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다문화정책의 사회통합 효과

        양경은(Yang, Kyung-Eun),함승환(Ham, Seung-Hwan) 한국사회정책학회 2015 한국사회정책 Vol.22 No.2

        세계 각국이 다문화사회로 진입하면서 이주민의 사회통합을 모색하려는 시도가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민의 역사가 길어짐에 따라 이주민들의 자녀 가운데 상당수는 공교육 제도 내에 유입되어 왔는데, 일반적으로 이주배경 아동은 다양한 이유로 일반 아동에 비해 대체로 낮은 수준의 학습참여 및 성취도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이주배경 학생의 교육소외는 사회통합의 걸림돌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이들이 성인이 된 이후에 심각한 사회경제적 비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문화교육정책은 이와 같은 문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추진된 일련의 정책적 노력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다문화 정책에 대한 사회정치적 관심은 크게 증대한 것에 반해, 정책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매우 드문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공백을 메우기 위한 하나의 탐색적 시도로서, 방대한 국제비교 자료를 바탕으로 다문화사회의 사회통합 정책의 일환인 다문화교육정책이 이주배경 학생의 학교생활의 중요한 한 측면인 학교에의 소속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다문화교육정책을 높은 수준에서 제도화하고 있는 국가일수록 이주배경 학생 지위가 가지는 학교소속감에 대한 부적 효과는 유의미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사회 친화적 교육환경 구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이주배경 학생의 학교소속감 등 학교생활 전반에 실제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With accelerating economic and cultural globalization processes that involve increased international migration on a global scale, policy circles around the world have paid sustained attention to multicultual policy and its significance for social integration. Despite the spread of multicultural policies, little has been done for systematic evaluations of those policies. As an attempt toward filling this void in research,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eff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on immigrant children’s sense of belonging to school. Based on a cross-national sample of approximately 150 thousand children selected from about nine thousand schools across 29 OECD member states, a three-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analysis has been conducted. The main findings clearly indicate that the degree of institutionaliz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on a country level is fairly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immigrant children’s sense of belonging to school. This provides a piece of suggestive evidence that multicultural policy, if firmly institutionalized and successfully implemented, can really work toward social integration. This result calls for more extensive research to evaluate various in tended and unintended effects of diverse forms of multicultural policy on individuals and society.

      • KCI등재

        다문화정책은 이주아동의 사회통합에 늘 효과적인가?: 사회복지지출 규모를 고려한 비교사회정책적 재분석

        양경은(Kyung-Eun Yang),함승환(Seung-Hwan Ham) 한국사회정책학회 2020 한국사회정책 Vol.27 No.2

        최근 국가별로 다문화정책에 대한 평가와 전망에 온도차가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다문화정책의 효과가 국가의 맥락에 따라 체계적인 차이를 보일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특히, 다문화정책과 ‘진보주의적 딜레마’ 관계에 있을 개연성이 제기되어 온 사회복지정책에 초점을 두고, 두 정책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이주아동의 사회통합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OECD 회원국 이주배경 학생(만 15세)의 학업성취도 자료에 국가별 다문화정책 지표와 사회복지지출 지표를 연결하여 총 30개국 2만 4천 명 학생에 대한 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위계선형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문화주의를 강하게 제도화하고 있는 국가일수록 대체로 이주배경 학생의 학업성취도 수준도 높은 양상을 보였다. 하지만 이러한 상관성은 국가에 따라 큰 편차를 보였다. 흥미롭게도, 사회복지 관대성이 큰 국가일수록 다문화주의의 정책적 제도화가 이주배경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미한 효과를 보이거나 오히려 부적 효과를 보였다. 이는 높은 사회복지 관대성이 다문화정책의 효과를 축소시킨다는 ‘부식 효과’ 가설을 지지하는 것이다. 이주아동의 사회통합에 대한 다문화정책의 ‘의도된’ 효과는 특정한 사회정책적 환경조건 속에서 실현되는 맥락의존적 효과인 것으로 보인다. Despite the worldwide diffusion of multiculturalism policies, scholarly debates still continue as to whether or not they effectively contribute to immigrant integration. Based on a comparative social policy perspective, this study attempts to fill this void in research. In particular, we shed light on the possibility that the effect of multiculturalism varies across countries depending on social policy arrangements. Using a cross-national sample of approximately 24 thousand immigrant children in 30 OECD countries, a series of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analyses has been conducted. The results show that the strength of multiculturalism institutionalized at the country level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immigrant children’s educational performance at the individual level. However, such an association appears to differ markedly across countries. We find multiculturalism’s intended effect much smaller or often negative in countries characterized by a high level of welfare generosity. Such a ‘corrosive effect’ of welfare generosity suggests that multiculturalism may produce either intended or unintended consequences depending on institutional dynamics in social policy development.

      • KCI등재

        이주배경에 따른 청소년의 학교 소속감 격차: 다문화정책에 대한 함의

        양경은 ( Kyung-eun Yang ),함승환 ( Seung-hwan Ham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8 사회복지정책 Vol.45 No.1

        이 연구는 학생의 학교적응 지표인 학교 소속감에 있어서 이주배경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차이가 있다면 그것이 어떤 요인에 기인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 초·중등 학생 1,609명에 대한 자료를 토대로 분석이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가족 구성원 가운데 어머니가 해외출생인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학생의 학교 소속감이 뚜렷하게 낮았다. 어머니의 해외출생 여부에 따른 학교 소속감 차이의 이유에 대한 설명으로서, 학생의 언어 차이나 문화 정체성 차이에 기인한 것이라는 ‘문화적 부조화’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 반면, 자녀와 부모 간의 ‘문화적응 격차’로 인한 부모의 소극적인 교육적 관여 때문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언어·문화적 결핍 모델에 기초한 이주배경 학생 지원 프로그램의 재검토 필요성 및 학부모 대상 개입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a racial/ethnic disparity exists with respect to the sense of school belonging between immigrant-background children and their non-immigrant peers. A range of analyses has been conducted using the data from the Korea Multicultural Education Survey 2017. Extensive data for 1,609 elementary and lower secondary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whose mothers are foreign-born tend to have a lower sense of belonging at school than others. Regarding the explanation for this negative effect of the foreign-born mother, the school-student “cultural mismatch” hypothesis was not supported by the data. Instead, the parent-child “acculturation gap” hypothesis was strongly support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popular approach to intervening with immigrant-background students based on linguistic/cultural deficit models needs careful re-examining. Intervention programs would work better if accompanied by adequate programs for parents.

      • KCI등재

        보리순이 고지방을 급여한 마우스의 지질 함량과 간조직의 지질대사 관련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은주(Yang Eun-Ju),조영숙(Cho Young-Sook),최명숙(Choi Myung-Sook),우명남(Woo Myoung-Nam),김명주(Kim Myung-Joo),손미예(Shon Mi-Yae),이미경(Lee Mi-Kyung) 韓國營養學會 2009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2 No.1

        본 연구는 고지방 (열량의 37%를 지방으로 대체)을 급여한 마우스의 체중과 체내 지질함량에 미치는 보리순의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4주령의 ICR 마우스 (n = 32)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정상식이를 급여한 정상군, 고지방을 급여한 고지방대조군, 고지방-보리순분말군과 고지방-보리순열수추출물군으로 나누어 8주간 사육하였다. 보리순은 사람이 하루에 3잔의 차를 마시는 양을 고려하여 보리순 1%수준이 섭취되도록 분말과 열수추출물을 각각 식이에 첨가 · 조제하여 8주간 급여하였다. 식이섭취량은 보리순분말군이 고지방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보리순열수추출물은 식이섭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보리순분말과 보리순열수추출물은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마우스의 체중을 효과적으로 낮추었으며 특히, 내장지방무게의 대표적 지표인 부고환지방조직 무게를 유적으로 낮추었다. 이는 보리순이 식이섭취 억제에 의존적으로 체중감소 효과를 나타내지 않음을 제시한다. 혈장의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보리순분말과 열수추출물 급여시 고지방 대조군에 비해 각각 25%와 20%의 감소효과를 보였으며 중성지질 함량은 보리순분말군과 열수추출물군 모두 28%와 43%의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또한 보리순분말과 보리순열수추출물은 혈장 중의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 비(HTR)를 고지방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였다. 간조직과 지방조직의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대조군이 각각 1.3배, 1.2배의 증가를 보였으나 보리순 분말과 열수추출물 급여시 모두 간조직과 지방조직의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이 정상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개선되었다. 신장에서의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은 고지방식이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심장에서는 1.4배의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보리순열수추출군에서만 유의적인 개선효과를 볼 수 있었다. 간조직과 신장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실험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심장 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대조군이 정상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보리순열수추출물의 경우 심장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유의적으로 낮추었다. 변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낮은 반면,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은 약 6배 높았다. 한편, 보리순말과 열수추출물 급여는 고지방 대조군에 비하여 변으로의 트리글리세리드 배설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나 콜레스테롤 함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간조직 중 FAS 활성은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대조군에서 1.7배 높아진 반면, β-oxidation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보리순분말과 열수추출물은 지방산 합성효소의 활성을 정상군 수준으로 개선하였으나 지방산 산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콜레스테롤 합성에 관련하는 HMG-CoA reductase와 ACAT 활성은 각각 정상군보다 고지방대조군에서 각각 2.1배, 1.5배씩 높았으나 보리순분말과 열수추출물 급여시 유의적으로 낮았다. 이와 같이 보리순분말과 열수추출물은 고지방 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마우스의 간조직에서 지방산과 콜레스테롤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지질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wdered young barley leaf and its water extract on body weight and lipid metabolism in high-fat fed mice. Male mice were divided into normal group, high-fat (HF) group, highfat group supplemented with powdered young barley leaf (HF-YBL) and high-fat group supplemented with water extract of the powdered young barley leaf (HF-WYBL). The powdered young barley leaf or its water extract was added to a standard diet based on 1% dried young barley leaf (1 g YBL/100 diet and 0.28 g WYBL/100 g diet) for 8 weeks. Supplementation of YBL and WYBL significantly reduced body weight and epididymal adipose tissue weight in highfat fed mice. Food intake and daily energy intak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YBL group than in the HF group. After 8 weeks, plasma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F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however, both YBL and WYBL significantly lowered those of the high-fat fed mice. The ratio of HDL-cholesterol/total cholesterol of the YBL and WYBL group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compared to that of HF group. Both YBL and WYBL significantly increased fecal excretion of triglyceride in high-fat fed mice, whereas they did not affect fecal cholesterol concentration. The triglyceride levels of liver, adipose tissue and heart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YBL and WYBL groups than in the HF group. Supplementation of WYBL also lowered the kidney triglyceride and heart cholesterol concentrations compared to those of HF group. Hepatic lipid regulating enzyme activities, fatty acid synthase, HMG-CoA reductase and acyl-coenzyme A: cholesterol acyltransferas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YBL and WYBL groups than in the HF group. According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YBL and WYBL improve plasma and organ lipid levels partly by increasing fecal lipid excretion and inhibiting fatty acid and cholesterol biosynthesis in the liver. (Korean J Nutr 2009; 42(1): 14 ~ 22)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다문화반차별정책의 교육적 방임 방지 효과: 이주배경 아동의 무단결석 현상을 중심으로

        양경은 ( Kyung Eun Yang ),차윤경 ( Yun Kyung Cha ),함승환 ( Seung Hwan Ham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5 사회복지정책 Vol.42 No.2

        국경을 초월한 이주의 추세가 확산됨에 따라 각국의 이주배경 아동의 수 또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은 다양한 이유로 학교생활 전반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와 같은 부적응은 이들이 성인이 된 후에 사회적 차원의 심각한 비용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정책적 개입의 중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경제적, 정치적, 사회 문화적 생활의 모든 영역에서 이주민이 부당하게 차별받지 않도록 강제하는 다문화반차별정책은 이와 같은 문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제도적 노력의 한 형태라 할 수 있다. 각국의 다문화반차별정책 제도화 추세에 반해, 정책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인 실증적 분석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공백을 메우기 위한 탐색적 시도의 하나로서, 다문화반차별정책의 제도화 수준이 이주배경 아동에 대한 교육적 방임 지표인 무단결석률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OECD 회원국 가운데 29개국의 15세 학생 22만여 명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문화반차별정책을 높은 수준에서 제도화하고 있는 국가일수록 아동의 이주배경 지위가 가지는 무단결석률에 대한 정적 효과가 유의하게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 전반에 걸쳐 반차별적이며 다문화사회 친화적인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제도적 노력이 이주배경 아동에 대한 교육적 방임 방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으로써 장기적으로 사회통합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In both scholarly and policy circles around the world,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multicultual policy as it purports to manage diversity in face of increased international migration. Despite the cross-national spread of multicultural policies, little effort has been made for systematic policy evaluations. As an attempt to fill this research void,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 of multicultural anti-discrimination policy, especially in relation to its effect on truancy reduction for immigrant children. Using a sample of approximately 224 thousand children (aged 15 years old) selected from more than nine thousand schools across 29 OECD member states, a three-level logit analysis based on hierarchical generalized linear modeling has been conducted. The main findings clearly suggest that the degree of institutionalization of multicultural anti-discrimination policy at the country level is strongly associated with truancy reduction for immigrant children. This provides a piece of illustrative evidence that multicultural policy, if implemented successfully, could work as intended toward social integration in a diverse society.

      • KCI등재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녀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복지체제론적 재조명

        양경은(Yang, Kyung-Eun)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6 비판사회정책 Vol.- No.53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지위상승을 위한 교육적 투자라는 개인의 합리적 선택이 복지체제 유형에 따라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일 가능성에 주목하고 복지국가 유형화론에 기초하여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학생의 수학, 과학, 읽기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PISA 2012 데이터를 활용해 OECD 회원국을 중심으로 학생 및 국가 수준에 걸친 위계선형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정적 영향이 발견되는 가운데, 그 영향력의 크기가 복지체제 유형별로 상이한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육적 세습화나 교육 불평등의 문제가 교육제도의 영역만의 문제로 한정되어 이해될 수 없는 복합적 성격을 지닌다는 점을 시사하며, 교육 관련 문제를 복지를 포함한 포괄적 사회모델 측면에서 이해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Education has traditionally been considered a tool to aid individuals’ social mobility. However, such expectation may considerably vary depending on the social and institutional context of each society. With a particular focus placed on Esping-Andersen’s welfare state typology, the study understands education as a social institution that evolves in conjunction with the welfare-state model that a country has developed. By utilizing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based on a cross-national sample of approximately 285 thousand children selected from the OECD member states, the effect of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on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was examined.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parents’ SES on students’ performance significantly varied depending on welfare state regimes. The result gives credence to the possibility that the ‘stratification of eduction’ based on parents’ SES status is a rather complex phenomenon which requires analytic attention from broader social policy perspectives beyond the focus placed exclusively on the educational system.

      • KCI등재

        이주민에 대한 ‘상징적 폭력’과 차별: 이주민 밀집지역 내 중도입국 자녀 부모의 경험 분석

        양경은(Kyung Eun Yang),박송이(Song Yi Park)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21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11 No.3

        본 연구는 이주민 밀집지역에서 중도입국 자녀의 부모가 경험하는 적응 상의 어려움을 살펴보고, 이들을 둘러싼 환경적 맥락이 이들의 생활방식에 억압과 차별로 작용하는 맥락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중도입국 자녀 부모 8명에 대해 FGI를 진행하였고, 현상학적 질적 연구를 수행했다. 분석 결과, 비이주민 중심의 상징자본과 문화를 당연한 것으로 간주하고 이를 내면화하는 상징적 폭력이 관찰되었다. 또한 중도입국 자녀 부모들은 ‘다문화’라고 대상화되어 분류되는 차별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이들은 이주민 중심의 정보망을 형성하거나, 소수자로서의 정체성을 내면화하며 자발적으로 거리를 두는 전략을 취하고 있었다. 중도입국 자녀의 결핍을 메우기 위한 노력도 중요하지만, 이들의 배제와 고립을 야기하는 환경에 어떻게 개입할 것인지를 중심으로 기존의 서비스가 재설계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 of immigrant childrens’ parents living in immigrant segregated neighborhood. The study aimed to explore how environmental context may have oppressive and discriminatory effects on immigrants’ lives. Phenomenology was used to analyze in-depth interviews of 8 participants. Symbolic violence and discrimination were found where non-immigrants’ culture is considered as a norm. Respondents also experienced discrimination of being labeled and classified as ‘multicultural group.’ As a response to such discriminatory experiences, immigrants formed their own ethnic groups. Internalizing identity as a minority as well as self-distancing strategies were used. Such findings suggest a need to provide services and that consider multi-layered discrimination experienced by immigr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