China is increasing in all directions as the Trump administration defines China as a competitor and announces the entry of the new Cold War era in the U.S. Differentiation was also identified in the results of domain of mean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pplication ratio of paramilitary means and military means. While paramilitary means were overwhelming in the Philippines and Vietnam, the application of paramilitary means and military means were equally applied to Japan, and military means were overwhelming in the United States. This is believed to be due to the difference in national power of the competing countries. Also, it is believed to be the influence of China’s change in maritime strategy, which entrusts some of the Navy’s duties to paramilitary forces such as China Coast Guard, and the Navy wants to focus on dealing with the U.S. and Japan in the farther seas. Differentiation was also discovered clearly in the ratio of use by category of means. Except for ‘diplomacy’, ‘maritime law enforcement’ and ‘operation of the maritime militia’ were high in the Philippines, while ‘maritime law enforcement’ and ‘cooperation of corporations and organizations’ were high in Vietnam. However, ‘maritime law enforcement’ and ‘presence’ were high in Japan, in the the U.S., it was high in the order of ‘presence’, ‘threat’, and ‘provocation’. Along with the ‘maritime law enforcement’ and ‘operation of the maritime militia’ are the most important means of China’s gray zone strategy, but their application patterns differed greatly depending on the difference in national power of competing countries. The reason for the high ‘cooperation of corporations and organizations’ in Vietnam was analyzed as a result of a long-standing conflict observed with oil exploration and development between China and Vietnam. In Japan, ‘maritime law enforcement’ is higher than military means, which can be interpreted as not only a situation managing aspects that do not want to cross the threshold but also a strategic framework to block the application of the U.S.-Japan alliance to the Senkaku Islands dispute. Through this study, ‘presence’ was proved to be the most frequently used for countries with considerable amount of military power,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s a result of intensity analysis, some differentiations were identified in the incidence rate over high intensity except for nonmilitary domain, but it did not give much meaning.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ultrahigh intensity, differentiation was identified as being more applied to the comparable country and strong country as 1 out of total 11 cases in the Philippines, in Vietnam, 4 cases in Japan, and 5 cases in the United States. In terms of two-sidedness of means, a clear differentiation occurred. The offensive application of means was more than 82% for the Philippines, Vietnam, and Japan, but 40% for the U.S., resulting in the opposite outcome. It was found that China deliberately and aggressively applied means to weak and comparable country to defeat the will of their opponents and achieve their strategic goals. On the other hand, China is applying defensive applications of means to respond to the offensive actions of U.S., a strong country. As mentioned earlier, China's gray zone strategy is gradually becoming our reality. This study suggests Korea's countermeasures in consideration of the reality of China’s gray zone strategy. First, a national response strategy must be established. In order to achieve thi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ccurately the reality of China’s gray zone strategy and establish a ‘National Maritime Security Strategy’ linked to the National Security Strategy. In addition, future-oriented maritimeㆍnaval strategies should be supplemented. Second, we need to strengthen our naval capabilities in order to perform the response strategy. Based on the expected dispute in the future, it is urgent to efficiently operate existing power, such as relocating naval units and granting new missions to the Maritime Task Flotilla Seven, and to build ‘presence’ power for China. Continuous construction of Aegis destroyer and light aircraft carriers should be positively reviewed and actively promot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and develop the existing power of the navy and maritime police to maximize the combat power against China. Thir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alliance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The most important means of security on the Korean Peninsula is the Korea-U.S. alliance. The alliance between Korea and the U.S. will be the mainstay of our security, not only now but also in the future.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cooperative relations with Japan. There are historical and political obstacles with Japan, but the cooperation is needed in maritime security. The security problems of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East Asia cannot be resolved with the intentions and capabilities of one country. This is why the cooperation within East Asian countries is required. Korea has to collaborate with the countries in the necessary fields, and show the leadership in key areas especially related to the national interests. There are signs that China's threat to the sea will emerge in all areas of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the Yellow Sea and Ieodo Island, as well as the South Sea and the East Sea.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the starting point of providing a decisive clue to understanding the reality of China’s gray zone strategy and preparing countermeasures at this point.

      • 미?중 패권경쟁과 한국의 대응전략에 관한 연구 : 해양안보를 중심으로

        김성환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47

        미・중 패권경쟁은 무역, 금융, 에너지, 과학기술, 군사적인 분야 등 전 영역에서 일어나고 있지만, 군사적인 분야에서 그 전장은 인도-태평양 지역의 해양이다. 미국과 중국의 해양패권 경쟁은 중국의 국가전략인 일대일로와 군사적인 A2AD(반접근 지역거부) 전략을 통해 핵심이익을 보호한다는 명분 아래 남・동중국해와 인도양에서 팽창정책을 펼치고 있다. 세력전이 이론가들은 국가 간 국력의 상대적 변화가 국제체제의 불균형을 가져오고, 이 불균형속에서 신흥 국가와 기존 강대국 간에 새로운 국제체제 균형을 위한 패권경쟁이 전개된다고 주장한다. 이 경우 국력의 기준을 대체적으로 경제력과 군사력을 중시하는데, 군사력 가운데에서 특히 해군력 증강을 국제질서상 강대국의 요소로 평가한다. 왜냐하면, 강대국이 보유하고 있는 군사력중에서 언제라도 사용할 수 있는 가장 위협적인 군사력은 해군력이었다. 해군력은 다른 종류의 군사력과 달리 힘의 투사(Power Projection)을 가능하게 하는 군사력이기 때문이다. 해군력의 증강이야말로 한 나라가 패권을 추구하고 있는지에 대한 기준이 될 수 있다. 물론 20세기 중반 이후 과학기술의 발전추세에 따라 핵무기와 우주 공간에 배치된 위성시스템, 그리고 사이버 무기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미국과 중국은 지리적으로 멀리 이격되어 있어 양국간의 군사적 긴장이 국경선에서 마주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주로 동중국해와 남중국해를 포함한 서태평양과 인도양 지역에서 서로 정면 승부를 구사하는 모양새이다. 중국은 ‘일대일로’를 주창하면서 중국의 옛 명성을 되찾겠다고 다짐하고, 미국은 일본 및 호주, 인도 등과 ‘인도-태평양시대’를 열어가겠다는 구상으로 Quad 연합체를 형성하여 중국을 압박한다.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은 외형적으로 아시아와 아프리카 개발도상국의 개발과 현대화에 목적을 두고 추진하고 있지만, 내부적으로는 중국 서쪽의 변방지대 개발과 중국과 인접해 있는 동남아 및 인도양 인접국에 대한 영향력 확대로 볼 수 있다. 상대적으로 저소득 지역인 중국의 서북과 서남 방면에 대한 개발정책이면서 중앙아시아, 인도양 및 동남아시아로 영향력을 확장하여 중국의 위성국가화를 시키려는 의도가 있는 것 같다. 또한, 이 프로젝트의 숨은 의도는 중국과 유럽까지 이어지는 해상교통로를 보호하고, 해외에 해군기지를 건설하여 미국의 태평양과 대서양의 해양통제에 대응하고 전시를 대비한 전쟁지속능력을 보장하기 위한 방편으로 활용하고 있는 듯 하다. 반면에, 미국의 인도-태평양전략은 미국이 인도양 및 서태평양에서 해상활동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미국 주도로 인도, 일본, 호주가 핵심국가가 된다. 냉전기에는 미국이 주로 소련의 공산권을 봉쇄하기 위해서 이 지역에 전략구도를 잡았지만, 탈냉전기에는 중국의 무리한 확장정책에 따른 인도-태평양의 해양안보를 보장하기 위해 지역적 협력을 구축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미중간에 역내 영향력 확대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해양에서 군사적인 충돌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또한, 미・중간 패권경쟁과 함께 서해에서 중국과 바다를 맞대고 있는 한국으로서는 중국의 지정학적인 위치와 공세적인 해군력 운용으로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다. 중국은 서해를 중국의 내해로 만들려는 행태를 보이고 있고, 앞으로 서해에서 EEZ 획정 문제와 이어도 문제 등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양국간 패권경쟁을 전망하기 위해 미국과 중국이 추진하고 있는 국가전략과 정책 그리고 해양전략과 해군력 건설방향 등을 분석해보고, 이러한 미・중 패권경쟁의 전망과 함께 한국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본다. 그리고 본 논문의 주제인 해양안보를 중심으로 한국의 전략적인 대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중국은 2013년 시진핑 집권 이후 지정학적・지경학적 전략으로 ‘일대일로’ 구상을 펼치면서 ‘서진(西進) 전략’을 통해 중국의 부상과 주변국에 대한 영향력 확대의 새로운 공간을 확보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미국은 중국의 일대일로에 대응하여 ‘인도・태평양 전략’과 ‘쿼드’를 추진함으로써 중국을 모든 분야에서 견제하고, 미국 주도의 해양포위망을 구축하려는 의도를 지니고 있다. 이는 결국 아시아 태평양지역의 주도권을 놓고 미국과 중국의 전략이 대립하는 양상으로서 중・장기적 차원의 ‘패권경쟁’ 성격으로 발전되고 있다. 중국이 제1도련선을 설정한 의도는 태평양 서부 지역을 중국이 장악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드러낸 것이며, 중국은 서태평양은 물론 궁극적으로 태평양에서의 패권을 꿈꾸고 있는 것이다. 21세기에 들어 급격한 경제성장을 이룬 중국은 아시아 태평양을 지배하려는 ‘욕망’을 숨기지 않고 있다. 중국은 남중국해에서 9단선을 설정한 것처럼 바다에 선을 그어놓고 중국의 해안으로부터 중국이 설정한 선까지의 지역을 방어해야 할 지역, 혹은 지배해야 할 지역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러므로 중국은 바다의 일부분을 마치 육지의 영토와 같은 개념으로 생각하는 행태를 보이면서 해양에서 영토분쟁을 벌이고 있는 것이다. 이런 개념이라면 중국은 ‘거부전략(area denial)을 넘어서 제2도련선까지 뻗은 해상에 진입불가지역(No-Go Zone)을 설정’할지도 모른다. 미국은 중국의 A2AD(반접근 지역거부) 전략에도 불구하고 중국이 설정한 도련선 지역내에서 항행의 자유작전을 전개하고 있으며, 인도-태평양 전략을 통해 미국의 군사력은 물론 Quad 4개국인 일본・호주・인도와 함께 다국적 군사연합체를 형성하여 대응하고 있다. 또한, 미국은 2021년 아프간에서 철수한 이후 미국・영국・호주간 3각 안보협의체인 ‘오커스(AUKUS)’ 동맹을 결성하여 중국을 더욱 더 압박하고 있는 형국이다. 이러한 중국의 해양패권 추구의 가장 큰 희생국은 대한민국이 될 가능성이 높다. 천안함 피격사건 직후 북한 제재에 유엔 안보리 성명을 채택하는 과정에서 북한을 일방 두둔했던 중국은 제3국과 대화하면서 ‘미국만 없었으면 한국은 진작에 손봤을 나라’라는 취지의 언급을 했다. 중국은 화평굴기론을 내세우면서도 실은 끊임없이 세력을 확장하여 주변 국가를 굴복시키려는 의도를 숨기지 않고 있다. 만약 중국이 제1도련선을 장악하게 되면 한국은 핵심적인 해상교통로를 위협받게 된다. 중국어선에 해상민병대를 태우고 NLL 근해와 동・서・남해 전해상에서 불법 조업을 일삼으면서 대한민국의 해양질서를 어지럽히는 것도 해양패권전략의 일환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즉 ‘회색지대전략’을 통해 한국의 서해 바다를 미국과 한국이 자유롭게 사용하지 못하게 하고 중국의 통제하에 두려는 전략을 쓰고 있는 것이다. 남중국해에서 벌어지고 있는 중국과 주변국과의 영토분쟁도 남의 일이 아니다. 중국이 남중국해를 장악하게 되면 한국의 수출입 생명선을 중국이 쥐게 된다. 중국은 서해를 내해화(內海化)하려 할 것이고 이어도 영유권과 한국의 배타적 경제수역 획정에 본격적으로 강압해 올 것이다. 미래 남북통일 과정에서는 중국과의 경계문제로 인해 많은 어려움들이 제기될 것이다. 이는 한국이 일본과의 독도 문제뿐만 아니라 중국과의 영토분쟁에 관심을 가져야 하고, 철저한 준비를 통해서 한국의 주권과 국가이익이 침해당해서는 안 될 것이다. 미・중 해군력 경쟁에 따른 동아시아 지역질서의 변화는 한국이 국가적・군사적 차원에서 장기적인 전략과 정책을 마련하여 대응할 것을 요구한다. 무엇보다 한미동맹을 발전시키면서 한중관계를 악화시키지 않기 위한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방향을 잘 설정하고 일관성 있게 추진해야 한다. 또한, 한국은 중국의 팽창적 해양정책과 해군력 증강이 한중 간 서해 배타적경제수역을 포함한 경계선 획정문제와 이어도 문제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고 준비해야 한다. 군사적으로는 한반도 평화를 유지하고 해양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미국과 동맹관계 속에서 자주적 방위능력을 확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특히, 해양분쟁에 대응할 수 있는 첨단 지휘통제체계, 해군력과 공군력의 건설과 정밀 타격이 가능한 탄도미사일 전력증강에 중점을 둬서 만약 전쟁이 발생한다면 해양에서 차단하여 짧은 종심의 한반도를 보호할 수 있는 전략개념과 전력건설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미・중 패권경쟁 상황에서 한국이 선택해야 할 전략적 원칙을 9개로 설정하였고, 각 전략적 원칙에 적합한 대응전략과 준비해야 할 과제들을 크게 3가지 분야로 구분하여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좀 더 현실적인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현재 가장 위협이 높은 미・중 패권전쟁을 대만해협 충돌로 가정하여 구체화하였다. 3가지 분야는 정책 및 안보분야, 다자간 안보협력 및 경제・과학기술 분야, 그리고 군사적인 분야이다. 이런 분야를 발전시켜 국가이익과 우리의 안보가 지켜져서 과거 우리 역사에서처럼 유린되지 않도록 현명한 선택과 혜안이 절실히 필요한 때다.

      • 중국 내 한국 기업의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한국야쿠르트와 파리바게뜨의 사례를 중심으로

        CHENG JIXUAN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1992년부터 중한 양국 외교사무를 벌인 후, 일련의 무역계약, 투자 보호협정 및 소규모투자 위험 등을 해소하는 대책을 체결했다. 이후 한국의 중소형기업이 중국에서 투자하기 시작하고 투자는 점점 늘어났다.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 기업의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시장동기 시장진입과정 등의 문제 및 발전 중의 난관 문제에 있다 최근 중국의 정책이 변화를 많이 했고, 외자기업에 대한 우대조치 철희, 노동서비스관리의 강화 환경감독과 환율가격 및 노동임금의 성장에 대해 투자환경의 악화를 발생시켰다. 이런 문제를 대처하기 위해서 이 논문이 조금 전략의 제안을 제공했다. 1) 중국정부의 정책변동 유의 2)노동서비스관리의 강화에 대해서 용역회사가 파견하는 짧은 시간 하는 사람들을 운용하면 사회 복지의 비용을 낮춘다. 3)사회 오염이나 원재료 가격 인상의 사항에 대해서 감소하거나 투자를 정지한다. 4)기업이 중국 국내시장을 주요 목표 시장으로 상응 전략을 제정해야 한다. 현재 중국에서 생산하고 세계시장의 "Made in China"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중국 시장 특성이 있는 상품을 창조하고 적극적으로 사업 분야를 탐구하고 진일보로 세계시장에게 "Made for China"를 수출한다.

      • 국립대학병원의 효율성 변화분석에 관한 연구

        장찬민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9647

        의료산업은 4차 산업의 미래라고도 할 수 있는 산업혁명에서 가장 주목 받는 분야 중 하나로 지속으로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부가가치가 높고 고용창출 큰 산업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국민의 소득증가와 낮은 출산율, 인구 고령화가 맞물려 국민이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의료산업은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국내 의료산업을 살펴보면 높은 진입장벽, 건강보험보장체계와 정부의 규제로 인해 효율성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의료산업의 효율적 경쟁요소를 도입하여 효율성을 높이는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2년부터 2016년까지 5년간 국내 11개 국립대학병원을 대상으로 효율성을 분석하였으며, 투입변수는 병상수, 직원수, 의료비용이며 산출변수는 외래환자수입과 입원환자수입이다. 분석자료는 공공기관 경영정보시스템 및 각 국립대학병원 홈페이지 자료를 이용하여 수집하였으며 국립대학병원의 효율성 및 효율성 변화 분석과 확률변경분석(SFA)를 통하여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2년부터 2016년까지 5년 간 국내 국립대학병원 11개의 기술효율성을 보면 가장 효율적인 병원은 부산대학교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전남대학교병원이었다. 순기술효율성을 살펴보면 강원대학교병원, 부산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전남대학교병원, 충북대학교병원이 가장 효율적이었으며, 규모의 효율성은 부산대학교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전남대학교병원이 가장 효율적이었다. 둘째, 연도별 국립대학병원 11개의 규모의 수익 분석결과를 보면 2012년에는 규모의 수익이 일정한 특성(CRS)을 가진 병원이 5개, 규모의 수익이 증가하는 특성(IRS)을 가진 병원이 6개로 많았다. 2013년에는 규모의 수익이 일정한 특성(CRS)을 지닌 병원 5개, 규모의 수익이 증가하는 특성(IRS)을 지닌 병원 6개였다. 2014년에는 규모의 수익이 일정한 특성(CRS)을 지닌 병원이 7개로 가장 많았으며, 2015년에는 규모의 수익이 증가하는 특성(IRS)을 지닌 병원이 7개로 가장 많았다. 2016년에는 규모의 수익이 일정한 특성(CRS)을 지닌 병원이 5개 규모의 수익이 증가하는 특성(IRS)을 지닌 병원이 4개로 많았다. 셋째, 각 병원별 SFA에 의한 효율성 분석결과를 보면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제주대학교병원과 충북대학교병원도 높은 효율성 수치를 보여주고 있었다. 반대로 전북대학교병원과 부산대학교병원 낮은 효율성 수치를 보이고 있었다. 넷째, 2012년부터 2016년까지의 효율성 변화 분석결과, MPI값이 1이상으로 효율성이 증가한 병원은 2012년∼2013년 기간에서는 5개, 2013년∼2014년 기간에서는 10개, 2014년∼2015년 기간에서는 8개 병원, 2015년∼2016년 기간에서는 6개였다. 또한, 2012년부터 2016년까지의 평균 효율성 변화를 살펴보면 전북대학교병원과 충남대학교병원을 제외한 9개 국립대학병원에서 평균적으로 5년간 효율성이 증가하였다. 다섯째, 효율성 결정요인분석에서는 종속변수를 기술효율성으로 설정하고, 독립변수는 외부환경변수로 설정하여 이원고정효과모형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소비자물가지수, 실업률, 기대수명이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으며, 소비자물가지수와 기대수명이 증가하면 기술효율성이 증가하고 실업률이 증가하면 기술효율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첫째, 다양한 효율성 분석을 위해 더 많은 투입 및 산출 변수의 선정하여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국립대학병원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질적 변수의 선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medial industry is experiencing continuous growth as one of the areas of drawing the most attention in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future of 4th industry. It is evaluated as an industry of high added-value and employment creation, developing everyday due to increased public attention along with higher per capital income, low birthrate, and aging population. Yet the medial industry in South Korea has low efficiency because of high entry barrier, health insurance guarantee system, and government regulations. Thus, a policy is need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medical industry by adopting efficient competitive elements. This study analyzed the efficiency of 11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in Korea for 5 years from 2012 to 2016. The input variables are the number of hospital beds, number of employees, and medical expenses; the output variables are income from outpatients and income from hospitalized patients.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of public institutions and the websites of each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iciency and efficiency changes of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using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SFA).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below. First, hospitals with the highest technology efficiency among 11 Kore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from 2012 to 2016 were B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undang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terms of net-technology efficiency, Gangwon University Hospital, B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undang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the most efficient, and in terms of efficiency of scale, B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undang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the most efficient. Second, analysis results on the returns to scale of 11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by year was as follows. In 2012 and 2013, there were 5 hospitals with constant returns to scale (CRS) and 6 with increasing returns to scale (IRS). In 2014, there were 7 hospitals with constant returns to scale (CRS), the highest number; in 2015, there were 7 hospitals with increasing returns to scale (IRS), the highest number. Next, in 2016, there were 5 hospitals with constant returns to scale (CRS) and 4 hospitals with increasing returns to scale (IRS). Third, the efficiency analysis results by SFA for each hospital showed that Bundang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had the highest efficiency, followed by Jeju University Hospital and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hil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B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had low efficiency. Fourth, according to analysis results of efficiency change from 2012 to 2016, the numbers of hospitals whose efficiency increased with MPI value higher than 1 were 5 during 2012~2013, 10 during 2013~2014, 8 during 2014~2015, and 6 during 2015~2016. The average efficiency change from 2012 to 2016 shows that the 5-year efficiency increased on average in 9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but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ifth, efficiency determinant analysis set technological efficiency as a dependent variable and external environment as an independent variable to perform a Two-way Fixed Effect Model.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consumer price index, unemployment rate, and expected lifespan had a significant impact; technology efficiency increased when consumer price index and expected lifespan increased, and technological efficiency decreased when unemployment rate increas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re input and output variables must be used to conduct various efficiency analysis; second, qualitative variables must be selecte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 한국·몽골간의 복합운송경로 선택과 신규경로 평가에 관한 연구

        Ganbat Enkhtsetseg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9647

        According to the globalization of world economy on distribution and sales, logistics and transportation parts are playing an important role. Especially, they have to decide what is the key factor of route choice model and how to choose the right transport route in multimodal transport system. By considering the key factors in rote choice model for freight forwarders between Mongolia and Korea, this thesis propose 4 main factors: Cost, Time, Freight and Logistics service with 13 sub factors. Factors' importance level surveyed through interview with Mongolian freight forwarders, analyzed by AHP analysis. In results, Time is most important factor to choose transport route, Cost factor is second, and then Freight and Logistics service factors. And the empirical insights about current status of Mongolian forwarders are provided with different factors between transportation modes. Therefore this thesis also considering about new transportation line, as follow as government information, there will be open 7 new routes(5 of shipping and rail line, 2 of air line) in nearest 5 years. Thu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determining efficiency and suggest activation plan for those new route between Korea and Mongolia. In result, new lines 4 and 8 were expected higher utilization in shipping and rail route, and new line 9 was expected higher utilization in air route. The case of new line 4 is railway route through North Korea and China’s railway. This route distance is 233km shorter, transportation time is 10 hours shorter and transfer number is 2 times lower than existing route. Case of new line 8 is multimodal route with shipping and railway through China. This route transportation time is 5 hours shorter and transfer number is 1 times lower than existing route, but transport distance is 653kim longer than existing route. Next case of airway line 9 is almost every elements are similar with existing air route. However, new airport have more developed infrastructure and capacity than existing airport. For this reason this thesis suggesting 3 kind of activation plan of systemical activation plan, infrastructural activation plan and connectional activation plan of new routes between Korea and Mongolia. First, Systemical activation plan of new lines; need to investment for railway and highway construction and planning of professional manpower training policy. Second, Infrastructural activation plan of new lines; need to improve important terminal and facilities, construct the new terminal and custom in the new railway route on border point. And more important thing is solve the transfer technology and transfer facility of railway gauge in Mongolia. Third, Connectional activation plan of new lines; need to finish construction of Asian highway road and new railway plan. Also one important issue is usage of North Korean railway. Especially, connection of Korea and North Korea railway. Lastly, this thesis have supplying significant information to next empirical study of Korea and Mongolian trade relationship, logistics, transportation route and new line implementation.

      • 기포/난류항적 산란신호의 모델링 이론과 실험적 검증

        지윤희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47

        As a part of the development of wake detection, the acoustic reverberation model is required for the simulation of the wake detector. Wake is separately divided to the ship wake by surface vessel and the turbulence wake by underwater vessel. In this thesis, a reverberation model for the wake detection is presented. In case of the ship wake, the reverberation model consists of the acoustic scattering model due to the distribution of the micro-bubbles and the kinematic model for the moving active sonar. And, in case of the turbulence wake, the spectral spreading due to the acoustic doppler effect from moving scatterers is included in the reverberation model. In order to verify the developed reverberation model, a series of sea experiment was executed in September 2007 to obtain the spatial-temporal distribution of a bubble clouds and, acoustic water-tank experiment was executed in October 2007 to observe the scattering signals from the turbulence region. The measured signals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simulated signals.

      • 한국형 기동강습단 운용방안 연구

        최아성 한국해양대학교 해사산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최근 한반도를 둘러싼 주변국 안보환경이 급변하고 있고, 미래 해양안보는 전통적 안보위협과 더불어 초국가적, 비군사적 위협이 나날이 증대되고 있다. 세계 각국은 해양주권을 앞세워 자국의 이익만을 추구하여 군비경쟁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대한민국 해군은 급변하는 안보상황에 대한 균형을 이루기 위해 해군력 발전이 시급하며 국제범죄와 재해재난 발생에 대비하여 해군의 역할 확대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제는 미래 해양안보를 고려한 해군의 역할을 확장해야 할 시점이다. 관련하여 전통적으로 해양강국이며 현재의 패권국인 미국에서는 증대되는 안보위협에 대비한 효율적인 전투력 투사가 가능하도록 대체 방안을 추진하였다. 특히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새롭게 등장한 무기체계와 함정을 바탕으로 항모강습단을 대체할 강습상륙함을 중심으로 하는 원정강습단의 개념발전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대한민국 해군은 안보위협과 미래전의 양상을 고려할 때 미국 해군의 원정강습단을 어떻게 운용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한반도의 다양한 위협에 대응이 가능한 대한민국 해군에 적합한 한국형 원정강습단 운용개념을 검토하여 발전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한국형 원정강습단 운용개념 발전에 있어 대한민국 해군의 기동함대사로의 발전과 연계하여 원정강습단이라는 용어를 대한민국 해군에게 적합한 개념의 용어로 변경하고, 대한민국 해군의 실정에 부합하도록 지휘 및 부대구조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향후 도입될 미래 한국형 항공모함의 전력화에 대비하여 전략적 가치를 지닌 한국형 원정강습단 운용개념을 정립하고 공세적, 적극적 해군력 운용을 위한 단계별 체계적 추진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한국 제조업 비숙련 노동수요 결정요인 분석

        유태경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9647

        최근 한국경제의 중요한 이슈는 소득불평등 심화 현상이다. 이것은 한국만의 독특한 현상이 아니라 1980년대부터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여러 연구결과에 의하면 이런 소득불평등 심화현상은 제조업 부문의 비숙련노동의 임금하락과 고용불안에 기인한다. 이런 현상이 1990년대 이후 한국 제조업 부문에서 발생하고 있다. 한국경제에서 제조업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고, ‘고용 없는 성장’(jobless growth)으로 숙련노동과 비숙련노동 간 임금격차가 확대되고 비정규직 등 고용형태 변화로 고용불안이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경제학계에서 다양한 이론적 모색이 이루어졌는데 대표적인 이론이 숙련노동 편향 기술진보가설과 국제무역가설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배경 하에서 어떤 요인들이 비숙련노동수요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분석하였다. 주요 요인들로는 인적자본론과 비용이론을 통해 숙련노동(고학력노동)과 비숙련노동(저학력노동)의 임금, 자본과 제조업 생산량 변수가, 숙련노동 편향 기술진보가설에서 기술진보 변수(정부연구개발비)가, 국제무역가설에서 세계화 변수(총무역액)가 각각 유도되었다. 이러한 변수들을 바탕으로 트랜스로그 비용함수(trans-log cost function)를 설정하고, 두 노동임금에 대해 1차동차함수와 자본에 대해 규모수익불면의 제약조건 등을 고려한 비용비중함수(cost share function)형태의 추정모형을 유도하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때 각 변수에 사용된 시계열자료는 최근 23년(1993- 2015)간 자료이다. 이때 추정식은 다음과 같다. 이러한 실증분석의 추정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숙련노동 임금은 비숙련노동수요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종속변수와 숙련노동이 어느 것이냐에 관계없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숙련노동 임금은 비숙련노동수요에 음(-) 방향으로 영향을 미친다. 숙련노동과 비숙련노동 간에 강한 보완요소 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셋째, 제조업 생산량은 비숙련노동수요에 미치는 영향도 미치지 않았고 방향도 불명확하여 어떤 결론도 추론하기 힘들다. 넷째, 자본은 전반적으로 비숙련노동수요에 음(-)방향으로 영향을 미친다. 이것은 한국 제조업에서 자본설비와 비숙련노동수요 간 대체관계가 성립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다섯째, 기술진보가 비숙련노동수요에 미치는 영향이 일관성이 없다. 비용함수가 1차동차함수와 규모의 수익불변인 경우를 제외하고 기술진보는 비숙련노동에 양(+)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즉 한국 제조업 부문 노동시장에서 대체적으로 숙련노동편향기술진보 가설이 지지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여섯째, 무역은 대부분 일관되게 비숙련노동수요에 음(-)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즉 한국 제조업 노동시장에서 국제무역가설이 지지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일곱째, 숙련노동임금(상대임금 포함)이 비숙련노동수요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컸으며 기술진보, 자본과 세계화 순으로 이어졌다. 즉 한국 제조업노동시장에서는 기술진보나 세계화의 영향보다는 숙련노동시장의 변화가 비숙련노동수요에 가장 영향력이 크다. 앞으로 한국 제조업 부문에서 숙련노동임금 상승, 자본설비 증가, 숙련노동 편향 기술진보와 세계화 진전이 예상이 되므로 앞의 실증분석에 의하면 비숙련노동수요는 급감할 수밖에 없다. 미래에 한국 노동시장에서 비숙련노동임금의 하락과 고용불안 가중이 심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따라 정부는 교육과 훈련을 통해 숙련노동으로 전환을 모색하고 비숙련노동의 실업증가에 따른 사회안전망 확충을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기술진보의 지표로 정부의 연구개발비 지원예산액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실질적인 기술진보의 효과를 측정하려면 민간기업의 연구개발비도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이것을 포함한 더 포괄적인 연구는 향후과제로 남긴다. Recently one of the most significant issues is that the income inequality is intensified in Korean economy. This phenomenon does happen in not only Korea but also in the advanced countries including USA since 1980’s. A lot of articles related to that issue has pointed that recent intensification of income inequality in advanced countries is mainly attributed to wage decrease and unstable employment of unskilled labor in labor market of manufacturing industry. In Korea economy, the proportion of manufacturing industry is continuously reduced and jobless growth leads to expansion of wage gap between skilled labor and unskilled labor and also to employment unstability of unskilled labor. The steady efforts of academic world in economics to explain this phenomenon produced the hypothesis of skilled-biased technical progress and the hypothesis of international trade. Under this background of labor market, this thesis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determinants of unskilled labor demand in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Based on the human capital theory and the cost theory, major factors such as wages of skilled and unskilled labor, capital and total quantity of production in manufacturing industry are derived. The variable of technical progress is added as a factor and the amount of total trade as a factor. I set up trans-log cost function for the estimation model which is designed to make analysis of how and by which factors affect unskilled labor demand, considering the constraint of first degree homogeneous function in terms of factor price and constant returns to scale(CRS) in terms of capital. The derived estimation equations are as follows. (1) Not first degree homogeneous cost function and CRS (2) First degree homogeneous cost function and not CRS (3) Not first degree homogeneous cost function but CRS (4) First degree homogeneous cost function and CRS Based on the above estimation equations and the date issu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by using the method of fully modified ORS(ordinary least square). The purport of the estimatio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wage of unskilled labor does not affect unskilled labor demand. The parameter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does not matter which variable is used as dependent variable. Secondly, the wage of skilled labor is negatively related with the unskilled labor demand, which means there is a mutually complimentary relation between skilled labor and unskilled labor. Thirdly, the effect of production quantity on unskilled labor demand is not clear. Part of parameter is jus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direction is inconsistent. Therefore it is hard to make some inferences. Fourthly, capital is negatively related with unskilled labor demand in the whole, which means there is a substitutive relation between capital and unskilled labor demand. Fifthly, the effect of technical progress on unskilled labor demand is not clear. Except first degree homogeneous fuction and CRS, technical progress is positively related with unskilled labor, which does not support the hypothesis of skilled-biased techincal progress. Sixthly, trade is negatively related with unskilled labor demand in the whole, which support the hypothesis of international trade. Seventhly the effect of wage of skilled labor on unskilled labor demand is strongest among the above determinants, followed by technical progress, capital and trade. In the future to come, as wage increase of skilled labor, increase of capital facility, skilled-biased technical progress and globalization trend are anticipated, following this model, wage decrease and unstable employment of unskilled labor are expected to happen. Therefore the government policies should be prepared to transform unskilled labor into skilled labor by supporting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unskilled labor and to cover the unemployment of unskilled labor by establishing social safety net as social welfare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