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춘양(春陽)」展에 대한 작품론

        안효정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논문은 지난 2011년 9월 28일부터 10월 4일까지 갤러리 룩스(서울 종로구 관훈동 소재)에서 전시한 사진전 <춘양(春陽)>展에 대한 것으로 작품의 형성배경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시도하고 각 작품들을 분석하여 서술하는데 목적을 둔다. 기억은 우리의 정체성과 삶을 형성하는 것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과거의 지각을 바탕으로 일어나는 기억의 활동은 지속적이며, 현실에 어떤 표상을 나타내는 활동을 가능하게 한다. 기억하는 마음이나 의식은 어느 순간 심적으로 떠오르기도 하고 시각적인 이미지로 투영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기억은 예술가들에게 자주 중요한 소재나 영감의 근원으로 이용되어 왔다. 본 작업은 기억과 상처를 무겁게 안고 살아가는 스스로를 자각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되었다. 본인은 사진을 통해 고통이 발생하는 과거의 기억을 밝혀내고, 그것을 직시함으로써 그것으로부터 치유되고자 한다. 하지만 상처 안에 머물러 있었던 과거의 시간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기보다 다른 오브제들을 통하여 간접적이고 은유적으로 시각화하고자 하였다. 현재의 시간 안에 겹쳐진 과거의 기억을 프레임 안에 구성하여 촬영하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작업의 목적은 본인의 상처에서 비롯한 감정을 관조하며 바라보기 위함이다. 이것은 어쩌면 본인의 과거의 기억과 시간에 대한 애도의 표현인 것이다. 애도는 상실을 받아들이고 또 다른 장을 열기 위한 절차이다. 이처럼 작업을 통해 상처들이 애도로 전환되는 과정은 과거와의 불화에서 기인한 불안정한 자아의 치유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론의 첫 번째 장에서는 기억과 자아사이의 유기적 관계에 대해 검토하고 그것이 자기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또 두 번째 장에서는 본인 작업의 주요 모티브가 되었던 트라우마에 관한 개념정리를 시도하고, 트라우마가 예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서술 할 것이다. 그리고 기억과 트라우마를 모티브로 작업해 온 작가들인 루이스 부르주아(Louise Bourgeois)와 프란체스카 우드만(Francesca Woodman)의 작품연구와 본인 작업과의 비교를 통해 <춘양(春陽)>展 작품들의 객관적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마지막 장에서는 본인의 작품에 대한 개별 분석 연구를 시도한다. 각 이미지마다 대상이 갖는 의미를 보다 구체적이고 심층적으로 서술하며, 이를 통해 작품들의 개별적 의미는 물론 <춘양(春陽)>展을 관통하는 주제의식을 명확히 드러낼 것이다. 앞서 서술한 본 논문의 연구의 방법들은 <춘양(春陽)>展의 작품들의 당위성과 보편성을 더 분명하게 해 줄 것이며, 본인 작업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정립하고 앞으로의 방향 모색과 발전에 많은 영향을 줄 것이다. This thesis is about my MFA thesis exhibition, titled Chunyang held at Gallery Lux (located in Gwanhun-dong?Jongno-gu?Seoul) running from September 28 through October 4, 2011. Its aim is to take a theoretical approach to the background of my photography and to analyze each piece. Memories play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one?s identity and life. The act of making memories is a continuous process and is based upon the perception of the past, which enables the activity of a certain symbol to emerge in reality. At times, the act of remembering appears on the level of mind and consciousness and at other times, it looms as certain visual images. Thereby, memories have long been serving as an important matter and inspiration for many artists. The series of my photographs began with an awareness of myself and the personal burden of memories and emotional wounds from my life. Through this series, I tried to identify the past memories that have brought about my pain and to look directly at them, thus healing myself. The past that was caught up in the pain is implicitly visualized through symbolic objects rather than in realistic depictions. The present along with memories from the past deliberately intertwine within a single frame. The purpose of such a device is to observe contemplatively the pure emotions derived from the pain. Perhaps, it may be an expression of ?condolences? over my past memories and time. The acceptance of condolences is a wanted process to admit the loss and thereby open up a new chapter of time. Through the series of chunyang,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emotional wounds is cathartic in that it offers me a healing process for my insecure self that has suffered in friction with the past. The first chapter of the body looks at an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memories and self and how the relationship could influence self identity. The second chapter defines the concept of trauma, which became a main motif in my work, and also states how trauma can influence art. By studying the work of Louise Bourgeois and Francesca Woodman who employed the motifs from memories and traumas and by examining with my work, the chapter makes an objective analysis on my work exhibited in Chunyahg. The last chapter scrutinizes individual pieces within the series. It makes specific and in-depth accounts for each image and the meanings of employed objects in it. By doing so, not only is the individual meaning of each piece but also the subject matter that pierces through the series of Chunyang to be clearly unfolded. The above stated study in this thesis will clearly produce a legitimacy and validity to the photographs in ChunYang and furthermore, help establish an essential theoretical background for my work and push the work further in the right direction.

      • 비선형 패러다임에 의한 공간조형 특성과 디자인 분석 : 비선형의 개념적 특성과 조형원리를 중심으로

        안효정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55

        과학적 패러다임에서 연구가 시작된 비선형은 현재 여러 사회분야에 걸쳐 비선형의 개념이 연구되고 있다. 비선형은 빠르게 변화, 발전하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건축 분야에 있어서도 새로운 기술, 재료, 구조공법 등과 결합되어 과거와는 다른 다양하고 독창적인 형태의 공간을 창출하고 있으며, 동시에 조형언어의 무한한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비선형 공간의 개념과 새로운 조형원리를 분석하는 것은 확실성과 절대성의 한계에 부딪힌 모던건축 이후의 공간디자인에 있어서 미래지향적인 하나의 대안이 될 것으로 본다. 본 연구는 최근 자연과학분야를 포함하는 사회과학, 경제, 예술, 건축 등 각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는 하나의 패러다임으로서 ‘비선형’의 개념을 인지하고, 최근의 사례를 통해 공간디자인에서 나타나는 비선형의 개념과 조형원리를 파악한다. 그리고 최근 비선형 패러다임이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디지털 기술과 결합되어 계획안에서 실현안으로서의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는 바, 공간디자인에 나타나고 있는 최근의 경향을 분석함으로서, 비선형의 개념과 조형원리의 구체적인 방식을 제시하고, 앞으로 지향하고자 하는 공간디자인의 하나의 방법으로서 비선형을 조망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고찰과 사례분석으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문헌고찰을 통해 비선형의 개념과 특성을 정리하였고, 조형원리들을 본 연구에 맞게 재정리하였다. 이것을 바탕으로 분석틀을 개발하였고 사례분석을 통하여 공간에서 나타나는 비선형의 개념과 조형원리를 분석하였다. 분석사례는 최근 5년간, 즉, 1997년 이후의 작품을 선정대상으로 하였으며, 16명(팀)의 건축가의 24작품을 사례분석하였다. 선정된 건축가는 Peter Eisenman, Daniel Libeskind, Frank O. Gehry, Ben van Berkel, Rem Koolhaas, Steven Holl, Zaha Hadid, NOX, F.O.A., Lab, Endo Shuhei, Jakob & MacFarlane, Peter Cook & Colin Fournier, Coop Himmelb(l)au, ABB Architekten & Bernhard Franken, Eric Owen Moss이다. 분석의 기준으로 는 비선형의 개념적 특성과 조형원리로 나누었으며, 각각 하위분석개념을 분류하여 분석틀을 작성하였다. 비선형의 개념적 특성은 유동성, 복잡성, 예측불가능, 프랙탈, 카오스, 자기조직화, 위상변환, 해체의 하위분석개념을 가지며, 조형원리는 1차 변형인 중첩(더하기), 삭제(빼기), 스케일링(곱하기), 분열(나누기)과 2차 변형인 접기, 비틀기, 왜곡, 파동이다. 사례분석 결과 비선형 공간에서 보여지는 개념적 특성과 조형원리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비선형의 개념 중 유동성, 복잡성, 예측불가능, 위상변환의 개념이 19작품 이상에서 나타났으며, 이는 대부분의 사례에서 약하게나마 여지는 비선형의 중요한 개념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유동성(fluidity)은 형태적 측면에서의 유동성이 많았지만, 반면, 형태에서는 유동성의 개념이 나타나지 않더라도 공간생성원리에서, 혹은 프로그램의 구성적 측면에서 유동성이 강하게 나타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유동성의 개념이 표현되고 있었으며, 이러한 기능적인 측면에서의 유동성은 공간의 입체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동시에 위상변환의 개념과도 연관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자기조직화 개념은 프랙탈과 카오스의 개념과 연동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프랙탈, 카오스의 과학적 개념이 자기조직화 과정을 갖는 것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서 공간에서도 서로 밀접한 관계의 개념으로 나타났다. 프랙탈, 카오스, 해체의 개념들은 많은 작품에서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특히 프랙탈 개념을 적용한 공간은 차별성과 독창적인 조형성이 보여진다. 비선형 공간의 조형원리 분석에서는 24작품 사례를 통하여 많이 사용되어진 조형원리와 그렇지 않은 조형원리의 두 그룹으로 명확히 구분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빈도수가 많았던 조형원리는 1차변형의 중첩과 2차변형의 접기와 파동이었고, 빈도수가 적었던 조형원리는 1차변형의 삭제, 스케일링, 분열, 그리고 2차변형의 비틀기와 왜곡이었다. 1차변형과 2차변형을 비교했을 때는, 1차변형보다 더욱 입체적이고 복잡한 변형이라고 할 수 있는 2차변형의 비중이 더 많았는데, 이는 비선형의 개념을 공간에 적용함에 있어서 2차변형이 좀더 대표되는 비선형 공간의 조형원리임을 알 수 있다. 1차변형인 중첩은 가장 빈도수가 많은 조형원리로 나타났으며, 과거에는, 특히 해체주의 작품에서는 직선, 그리드의 중첩, 해체를 통한 기하학적 형상이었으나, 비선형 공간에서의 중첩은 좀더 자유롭고 유동적인 형태를 표현하는 조형원리로 변화하고 있었다. 파동은 생물학적 형태와 같이 부정형의 유동성을 표현하거나 또는 물의 파동과 같이 규칙적인 웨이브의 형태로 표현되는 등 형태적인 면에서의 유동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조형원리임을 알 수 있었다. 접기는 공간의 입체적 변화를 가져오는 경우가 많았고, 이는 곧 위상변환의 개념으로 이어졌다. 특히 내부연속면의 접기를 통한 형태변형은 공간 내부의 동선체계나 프로그램 등의 기능적인 측면과 바로 연관되는 것으로서, 이는 기존의 건축양식에서 볼 수 없었던 공간의 단면에 대한 실험적인 탐구로 해석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접기의 방식은 많은 건축가들의 작품에서 보여지고 있으며,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기술로 인해 접기는 공간을 자유롭게 구성하는 조형원리로서 앞으로 더욱 중요한 공간조형 방식이 될 것으로 본다. 삭제, 스케일링, 분열, 비틀기, 왜곡은 빈도수는 많지는 않았지만, 이것들 역시 비선형 공간조형을 대표하는 조형 원리로서 독립적으로, 때로는 다른 조형원리와 더불어서 공간에 표현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공간은 늘 새롭게 발전되는 테크놀러지에 의해서 변화해온 것이며, 현재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기술은 오늘날의 건축형태와 공간을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다. 그 변화 중에는 비선형이라고 하는 개념이 공간에 새로운 창조적인 형태로 표현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비선형 패러다임을 인지하고 최근 공간디자인에서 보여지는 비선형의 개념과 조형원리를 분석, 종합하였다. 그 결과 비선형 패러다임에 의한 공간디자인의 경향과 그에 따른 변화를 알 수 있었다. 첫째, 비선형 공간의 디자인 과정에 있어서 디지털 기술이 적극적으로 이용되었다. 디지털 기술의 영향을 받은 건축가들은 기존의 건축 양식과는 확연히 구분되는 새로운 공간조형의 가능성을 시도하고 있으며, 이는 복잡한 현대사회에서 다양한 경험을 원하는 우리에게 풍성한 공간적 경험의 기회를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 분석한 모든 작품들이 저마다 독특한 디자인 프로세스를 가지고 있었다. 비선형의 공간들은 그것이 실제적인 물체의 성질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서건, 혹은 지역적인 상징성의 반영이건, 나름대로의 명확한 공간 생성의 근거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과정보다는 결과를 중요하게 여기는 우리, 디자이너에게 프로세스의 중요성과 창의성을 일깨워주고 있는 것이다. 셋째, 비선형의 공간은 조형적으로 하나의 오브제와 같이 표현되고 있고, 이는 도시적 랜드마크가 될 수 있으며, 이는 세계화시대에 도시적인 차원에서의 경쟁력과 함께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요소이다. 넷째, 본 연구의 사례분석 결과, 비선형 공간들은 다양성과 복잡성을 추구하고 있지만, 지역성과 풍토성의 반영, 그리고 감성주의와 친환경주의와의 접목 등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비선형 공간이 새롭고 독창적인 개념의 적용으로 인한 비일상적인 공간의 경험과 더불어 다양한 지역적, 문화적 아이덴티티를 공간에 표현한다면, 이는 차별화된 공간디자인의 방법이 됨과 동시에 중요한 문화 생존전략의 하나가 될 것이다. 끝으로 이제 시작된 비선형의 개념과 그에 따른 공간디자인에의 적용에 있어, 그것들이 우리 삶의 질적인 면을 얼마나 만족시켜줄 수 있는가에 대한 물음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겠고 앞으로 더욱 깊은 연구가 되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본 연구는 최근의 비선형 공간의 개념과 조형원리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서, 그리고 공간디자인에 비선형 개념을 적용시키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concept of the nonlinear, originated from the scientific paradigm, is nowadays widely studied in various social fields. Thanks to the rapid change an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combined with other new technologies, materials and structural methods in construction, the nonlinear creates a unique variety of spacial form, different from the past, that at the same time suggests unlimited possibility. The analysis of the nonlinear concept of space and new formative principles suggests a promising alternative to architectural design that is facing the limit of reductionism and absolutism of modern architecture. This study recognizes the nonlinear concept as a paradigm which has been researched in various fields such as social science, economics, arts and architecture, as well as in natural science; it analyzes the affect of the nonlinear concept and it's formative principles on architectural design through analysis of recent examples; and, considers the nonlinear as a method of architectural design for the future. The research methodology in this study encompasses and utilizes 24 case studies by 16 architects since 1997. The studied architects are Peter Eisenman, Daniel Libeskind, Frank O. Gehry, Ben van Berkel, Rem Koolhaas, Steven Holl, Zaha Hadid, NOX, F.O.A., Lab, Endo Shuhei, Jakob & MacFarlane, Peter Cook & Colin Fournier, Coop Himmelb(l)au, ABB Architekten & Bernhard Franken, Eric Owen Moss. The analysis i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nonlinear concept and it's formative principles. The nonlinear concept is subcategorized by fluidity, complexity, unpredictability, fractal, chaos, self-organization, topological transformation and deconstruction. The formative principles are subcategorized by the first deformation of overlapping(addition), elimination(deduction), scaling(multiplication), disjunction(division) and by the second deformation of folding, twisting, distortion and wave. A summarization and analysis of the case studies on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nonlinear space and formative principles follow. The nonlinear concepts of fluidity, complexity and unpredictability are found in many cases. The fluidity concept is applied mostly in formality. Also in the space generation principle or in the formative aspects of program, the concept of fluidity is expressed in various ways that this fluidity from functional aspect which lead the dimensional change on space and is at the same time connected with the concept of topological transformation. The concept of self-organization is found simultaneously with that of fractal and chaos, which is in line with the scientific concept of fractal and chaos, which includes the self-organization process. Fractal, chaos, and deconstruction are not found in many works, while the space with fractal concept especially presents differentiation and unique formality. Formative principles of nonlinear architecture are clear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requent and the non-frequent principles. The frequent formative principles are the overlapping from the first deformation and the folding and wave from the second deformation. The non-frequent formative principles are elimination, scaling, disjunction from the first deformation and the twisting and distortion from the second deformation. Compared to the first deformation, the second deformation weighs more heavily due to its three-dimensionality and the complicated characteristics it represents in the formative principles of nonlinear architecture. Overlapping from the first deformation is the most frequent formative principle and it has evolved to express a more free and fluid form from past work, in particular from the work of deconstructionist, which was in the geometric forms of straight line, overlapping grid and deconstruction. Wave, the next frequent formative principle, is a representative principle of fluidity in form that expresses infinite fluidity akin to biological form or a consistent wave, like that of water. Folding leads the dimensional change of architecture and is related with its functional aspect of traveling system of internal organization or program and is connected to the concept of topological transformation. Founded in various recent works, folding is a formative principle to freely organize a space with rapidly changing digital technology and will be a more important method of architectural form in the future. The non-frequent formative principles of elimination, scaling, disjunction, twisting and distortion are not often found, but some of the formative principles of nonlinear architectural form are found in conjunction with the other principles. In conclusion, the space we are now living in has been modified with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digital technologies which will continue to rapidly change future architectural form and space. Among the changes, the concept of the nonlinear has been an expression of new creative form on architecture. Accordingly, this paper recognizes this nonlinear paradigm and analyzes and consolidates the concept of the nonlinear and formative principles in latest architectural design. The result is a depiction of the architectural design trend, as impacted by this nonlinear paradigm and the associated changes. First, the design process of nonlinear architecture has actively taken advantage of the evolving digital technologies. The architects influenced by digital technology examine the possibilities of new architectural form in a totally different way than existing methods that provides the opportunity for a different spatial experience to those seeking versatile experiences in this complicated era. Secondly, every case studied in this paper has a unique design process of its own. Nonlinear architectures have their roots of space generation achieved through experimentation with the nature of physical materials or by the reflection of regional symbolism which allows us to be designers who emphasize the result over the process and who a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process and the creativity. Thirdly, nonlinear architecture is presented as an objet in form and also as an urban landmark that strengthens a city's competitiveness and economic power in this rapidly shrinking global world. Fourth, according to this study, nonlinear architecture is excellent for pursuing diversity and complexity, but lacks in it's abilities to reflect a region and it's climate, and in combining emotionalism and environmentalism-friendly aspects. If nonlinear architecture could display the regional and cultural identity of space along with new, unusual, and creative applied spatial experience concepts, it becomes a differentiated method of architectural design and an important strategy for cultural survival at the same time. Finally, in the use of newly-born concept of nonlinear concept for corresponding architectural design, the question of how much it could satisfy the quality of our life should be asked and additional in-depth study should be continued. This paper, as a study on the recent concept of nonlinear architecture and formative principles, should be a reference for the application of nonlinear concept to architectural design.

      • 케이팝(K-Pop) 가사 기반의 한국어 교수요목 설계 연구 : 가사 말뭉치와 학습자 요구 분석을 중심으로

        안효정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영문 초록으로 대신함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need for a differentiate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hobby purposes and to design a unique syllabus accordingly. In particular, the intent is to design a syllabus that meets their learning goals by focusing the attention to learners who enjoy K-Pop among hobby learners. The research method was largely on K-pop lyrics corpus analysis and learner needs analysis. Analysis of the K-pop lyrics corpus was carried out using 'kiwi', a morphological analysis tool, and Microsoft Excel. In order to examine not only the features of the part-of-speech classification, but also the distribution of proficiency grades, semantic categories, or communication functional features, high-frequency grammar items and vocabulary were classified into categories. A survey to understand learner needs was created and shared to a global K-Pop online community site focusing on questions to identify the priority needs of learners related to – topic, vocabulary categories, communication skills, assignments – among the K-pop lyrics-based syllabus education contents. Based on the contents of this investigation and analysis, a syllabus design plan based on K-pop lyrics was sought. As a result, we designed a syllabus based on K-pop lyrics by combining high-frequency grammar and vocabulary of K-pop lyrics with the learner's preferential learning needs, selecting and arranging the educational content in the language knowledge area, and combining the topics and tasks of interest. The main implications of syllabus design based on K-pop lyrics derived through the conduct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unlike general expectations, the level of K-pop lyrics is possible even for beginners. Therefore, when K-pop lovers are induced to learn Korean, beginner-level K-pop lyrics-based syllabus can be used to educate them. Second, the reason that learners who have learned beginner level grammar and vocabulary were determined to be insufficient to understand and enjoy K-Pop is because oral expressions, abbreviations, omissions, and neologisms was not taught effectively. It is suggested to actively reflect colloquial expressions, abbreviations, and neologisms on K-pop lyrics based syllabus. Third,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arrangement of grammar items at level 1 and level 2 since they seem to be somewhat far from the learning objectives for K-pop lovers. In particular, it is effective to arrange K-pop high-frequency grammar items in the early stages of learning so that they can be learned first. Fourth, the genre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the results of K-pop high frequency vocabulary should be appropriately reflected in the syllabus. Fifth, the prior learning-related needs identified through the learner needs analysis should be actively reflected in the syllabus design based on analysis between current Korean learners and those who stopped learning Korean, specifically on topic and grammar. Sixth, teaching of ‘emotion/cognition’ vocabulary category should be reconsidered based on vocabulary frequency analysis and learner needs survey. Seventh, it was found that both K-pop enthusiast learners and prospective learn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vocabulary and grammar education, hence the intent to set grammar as the educational content category of K-pop-based Korean syllabus. In conclusion, a sample K-pop lyrics based Korean syllabus was created by focusing on the part where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K-pop coincide with the needs of learn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to prepare a specific framework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K-pop enthusiast learners by providing basic data for designing a K-pop lyrics based syllabus. In addition, design of the K-pop lyrics based syllabus will lead to efficient Korean learning and vice versa, ultimately promoting K-pop enthusiast learners to continue to learn Korean as well as prospective but hesitant Korean learners to start to learn Korean. Also, based on the fact that K-pop enthusiast learners prefer various types of self learning channels, it is suggested to utilize the sample K-pop lyrics based Korean syllabus to implement various self learning materials through further studies. Key words: K-Pop enthusiastic learner, Korean for Specific Purpose, K-Pop lyrics Corpus, Survey on learner’s needs, K-Pop lyrics based Syllabus desig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 항공사 객실 물적서비스 요인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안효정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항공기 객실에서 제공되는 물적서비스 요인에 대하여 항공 여행 승객과 객실 승무원을 대상으로 중요도와 만족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객실 물적 서비스 요인에 대한 두 연구 대상별 인식의 차이를 제고하고 우선 중점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영역을 검증해냄으로서 항공사 마케팅에 관한 경쟁력 있는 전략적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승객을 대상으로 한 IPA 분석 결과 제 Ⅰ사분면 : 현 상태 유지영역에는 기내식 품질의 우수함, 휴대수하물 보관공간의 여유로움, 기내통신장비 이용의 편리함, 개인휴대기기 사용의 편리함, 화장실 용품의 품질, 화장실의 청결도, AVOD시스템의 우수함, 영화프로그램의 다양함, 담요, 베게, 수면안대의 품질, 기내면세품의 다양함, 기내의료장비의 품질요인이 해당되었다. 제 Ⅱ사분면 : 우선 개선이 필요한 집중영역에는 기내식 메뉴의 다양함, 기내식 선택의 용이함, 좌석 앞, 뒤 공간의 여유로움, 좌석의 편안함, 객실 공간의 여유로움, 충분한 화장실 개수, 충분한 여성 화장실 개수, 헤드폰, 이어폰의 품질, 유아용 요람의 품질 요인으로 나타났다. 제 Ⅲ 사분면 : 낮은 순위 영역에는 특별식 메뉴의 다양함, 단편물 프로그램의 다양함, 독서물 및 오락물의 다양함, 어린이 탑승 기념품의 종류의 다양함, 어린이 탑승 기념품의 품질 요인이 해당되었다. 제 Ⅳ 사분면 : 과잉 영역에는 기내음료 종류의 다양성, 기내음료의 품질, 기내음료 선택의 용이함, 특별식 품질 요인, 음악프로그램의 다양성, 편의물품의 품질 요인이 해당되었다. 승무원을 대상으로 한 IPA 분석 결과 제 Ⅰ사분면 : 현 상태 유지영역에는 화장실의 청결도, AVOD시스템의 우수함, 영화프로그램의 다양성, 기내의료 장비의 품질 요인이 포함되었다. 제 Ⅱ사분면 : 우선 개선이 필요한 집중영역에는 기내식의 품질, 기내식 선택의 용이함, 기내음료 선택의 용이함, 좌석의 앞, 뒤 공간의 여유로움, 좌석의 편안함, 휴대수하물 보관공간의 여유로움, 객실공간의 여유로움, 충분한 화장실 개수, 편의물품의 품질, 담요, 베게, 수면안대의 품질, 헤드폰, 이어폰의 품질 요인이 포함되었다. 제 Ⅲ 사분면 : 낮은 순위 영역에는 기내통신장비 이용의 편리함, 충분한 여성전용 화장실 개수, 단편물 프로그램의 다양성, 독서물 및 오락물의 다양성, 어린이 탑승 기념품의 종류의 다양성과 품질, 유아용 요람의 품질 요인이 포함되었다. 제 Ⅳ 사분면 : 과잉 영역에는 기내식 메뉴의 다양함, 기내음료 종류의 다양함, 기내음료 품질의 우수함, 특별식 메뉴의 다양함, 특별식 품질의 우수함, 개인휴대기기 사용의 편리함, 화장실 용품 품질의 우수함, 음악프로그램의 다양함, 기내 면세품의 다양함 요인이 해당되었다. 각 물적서비스 요인에 따른 중요도와 만족도는 중요도에서는 큰 인식의 차이가 없었고 물적서비스 12가지 요인에 대한 만족도에서 두 연구 대상별 인식의 확연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두 집단에서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만족도가 낮아 우선 개선이 필요한 영역에 공통적으로 해당되는 요인으로 기내식 선택의 용이함, 좌석 앞, 뒤 공간의 여유로움, 좌석의 편안함, 객실공간의 여유로움, 충분한 화장실 개수, 헤드폰, 이어폰의 품질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항공사는 승객의 메뉴 선호도를 국적별, 성별, 연령 등 변수에 따라 치밀하게 분석하고 그 데이터를 기반으로 승객 예약률 대비 메뉴별 탑재량을 충분히 하여 승객으로 하여금 원하는 기내식을 취할수 있도록 선택의 용이함을 보장할 만한 방안을 모색하여 승객의 만족도를 높이는 동시에 승무원의 만족도도 충족시켜야 하겠다. 또 좌석의 편안함, 좌석과 객실의 여유로움에 대한 개선 요구를 제고하고 이를 위해 항공기 제반 시설 설치시 승객의 요구 사항을 정확히 반영할 필요가 있고 또한 일반석과 비즈니스석, 일등석에 대한 좌석의 차별화를 확실히 하여 차별화된 서비스로 만족도를 높이는 방안도 모색할 수 있다. 또 제공되는 서비스 용품중 헤드폰, 이어폰의 품질을 높임으로써 기내오락을 수준 있게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도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항공기 이용 클래스 별로 중요도와 만족도가 상이할 수 있고 표본의 편차가 있을 수 있어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 물적 서비스 항목을 더 세분화 구체화하고 좌석 등급별 중요도 만족도를 면밀히 분석, 정교한 표본 추출 및 표본 수를 확대 하여 승객과 승무원의 NEEDS를 정확히 검증한다면 항공사 마케팅 전략에 유용하게 활용 될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 도자 식기디자인 제작 연구 : 기하학적 선(線)문양 중심으로

        안효정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Tableware has been closely related to human life from a very long time ago. Ancient people used bowls to hold food or other items, and those bowls have been an indispensable basic tool for survival up to now. In a contemporary sense, the use of bowls has been emphasized not only as a practical tool but also an item which makes us enjoy relaxation for richer life and adds decoration to a residential space based on economic growth. Accordingly, the selection of tableware is focused on design which beautifies our living space, and expresses our own personality in a harmony of colors and shapes. Geometric design harmonizes naturally with space as a logical and rational basic type which includes the order of nature. Also, such design adds simple, contemporary, and refined feels, and offers a functional space. In a sense that geometry is a visualized ‘seeing’, its regular arrangement and the beauty of balance give visual lucid, stable, and reasonable feeling to contemporary people who are weary of life. This study aimed to conduct research into tableware design which may even decorate a space by focusing on a surface decoration with the use of geometric lines based on a round type tableware shape. With this aim, the study conducted an overall review of ceramic tableware and dietary life first, and tried to help create tableware design by utilizing geometric lines based on the concept, type, and characteristics of geometric lines. In order to enhance the color anodizing level of a trial product, the study used white porcelain earth, and for the safety of tableware, the study went through the procedure of the primary firing up to 850℃ and the second firing by complete combustion at 1250℃ by using a transparent oil with high resolution. Hopefully, tableware which may complement various and diversified dietary lives of contemporary people, and is in harmony with the practicality and aesthetic nature that utilizes a crafty feeling fully instead of mass-produced tableware becomes popular.

      •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초등사회과 국제이해교육 교재개발

        안효정 한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world has become a global village as it has been interwoven into one in the structure of the entire global network. While the world is becoming narrower, diverse regional differences still exist. The desirable order, in which people recognize such regional differences and respect each other, is needed. Citizenship in the 21^(st) century is not limited to a regional society but expanded to that of the world. Now the quality of the person, who are equipped with the value and attitude that the person should have not only as a constituent of a country but also as a citizen of the global village, and who are equipped with the attitude of executive ability to solve diverse problems like global crises, is required. order to live on as world citizens in this age, the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to understand the interdependence and correlations, which the world’s all nations, countries, races and cultures have, is evidently needed. So far the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n Korea has been reflected on the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and has been conducted. Despite the continued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it is a reality that the teenagers in Korea actually lack the consciousness of the world citizen. The examples include the problems of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being left out in the cold, little participation in international volunteering service for the third world aid, discriminating consciousness of rich countries and poor countries, ignoring the students from poor countries while being favorably disposed toward the students from English speaking countries. It can be seen that these reveal the limitations of the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conducted from the view point of humanism. So, as an alternative to this, the development of the teaching materials for the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based on the Christian view of the world is needed. The Christian view of the world pursues the spirit of stewards, altruistic love and service, respect for dignity of all personality and communal apprenticeship based on fairness. Judging from this, practicing the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based on the Christian view of the world is expected to be helpful to achieving the original goal of the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limitations of the contents of Unit 2-2, ‘Our Country in the Global Village’ in the social studies textbook for the 2^(nd) semester of the 6^(th) graders of the existing elementary schools and restructured to present the teaching materials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global environment and for the understanding of diverse cultures of mankind. The research methodology was based on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which has been taught in the existing 7^(th) Curriculum.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showed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schools are limited to simple acquisition of knowledge presented in the global village section of the social studies textbooks. So this study presents the teaching materials for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which are structured based on the Christian view of the world for the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focusing on ‘the Global Village Where We Live Together’in Unit 2-2 of the 2^(nd) semester the textbook for the sixth graders. The contents of the teaching materials were so structured that pupils can realize the duties of the stewards who are to restore the earth, which is given to us as God’s gift, to the original state of the beautiful and harmonious earth with a deep sense of gratitude, and that they can view the various problems of the global village by becoming a true neighbor to their neighbors in this society of the global village, based on the Biblical commandment, "Love your neighbor as yourself (Matthew 22:39). "Furthermore, the teaching materials were so structured that pupils can think about how their neighbors’ lives are in this society of the global village, what their neighbors’ problems and solutions are, and that they can learn and practice the love of neighbors and the community consciousness and responsibilities. Also, the teaching materials were so structured that they provide the practical opportunity for the pupils to foster the sense of responsibilities and positively interact and experience that the classmates are also neighbors as a community just as the global village is a neighbor. 세계는 전지구적 네트워크 구조 속에 하나로 엮어지면서 지구촌이 되었다. 세계는 좁아지고 있으면서도 또한 다양한 지역차가 존재하는데, 이러한 지역차를 인정하고 상호 존중할 수 있는 바람직한 질서를 필요로 하고 있다. 21세기의 시민성은 한 사회 안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세계의 시민으로 확대된다. 이제는 국가 구성원으로서 뿐 아니라 지구촌 시민으로서 가져야할 가치와 태도, 지구적 위기와 같은 다양한 문제에 대한 실천력 있는 태도를 갖춘 사람으로서의 자질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시대에 세계 시민으로 살아가기 위해 세계 모든 민족, 국가, 인종, 문화가 갖고 있는 상호 의존성과 연관성을 이해하려는 국제이해교육은 분명 필요하다. 지금까지 우리나라 초등학교에서의 국제이해교육은 사회과 교육과정에 반영되어 실시되어 왔다. 그런데, 지속적인 국제이해 교육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세계시민 의식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다문화 가정 자녀의 집단 따돌림 문제나 제3세계 구호를 위한 국제봉사활동 참여가 저조한 점, 부강한 나라와 가난한 나라에 대한 분명한 차별의식을 갖고 있어 가난한 나라에서 온 전학생을 무시하는 반면 영어권 나라에 대한 특별한 호감을 갖고 있는 점 등이 그 실례인데, 이것은 지금까지의 인본주의적 관점의 국제이해교육의 한계를 드러내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국제이해교육 교재개발이 필요한 것이다. 기독교 세계관은 청지기 정신, 이타적인 사랑과 섬김, 모든 인격의 존엄성과 가치 존중, 공평에 기초한 공동체적 제자도를 추구하고 있다. 이것을 볼 때 기독교 세계관을 바탕으로 국제이해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국제이해교육의 본래 목표를 이루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초등학교 사회과 6학년 2학기 2-2단원 ‘지구촌 속 우리나라’ 단원의 내용의 한계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지구 환경의 이해와 인간의 다양한 문화 이해를 위해 교재를 재구성하여 제시하고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 현행 제7차 교육과정에서 가르치고 있는 국제이해교육 내용분석을 하였다. 교과서 내용 분석 결과 초등학교 사회과에서는 지구촌 영역에서 제시된 지식을 단순하게 습득하는 수준에 그칠 가능성이 높으므로 기독교적 세계관에 기초한 초등 사회과에서의 국제이해교육 교재를 6학년 2학기 2-2단원 ‘함께 살아가는 지구촌’을 중심으로 제시한다. 교재의 내용은 하나님의 선물로 우리에게 주어진 지구를 감사하는 마음을 갖고 처음의 아름답고 조화로운 상태로 회복시키려는 청지기적 의무를 깨달을 수 있도록 내용 구성을 하였다. 그리고,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마22:39)”는 성경의 명령을 근거로 이 지구촌 사회에서 나의 이웃들에게 내가 진정한 이웃의 입장이 되어 지구촌의 여러 가지 문제를 바라볼 수 있도록 하였다. 지구촌 사회에서 내 이웃의 삶은 어떠한지, 그들의 문제는 무엇이고, 원인과 그 해결책은 무엇인지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하였고, 또한 이웃 사랑을 실천할 수 있도록 교재를 구성하여 공동체 의식과 이웃사랑, 책임감을 배우며 실천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인적인 책임감을 기르며 긍정적으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실천적인 기회를 제공하여 지구촌이 하나의 이웃이 듯이 학급의 친구들도 하나의 공동체로서 이웃임을 활동을 통해 몸으로 배울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중학교 3학년 영어교과서에 나타난 연어에 대한 연구

        안효정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Lexical competence is a central part of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teaching vocabulary is a central part of teaching language. Recently, there has been an approach, which is called "Lexical Approach", which Lewis argues that "Language consists not of traditional grammar and vocabulary but often of multi-word prefabricated chunks." In the traditional point of view, language competence consists of having a foundation of grammatical structures into which we slop individual words. However, according to the Lexical Approach, language learning is essentially a process of item learning, as opposed to rule learning. In the light of the importance of English education in Kore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English textbooks that most Korean students use to see whether the collocations are included in them and if so, whether they are correlated with task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ollocations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 middle school 3rd year English textbooks have a correlation between collocations in the reading part and tasks or no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llocations in the reading part of five kinds of English textbooks and correlation between the collocations and tas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textbooks include individual words at the bottom of the reading part. But only four textbooks, B, C, D and E textbooks, have collocations. Second, each textbook consists of several tasks. But, A and E textbooks focus on only listening, reading, writing and speaking skills, so they don't have correlation between collocations in the reading part and tasks. Only B, C and D textbooks consist of collocation activity tasks, so they have correlation between collocations in the reading part and tasks. However,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at students sufficiently can study collocations through the textbooks, because in every chapter, the number of the collocations activity tasks is very few, only three.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ome implications for English Education. First, textbooks should provide systematic collocation lists. Second, teachers should help their students be aware of these collocations explicitly and learners can benefit from awareness of lexical units and come to produce language naturally. Third, teachers should also try to provide enough input for students to use various collocations successfu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