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집단 즉흥으로서의 교육과정: 즉흥 트라이벌-스타일 벨리 댄서들의 경험

        황순예 ( Soon Ye Hwa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6 교육과정연구 Vol.34 No.4

        이 논문은 `교육과정`을 즉흥 트라이벌-스타일(ITS) 벨리 댄서들의 경험에 나타난 `집단 즉흥`에 비유하고 이것이 교육에 주는 시사점 탐구를 목적으로 한다. 저자는 먼저 ITS 벨리 댄스의 특징을 제시하고 기존의 관련 연구들을 검토한다. 그리고 미국의 한 지역에서 활동하는 ITS 벨리 댄서들의 집단즉흥 경험을 바탕으로 질적 연구를 실시하여 7가지의 상호 연결된 테마들을 도출해낸다. 이를 바탕으로 집단즉흥에의 체화된 이해가 교육과정을 목표성취의 수단으로만 보는 오늘날 교육 현실에 주는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밝힌다. 즉, 교육과정을 즉흥적으로 체험하고 공동으로 창작하는 것으로 이해할 때, 교사와 학생들은 자신과 타인에 대한 민감성을 가진 의미의 생성자이자 교육과정 경험의 공동 창조자가 된다. 이러한 교육과정이 실현되려면 참여자들이 즉흥적 교육경험 창작의 과정에서 교육과정이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속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교사가 학생들의 실수나 실패마저도 즉흥적 창작의 새로운 출발점으로 삼는 구조를 만들어 학생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지속되는 성장을 격려한다면 역동적이고 즉흥적인 교육적 의미가 있는 교육과정이 될 것이다. In this manuscript, I draw upon the metaphor of collective improvisation as it relates to curriculum by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Improvisational Tribal-Style (ITS) belly dancers. By introducing readers to the uniqueness of ITS belly dance and sharing qualitative research conducted on one ITS belly dance troupe`s experiences of collective improvisation, I examine what participation in such improvisation entails through seven emergent themes: 1) “you have got to really stay alert”; 2) “even when I`m [dancing for an audience], I`m dancing with my group”; 3) “it is a communication”; 4) “you just have to trust these people”; 5) “you probably need to go through each one of those transitions”; 6) “I`d like to constantly evolve”; and 7) “it fills a void.” Based on the lived stories of one troupe of dancers, I argue that envisioning the curriculum as improvisationally lived and co-created by its participants enables educators to imagine the potential for empowering the participants to become active meaning makers and co-creators of such educational practices. This new perspective is an especially significant counterpoint to the prevailing and deep-seated technological ethos of education today and allows us to imagine the numerous collaborative opportunities otherwise absent in current curricular and pedagogical practices.

      • KCI등재

        수업 첫 시간 교육과정: 체화되고 복잡한 교육과정 대화 시작하기

        황순예 ( Soon Ye Hwa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9 교육과정연구 Vol.37 No.4

        대학 수업에서 학기의 첫 시간은 흔히 본 수업에 앞서 수업에 대한 안내 및 소개가 이루어지는 부수적인 시간이자 이후 수업의 성공적 진행을 도울 효과적인 수단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저자는 이러한 기술공학적 시각에서 벗어나 첫 시간을 한 학기동안 이어질 복잡한 교육과정 대화를 시작하는 시간으로 이해하며 (교사와) 학생들을 행위의 주체이자 몸-존재로 전제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이해에 기반 한 교육활동을 구상하고 실행해보고자 했던 저자 본인의 교사로서의 실천 경험의 의미에 대한 자서전적-철학적 탐구의 결과이다. 저자의 사범대 수업에서 학생들은 수업 첫 날 원형으로 앉아 서로의 이야기에 응답하며 교실 전체를 가로지르는 관계망을 만드는 가운데 자신을 소개한다. 또 그 경험에 대한 예술적 표현을 통해 각자의 배움의 의미를 고찰하고 공유한다. 이러한 교육과정은 첫째, 몸-존재인 학생들이 서로에게 소개될 수 있는 열린 공간을 제공한다. 둘째, 다감각적인 존재로서 배움을 경험하게 한다. 셋째, 교육의 경험과 그 의미를 더 다양하고 복잡하게 이해하고 소통할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첫 날의 교육과정은 몸-존재이자 행위의 주체로서 가르치고 배우고자 하는 해당 수업 전체 교육과정의 의미를 가장 상징적으로 표현한다. 또한 첫 날의 의미가 한 번에 달성되거나 이해되지 않는 모호함을 필연적으로 포용함으로써 학기 전체의 교육과정을 통해 그 의미가 끊임없이 재해석되고 확장될 가능성을 지닌다. 수업 첫 날의 교육과정은 이러한 점에서 학기 전체의 과정에 걸쳐 함께 창작될 복잡한 교육과정 대화의 ‘시작’이 되는 교육과정의 의미를 가진다. University teachers typically devote the first class of the semester to some sort of introduction to the course; this first day is usually considered merely a necessary formality before getting to the main curriculum of the course. In this study, I re-imagine first day curriculum as essentially initiating and potentially complicating the curricular conversations of the course through autobiographical-philosophical search regarding my practice. During the first class meetings of my foundational education courses, students sit in a circle and introduce themselves by responding to each other’s stories and weaving a web of relations across the classroom; afterwards they artistically express how they made sense of the experience and collectively reflect on the emerging significance of the day. Understanding my students as embodied beings capable of actions, I argue that this curriculum is an initiating gesture through which I create a classroom that offers an open space where students’ growth is continuously introduced, and students are encouraged to learn as multisensorial beings while embracing the possibilities that emerge from resulting curricular conversations complicated through aesthetic expression. In this sense, the first day curriculum can be expressive of the learning-to-come; its significance is to be continuously (re)interpreted and complicated throughout the course.

      • KCI등재

        포스트휴먼 기후변화교육의 상상과 실천

        엄수정 ( Su Jung Um ),우라미 ( Rami Woo ),황순예 ( Soon Ye Hwa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1 교육과정연구 Vol.39 No.3

        기후변화는 인류가 직면한 심각한 위기로, 이에 대한 교육적 대응이 시급하다는 인식이 학교 현장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교육이란 무엇이며, 그 구체적인 실천은 어떠해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는 아직 부족하다. 최근 기후위기에 보다 근본적으로 접근하는 데에 있어 포스트휴먼 생태주의 관점이 주목을 받고 있다. 포스트휴먼 생태주의 관점은 기후위기의 원인에 대한 총체적이고 근본적인 성찰을 위해서 인간과 비인간, 문화와 자연 간의 관계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지구 생태의 위기를 이해하고 대처하는 데에 통찰력을 제공함에도 아직 그 실천 사례들을 찾아보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는 포스트휴먼 생태주의 관점에서 기후변화교육의 모습을 실제 사례를 통해 구체화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포스트휴먼 생태주의를 이론적 토대로 하며, 세 개의 학교 사례를 질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기후변화교육의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세 개의 사례는 포스트휴먼 관계적 주체임을 깨닫는 교육, 응답 능력을 기르는 교육, 감응 교육, 탈위계적 교육, 긍정적 윤리학에 근간한 교육이라는 점에서 포스트휴먼 생태주의 교육의 가능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사들의 실천 및 교육 정책과 교육과정 연구에의 시사점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Educators are increasingly aware that it is imperative that they respond to the climate change crisis in schools. However, they are still grappling with ways to construct and enact the relevant curriculum. In seeking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climate crisis and attempting to envision responsive educational practices, posthumanist ecology offers a profound theoretical understanding. It urges educators to reexamine our assumptions ab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human and non-human, as well as culture and nature, and reimagine a climate change education. However, there is a paucity of research on pedagogical practices grounded in posthumanist ecology. Hoping to reveal the critical characteristics of posthumanist climate change education in curricular and pedagogical practice, this study examined three cases of Korean schools in which teachers embraced the goal of providing climate change education through the theoretical lens of posthumanist ecology. Analysis of the three cases showed that posthumanist climate change education 1) positions teachers and students as relational beings, 2) encourages them to be response-able for the posthuman world, 3) engages them in affect education, 4) creates non-hierarchical relationships among various ways of being, and 5) embraces the ethics of affirmation. The implications for teachers, curricular scholars, and policy maker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