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 누구를 위한 특수교육인가?: "장애학생"들이 갖는 특수교육의 의미를 고찰하기 위한 내러티브 탐구

        엄수정 ( Su Jung Um ),유애란 ( Ae Ran Yoo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6 No.3

        본 연구는 장애교육학을 근거로 특수교육이 장애학생을 ‘위한’ 교육이라는 보편적이고 지배적인 가정을 특수교육 대상자로 선정된 학생들의 시각에서 재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연구는 초, 중, 또는 고등학교 때 특수교육을 경험한 대학생 세 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특수교육을 어떻게 경험했다고 인식하고 해석하는지에 대하여 탐구했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의 장르 중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사용했으며, 반 구조화된 개별적 심층 인터뷰를 자료 수집의 주요 도구로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특수교육을 잔혹한 일반교육에 대한 유일한 대안, 사회적 고립과 심리적 위축을 심화시키는 수단, 또는 비장애인중심의 가치와 삶의방식을 강조하는 교육 등으로 다양하게 의미화 했다. 연구 참여자들의 이야기는 특수교육 시스템의 근간을 지지하는 다양한 지배담론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을 뿐 아니라 그러한 지배담론에 다양한 방법으로 대항하며 반-지배담론을 형성하기도 하였다. This study, grounded in Disability Studies in Education, aims to interrogate the generally accepted assumption that special education i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explores how three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understand and interpret their experiences of special education in K-12 settings. Narrative forms of qualitative inquiry provide the framework for methodology of this study.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serve as the primary means of data collection. The findings show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conceive special education as the sole alternative to exclusive practices of general education, as a mechanism that exacerbates their materialization in schools, and as an education system that forces the ideology of normalcy. The narrativ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re informed by dominant discourses of disability circulating in wider society, which justify exclusionary practices in education. Yet, their narratives produce some counter-dominant discourses that might challenge and dismantle the status quo at the same time.

      • KCI등재

        포용교육을 위한 교원양성 교육과정: 미국 대학의 한 교사 자격 프로그램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엄수정 ( Su Jung U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9 교육과정연구 Vol.37 No.3

        최근 포용사회로 나아가기 위해 교육적 변화가 일어나야 한다는 인식이 증대되었다. 한국의 교원양성 교육과정에 대해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앞으로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사회정의 가치를 지지하는 미국 동부에 위치한 한 대학의 교원교육 프로그램인 Elementary Inclusive Education Program(EIEP) 사례를 탐구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연구자 성찰노트, 학과 관련 문서, 학습 결과물을 활용하였다. 주제 분석법과 대화 및 수행 분석법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EIEP는 비판적 다문화주의와 장애교육학을 두 이론적 축으로 삼아 학과 공동의 교육철학을 구성하였고 학과 구성원들과 이를 공유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EIEP는 예비교사들을 모든 학생들을 위한 교사로 준비시키기 위해 코스워크와 교육실습을 포함한 학과 교육과정을 통일성 있게 조직하였다. 본 연구는 EIEP의 사례에서 드러나는 미국의 사회정의 교사교육 운동의 의의와 제한점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교사교육과 관련하여 본 연구가 제공하는 시사점이 무엇인지 논의하였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Conceptualiz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in terms of inclusivity has been an important agenda in the Korean society. This study examines a specific case, a preservice program in the United States, which emphasizes inclusive and socially just education. This qualitative case study aims to create a space where Korean teacher educators can rethink and reimagine their own practices. The data include program documents and researcher’s self-reflexive journals. Thematic analysis and dialogic/performance analysis methods are used. This study shows that critical multiculturalism and disability studies framed the overall curriculum of the preservice program. The preservice program offers the courses that aim to help their students see connections between schooling and the unequal structure of American society. The preservice program requires their students to complete student teaching in racially, linguistically, and culturally diverse settings. Student teaching is linked to coursework, and various assignments are utilized to guide preservice teachers’ critical and reflective analysis of their field experiences. This study discusses the insights this case study offers for Korean teacher educators committed to promoting inclusivity in education and building a more just society.

      • KCI등재

        포스트휴먼 기후변화교육의 상상과 실천

        엄수정 ( Su Jung Um ),우라미 ( Rami Woo ),황순예 ( Soon Ye Hwa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1 교육과정연구 Vol.39 No.3

        기후변화는 인류가 직면한 심각한 위기로, 이에 대한 교육적 대응이 시급하다는 인식이 학교 현장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교육이란 무엇이며, 그 구체적인 실천은 어떠해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는 아직 부족하다. 최근 기후위기에 보다 근본적으로 접근하는 데에 있어 포스트휴먼 생태주의 관점이 주목을 받고 있다. 포스트휴먼 생태주의 관점은 기후위기의 원인에 대한 총체적이고 근본적인 성찰을 위해서 인간과 비인간, 문화와 자연 간의 관계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지구 생태의 위기를 이해하고 대처하는 데에 통찰력을 제공함에도 아직 그 실천 사례들을 찾아보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는 포스트휴먼 생태주의 관점에서 기후변화교육의 모습을 실제 사례를 통해 구체화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포스트휴먼 생태주의를 이론적 토대로 하며, 세 개의 학교 사례를 질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기후변화교육의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세 개의 사례는 포스트휴먼 관계적 주체임을 깨닫는 교육, 응답 능력을 기르는 교육, 감응 교육, 탈위계적 교육, 긍정적 윤리학에 근간한 교육이라는 점에서 포스트휴먼 생태주의 교육의 가능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사들의 실천 및 교육 정책과 교육과정 연구에의 시사점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Educators are increasingly aware that it is imperative that they respond to the climate change crisis in schools. However, they are still grappling with ways to construct and enact the relevant curriculum. In seeking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climate crisis and attempting to envision responsive educational practices, posthumanist ecology offers a profound theoretical understanding. It urges educators to reexamine our assumptions ab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human and non-human, as well as culture and nature, and reimagine a climate change education. However, there is a paucity of research on pedagogical practices grounded in posthumanist ecology. Hoping to reveal the critical characteristics of posthumanist climate change education in curricular and pedagogical practice, this study examined three cases of Korean schools in which teachers embraced the goal of providing climate change education through the theoretical lens of posthumanist ecology. Analysis of the three cases showed that posthumanist climate change education 1) positions teachers and students as relational beings, 2) encourages them to be response-able for the posthuman world, 3) engages them in affect education, 4) creates non-hierarchical relationships among various ways of being, and 5) embraces the ethics of affirmation. The implications for teachers, curricular scholars, and policy makers are discussed.

      • KCI등재

        교육과정 (재)구성과 교사 행위주체성: Butler와 Bhabha의 수행성 관점을 중심으로

        엄수정 ( Su Jung U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0 교육과정연구 Vol.38 No.3

        본 연구는 Judith Butler와 Homi Bhabha가 제안한 행위주체성의 수행성 측면을 토대로 교사의 교육과정(재)구성에 있어 수행적 행위주체성이 지니는 중요성과 의미를 탐색하였다. 먼저, 행위주체성에 대한 철학적 담론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수행적 행위주체성 개념이 등장하게 된 배경을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수행성에 대한 Butler와 Bhabha 이론을 토대로 수행적 행위주체성의 의미와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후에 수행적 행위주체성 개념을 교육 영역으로 확장시켜 논의하였다. 교사들은 교육과정 (재)구성과 관련하여 상충된 기대와 요구, 욕구에 어떻게 대응하며, 수행적 행위주체성 개념이 그러한 교사의 교수적 실천을 이해하는 데 어떠한 가능성을 제고하는지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가 수행적 행위주체성 개념을 사용할 때,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행위에 대한 이분법적 사고를 벗어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징적·기호학적 측면의 작은 변화를 인식할 수 있고, 의도-행위-결과의 비선형적이고 복잡한 관계를 이해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수행적 행위주체성 개념에 대한 본 연구의 결과가 교육과정 연구에 어떠한 시사점을 제공하는지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erformative dimension of teacher agency in the context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by drawing on Judith Butler’s and Homi Bhabha’s theories. First, the study examined the humanist and poststructuralist understandings of agency to portray the context in which the concept of performative agency emerged. Second, it explored Butler’s and Bhabha’s versions of performative agency; the study focused on the symbolic and semiotic ways in which people break out of the existing framework and move toward the “not yet” by repeating, in a Derridean sense, the discourses available and persuasive to them. The following features of performative agency were identified: expressiveness, negotiation, absence of a pre-formed subject, and a non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action and its effect. This study attempted to re-contextualize the concept of performative agency in the field of education, particularly around the topic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It examined the possibilities that might open up in understanding the practices of teachers who encounter competing and conflicting expectations, demands, and desires in terms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Th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포스트 통합교육: 학교에서의 분리와 통합에 대한 탈관습적 접근

        엄수정(Su Jung Um) 한국교육정치학회 2018 敎育政治學硏究 Vol.25 No.2

        본 연구는 통합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학생들의 분 리, 소외, 차별이 발생하는 현 맥락 안에서 통합교육의 문제를 탈관습적으로 분석한다. 포스트구조주의 장애교육학은 본 연구를 위한 이론적 기틀을 제공한다. 이 연구는 학 교의 일상이 학생들의 ‘다름’을 어떻게 생성하고 해석하는지, 그러한 ‘다름’을 보 이는 개인을 어떻게 주체화하며, 이 과정에서 특정 학생의 분리가 어떻게 발생하는지 분석한다. 이를 통해 현재 통합교육이 정의되고 실천되는 방식에 문제 제기를 한다. 다 음으로, 본 연구는 한 중복장애인의 통합 교육 경험에 대한 일화를 재구성한다. 이를 분석함으로써 어떻게 학교의 자연스러운 일상이 해당 학생을 주체화하였고, 이 과정은 교육 불평등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모든 학생을 위한 평등 하고 민주적인 학교를 만들기 위해 교육 연구가와 실천가로서 우리가 해야 할 일이 무 엇인지 논의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rupt the habitual framings of exclusion and inclusion in school within the context where inclusive education movement has failed to redress educational inequity. Poststructuralist Disability Studies in Education offers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this study. It analyzes how daily schooling practices interpret and construct student differences, how individuals who are considered as “different”are subjectivated as“the Other,” and how these discursive processes are connected to exclusion in school. By drawing on qualitative data, this study reconstructs a (non)fiction narrative on schooling experiences of a person with cerebral palsy and low vision. It attends to the discourses circulating in the narrative to analyze the complex ways in which the person was subjectivated as a particular way of being and experienced exclusion through taken-for-granted knowledge and practices. The implications for future practice and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대입 N수생의 삶 : 능력주의와 교육열에 대한 비판적 고찰

        엄수정(Su Jung Um),송요성(Yosung Song)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1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대입 N수를 경험한 19명의 연구 참여자들의 내러티브를 탐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 참여자들이 N수 경험을 어떻게 구성하고 해석하는지 탐구함으로써 능력주의와 교육열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데 있다. Foucault의 담론 이론과 Deleuzed와 Guattari의 욕망 이론을 분석적 렌즈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우리 사회가 N수를 권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둘째, N수생들은 사회 지배담론의 예속적 주체이자 적극적인 행위자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셋째, 대입 N수의 증가라는 현상 이면에는 특정한 삶의 방식을 추구하려는 코드화된 사회 구성원들의 욕망이 있었다. 연구 결과가 학교교육에 있어 갖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study explores narratives of 19 research participants who have repeated the national college entrance exa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think meritocracy by analyzing the ways in which the research participants construct and interpret their experiences as repeaters. Foucault’s notion of discourse and Deleuze & Guattari’s concept of desire offers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analysis. It demonstrates that the society encourages them to choose to repeat the college entrance exam. The participants play a role as an active agent to reproduce the discourses of meritocracy while being simultaneously subjectivated by them. There is the type of social desire that is coded in a particular way underlying the phenomenon of repeating the college entrance exam.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schooling are discussed.

      • SCOPUSKCI등재

        혈중 CA19-9이 지속적으로 상승되었던 기관지 확장증 환자

        허정훈 ( Jung Hun Huh ),이수미 ( Su Mi Lee ),구태형 ( Tae Hyoung Koo ),신봉철 ( Bong Chul Shin ),엄수정 ( Soo Jung Um ),양두경 ( Doo Kyung Yang ),이수걸 ( Soo Keol Lee ),손춘희 ( Choon Hee Son ),노미숙 ( Mee Sook Roh ),김기남 ( Ki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8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4 No.5

        An elevated serum CA19-9 level is an indication of pancreatic and biliary tract cancer. However, it has recently become known that nonmalignant gastrointestinal diseases and a variety of nonmalignant respiratory diseases, such as idiopathic interstial pneumonia, collagen vascular disease associated lung diseases, diffuse panbronchiolitis and bronchiectasis, can also show an elevated serum CA19-9 level. We recently encountered a case of bronchiectasis with persistently elevated serum CA19-9, but without any evidence of malignant disease in endoscopic retrograde pancreatocholangiography,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an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After serial follow-up of 3 years and 10 months, there was still no evidence of cancer. It is believed that the elevated serum CA19-9 level was due to bronchiectasis. An elevated serum CA19-9 level should be interpreted carefully with the patients` clinical condition. (Tuberc Respir Dis 2008;64:383-386)

      • 수원의 한 대학병원에서 10년간 경험한 아나필락시스 환자 분석

        김무정 ( Moo Jung Kim ),최길순 ( Gil Soon Choi ),엄수정 ( Soo Jung Um ),성준모 ( Jun Mo Sung ),신유섭 ( Yoo Seob Shin ),박한정 ( Han Jung Park ),예영민 ( Young Min Ye ),남동호 ( Dong Ho Nahm ),이수영 ( Su Young Lee ),박해심 ( Hae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2008 천식 및 알레르기 Vol.28 No.4

        Background: Anaphylaxis is a systemic hypersensitivity reaction consisting of various etiologies and clinical features. In Korea, reports regarding anaphylaxis are very few. Objective: To evalu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linical features of anaphylaxis, especially with regard to the severity of it. Method: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in inpatients, outpatients and patients encountered at the emergency department at the Ajou University Hospital during 1997~2008. The medical records of a total of 158 patients who met diagnostic criteria for anaphylaxis were reviewed. Result: Drugs (51.2%) was the most common cause of anaphylaxis followed by insect stings (25.3%), foods (10.8%) and exercise (6.3%) in our hospital. The common manifestations were dyspnea (70.3%), urticaria (57.6%), dizziness (48.1%) and hypotension (46.2%). There were 65 patients (41.1%) with moderate anaphylaxis and 93 patients (58.9%) with severe anaphylaxis. The patients with older age or underlying cardiovascular disease had more severe anaphylaxis (P<0.05, respectively).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everity and etiology of anaphylaxis, some drugs such as antibiotics, NSAIDs, and radiocontrast media tended to develop severe anaphylaxis. Conclusion: We confirmed that drugs, insect stings, foods, and exercise are the major causes of anaphylaxis. In addition, the patients with older age or a cardiovascular disease had a tendency to develop severe anaphylaxis. (Korean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2008;28:298-304)

      • KCI우수등재
      • SCOPUSKCI등재

        수술 절제를 시행받은 제1기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의 Fascin 발현과 예후

        노미숙 ( Mee Sook Roh ),엄수정 ( Su Jung Um ),최영민 ( Young Min Choi ),김기남 ( Ki Nam Kim ),최필조 ( Pil Jo Choi ),이수걸 ( Soo Keol Lee ),손춘희 ( Choon Hee Son ),양두경 ( Doo Kyung Yang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8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5 No.2

        연구배경: Fascin은 세포 운동에 관여하는 액틴 결합 단백질로서 정상적인 상피세포에는 증가되어 있지 않으며, 일부 악성종양에서 fascin이 증가되어 있다는 보고가 있다. 본 연구는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조직에서 fascin 발현을 조사하고 fascin이 예후 인자로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제 1기 비소세포폐암으로 근치적 절제수술을 받고 추적조사가 가능했던 환자 81명의 조직에서 fascin 발현을 면역조직화학 염색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Fasin 발현은 전체 81예 중 59예(73%)에서 양성이었다. Fascin 발현 정도에 따른 5년 생존율은 fascin 발현 음성군에서 68%, fascin 저발현군에서 76%, fascin고발 현군에서 79%으로 각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86). 결론: Fascin 발현이 비소세포폐암으로 근치적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예후 인자로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Background: Fascin is an actin-bundling protein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cellular motility. Fascin is normally expressed in the neuronal and mesenchymal cells and its expression is low or absent in the epithelia. However, an overexpression of fascin has been linked to the invasive behavior of some neoplasms such as breast, stomach and ovarian tumor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xpression of fascin and its prognostic significance in stage I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Methods: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fascin was performed on the paraffin-embeded tissue sections of 81 cases of resected NSCLC. Staining of more than 5% of the tumor cells was recorded as positive immunoreactivity. Results: Fascin expression was seen in 73% (59/81) of the cases and this was more frequently seen in squamous cell carcinoma than in adenocarcinoma (93% vs 42%).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of fascin immunoreactivity with tumor recurrence and overall survival. Conclusion: The expression rate of fascin was relatively high in NSCLC, but this was without prognostic significance. The exact clinical role of fascin should be defined through further investigations. (Tuberc Respir Dis 2008;65: 105-10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