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주생활양식 유형과 거주지역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이미연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703

        주택보급률이 만족할 만한 수준에 이름에 따라 주택 수요자들의 선택의 폭이 넓어짐과 동시에, 고도의 경제성장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이 주택정책의 방향을 주택의 양적 공급에서 질적 수준 향상으로 전환하게 하였다. 또한 주택에 대한 개념도 주택 자체의 물리적 특성에 국한되었던 과거의 차원을 넘어서 주택이 갖는 사회적, 심리적 특성을 포함하는 보다 복합적인 환경개념으로 바뀌게 되었다. 이처럼 주택선택 폭의 상대적 증가와 주택의 질 및 주거환경에 대한 중요성 인식 등이 기존의 주택수요 패턴에 변화를 초래하고 있으므로, 주택시장에서도 이제는 가구 특성에 따른 시장세분화(market segmentation)를 통해 개별 가구의 주거선택을 예측하고, 다양한 수요자의 요구에 맞는 주거환경을 제공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러나 시장을 세분화하고 수요자의 주거선택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단순히 소득이나 연령 등 거주자의 일반적인 특성변수만으로 해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심리적 특성의 풍부함과 삶의 방식의 다양함을 반영하여 인구통계학적 변수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주생활양식의 개념은 빠르게 변화하는 주택시장의 소비패턴에 대응하기 위한 소비자 차별화전략으로서 유용하다. 본 연구는 시장세분화 개념으로서의 주생활양식과 지역별로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는 주거환경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러한 필요성에 근거하여 수도권 거주자의 주생활양식을 파악하고, 복합적 주거환경 개념이라는 측면으로서의 주생활양식 유형과 거주지역과의 상관성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인터넷 설문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생활양식, 주생활양식, 주거선호, 도시 주거입지의 개념과 특성 등을 파악하였고, 조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주생활양식, 현 거주지역, 희망거주지역, 선호이유를 측정하는 문항으로 조사도구를 구성하여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의 아파트에 거주하는 주부로 제한하였고, 조사대상의 표집은 온라인 리서치 업체의 회원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위한 설문요청 안내 e-mail을 보낸 후, e-mail을 읽은 사람들이 해당사이트로 자동으로 링크되어 설문에 응답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조사기간은 2003년 4월17일∼22일과 5월1일∼3일에 걸쳐 진행되었고, 유사중복 문항을 통해 신뢰성이 낮은 응답자는 배제하였으며, 그 결과 수집된 표본 311개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교차분석, 카이자승 검정, 요인분석, 군집분석, 분산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수도권 거주자의 주생활양식과 거주지역의 상관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본 연구의 목적에 접근하기 위하여, 주생활양식과 거주지역 각각의 특성을 구조적으로 이해하는 단계가 선행될 필요가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거주지역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어떤 특성의 사람들이 현재 어느 지역에 거주하며, 또한 어느 지역에 거주하기를 희망하는가에 대하여 파악한다. 둘째, 주생활양식 유형은 삶의 다원적인 측면을 나타내는 복합적인 변인이므로, 수도권 거주자들의 주생활양식이 어떠한가를 이해하기 위하여 주생활양식을 유형화한다. 셋째, 주생활양식 유형과 거주지역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를 파악한다. 이러한 연구 문제들에 대한 분석결과 중 중요한 부분을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수도권 거주자들이 희망하는 거주지역은 서울 인접권의 비율이 가장 높았는데, 이는 수도권에 대한 다수의 연구에서 볼 수 있듯이 수도권의 교외화 현상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현 거주지역별로 희망하는 거주지역을 분석해 보았을 때, 서울 강남권과 강북권, 그리고 서울 인접권 거주자들은 대체로 자신이 현재 거주하는 지역을 선호하며, 그 다음으로는 서울 인접권을 선호하였다. 이는 대부분 거주자들이 현재 거주지를 가능한 바꾸기 원치 않고 그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장소애착(Place attachment) 경향을 보이며, 전반적인 주거선호 패턴은 자신이 현재 거주하는 지역과 주거환경이 상대적으로 좋은 지역을 선호한다는 기존 연구들의 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 밖의 기타 경기지역 거주자들은 자신이 현재 거주하는 지역보다 서울 인접권을 더 선호하였는데, 이는 현 거주지에 대한 장소애착보다 주거환경이 상대적으로 좋은 지역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상향이동욕구가 더 강하게 나타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학력이나 소득, 가족 수에 따라 현 거주지와 희망거주지가 차이가 있었다. 그 중 학력과 소득이 높은 집단일수록 서울 강남지역에 거주하거나 거주를 희망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난 결과를 통하여, 수도권의 불균형적인 발전과 위계적 계층의식에 따른 주거지 분리현상이 심화되고 있음을 보였다. 각 지역을 선호하는 주요 이유는, 서울 강남권은 교통과 교육환경, 서울 강북권은 교통과 근린시설, 서울 인접권은 자연환경과 지역이미지, 기타 경기지역은 자연환경과 친지와의 근접성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수도권 각 지역에 대한 거주자들의 인식을 간접적으로 시사한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주택가격이나 투자전망, 단지의 규모나 주거밀도, 건축연도 등과 같은 이유보다 자연환경, 교통, 지역이미지, 근린시설 등의 이유를 우선적으로 꼽았다는 점은, 거주자들의 주거에 대한 개념이 주택자체나 단지의 범위에서 확대되어 좀 더 광범위하고 복합적인 주거환경개념으로 바뀌고 있음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둘째, 수도권 거주자의 주생활양식을 보다 간단한 구조로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한 요인분석을 통하여 편의실용 추구성, 여가활동지향성, 개성추구성, 심미추구성, 물질과시 지향성, 적극적생활, 간편추구성, 입지중시성, 보수 전통성, 검소성, 쾌적환경 추구성, 프라이버시 중시성, 휴식지향성, 개방성 등 14가지 요인을 추출하였다. 또한, 이 14가지 요인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쾌적환경 추구형' 39.9%, '도시생활 추구형' 28.0%, '검소 및 여가활동 지향형' 32.2%로 주생활양식 유형이 분류되었다. 이러한 주생활양식 유형은 연령과 소득, 가족수 등의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유의적인 관계가 있었다. 쾌적환경 추구형은 36세 이상의 연령, 4인 가족, 300만원 미만과 400만원 이상의 소득집단에서, 도시생활 추구형은 31∼35세의 연령, 5인 이상의 가족, 300∼400만원의 소득집단에서, 검소 및 여가생활형은 30세 이하의 연령, 2∼3인 가족, 200만원 미만과 400만원 이상의 집단에서 비교적 높은 분포를 보였다. 그러나 학력, 직업, 주택 규모, 가족생활주기, 가족구성 등의 변인에 따른 주생활양식 유형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의 주 목적인 주생활양식 유형과 거주지역은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쾌적환경 추구형은 서울 강북권과 기타 경기지역, 도시생활 추구형은 서울 강남권, 검소 및 여가활동 지향형은 서울 인접권과 기타 경기지역에 상대적으로 높은 분포를 보였다. 그리고 거주지역 선호이유에 대해서는, 쾌적환경 추구형은 자연환경, 근린시설, 지역이미지, 교통의 편리성 순으로, 도시생활 추구형은 지역이미지, 교통의 편리성, 직장이나 학교와의 근접성, 근린시설, 교육환경 순으로, 그리고 검소 및 여가생활형은 자연환경, 교통의 편리성, 직장이나 학교와의 근접성, 지역이미지, 친지와의 근접성 등의 순으로 선호 이유를 선택하였다. 즉 주생활양식 유형의 성향과 희망지역 선호이유는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한다. 첫째, 주생활양식에 따라 현재 살고있는 지역 및 장래에 거주를 희망하는 지역이 다르다는 결과는 거주자의 삶의 방식을 예측하는데 지역이 중요한 변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즉, 거주지역이라는 것은 삶의 방식이 다른 거주자들을 담고있는 하나의 환경적인 세팅이며, 본 연구에서 다룬 네 지역은 그에 따라 각각 다른 방식의 삶을 수용하고 있었다. 또한, 생활양식 뿐만 아니라 소득과 학력 등의 사회인구학적 변인도 거주지역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즉, 거주지역이라는 개념은 우연히 선택하게 된 환경이 아닌, 이러한 변인들과 삶의 방식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난 선택의 결과이다. 둘째, 일부 수도권 거주자들은 상향이동욕구를 가지고 있으나, 전반적으로는 현재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에 대해 심리적인 애착이나 정착하고자 하는 성향을 보인다. 이와 더불어 신도시로 대표되는 서울 인접권 지역은, 서울지역 거주자들에게는 보다 쾌적한 환경으로서, 그 밖의 경기지역 거주자들에게는 좀 더 편리한 도시적 환경으로서 수도권 거주자들을 끌어들이는 상대적인 흡인력이 있다. 그러므로 주택사업 분야에서 사업대상 지역 소비자의 일반적 특성과 주생활양식에 대한 분석은, 주택의 기획단계에서부터 분양단계에 이르기까지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즉, 그 지역에 비교적 많은 분포비율을 보이는 소비자 계층과 주생활양식 유형을 중심으로 하는 제품전략의 개발, 설계, 홍보 등을 시도한다면, 주택 공급자 측면에서는 제품의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이고, 소비자 측면에서도 자신의 특성과 요구에 맞는 주거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As the housing supply ratio reaches the satisfactory level, the user for housing became to have a wide range of selec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improvement of the standard of living by a rapid growth of economy has changed the direction of housing policy from the supply in quantity to the improvement of level in quality. And also, the idea for housing has been changed as more complex environmental concept including soci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the housing contains, beyond the simple concept limited to physical characteristic of housing itself in the past. As the relative increase of the range of housing selection and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for the quality of housing and residential environment bring about the change of the existing housing demand pattern, now in the housing market, the necessity to estimate the housing selection of individual household through market segmentation by the household characteristic and provid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o meet various demand of the users is gathering strength. However, there are some restrictions to apply general characteristic variables of residents such as income and age etc. when segmenting the market and estimating the housing selection of the users. Thus, it is useful to apply the concept of housing life style that reflects the richness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and various ways of life as well as supplements the weakness of demographical variable, as a differentiation strategy for consumer so as to correspond to the consumption pattern of a rapidly changing housing market.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recognize the housing life style as the concept of market segmentation and the importance of residential environment that shows various changes locally, and based on this necessity, grasp the housing life style of resi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establish the correlation between residential area and the type of housing life style in the respect of the concept of complex residential environment. As a research method, we used the references study and internet survey, Through references study, we understood the life style, housing life style, residential preferenc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urban residential location etc. while we carried out the internet survey by forming the survey tool with the questions measuring the socio demographical characteristic and housing life style of the survey target, the present residential area, the desired residential area, and the reason of preferences. The survey target is limited to the housewife living in the apartment and sending e-mails with information of the survey for this research to the members of online research institute and letting the ones who read e-mail link to the corresponding site automatically to respond to the questionnaires obtained the sampling of survey target. The research period was carried out from April 17 - 22 and May 1 - 3, 2003 and the respondents with low reliability were excluded through similar duplicated items. As a result of this process, the 311 samples collected were used for this analysis. As a method of analysis, we used Frequency, Crosstabs, Chi-Square Test,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 etc. To approach to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to grasp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ousing life style of resident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residential area, as we ne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using life style and the residential area structurally as a condition precedent, we set the concrete issues of study for this research as follows. First, verify which residents who have any characteristics are living in which area at the present, and which area they want to live, in order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more about the residential area. Second, materialize the housing life style so as to understand what is the housing life style of the residents who are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as the type of the housing life style is the complex factor which shows the plurality of the life. Third, verify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the type of housing life style and the residential area. The followings are the important parts of the analysis results for these study issues. First, the residential area desired by the present resi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is the area adjacent to Seoul that shows the highest ratio. This means that the suburbanization of metropolitan area is continuing as shown on various research for the metropolitan area. When analyzing the desired residential area by the present residential area, most of residents in the Gangnam area and Gangbook area in Seoul and the residents living in the area adjacent to Seoul preferred the area where they are living now, and the next is the area adjacent to Seoul. This shows the tendency of Place Attachment that most of residents don't want to change the present residential area if possible and evaluate it positive, and the fact matching with the results from the existing research that for general pattern of residential preference, people prefers the area where they are living now and the area wher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s relatively better. However, the residents living in other Gyunggido area preferred the area adjacent to Seoul more than the area where they are living now which shows the strong upward movement desire that they want to move to the area wher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s relatively better than Place Attachment for the present residential area. And also,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present residential area and the desired residential area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 Income, the number of family. Through the result that the group with the higher educational level and income has the higher ratio that they are living or desire to live in Gangnam Area in Seoul, we got to know that the residential area separation phenomena caused by unbalancing development of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hierarchical sprit of social grade has deepened. The main reasons why they prefer each area are transportation and education environment for Gangnam area in Seoul, transportation and neighboring facility for Gangbook area in Seoul, natural environment and local image for the area adjacent to Seoul, and natural environment and the vicinity of their relatives for other area in Gyunggido. Such results imply the recognition of the residents for each area in the metropolitan area indirectly. And generally viewing, the fact that the residents selected natural environment, transportation, local image, neighboring facility etc. as the first reason other than housing price, investment prospective, the size of district, residential density, the year of building etc. shows that the idea of the residents for housing has extended from the range of housing itself and apartment development and changed to the concept of wider and more complex residential environment. Second, we made the housing life style of resi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as simple and typical structure for easy understanding. Through the factor analysis, we have extracted 14 factors such as pursuit of convenience practicality, leisure activity directive, pursuit of individuality, aesthetic pursuit, material showing off directive, active life, pursuit of simplicity, location-oriented, conservational tradition, frugality, pursuit of comfortable environment, privacy-centered, rest directive, openness etc. And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using these 14 factors, the type of housing life style of respondents was classified as "pursuit of comfortable environment" 39.9%, "pursuit of urban life" 28.0%, "frugality and leisure activity directive" 32.2%. These types of housing life style has a significant relation with socio demographical variable factor such as age, income, the number of family etc. The type of "pursuit of comfortable environment" showed relatively a high distribution in the group that contains the age of over 36 years old, 4 persons family, the income below 3 million KRW and more than 4 million KRW, the type of "pursuit of urban life" in the group that contains the age of 31-35 years old, the family having more than 5 persons, the income of 3-4 million KRW, the type of "frugality and leisure life" in the group that contains the age less than 30 years old, 2-3 persons family, the income below 2 million KRW and more than 4 million KRW. But, it showed also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type of housing life style according to the variable factor such as educational level, occupation, the size of housing, the period of family life, family composition etc. Thir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ype of housing life style and residential area, which i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The type of "pursuit of comfortable environment" showed relatively a high distribution in the Gangbook area in Seoul and other area in Gyunggido, the type of "pursuit of urban life" in the Gangnam area in Seoul, and the type of "frugality and leisure activity directive" in the area adjacent to Seoul and other area in Gyunggido. As the reason of preference for residential area, the type of "pursuit of comfortable environment" selected natural environment, neighboring facility, local image,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the type of "pursuit of urban life" selected local image,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the vicinity of business office and school, neighboring facility,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order, and the type of "frugality and leisure life" selected natural environment,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the vicinity of business office and school, local image, the vicinity of relatives in order. That is, there are close relation between the type of housing life style and the reason of preference for the desired area. Based on the result of these analysis, we propose the conclusion as follows : First, the result that according to housing life style, the present residential area and the desired area to live in the future are different, implies that the area can be an important factor to estimate a way of life of the residents. That is, the residential area is one of environmental setting that contains other residents who have a different way of life, and thus, 4 areas taken in this research also shows the acceptance of such different way of life, respectively. And also, the socio demographical factor such as income and education level etc. can be served as an important variable to the residential area. That is, the concept of residential area is not the environment selected by chance but the result of selection caused by complex reaction of these variables and a way of life. Second, some of resi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has the desire to upward movement but in general, they shows the psychological attachment and the tendency to settle to the area where they are living now. With these phenomena, the area adjacent to Seoul, represented as New City, has a relative attraction as more comfortable environment to the residents in Seoul area and as more convenient urban environment to the residents in other Gyunggi area except this area. Thus, the analysis of general characteristic and housing life style of local consumer in the housing business field, can be applied as a useful data from planning stage to selling stage. That is, if you try to develop, design and promote the product strategy that concentrates the consumer class having a high distribution ratio relatively and the type of housing life style, this will be a good opportunity for the housing supplier to enhance the value of product and also in the respect of consumer, this will be a good opportunity to get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o meet their characteristic and demand.

      • 거주자 중심 스마트홈에 관한 연구 : 라이프스타일과 주생활양식을 중심으로

        이주령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703

        디지털과 정보기술의 발달이 주거공간에도 영향을 미침으로써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재택학습, 재택근무, 재택의료 등과 가사업무를 도와주는 홈쇼핑, 홈뱅킹, 그리고 가정에서 여가생활을 지원하는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인간과 사물간의 홈네트워크, 홈오토메이션과 거주자의 요구나 변화를 감지하는 지능형 센스를 갖춘 스마트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하지만 거주자의 개성화된 정보의 중요성이 배제된 채 유비쿼터스 기술(Ubiquitous Computing & Network Technology, 이하 uT라고 칭함)이 주거에 도입되어 획일화된 주거환경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다. uT시스템의 무분별한 도입과 고가의 장비가 사장되어 결국 국가적 낭비를 초래하는 결과를 미연에 방지하기위하여 라이프스타일과 주생활양식을 중심으로 한 거주자 중심의 다양한 스마트홈의 구축방안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라이프스타일과 주생활양식을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거주자 중심의 스마트홈에 대한 계획지침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온라인 설문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라이프스타일, 주생활양식, uT 시스템 선호도, 스마트홈의 개념과 사례 등을 조사 하였고, 조사대상자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 및 주생활양식, 라이프스타일, uT 시스템 선호도를 측정하는 질문으로 조사도구를 구성하여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18세 이상으로 하였고, 조사기간은 2004년 6월11일~14일에 걸쳐 진행되었고, 그 결과 수집된 표본 180개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for Win 10.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카이자승 검정, F검정, 요인분석, 군집분석, 분산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라이프스타일은 물질출세 지향적 성향, 긍정적 보편성향, 실리적 자기중심 성향, 가정 중심적 성향의 6개의 요인으로 추출하여 군집분석을 실시 한 결과, 여성의 경우 결혼해도 자신의 직장을 갖는 것이 좋으며, 인간의 본성은 착하다고 생각하는 ‘실리보수적 생활형’이 36.7%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실리적이면서도 금전적인 만족 없이는 행복해질 수 없고, 인생의 목표가 출세인 ‘실리물질출세 지향적 생활형’이 24.4%, 물질출세를 지향하면서도 체면 때문에 자신의 생활이 얽매이기 싫어하는 ‘물질출세 지향자기중심적 생활형’이 21.1%, 실리적이면서도 성공을 위해서 개인의 즐거움을 희생하고 싶어 하지 않는 ‘실리자기중심적 생활형’이 17.8% 순으로 나타났다. 2) 주생활양식은 휴식지향성취미추구성프라이버시 중시성, 외부활동물질환경중시성현대성안락성적극성, 편의실용성검소성가족생활중시성, 개성유행 심미추구성 등 4개의 요인으로 추출하여 군집분석을 실시 한 결과, ‘외부활동물질환경 중시 주생활형’이 45.6%, ‘휴식여가 주생활형’이 34.4%, ‘개성심미추구 주생활형’이 20.0% 순으로 나타났다. 3) uT 시스템은 안전성정보성건강지향성, 오락성편리성정보성, 효율성에너지 절약성 등의 4개의 요인을 추출하여 군집분석을 실시 한 결과, ‘에너지절약안정성 시스템’ 유형이 41.1%, ‘안전성건강 지향성 시스템’이 21.7%, ‘에너지절약건강지향성 시스템’이 18.9%,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이 18.3%의 순으로 나타났다. 4) 라이프스타일, 주생활양식, uT 시스템 유형은 연령과 소득, 학력, 직업, 주택규모, 가족구성 등의 변인과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의 목적인 라이프스타일, 주생활 유형, uT 시스템유형사이의 관계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실리·보수적 생활형’의 라이프스타일 양식을 가진 조사대상자의 경우 ‘외부활동물질환경 중시형 주생활양식’유형(47.0%)과‘휴식여가생활형 주생활양식’유형(40.9%)에 대해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실리물질 출세 지향적 생활형’의 라이프스타일 양식을 가진 조사대상자는 ‘개성심미활동 추구형 주생활양식’유형(47.7%)과 ‘외부활동·물질 추구형 주생활양식’유형(45.5%)에, ‘실리자기중심생활형’의 라이프스타일을 가진 조사대상자는 ‘외부활동물질·환경 중시형 주생활양식’유형(59.4%)에, ‘물질출세 지향적자기중심 생활형’인 라이프스타일 양식을 가진 조사대상자는 ‘휴식여가형 주생활양식’유형(52.6%)에 높은 분포를 보였다. 또한 ‘휴식여가형 주생활 양식’을 가진 조사대상자는 ‘에너지절약안전성 시스템’유형(48.4%)과‘안전성건강 지향성 시스템’유형(33.9%)에 높은 선호도를 보이며, ‘외부활동물질환경 중시형 주생활양식’을 가진 조사대상자는 ‘에너지절약안전성 시스템’유형(45.1%)과‘건강지향성 시스템’유형(23.2%)에, ‘개성심미추구 주생활 양식’을 가진 조사대상자는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유형(61.1%)에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실리·보수적 생활형’의 라이프스타일 조사대상자의 경우 ‘안전성건강지향성 시스템’유형(46.2%)과 ‘에너지 절약 시스템’유형(41.9%)에 매우 높은 선호도를 보였고, ‘실리물질 출세 지향형’ 라이프스타일 조사대상자는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유형(48.5%)에, 실리자기 중심형’ 라이프스타일 조사대상자는 ‘에너지 절약건강지향성 시스템’유형(26.5%)과‘에너지절약안전성 시스템’유형(21.6%)에, ‘물질 출세지향자기중심형’라이프스타일 조사대상자는 ‘안전성건강지향성 시스템’유형(30.8%)에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1) ‘실리보수생활형’라이프스타일을 가진 소비자는 ‘외부활동·물질환경 중시형 주생활양식’과 ‘여가휴식 지향형 주생활양식’유형을 지니고 있다. 이들이 선호하는 uT 시스템은‘안전성건강지향성 시스템’유형과 ‘에너지 절약 시스템’유형이다. 이러한 소비자를 겨냥한 스마트홈을 계획할 때는 주생활양식을 반영하여 교육환경과 취미공간을 고려한다. 네트워크 카메라를 설치하여 아이와 애완동물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위험사항을 확인할 뿐만 아니라, 방문자를 식별할 수 있는 시큐리티 시스템을 설치하거나, 재난 시 가스 및 기타 밸브를 자동으로 잠그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을 설치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건강화장실과 전자건강체크로 가족의 건강을 돌볼 수 있는 건강 지향성 시스템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년층 거주자들의 사고 시 감지기에 의해 관련기관으로 통보되는 지능형 센스 시스템이 있다. 자동난방온수 시스템, 자동 조명등을 이용한 에너지절약 시스템도 예로 들 수 있다. 2) ‘실리물질 출세 지향적 생활형’의 라이프스타일 양식을 가진 소비자는 ‘개성·심미활동 추구형 주생활양식’과 ‘외부활동·물질 추구형 주생활양식’유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홈 계획단계에서부터 심미적인 실내 환경과 남녀참여 가능한 공동공간을 계획해야 하며, 쉽게 변형 가능한 공간도 고려해야 한다. 이들이 선호하는 uT 시스템은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유형으로써 무엇보다도 집안 곳곳에 CD, DVD, 라디오 등을 조작할 수 있는 컨트롤 시스템이과 홈씨어터 환경이 구축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지능형 센서에 의해서 조절되는 환기시스템, 원격교육과 평생교육이 가능한 환경이 계획되어야 한다. 3) ‘실리자기중심생활형’의 라이프스타일을 가진 소비자의 경우 ‘외부활동물질 환경 중시형 주생활양식’을 가지고 있고, ‘에너지절약안전성 uT시스템’유형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 그래서 스마트홈 계획 시 교육 공간과 공동 공간을 고려해 설계해야하며,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에너지수자원시스템, 자동 온도 조절기 및 자동 조명 시스템과 시큐리티 시스템, 자동 가스 차단기 시스템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4) ‘물질출세 지향적자기중심 생활형’인 라이프스타일 양식을 가진 경우 ‘휴식여가형 주생활양식’유형을 가지고 있고, ‘에너지절약안전성 시스템’유형과‘안전성건강 지향성 시스템에 높은 선호도를 보인다. 이러한 경우 스마트홈 계획 시 개인의 사생활을 잘 보호할 수 있는 구조와 취미활동을 위한 별도의 공간을 고려해야 하고, 시큐리티 시스템과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설치를 고려하여야 한다. 5) 주택 사업 분야에서 라이프스타일과 주생활양식에 대한 분석은 주택의 기획 단계부터 분양단계에 이르기까지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즉 라이프스타일과 주생활양식 유형을 중심으로 하는 다양한 스마트홈의 개발, 설계, 홍보 등을 시도한다면, 주택공급자측면에서는 제품의 차별화로 상품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이고, 소비자 측에서도 자신의 특성과 요구에 맞는 디지털 주거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6)라이프스타일과 주생활양식에 따라 uT 시스템선호는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향후 미래의 스마트홈 계획은 라이프스타일과 주생활양식을 고려해서 계획되어져야 하며 좀 더 다양한 스마트홈을 계획할 수 있도록 보다 구체적인 디자인 지침 마련을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Since the development of Digital and IT(Information-Technology) influences to Residential Space, those studies are actively on progress regarding to Study from Home, Telecommuting, Medical Care from Home which are utilizing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Home-Shopping, Home-Banking that assists for home-affairs, and Entertainment System that supports leisure life at home, Home Network and Home Automation between Man and Material, and Smart-Home where equipped with intellectual sense that perceives of the resident''s requirement or any of change. In the meanwhile, there is a problem that provides a unified residential environment by introduction of Ubiquitous Computing & Network Technology (to be written as uT hereinafter) to residence, quite excluding the importance of individualized informations of the residents. Also, as because those high-valued equipments become spoiled due to the imprudent introduction of uT System, it is regarded as much meaningful thing that a systematic study on building method for the diversified Smart-Home for which centered on Lifestyle and Residential Living Mode as well as Resident-importance, based on the necessity to prevent in advance from the result bringing such national waste. Therefore, this Study grasps its Lifestyle and Residential Living Mode, and on the basis of this, a planning guideline for the resident-centered Smart-Home would be presented. As the studying method, both methods of documentary-study and on-line questionnaire research were used. Through the documentary-study, life style, residential living mode, preferring degree on uT, concept and example-survey of Smart-Home and so on were examined, and internet questionnaire research was also carried out by composition of researching tool with the questioning items about the characteristic and residential living mode in view of socio-population study for questionnaire-object, lifestyle, and measuring of preferring degree on uT, The questionnaire-objects were organized with those people residing in Republic of Korea whose age is more than 18 years old, survey was progressed during June 11~June 14, and then the collected 180 samples as the result were used for the analysis. Analysis of the Data was practiced about frequency-analysis, crossing-analysis, Chi-Square Test, F-Test, cause-analysis, group-analysis, dispersion-analysis, utilizing of SPSS for Win 10.0.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hereunder: 1) Lifestyle was extracted into 6 factors such as material·success-aiming propensity, affirmative universal propensity, utilitarian ego-centered propensity, family-importance propensity, etc, and as the result of group-analysis on them, the following patterns were appeared likely as per following order: woman had better to keep her job even though she gets married, ''utilitarian·conservative living style'' who regards that the original nature of human-being is virtuous, was recorded as highest points as 36.7%, ''utilitarian·material, success-aiming life style'' who is utilitarian and thinks it is unable to be happy without monetary satisfaction, whose target of life is success, was figured at 24.4%, ''material, success-aiming·ego-centered living style'' who dislikes to be fastened to his life for honor''s sake while heading towards success, was pointed at 21.1%, ''tilitarian·ego-centered living style'' who does not want to be sacrificed of private pleasure for the sake of success while he is utilitarian, was gotten at 17.8%, respectively. 2) Residential Living Mode was extracted into 4 factors such as rest-purposing charactertaste-pursuing character, privacy-importance character, outer activity·material environment-importance character·modernity·comfortableness·positiveness, conveniency, pragmatic character·plainness·family life-importance character, personality·vogue, aesthetic-pursuing character, and as the result of group-analysis on them, residential living mode of outer activity·material environment-importance showed up 45.6%, rest·leisure residential living mode was at 34.4%, residential living mode of personality· aesthetic-pursuing was at 20.0%, respectively with above-written order. 3)uT System was extracted into 4 factors such as safety·informative character·health-pursuingcharacter, amusement·conveniency·informatives, efficiency·energy-saving character, and as the sequence of group-analysis on them, the type of ''energy-saving·safety system'' was appeared as 41.1%, ''safety·health-pursuing system'' at 21.7%, ''energy-saving·health-pursuing system'' at 18.9%, and ''entertainment system'' at 18.3%, respectively. 4)Those types among Life style and Residential Living Mode and uT System have been appeared that have no voluntary relationship with the varying factor such as age, income, academic career, occupation, residential scale, family constitution. However, it had voluntary relationship with the object of this Research, namely Life style and Residential Living Mode and uT System. 5)The type of ''utilitarian·conservative living style'' in lifestyle showed high distribution to those ''outer activity·material environment-importance residential living mode'' type(47.0%) and ''rest·leisure life typed residential living mode'' type(40.9%), and also high distributions were given to each those of the followings: the type with lifestyle of ''utilitarian·material, success-aiming life type'' is to ''personality·aesthetic activity-pursuing residential living mode'' type(47.7%) and ''outer activity·material environment-importance residential living mode'' type(45.5%), the type with lifestyle of ''utilitarian·ego-centered living type'' is to ''outer activity·material environment-importance residential living mode'' type(59.4%), the type with lifestyle of ''material, success-aiming·ego-centered living type'' is to ''rest·leisure life typed residential living mode'' type(52.6%), respectively. And also, the type of ''rest·leisure life typed residential living mode has showed high preferring degree to the type of ''energy-saving·safety system''(48.4%) and to that of ''safety·health-pursuing system''(33.9%), and also showed up high preferring degree to each those of the followings: the type of ''outer activity·material environment-importance residential living mode'' is to ''energy-saving·safety system''(45.1%) and the type of ''health-pursuing system''(23.2%), the type of ''personality·aesthetic activity-pursuing residential living mode'' is to ''entertainment system'' type(61.1%), respectively. The type of ''utilitarian·conservative living style'' in lifestyle showed very high preferring degree to the type of ''safety·health-pursuing system''(46.2%) and ''energy-saving system'' type, and also appeared high preferring degree to each those of the followings: The type of ''utilitarian·material, success-aiming life type'' in lifestyle is to ''entertainment system'' type(48.5%), type of ''utilitarian·ego-centered living type'' in lifestyle is to ''energy-saving·health-pursuing system'' type(26.5%) and to ''energy-saving·safety system'' type(21.6%), type of ''material, success-aiming·ego-centered living type'' in lifestyle is to safety·health-pursuing system'' type(30.8%), respectively. In accordance with above-mentioned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 should be produced. 1)The type of ''utilitarian·conservative living style'' in lifestyle holds ''outer activity·material environment-importance residential living mode'' and the type of ''leisure·rest-pursuing residential living mode. Also, uT System what they prefer is type of ''safety·health-pursuing system'' and ''energy-saving system'' type. When planning of Smart-Home, a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pace for recreation should be considered by reflecting of Residential Living Mode, not only for checking the dangerous matter, watching behavior of kid and pet by installation of network camera, but also installation of security system which enables to identify visitor, and Home Automation System also to be set up which makes the gas to be stopped by itself and all of the valves to be locked out automatically when a fire breaks out. Besides, an Intelligence-type Sense System to be installed which reports by the sensor to the call-center as soon as an old man falls down, and the health-toilet and the health-pursuing system also to be installed which is able to care of family health by electronic medical check up. Automatic Room-Heating Hot Water System, Automatic Lighting also to be set up for energy saving. 2) The type of ''utilitarian·material, success-aiming life type'' in lifestyle holds ''personality·aesthetic activity-pursuing residential living mode'' and the type of ''outer activity·material-pursuing residential living mode''. Therefore, when Smart-Home is planned, aesthetic indoor environment and common space where able to participate irrespective of man or woman must be planned, also easily convertible space should be considered, too. And, uT System they prefer, as an ''entertainment system'' type, before everything else, a control system which able to enjoy CD, DVD, Radio at everywhere indoor should be placed, and Home Theater circumstance also must be equipped. Moreover, a ventilation system that regulates by intelligence-type sensor, and it should be planned that an environment where remote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can be affordable. 3) The type of ''utilitarian·ego-centered living type'' in lifestyle contains ''outer activitymaterial environment-importance residential living mode'' thereat and its preferring degree to the type of ''energy-saving·safety uT system'' is high. Thereupon, when planning of Smart-Home, education space and common space should be designed, and install energy water resource system and thermostat, automatic lighting system and save energy, also set up security system and automatic gas circuit breaker. 4) The type of ''material, success-aiming·ego-centered living type'' in lifestyle holds ''rest·leisure life typed residential living mode'' type, and it appears its high preferring degree to the type of ''energy-saving·safety system'' and ''safety·health-pursuing system''. When planning of Smart-Home, the structure which able to keep privacy as well as a separate space for tastes have to be considered, and to be installed security system and home-automation system. 5) In the field of Housing Business, Analysis on Lifestyle and Residential Living Mode can be utilized as a useful material throughout from its planning step for housing to the stage of its distribution. So to mention, if some diversified Development, Design, Public Relation for Smart-Home which centered on Lifestyle and Residential Living Mode would be attempted, on the side of House Supplier the Product Value could be enhanced by discrimination of the products, and also on the side of Consumer it could be an opportunity to be provided of Digital Residential Environment that suitable for their own Characteristic as well as Requirement.

      • 최근 유료 노인전문요양시설 사례의 사용후 평가(P.O.E)에 관한 연구

        김남훈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687

        한국은 전통적으로 노인 부양을 가족중심체제에서 해결해 왔으며, 이로 인해 서양에 비해 노인복지시설의 발전이 미비하였다. 그러나 최근 고령화 사회의 위기의식이 고조됨에 따라 노인요양시설이 확대일로에 있으며 이에 대한 경험의 부족으로 많은 시행착오가 예상되고 있다. 최근에 지어진 노인 관련 요양시설은 대부분이 수요자 조사의 부족과 운영 노하우의 부족 등으로 대부분 입소노인들이 요양시설에서 생활하는데 큰 불편을 겪고 있다. 또한 유료노인전문요양시설의 관련 전문가가 부족하여 다른 일반적인 사회복지시설과 동일한 개념으로 추진되어 왔기 때문에 노인에 대한 케어운영이 부족할 뿐 아니라 건축 및 인테리어설계, 그리고 노인시설에서 사용되는 제품들이 서로가 따로 개발되어서 효율적으로 이용되지 않은 채 여러 관련 자원들이 낭비 되어 왔다. 따라서 조사 대상시설에 대한 정확한 건축 환경 파악과 입소노인들의 치유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실질적인 개선방안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일부 유료노인전문요양시설들이 기존의 무료노인요양시설들과 달리 나름대로 중상류층을 유치하기위해 다양한 시도를 한 사례도 등장하고 있고, 이러한 시설이 앞으로 확대일로에 있기 때문에 기 개발된 사례들에 대한 사용 후 평가(P.O.E)를 하는 것은 항후 시설개발 및 보급에 있어 시행착오를 줄여주는 좋은 예제가 될 것이다.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에 중상층 노인을 대상으로 운영 중인 H社의 유료노인전문요양시설을 대상으로 사용 후 평가(P.O.E)를 통해서 기존 유료노인전문요양시설들이 지니고 있는 장.단점을 총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그리고 향후 유료노인전문요양시설 계획시 사용자에게 적합하고 치유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시설디자인 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본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을 2가지로 분류하였다. 첫째, 유료노인전문요양시설 환경의 사용 후 평가(P.O.E)로 사용자들이 느끼고 있는 장.단점들을 명확히 하고, 둘째, 치유환경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논제가 되는 다인실(6인실)과 개인실(1~2인실)에 대한 공간의 사용 후 반응을 비교 분석하였다.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는데, 첫째, 요양시설의 사용 후 평가를 위해서 현장 실측조사와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둘째, 다인실과 개인실에 대한 특성들을 비교 분석하고 장단점을 파악하기 위해서 설문조사 및 직접관찰을 통한 조사를 하였다.조사대상은 전체 입소노인 57명중 다인실과 개인실에 있는 병명이 동일한 환자 각 2명씩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직원은 관리소장 및 상담과장, 간병인 팀장 등 응답이 가능한 사람으로 정하였다.조사도구로는 첫째, 노인의 신체적 기능을 측정하는 일상생활수행(A.D.L)능력조사 도구와 입소환자들의 하루 공간별 이동경로를 시간대 별로 측정하는 공간별 하루일과 행태조사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둘째, 각 공간별 만족도를 5단계 Likert척도로 측정한 시설환경만족도조사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셋째, 병실 만족도와 개선점에 대한 조사는 설문조사 도구를 사용하였다.본 연구대상 시설은 서울 근교에 있는 퇴촌에 위치한 대기업이 운영중인 중상류층을 대상을 한 유료노인전문요양시설이다. 건축 연면적은 439평으로 A동(목련동)과 B동(백합동) 2동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층수는 지하1층에서 지상4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A동은 노환(고관절)환자, B동은 치매, 중풍 환자로 구분하여 입원시키고 있으며, 각실은 다인실과 개인실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다인실(6인실)은 일반 병실과는 달리 벽체의 높이가 1,500m/m인 가구로 설치하여, 각 병실과는 공간을 구획하면서 병실 내부는 개방감을 주는 것이 특징이다.본 연구의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요양시설환경의 사용후 평가에 대하여우선, 요양시설환경에 대한 각 공간별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곳은 A동 1층에 있는 물리치료실, 엘리베이터 홀, 대기실 순으로 나타났으며, 불만족도가 높은 시설환경은 옥상, 조리실, 프로그램실, 화장실, 조리실, 현관, 식당, 병실, 간호사실 순으로 나타났다. 만족하는 공간보다 불만족을 느끼는 공간이 많이 나타났는데, 옥상에 대해서는 거주자들 모두의 불만이 높게 나타난 공간이다. 왜냐하면, 옥상은 건축설계 당시에는 옥상정원을 계획하였으나, 건축비 문제로 옥상정원을 만들 수 없게 되었다. 그래서 입지조건이 좋은 건물이긴 하나 옥상의 활용을 못함으로써 거주자들의 불만이 높게 나타나게 되었다. 그리고 현재 요양시설과 향후 건축 계획시에 개선해야 할 부분을 조사한 결과, 첫째, 냉난방 시설 확충, 환기시설 개선, 각 층 간이 주방실 설치, 각 층 오물 처리실 설치, 개인실 부족으로 나타났으며, 냉,난방 시설 확충과 환기시 그리고 병실 수 부족 등은 현재 요양시설에서 나타난 문제점이기도하다.또한, 병실에 대해 6명의 입소환자와 관리자들에게 설문 조사한 결과, 첫째, 병실 시설환경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는 다인실인 경우 풍부한 자연채광과 각 실의 개방감으로 인해 환자들의 관리가 용이하고 환자들의 의사소통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서 치유환경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개인실인 경우는 다인실에 비해 병실 수가 부족하여 환자수요를 충족하기에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2개 동에 중증인 중환자와 치매 및 중풍 환자들로 나누어서 운영하고 있으나, 환자의 증세에 따라서 적합한 병실에 입원을 할 수가 없는 상황이 최근에 발생하였는데, 주된 원인이 병실 수 부족이었다.둘째, 병실 만족도에 관한 전반적인 평가를 조사한 결과, 병실 선택시 가장 먼저 고려하는 것이 입원비였다. 그 다음이 병실 위치, 병실 환경 등 순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만족도 결과에서 현재 사용 중인 병실에 대해서 시설환경 및 케어운영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으나, 여러 사람이 함께 사용하는 병실의 특성상 성격 불일치에 따르는 입소 노인들간 마찰 및 갈등을 가장 불편하게 느끼고 있었다, 다양한 수요자들이 자유롭고 편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운영자 측면에서는 병원비의 부담해소 및 병실 수를 해결해야 할 것으로 조사결과가 나왔다.2) 다인실(6인실)과 개인실(1~2인실)의 비교분석 결과에 대하여입소노인 환자의 치유환경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논제가 되어 왔던 다인실과 개인실에 대한 공간의 사용 후 반응을 비교 분석하였는데, 조사대상 노인들의 경우, 다인실(6인실)이 개인실 보다는 단체생활, 협동심, 그리고 환자들 간에 상호교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으로 서로 의지하는 단체생활 공간이라는 점이 특히 중증 치매환자들에게는 치유환경으로서 알맞은 병실로 나타났으며, 다인실에 있는 입소노인들이 개인실에 있는 입소노인들 보다 입원기간도 긴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다인실은 6명의 환자들이 함께 생활하는 공간이므로 서로 성격이 안맞는 환자들끼리 자주 충돌이 발생하여 환자들간에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이 발생한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서로 마음이 맞는 6명의 환자를 함께 배치하는 것은 불가능한 상황이므로, 인지력이 높은 경증의 환자는 개인실에 입원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다인실과 개인실의 문제는 상당히 장기간동안 우리나라에서도 연구를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서양에서의 유료노인요양시설은 환자별로 여러 가지 다른 조건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덜 통제되고 환자들의 개인적인 프라이버시를 주기 위해서 개인실로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운영하는데 반해, 앞에서 언급 했듯이 조사대상인 요양시설에서 거주하는 입소환자들의 거의 대부분이 입원비가 동일한 경우에 개인실로 희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다인실의 치유환경에 대한 환경평가는 나쁘게 나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에 대부분 노인들이 돈이 있으면 개인실에 가고 싶어 하는 성향이 존재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다인실에서는 입소노인 환자들이 고립보다는 활동적으로 바꾸어 줄 수 있는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그리고 다인실은 개인실보다는 6명의 환자들이 함께 생활을 하는 단체실 개념이기 때문이며, 또한 해당 요양시설의 다인실의 시설환경 특성이 창의 크기와 건물의 위치가 자연광인 햇빛이 많이 들어오게끔 되어 있어서 환자들의 치유환경에 여러 가지로 좋은 사례로 평가의 원인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즉, 환경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사람들의 평가가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한편, 우리라는 의식이 강한 한국인의 생활문화의 관점에서 보면, 다인실이 오히려 개인실보다 더 잘 계획 되었을 경우 총체적인 건강이라는 관점에서 더욱 유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런 시설이 가지고 있는 다인실의 디자인특성을 적절히 살리면서 환자들 상호간에 프라이버시를 확보해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디자인 아이디어가 필요할 것이다.마지막으로 환자들의 건강증세별 거주 공간 사용실태를 살펴보았다. 좀 더 건강한 환자들이 많이 움직여 활동성이 높다는 평가가 나와야 하지만, 해당 요양시설에서는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그 원인은 건강도가 낮은 환자들의 건강을 유지시키키 위해 간병인의 도움으로 더 많이 움직이도록 스케쥴이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건강하지 못한 환자들이 오히려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건강한 환자들 보다 움직임의 횟수가 더 많고 활발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 개인실에 있는 건강한 환자들이 다인실에 있는 건강한 환자보다도 이동 횟수가 그리 많지가 않았다.아마도 보통 간병인의 서비스가 충분하지 않은 요양시설의 환자인 경우 이동 횟수가 거의 없었을 수도 있으나, 해당 요양시설은 중상층 이상의 환자들이 거주하는 시설이기 때문에 환자들에 대한 간병인의 서비스가 일대일 간호가 가능하다 보니 이런 반대의 결과가 나타났을 수도 있으며, 이러한 행태적 추적은 행태적 추적의 정량적 의미로서 분석할 것이 아니라, 6명에 대해서 행동을 관찰하는 맵으로서는 효과가 있고, 일단 우리가 통계라고 하는 것은 연구자가 판단을 내리는 단지 참고 자료일 뿐 결국 판단은 연구자가 해야 하듯이, 이런 정성, 정량적인 기술도 정량적인 기술 자체로 의미해서는 상당히 노인환자의 경우 상황에 따라서 잘못 해석할 수 있는 여지가 많다는 것을 보여준다.따라서 본 연구는 하나의 요양시설을 대상으로 한 조사이기 때문에 질적 분석관계를 일반화 하기는 어렵지만, 노인요양시설의 계획하는데 있어 고려해야하는 사람과 공간과의 관계성에 대한 문제 제기는 되었다고 본다. 앞으로 유료노인요양시설들이 더 많이 개발되면 유료노인요양시설 환경에 대한 이론과 실제 거주환경에 대한 특성간의 관계성은 더욱 명료하게 나타날 것이며, 이들의 관계성을 보여주는 연구 사례들도 다양해질 것으로 기대해 본다. Due to the traditional elderly supporting system in Korea, which is to support their own parents within the family, Korea has a relatively insufficient welfare system for old people to compare with other Western countries. However, recently number of nursing facilities is increased with growing concern on aging society, and due to lack of relevant past experience, operational mistakes are expected to be occurred. The users of most of recently built nursing facilities for elderly people have inconvenient experiences because the facilities are lack of research on the user's demand and understanding on the architectural environment as well as operational know-hows. And the fact that there are not enough specialists for private elderly facilities in Korea has caused lack of elderly care management system by developing the facilities like other ordinary facilities, and waste of resources by working separately on architecture, interior design and other related products. Therefore, there are various practical improvements are required for accurate investigation on architectural environment and to increase the user's curing effects. Recently there are some instants of few private elderly facilities trying to attract middle-upper class. As this kind of phenomenon is expected to be grown in the future, P.O.E of exisiting facilities will be good examples to reduce mistakes in future facilities' development and supply.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verall strengths and weaknesses of an existing facility (recently built targeting for middle-upper class by H company) with P.O.E. In order to provide a reliable data for future development, the contents of this study is classified into 2 parts.. First is to investigate the private facility's strengths and weaknesses that are experienced by the users with P.O.E, and the second is to analyse the users reaction post using multi bed room and single or twin bed room. The study was carried with several methodologies such as interview and on-the-spot investigations. The interviewees were 2 users with the same illness from the multi bed room and single or twin bed room each, and manager, consultant and chief nurse were selected. The first tool was to investigate abilities for daily life (A.D.L.) and daily routine behaviours in specific spaces and to study relation between to two's. And second was to observe each space satisfaction measurement in 5 Likert units. The third was interview on satisfaction and required improvement in the rooms.The facility studied by this thesis is a private elderly facility marketed for upper-middle class and managed by a conglomerate, located in Twechon outside of Seoul. The area is 439 pyung, and consists of A and B tower with 5 floors frpm basement 1 to 4th floor.Summary of this study is as below...1) P.O.ESpaces with higher satisfaction are in order of physio-therapy room, elevator hall and waiting area on 1st floor of A block, and places with lower mark are in the order of roof top, kitchen, program room, toilet, entrance, dinning room, bed room and nurse room. The roof top was dissatisfied by all users, and this is because there is no garden. And study on current facility and future ones show to improve heating and cooling system and ventilation, allocate kitchen and waste management system on each floor, and increase number of private rooms. Also from the interview with 6 users, the multi bed room help the users recovery because of its good day light and conversation between users in the opened area.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private rooms to meet the demand. Hence, users with more serious illness can not use proper room. Secondly, the result of overall satisfaction of rooms shows that the first consideration to chose the room was the facility charge, location comes next, then room environment. Although the users generally satisfy with their rooms and facility's environment, due to the nature of multi bed room, they feel disagreements and conflicts between each other found the most inconvenient. Therefore, the result shows it is necessary for the management party need to resolve problems with lack of rooms and facility charge burden to meet more various demands.2) Result on comparison between multi and private roomsThe result shows the users in multi bed rooms has better cooperation and frequent interactions. As the users mentally rely on each other in multi room, this could be a better environment for users with dementia. Also the multi room users show longer stay than the ones in private rooms. However, the multi room users also can get stressed if there are frequent conflicts between disagreed parties. Since it is impossible to allocate well-matched 6 users for one room together, the user with more awareness is recommended to stay in private room.The issues between multi and private rooms required to be studied for longer term. This is because although western private facilities recommend private room for the user's privacy, the multi room shows not negative (as mentioned above) result despite of most users preference is private room when the two different rooms are charged the same. From cultural perspective, multi room could be better in general aspect. So, for multi room, some design idea to decrease the stress level by provide more privacy to work with the positive nature of multi bed room.Lastly, this study took a place in use of space with condition of the users. Even though the healthier users are expected to be more active, the studied facility drew different result which is users with worse condition move more. The reason is because the facility schedules for users with worse condition to move more with nurse's help to maintain their fitness. Also, the healthier private room users move less than those healthier ones in multi room.If it was one of the ordinary private facilities with a few nurses, it could be possible the movement of the worse conditioned users would be rare. However, it is predicted since this facility is an up-marketed, one to one caring service makes this opposite result possible. Thus this kind of result should be not read literally but take as a reference. Therefore, as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one facility, it is difficult to generalise the result for whole, yet it brought up the rel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space which should be concerned in design elderly facilities. It is expected when the more private elderly facilities are developed, the clearer the relation between private facility's environment and real residential environment will be, and the study on the relation also be varied.

      • 아파트 거실 공간의 벽 디자인 특성과 차별화 방향

        김보현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87

        현재 우리의 사회는 고도의 경제적 성장에 따라 쾌적한 공간에 대한 요구가 팽배해지면서 주택의 질적인 향상 및 실내공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인간의 생활을 담고 있는 실내공간은 거주자의 욕구를 충분히 수용하여 편리하고 쾌적하게 그리고 개성 있게 디자인 되어야 한다. 최근에는 사람들의 주거환경에 대한 관심이 더욱 고조되고 실내구성 면에서도 개성화, 다양화 현상이 증대되고 있고 주거환경의 방향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실내구성 특성이나 실내의 전반적인 이미지에 대한 변화경향을 파악하여 실내구성 방향을 세워야 한다.대부분의 사람들은 심리적으로 편안함을 느끼기 원하고 있고 그런 환경을 요구하는 시대이다. 이에 따라 우리의 주위 환경도 인간의 정신적 요구인 편안함을 느끼도록 해 주는 환경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인간의 정신적 요구를 만족시키는 편안하고, 아름답고, 기능적인 환경을 만들고자 주거공간에서 공동공간인 거실 공간의 벽 디자인 특성과 앞으로의 차별화 방향에 대하여 논하였다.거실공간의 벽 디자인은 기능성과 심미성이 동시에 추구되어야 하며 삶의 공간이 매력적이고 개성 있는 실내이면서 품위와 개성이 강조된 거실, 인간 친화적인 거실을 통해 인간의 감성에 호소하는 이미지로 디자인해야 한다. 또한 거주자의 개성에 맞는 실내 공간 조성을 마련해주기 위해 쾌적하고 거주자 개인의 개성에 부합하는 실내주거환경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주택이 삶의 터전으로서 삶을 담는 기능 이외에 자신의 표현과 미를 추구하고자 하는 욕구 실현의 장이 된다는 관점에서 보면 주거공간의 독창적인 실내연출에 대한 거주자의 관심의 비중은 점점 커져 가고 있지만 최근 주택의 새로운 유형으로 자리 잡고 있는 아파트와 같은 집합주택은 거주자의 이러한 욕구를 실현하기에는 거리가 멀게 획일적인 공간을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부 가변화를 추구하거나 주문 제작 등의 방법으로 소비자의 선호를 반영하고는 있으나 아주 제한적인 실정이다. 이로 인해 거주자들은 리모델링을 통해 획일적인 평면에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표현하고자하는 노력들을 증가 시키고 있다. 이런 관점이 공동 공간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는 거실 공간에 요구 되고 거실 공간에서 포인트가 되는 거실 벽 디자인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과거의 획일화 되고 폐쇄적이었던 아파트의 개념에서 벗어나 다양한 주거 차별화 전략을 통해 보다 자유롭고 개방적인 공간개념을 도입하고 아파트마다 독특한 테마와 이미지를 부여하고, 여러 계층을 위한 다각적인 디자인을 하여 폭넓은 시도로 고객 요구를 만족시키는 디자인을 하여야 한다. 누가 아파트를 만들었는가라는 건설사의 신뢰도를 더욱 중시하였던 과거와는 달리 차별화된 디자인 요소와 소비자 요구에 대한 만족도를 중심으로 디자인이 되어야 한다.디자인과 브랜드 경쟁 신 개념 주거인 주택 시장의 명품 바람으로 고급 수요자를 겨냥한 신 개념 주택이 등장하고 있는데 건축가의 이름을 내건 작품 주택을 만들고 메이저 업체와 중견 업체는 기존 브랜드를 고급스러운 느낌의 브랜드로 교체하는 등 브랜드 개발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그리고 남들과 다른 주택을 위해 기존 아파트와 차별화된 시설과 컨셉, 독특한 내부 공간과 구조로 랜드마크 아파트로 자리 잡고 있다. 또한 디자인 브랜드 차별화로 교수, 연구원, 건축 디자인 전문가를 중심으로 디자인 경영에 힘쓰고 공간을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에 맞추어 적합하게 구성하고 사용목적에 따라 그 기능을 우선으로 하여 아름답고 쾌적한 거실 공간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최근에는 새로운 기술 및 사회변화에 대한 대응과 안전하고 편리한 생활의 보장, 에너지 및 자원절약, 쾌적한 실내 외 환경의 조성 및 이에 따른 거주자의 쾌적성 보장등과 같은 다양한 요구에 만족시킬 수 있는 지능형 주거, 디지털 홈으로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쾌적한 실내 환경에 대한 욕구와 편리한 생활추구에 대한 의식이 날로 늘어나고,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수요도 증가되고 있는데 이에 따라 생활환경의 지능화, 환경 친화적 주거 생활에 대한 욕구가 증가되면서 삶의 질 혁신을 추구하는 지능화된 가정 내 생활환경 및 거주공간에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이런 주변 환경에 맞추어 주거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공간이라 할 수 있는 거실의 실내디자인에서, 가장 쉽게 변화를 줄 수 있는 거실 벽 디자인의 특성을 조사하여 앞으로의 차별화 방향을 모색하였다.거실공간의 벽 디자인 특성을 통해 본 디자인 변화, 거실 마감과 이미지 특성, 조명변화와 인테리어 스타일에 알맞은 차별화 방향을 연구하고 아파트 거실 벽 디자인의 차별화 방향을 제시하여 이 조사 자료가 향후 주택거실의 벽 디자인의 새로운 실내구성의 참고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se days, with the rapid economic growth in our society, demands for pleasant spaces are increasing, giving rise to interests in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houses and indoor spaces. Recently, people's interest in living environments is increasing, along with the emphasis on uniqueness and diversity in interior design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the direction of living environments.Most people wish for mental comfort, and this is the age when people demand such comfort. In order to create a comfortable, beautiful and functional environment that satisfies such mental demands, I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lls in living rooms, which is the common space in houses, and the direction of differentiation in the future.Wall designs in living rooms must pursue functionality and beauty at the same time, and the living room must be an attractive and unique indoor space - it must have elegance and characteristics, as well as human-friendliness, appealing to the human emotions. Also, in order to prepare interior designs that su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r, there is a need for interest and researches regarding indoor residence spaces that are pleasant and satis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As the residers' interest in unique interior design is growing, some designers are reflecting the preferences of the consumers by pursuing change or offering customization; however, these are limited trials. For this reason, residers are increasingly making efforts to express their identities on uniform level spaces through remodelling. Such aspects are required for the living room, which takes a considerable part of the commonly used spaces, and especially the wall design is becoming most important as the outstanding point of the living room.Designers must induce a more liberal and free spatial concept through various differentiation strategies, endow unique themes and images to each apartment, and conduct diversified designs for various classes, in order to satisfy the demands of the customers with a variety of trials. Not like in the past, when the credibility of the construction company that built the apartment was most important, designs should be centered on differentiated design factors and the satisfaction of the customers' demands.With the rise of high-class houses and apartments, based on superior design and brands, new-concept houses are appearing in the market; brand development competition is becoming more severe than ever, with companies building state-of-art apartments under the name of the architect, and major/big construction companies are replacing their existing brands with new ones that have further refined images. Also, these apartments are becoming landmarks with differentiated facilities, concepts, unique interior design and structure. Moreover, to differentiate the brands, companies are focusing on design promotion with the help of professors, researchers, and architects, structuring the spaces to fit the needs of the users. It is becoming important to create a beautiful and pleasant living room environment, placing priority on the function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age.Recently, demands for intelligent houses and digital homes are increasing, in order to respond to new technologies and social changes, guarantee comfortable and safe life, save energy and resources, create a pleasant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 and warrant the pleasantness of the residers. As demands for pleasant indoor environments and convenient life increase, as well as demands for entertainment, entailing the rise of people's demands for intelligent and environment-friendly living environments, consumers want intelligent houses and environments that pursue revolutionary improvement of life qualities. In response to this trend, I observed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living room walls, which is part of the most important space in the house, and can be most easily changed. On the basis of such observation, I sought methods of differentiation for the future.By studying design changes observed through living room wall designs, the finishing of living rooms, imagery characteristics, changes in lightings, and differentiation methods that suit the interior design, and propose the directions of differentiation for living room walls, I expect this research to present references and information for future living room wall designs.

      • 브랜드 커피전문점 친환경 경영이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선호도,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예다해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71

        국문요약 브랜드 커피전문점 친환경 경영이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선호도,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브랜드 커피전문점을 이용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친환경 경영에 대한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선호도, 재방문의도를 측정해 그 영향관계를 규명하여, 향후 브랜드 커피전문점 친환경 경영의 도입에 있어 개선점을 도출하고 경쟁력 있는 구체적인 마케팅전략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20세 이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2011년 10월 14일부터 2011년 10월 20일까지 온라인 패널조사방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회수 분량은 316개의 데이터이나, 불성실한 응답 등의 데이터를 삭제한 후 307개의 응답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의 세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한 결과, 성별은 남자가 49.2%,여자는 50.8%로 여자의 비율이 약간 더 높게 나타났고, 연령은 30~39세가 29.3%, 40~49세 27.0%로 나타났다. 직업은 회사원이 60.3% 가장 많았고, 월 소득은 200~300만원 미만 25.4%, 100~200만원 미만 22.8%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브랜드 커피전문점 이용 현황을 보면, 브랜드 커피전문점의 방문빈도는 주1회 이상~3회 미만이 32.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방문 목적은 친구, 동료와의 만남 등 사교적 목적을 위해서가 48.5%로 가장 높았다. 브랜드 커피전문점 이용 시 평균 1인당 지출비용은 4,000~6,000원이 52.4%로 가장 높았고, 주로 방문하는 브랜드 커피전문점은 스타벅스가 33.6%, 까페베네 22.5%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브랜드 커피전문점 선택 속성에 대한 탐색을 위해 요인 분석 한 결과, 브랜드 커피전문점 선택 속성은 서비스환경, 커피의 품질, 사회공정성, 브랜드 인식, 시설 및 분위기의 5개의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선택 속성 분석 결과, 커피의 맛과 질 그리고 브랜드 커피전문점의 전체적인 청결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브랜드 커피전문점의 친환경 경영 활동에 대한 고객 인식 분석을 위해 요인 분석 한 결과, 친환경 경영 활동은 사회공헌 활동, 친환경 재료, 재활용, 일회용품 사용의 4개의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브랜드 커피전문점 친환경 경영 활동에 대한 고객의 인식 중요도 분석 결과, 유전자조작으로부터 안전한 재료를 사용, 친환경적으로 재배된 원두의 사용, 불필요한 포장 최소화 그리고 유기농 재료의 사용을 고객들은 중요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친환경 경영의 수행도 분석 결과, 친환경적으로 재배된 원두의 사용, 공정거래인증 커피의 사용 그리고 유전자조작으로부터 안전한 재료사용이 수행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IPA(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매트릭스 분석 결과, 브랜드 커피전문점 친환경 경영 중 중요도는 높으나 수행도가 낮아 집중적으로 관리해야하는 Focus Here(노력집중화의 영역)에 속하는 항목은 일회용용기 사용하지 않을 경우 혜택 부여로 나타났다. 따라서 경영자는 고객이 일회용용기를 사용하지 않으면 그에 따른 충분한 혜택을 줄 수 있는 방안을 최우선으로 정립하고, 이에 따른 성과 향상을 위해 집중적인 투자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여섯째, 브랜드 커피전문점 친환경 경영 요인이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 검증 결과, 브랜드 커피전문점 친환경 경영 요인 중 친환경 재료, 재활용은 브랜드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브랜드 커피전문점 친환경 경영 요인이 브랜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 검증 결과, 브랜드 커피전문점 친환경 경영 요인 중 친환경 재료, 재활용, 일회용품 사용은 브랜드 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브랜드 커피전문점 친환경 경영 요인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 검증 결과, 브랜드 커피전문점 친환경 경영 요인 중 친환경 재료, 재활용 요인은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브랜드 커피전문점의 브랜드 이미지가 소비자들의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 검증 결과, 브랜드 이미지 요인 중 브랜드 커피전문점 고유 속성, 미래지향적 및 친환경적 속성은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째, 브랜드 커피전문점의 브랜드 선호도가 소비자들의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 검증 결과, 브랜드 선호도는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브랜드 커피전문점이 환경 친화적인 서비스 및 상품 개발, 친환경 경영 요인에 대한 효율적인 마케팅 방안을 제시하면 브랜드 커피전문점은 새로운 고객의 참여와 원가절감을 통해 이익을 극대화하며, 사회적인 책임을 다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것은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선호도를 향상시켜 궁극적으로 고객의 재방문의도를 높이는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브랜드 커피전문점 친환경 경영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이루어질 연구들의 밑바탕이 될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 브랜드 이미지 강화를 위한 환경 디자인 계획에 관한 연구 : 외식업 프랜차이즈 브랜드를 중심으로

        김영국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671

        기술 진보와 정보화 등의 마케팅 환경 변화에 따라 ‘제품’의 기능과 ‘서비스’의 질로 경쟁자와 차별화하는 것이 더 이상 불가능해 졌다, 또한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와 소비자 욕구의 다양화, 체험과 감성의 욕구가 증대되는 등 소비의 패턴이 ‘브랜드’가 갖는 이미지와 상징을 체험하고 구매하는 것으로 변화하고 있다. 브랜드 간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브랜드 인지도가 기업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기준이 되었고 프랜차이즈 사업은 환경 디자인의 표준화를 통해 가맹매장의 시각적 정보를 통일하고 일관성 있는 이미지 전략을 전개하여 고객에게 브랜드에 대한 강한 인상을 심어주는 것이 사업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가치의 개념이 다양화, 개성화, 차별화로 변화하면서 브랜드의 상징성이나 디자인의 통일만으로는 고객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없게 되었다. 이는 고객의 브랜드 애호도와 실질적인 판매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구매와 체험과정을 통한 차별적이고 감각적인 욕구가 총족되어야함을 의미한다.브랜드 환경은 제품과 서비스가 전달되어지고 브랜드와 고객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통합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의미하고, 환경 디자인은 브랜드 차별화를 위한 이미지 요소일 뿐 아니라 고객에게 긍정적인 브랜드 경험을 제공하고 브랜드와 유대관계를 강화하는 전략으로서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본 연구의 목적은 차별화 경쟁이 치열한 외식업 프랜차이즈 브랜드를 중심으로 브랜드 마케팅 전략과 환경 디자인 현황을 조사하여 브랜드 이미지 강화를 위한 환경 디자인과 통합적인 브랜드 이미지 관리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연구 방법은 문헌연구와 면담조사의 방법을 채택하였다. 창업관련 박람회에 브랜드 홍보를 위해 참여한 외식업 프랜차이즈 브랜드의 담당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접법에 의한 개별면담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한 23개 브랜드의 면담 자료중 20개를 연구의 결과를 위한 자료로 채택하였으며 결과의 분석을 위해 빈도와 백분율의 기술통계 분석과 문헌을 근거로 작성한 ‘포지셔닝 맵’, ‘이미지 분석 스케일’등의 측정도구를 활용하였다. 마케팅 전략과 환경 디자인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조사대상을 브랜드의 포지셔닝 위치에 따라 ‘저가 전문브랜드’, ‘고가 전문브랜드’, ‘저가 대중브랜드’, ‘고가 대중브랜드’로 구분하였다.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브랜드 이미지 전략을 조사한 결과, 주요 차별화 요소는 브랜드 명, 간판, 인테리어의 색채와 디자인으로 나타났고 브랜드 환경요소의 중요도는 B.I. > 외부환경 > 내부환경의 순으로 포지셔닝의 특성에 관계없이 일률적인 양상을 보였다. 유니폼과 팜플랫 등을 포함하는 기타 유형적 요소를 주요 전략으로 평가한 업체는 소수에 불과했고, 무형적 요소인 음악, 향기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업체는 없었다.(2) 외식업의 마케팅 전략은 목표고객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과 입지상권 전략은 브랜드 간에 차이가 없었다. 기존의 컨셉개발에 중요 변수로 작용하던 업종과 업태, 상품전략 등은 건강열풍 등의 트랜드를 반영하여 전 업종에 걸쳐 유사한 전략을 전개하고 있었으며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를 고려하여 업종에 구분없이 다양한 업태가 시도되고 있었다. 브랜드 포지셔닝은 가격정책과 전문성으로 분류한 포지셔닝의 위치, 목표고객의 라이프 스타일, 미충족 욕구가 상호 관련성을 가지고 있었고 포지셔닝 위치에 따라 목표로 하는 브랜드 이미지가 다르게 나타났다. 즉, 브랜드 마케팅 전략은 포지셔닝의 위치, 목표고객의 라이프 스타일과 미충족 욕구, 브랜드 개성에 따라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3) 브랜드가 고객에게 제안하는 매장의 컨셉인 S.I..(store identity)는 ‘아늑한 가족의 외식공간’, ‘편리하고 실속있는 공간’, ‘개성과 멋의 공간’의 3가지 유형으로 포지셔닝별로 차이를 보였다. 브랜드 마케팅 전략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목표고객의 라이프 스타일과 관계가 큰 반면 브랜드 개성, 고객의 미충족 욕구를 모두 만족하는 경우는 없었다.(4) 환경 디자인의 컨셉(기획 의도)를 조사한 결과, 로고심볼과 간판은 ‘상품컨셉’과 ‘자사경영 이념’, 인테리어는 ‘사회문화적 트랜드’를 반영한 경우가 다수를 차지하였다. 컨셉의 표현방법은 1, 2가지 강렬한 색채에 의존하거나 브랜드 개성과 관계없는 유행 아이템을 적용하여 일률적인 패턴을 보이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특히, 인테리어의 차별화 요소는 대표색을 적용한 이미지 월과 간접조명으로 강조한 천장 디자인의 공식을 벗어나지 않고 있었다.(5) 환경 디자인 요소의 대표색은 각 요소에 다른 색채를 적용하거나 활용범위에 있어 전략적으로 활용하지 못한 사례가 많았다. 로고심볼과 간판은 고객의 시선을 끌기 위한 요소로 ‘주황’, ‘노랑’등의 강렬한 원색을 활용하는 경향이 있었다. 인테리어는 전반적인 마감재의 색인 ‘갈색’이 대표색으로 나타난 경우가 가장 많았는데 브랜드 이미지를 강조하는 것과는 관계가 적었다. 그 밖에 로고심볼 또는 간판과 색채컨셉이 일치하는 경우 이미지월, POP등의 강조색으로 적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6) 환경 디자인 요소의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로고심볼과 간판의 경우 ‘강렬한’, ‘추상적’,‘단순한’, ‘역동적인’ 이미지로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인테리어는 ‘밝은’, ‘독특한’, ‘현대적’, ‘도회적’, ‘단순한’ 이미지가 로고심볼과 간판에서 강조된 이미지와 비교하면 두배에 가까운 높은 점수 분포를 보였다. 이는 각 업체의 이미지 평가 내용이 비슷하게 나타난 결과로 외식업 브랜드의 인테리어 디자인이 특정 패턴의 유행을 따르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7) 가맹매장의 관리 및 지원은 슈퍼바이저의 정기방문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내용은 상품배송, 서비스 교육, 광고판촉물 지원이 대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매장환경 관리의 주요 내용은 인테리어 디자인 요소, 고객과 서비스 동선, 청결 상태로 나타났으나 구체적인 관리지침은 미흡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 매장관리의 중점전략은 상품관리(55%)로 매장의 관리가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의 관리라는 차원에서 다루어지지 못하고 있었다. (8) 브랜드 리뉴얼의 현황은 6개월-1년전 매장의 인테리어와 간판을 리뉴얼한 사례가 많았고 추후 계획은 1-2년이내에 상품컨셉과 인테리어를 리뉴얼하겠다는 의견이 많았다. 원인은 새로운 경쟁사의 등장과 신상품 및 상품 컨셉, 기업정책의 변화이며 브랜드 인지도와 이미지 개선의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평가하였다.(9) 디자인 부서의 현황은 직원 수가 3명 미만인 업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업무내용은 기획부터 감리, 디자인 실무까지 광범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디자인 단계별로 각기 다른 하청업체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은 반면 전 프로젝트의 관리 능력을 가진 전문 컨설팅업체의 활용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10) 디자인 매뉴얼의 현황은 표준화된 매장 디자인의 유형은 하나인 경우가 가장 많았고 매장환경에 따른 적용 기준은 ‘매장 평수’로 다양한 환경조건에 따른 구체적인 대안이 부족한 실정이었다. 또한 시공시 매장의 상황에 따라 유동적인 아이템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매뉴얼에 의한 정확한 지침없이 시공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연구의 결과 드러난 프랜차이즈 브랜드의 환경 디자인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고객중심의 브랜드 이미지 관리를 위한 지침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 실무자는 브랜드의 기획 과정에서부터 마케팅 담당자와 긴밀한 상호작용이 요구된다. 브랜드가 목표로 하는 이미지를 고객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브랜드 포지셔닝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필요하며 실질적인 커뮤니케이션의 도구로 포지셔닝 맵, 목표고객의 라이프 스타일, 브랜드 개성 등의 평가척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강력한 S.I에 의한 일관성 있는 디자인 전개가 기본이 되어야 한다. S.I.는 브랜드 포지셔닝 분석의 결과가 반영되어야 하며 구체적으로 고객의 미충족 욕구, 브랜드의 개성과 일치하는 개념을 선정하여 고객의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 형성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셋째, 환경 디자인의 컨셉의 표현에 있어 브랜드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다각적인 방법이 시도되어야 한다. 브랜드 이미지는 고객의 감각적인 체험에서 형성된다는 점을 견지하고 전반적인 매장의 분위기를 통합적으로 디자인한다는 인식이 필요하다. 먼저 차별화를 고급화하고 유행을 따르는 것이라는 인식의 전환이 요구되며 고객에게 강한 인상을 심어줄 수 있는 방안으로 로고심볼이나 캐릭터의 요소를 모듈화하여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과 독특한 시각적 포인트 요소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브랜드를 대표하는 색채컨셉의 연구와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아이디어가 개발되어야 한다. 기능성과 경제성이 요구되는 프랜차이즈 매장의 디자인에서 색채는 가장 강력한 차별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대표색이 단순한 시각적 정보에 머물지 않고 긍정적인 브랜드 이미지 형성의 도우미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활용방법에 있어 변화와 다양성이 요구된다.다섯째, 매장의 디자인 매뉴얼은 매장의 조건에 따른 구체적이고 전문적인 대안을 마련하되 상권별 포지셔닝의 특성에 따라 구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시공업무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업무절차의 단순화와 개점 후 매장관리 및 이용에 어려움이 없도록 기능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시장의 변화에 따른 리뉴얼의 주기가 짧은 것을 감안하여 마케팅 환경의 변화에 따라 브랜드 이미지를 유지, 발전 시킬 수 있는 보완적인 컨셉을 포함하도록 한다.여섯째, 매장의 관리는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의 관리라는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시험 매장(pilot store)의 운영을 통해 상품, 서비스 뿐 아니라 분위기 요소까지 점검하는 단계를 거치는 시스템의 구축이 요구된다. 프랜차이즈 브랜드의 디자인 기획은 장기적인 안목이 필요하고 브랜드의 개성이 매장의 분위기로 표현이 되었을 때 고객에게 강한 메시지를 전달 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을 대상으로 이미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는 등 의도한 브랜드 이미지가 바르게 전달되고 있는지 확인과 보완의 절차가 필요하다. 향후 연구과제는 다양한 분야로 브랜드화가 전개되고 있는 만큼 다양한 업종의 환경 디자인과 브랜드 이미지 관리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브랜드 핵심가치의 전달자로서 디자인이 경영전략의 일부로 융화되기 위해서는 디자인 기획을 전제로 기업의 경영전략을 분석 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시도되어야 하며 실질적인 사례를 통해 보완과 발전이 이루어져야 한다. 후속 연구로 브랜드 라이프 싸이클을 관찰할 수 있는 대상의 선정과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평가를 고객의 반응조사를 통해 검증할 수 있는 시도가 요구된다. Changes in the marketing environment such as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the information revolution have made it increasingly difficult to differentiate competitors simply by the function of their ''product'' and the quality of ''service''. Patterns of consumption are changing to the consumers experience and the purchase of image and symbols that the ''brand'' possesses as the result of the change of life style, the diversification of consumer''s demand, and the increase of experience and sensibility preferred demand. The degree of brand perception has become an important basis to control the success and failure of the enterprise, as inter-brand competition is deepening and the success or failure of franchise businesses depends on the image implanted in the customer''s mind of its brand by integrating the visual information of the merchant and developing the consistent image strategy through the standardization of the environment''s design. However, as the value concept is changed through diversification, individuality, and differentiation, the symbol characteristics of brand identity and the unification of design can not be the factor to satisfy the demand of customers any more. That is, the demand of sensitive experience through the purchasing and experience procedure should be satisfied in order to implant a strong and impressive brand image in the mind of the customer. The brand environment means the integrated communication environment that the product and service is delivered through and the interaction between brand and customer. The environment design is an image factor to differentiate the brand as well as a strategic factor to provide a positive brand experience and reinforce the relationship with the br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environment design and brand image management status focusing on food restaurant franchise brands. These show the keen competition to differentiate and to present the environment design planning and an integrated brand image management scheme for reinforcing the brand image. For the study method, we adopted references study and interview survey. We carried out individual interview surveys with responsible persons for food restaurant franchise brands who participated in an exhibition related to starting such businesses. The interview data from 23 surveyed brands were used as the key information for the study results.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we applied measurement tools such as ''Positioning Maps'' and ''Image analysis scales'' and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and references by frequency and variance. In order to identify the relation of marketing strategy and environment design, we clarified the survey target brand by ''low price special brand'', ''high price special brand'', ''low price mass brand'' and ''high price mass brand'' according to the positioning of brand.The summary of the study result is as follows.(1) As a result of the survey for brand image strategy, the major differentiation factors are shown as brand name, sign board, the color and design of interior and the gravity of brand environment factors. This assumes the uniform aspects that shows the order like B.I. > External environment > Internal environment regardless of the characteristic of positioning. A few enterprises evaluated the tangible factors including a uniform and pamphlet as a major strategy and no enterprise applied actively the intangible factors such as music or scent. (2)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or food restaurant marketing strategy,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brands in the aspect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customer and the commercial area location strategy. The business type, business model and product strategy that were the major variables for concept development in previous eras, became factors similar throughout the whole industry reflecting ''well-being'' trends and the various business models being in trialed regardless of the business type considering the change of life style. The brand positioning shows that the brand positioning clarified by the price policy and specialty. The life style of target customer and needs are related mutually and the brand image for the target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positioning. T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brand marketing strategy were identified by the positioning, life style of target customer and needds and brand personality.(3) The concept of store that the brand offers the customer, S.I. (store identity)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positioning by 3 types such as ''comfortable space for family eating out'', ''convenient and cost-effective space'', and ''the space ofindividuality and elegance'' but as a result of analyzing this in relationship to brand marketing strategy, it showed that it is related to the life style of target customer largely but no brand could satisfy all the brand personality and needs of the customer. (4)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planning intention that corresponds with the concept of environment design, mostly, the logo symbol and sign board reflected ''product concept'' and ''the vision of management'' and the interior reflected ''social and cultural trends''. The expression method of concept tends to rely on one or two of loud colors or show the uniform pattern by applying the fashion item regardless of brand individuality. Especially, the differentiation factors of the store still remained within the boundary representing the image wall by the representative color and the ceiling design focused by indirect lighting. (5) The representative colors of environment design factor, it was rare to find a match with brand personality but there many cases that applied colors as the factor to attract customers regardless the brand personality. In the case of interiors, there are many enterprises without a color concept reflecting the brand characteristics and it was general case that they were partially applied to image wall or POP. (6)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age of environment design factor, especially for the interior, the image characteristic was generally similar. This is by the trend to focus ''the luxury cafe-style interior'' regardless the brand personality and means the result that recognized the expectation of the customer for the interior atmosphere as ''luxury'' or ''trendy''. (7) The management support of the merchant is done by the regular visits of supervisors and the main issues include the product delivery, service training, Ad. and promotion support. The main contents of store environment management include interior design factor, moving line of customer and service and cleaning condition. but the concrete management instruction was not satisfied. And the focusing strategy of store management is product management(55%) and the store management was not dealt in the aspect of communication management with the customer. (8)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status of brand renewal, we found that in many cases, the interior and sign board of the store were renewed six months or 1 year ago and we got lots of opinion about future plan to renew the product concept and interior within 1-2 years. The causes to renew are the appearance of new competitors, new products and product concepts, and the change of enterprise policy and it is evaluated that the brand renewal affected the increase of the degree of brand perception and image improvement.(9)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status of design departments, it showed that for the most part the enterprises employed less than 3 people that covered the working scope from the planning to supervision, and even actual design business in general. In many cases, they applied other subcontractors for the design stage while it was rare to employ the high qualified professional consulting companies having an excellent project management capability. (10)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status of design manual, in many cases, the type of standardized store design is one and the application standard according to the store environment is ''store space'' that shows the lack of concrete alternatives according to the various environment condition in reality. And also, there are lots of flexible items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store when constructing the store but it seemed to be constructed without correct instructions based on the manual. The guideline to improve the environment design issue of franchise brand exposed by the result of this study and manage the customer-oriented brand image are as follows. First, the design manager is required to form a close relationship with marketing manager from the brand planning process. In order to transfer the image that the brand aims for to the customer effectively, it is needed to discuss the brand positioning sufficiently and apply actively the evaluation index such as a positioning map, life style of target customer, brand personality as the tool of actual communic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onsistent design through powerful S.I. which reflects the results of brand positioning analysis and helps to form the brand image by the customer by selecting the concept that matches with costomer''s needs and the brand personality.Third, it is needed to try the diversified method to save the characteristic of the brand in expressing the environment design concept. Considering that the brand image of the customer is formed by the sensitiveexperience, it is needed to recognize that the atmosphere throughout the store should be designed synthetically. First, it is needed to convert the recognition judging the differentiation as ''luxury'' and ''elegance'' and as an alternative to plant the impressive image to the customer, it is needed to apply actively the elements of logo symbol or character as well as the develop the unique visual point factor. Fourth, the idea should be developed to study the representative brand color concept and apply iteffectively. The color can be the most powerful differentiation factor in the design of franchise store requiring the function and economical efficiency. In order not to stay the representative color only in the simple visual information and help to form the positive brand image, is necessary to change and diversify the application method. Fifth, the design guideline of the store should be equipped with the concrete and specialized alternative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store and is needed to clarif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positioning per commercial area. And the functionality should be considered to simplify the working procedure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construction business and not to be difficult to manage and use the store after opening. Considering the shortened period of renewal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market, the complimentary concept to maintain and develop the brand image according to the change of marketing environment should be included.Sixth,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 management of the store in respect of communication management with the customer. It is required to build the system covering the step to check the product and service as well as the atmosphere factor through the operation of pilot store. The design planning of franchise brand should be set in the long term basis and if the brand individuality is expressed in the atmosphere of the store, it enables to deliver the powerful message to the customer. Therefore, the procedure is needed to verify if the intended brand image (for example,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for the image by the customers) is delivered correctly and complement if necessary. The task to be studied in the future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nvironment design of various business type and the characteristics of brand image management as much as the brand valuation is evolved in various fields. And in order that the design as a deliverer of brand core value can be incorporated as a part of management strategy. The study of the system that enables to analyze the management strategy of the enterprise on the premise of the design planning should be conducted to complement and evolve through actual cases. As a point of further study, it is necessary to try to verify the selection of subjects that enables us to observe the brand life cycle and the evaluation of brand image, through the customer reaction survey.

      • 중년기 개신교인 부부의 가족생활과 종교생활 양립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노지민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life and religious life for middle-aged Protestant couples. The overall purpose of the study was suggesting intervention plans for counseling and religious life by exploring the meanings of religion and how religious life and family life are compatible in each of the meanings, as well as what circumstances relate with the meaning. For the study, the experiences of 10 couples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The couples were in their 40’s and 50’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ives were attending Protestant churches more than twice a week.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ased on the six-step procedure presented by Taylor and Bodgen(1984).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eaning of religion to the couples were categorized into 14 concepts, and depending on the meaning, theoretical models were derived in 3 compatibility forms. The first form was “when religious life was for the family”, the second was “when family life was mostly about religion”, and the last was a form “where couples were developing through both religious and family life”. These three compatibility forms were related to contextual situations of what was focused on the experience on when and how religion helped as the couples described, the relationship or influence of the family of origin, social expectations, attitudes toward the economic conditions,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ir children’s education. Based on this research, discussion on counseling and a desirable religious life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중년기 개신교인 부부에게 있어서 종교생활의 역할에 주목하여 수행되었다. 그들의 가족생활과 종교생활이 상호 어떤 관계에 있는지 이해하기 위하여 현상학적 방법에 기초하여 질적으로 연구하였다. 이에 부부가 종교생활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며, 그 의미에 따라 종교생활과 가족생활이 어떻게 양립되고 있는지, 그러한 의미를 형성하는 맥락적 상황들이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지역의 중년기 전업주부 중 개신교 교회를 일주일에 이틀 이상 다니는 여성과 그 배우자 10쌍(20명)에게 반구조화된 면접을 실시하여 참여자들의 경험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aylor와 Bodgen(1984)이 제시한 6단계 절차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가족들이 부여하는 의미는 14개의 개념으로 유형화되었고, 그 의미에 따라 세 가지 양립 형태로 이론적 모델을 도출했다. 첫째는 종교생활이 가족에게 도움이 되는 형태(가족을 위한 종교), 둘째는 종교생활을 항상 가족생활보다 앞세우는 형태(종교를 위한 가족), 셋째는 가족과 종교 사이에서 내가 성장하는 형태(가족과 종교 간 균형 잡기)이다. 이러한 세 가지 양립 형태는 종교적 도움의 경험, 원가족과의 관계나 영향, 사회적 기대, 경제적 상황에 대한 태도, 자녀 교육 현실 등의 맥락적 상황과 관련이 있었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중년기 부부의 종교생활은 여러 가지 맥락들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으며, 제한점을 밝히고 중년기 부부를 위한 상담적, 종교적 개입 방안과 후속 연구를 제언하고자 하였다.

      • 암환자를 위한 치유환경의 바이오필릭 디자인요소 분석 : 종합병원 암환자 교육시설을 중심으로

        이소영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71

        고객의 가치가 중요시되고 의료산업과 같은 전문분야의 첨단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의료환경은 양질의 의료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가치와 사용자 만족에 중점을 둔 환자중심적으로 기능해야 한다는 개념이 강조되고 있다. 의료환경은 환자뿐만 아니라 보호자와 방문객은 물론 의료진을 비롯한 병원 직원에게도 영향력있는 공간이다. 의료진에게는 편리하고 효율적인 의료행위가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으로, 환자에게는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는 쾌적한 공간인 동시에 심리적으로 안정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추어야 한다. 미국의 경우 일생동안 남자 5명중 2명(39.7%), 여자 3명중 1명(37.6%)1이 암 진단을 받고 있다. 암환자는 해가 거듭할수록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맞추어 암환자를 위한 각종 시설도 확대되고 있다. 2016년 국내 모든 암의 조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448.4명(남자 470.3명, 여자 426.5명)이었다. 국내 암환자 수는 약 174만명으로 보건복지부 통계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2~2016년 암 환자의 5년 생존율은 70.6%이었다. 2001~2005년 5년 생존율인 54%에 비해 약 17%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환경이 치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 바이오필릭 디자인 이론을 바탕으로 바이오필릭 디자인 요소가 암환자의 치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치유환경과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특성에 대해 국내와 국 외에서 이루어진 문헌연구를 토대로 이론적 배경을 명시한다. 국외 치유시설 분석대상으로 정한 영국의 매기 센터는 영국 전역과 2019년을 기준으로 하여 운영 중인 영국 외 지역인 일본, 홍콩, 스페인의 3개 센터를 포함한다. 매기센터는 홈페이 지를 중심으로 한 온라인 자료를 중점적으로 살펴 국외 학술자료 및 보고서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국내 치유환경은 이 논문의 중점적인 연구 내용으로 바이오필리아에 대해 '긍적정인 감각 체험들로 가득 찬 환경을 만들기 위한 열쇠'라고 설명한 캘러트 Stephen R. Kellert의 바이오필릭 이론4을 중심으로 하며,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14가지 패턴을 응용하여 사용자가 체험할 수 있는 물리적 공간의 직접적 체험요소와 간접적 체험요소로 분류한다. 연세암병원의 암환자를 위한 교육시설인 연세암지식정보센터의 공간을 분석한다. 바이오필릭 디자인요소를 포함한 치유 환경은 환자와 환자가족, 의료진과 의료시설의 구성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 바이오필릭 디자인요소의 체험요소를 중점적으로 분석한 결과, 자연에서 추출한 직접적 요소와 자연을 연상할 수 있는 간접적 요소가 강화된 환경일수록 환자의 치료효과를 높이고 치유적 역할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향후 치유를 위한 시설과 공간을 조성하는데 치유효과를 향상시키고 발전적인 효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물리적인 치유환 경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교류하고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 중심의 사회적 요소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As the importance of consumers have risen with the development of high technologies in the medical industry, more emphasis is being placed on the notion that the medical environment should function in a patient-centered way considering the satisfaction of users based on the high quality of medical treatments. Medical environment is an influential space for not only patients but also for guardians, visitors, and the staffs of the hospital including the medical team. Medical environment should function as a space that enables useful and efficient medical treatments for the medical team, and at the same time a space where patients can be comfortable and be emotionally relaxed as much as possible. With 2 out of 5 men(39.7%) and 1 out of 3 women(37.6%) in the United States having cancer, the number of cancer patients have been growing steadily worldwide and various facilities for cancer patients have also been increasing in line with this phenomenon. In 2016, the domestic cancer crude incidence rate was 448.4 people out of every 100,000 people (470.3 men and 426.5 women).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number of cancer patients in South Korea are 1,740,000, which shows an increase of 17% in the 5-year survival rate for cancer patients in the 2012~2016 quarter of 70.6%, than that of the 2001~2005 quarter of 54%. The treatment process of cancer requires a much longer process in comparison to other general diseases where the visiting frequency and use hours are shorter, and thus hospital is where cancer patients have to inevitably spend a long time. For this, the need to address the stress that cancer patients have to manage have extended from the sector of medical treatments to the sector of curing environments. The range of environment of hospitals has expanded from a specific space where medical treatments are held to a space that covers all forms of medical service. Thereafter,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s of curing and curing environments and analyze how biophilic design factors affect the curing process for cancer patients. First, the theoretic background based o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biophilic design are scrutinized. For the case study for international curing environment, Maggie’s Center in the UK and 3 international branches in Japan, Hong Kong and Spain were chosen. Case studies were investigated based on papers and data from the official website of the Maggie’s center along wi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papers. Domestic curing environment was analyzed based on the application of the 14 different biophilic design patterns from Stephen R. Kellert’s biophilic theory that can be classified into two big categories: direct and physical nature experience factors and indirect nature experience factors. The Cancer Information Center located in Yonsei Cancer Center that serves as an educational and curing facility for cancer patients were chosen for the domestic case study. Curing environment that includes biophilic design factors prove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patients, the families of the patients and also the staff in the medical field. From analyzing the experience factors of biophilic design, it showed that the stronger the factors of direct and indirect nature experience were integrated in the environment, the higher the effects of curing process were on the cancer patients.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the physical environment factors in curing, however furthermore study on how users can directly interact and utilize such curing spaces in correlation to contents and social factors to enhance curing effects are required.

      • 산업체 위탁급식 전문업체 조리실의 물리적 환경이 조리종사원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성환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산업체 위탁급식 전문업체 조리실의 물리적 환경이 조리종사원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이론적 고찰과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물리적 환경 29문항, 직무만족도 11문항, 일반사항 14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예비 조사를 통해 수정 및 보완하였다. 조사 대상은 현재 산업체 위탁급식소에서 현재 근무 중인 조리종사원(영양사, 조리사, 조리원)을 대상으로 2020년 5월 18일부터 24일까지 7일간 진행하였으며, 총 200부를 온라인 설문 조사를 통해 진행되었다. 설문지는 100%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통계분석은 SPSS statistics version 25.0울 사용하였다. 세부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리실의 물리적 환경 속성은 쾌적성, 청결성, 안전성, 공간성, 편의성 5개 요인으로 직무만족도는 직무만족과 직무몰입 2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조리실의 물리적 환경 중 쾌적성(p<0.001)과 편의성(p<0.05)은 직무만족에 정의(+)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결성, 안전성, 공간성은 모두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조리실의 물리적 환경 중 공간성(P<0.05)과 편의성(P<0.05)은 직무몰입에 정의(+)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쾌적성, 청결성, 안전성은 모두 직무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단체급식소에서 총 근무 년 수가 5년 이상 되었을 때 조리종사원의 직무몰입이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조리실의 물리적 환경 중 쾌적성은 조리실의 쾌적한 환경을 만드는 여러 가지 시설요인과 깨끗한 환경 그리고 편의성에 속하는 주방 내 정수기, 화장실, 탈의실, 후드 자동시스템, 운반 카트 등이 잘 갖추어져야 조리종사원이 편리하게 근무를 하여 직무만족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조리실의 물리적 환경 중 공간성에 속하는 주방 동선과 배식 동선이 짧게 구성되어야 한다. 편의성은 직무만족과 동일하게 잘 갖추어져야 조리종사원이 더욱 직무몰입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산업체 위탁급식 전문업체는 조리실을 새로 구성하거나 리모델링 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조리실을 구성하여 조리종사원이 직무만족 및 직무몰입을 이룰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산업체 위탁급식 전문업체는 조리종사원의 직무만족을 위한 단체급식 사업장 수주 제안 시 조리실의 세부 구성 제안 방향을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기존 운영사업장 리모델링 시에도 조리실의 물리적 환경개선 방향을 제시하여 실무적이고 효율적인 조리실의 환경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hysical environment of the kitchen of the contracted industry foodservice o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cooking employe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29 physical environment questions, 11 job satisfaction questions, and 14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expert interview, and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through a preliminary investig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duration of six days from May 18 to 24, 2020, with a total of 200 copie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for cooking employees(dietitians, chef, cooking assistant) who are currently working at contracted industry foodservices. All 100 percent of the questionnaire was used for analysis,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statistics version 25.0. First, the physical environmental attributes of the kitchen consisted of five factors: comfort, cleanliness, safety, spatiality and convenience, while job satisfaction consisted of two factors: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Second, comfort(p<0.001) and convenience(p<0.05) in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kitchen were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while cleanliness, safety and spatiality all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rd, spatiality(P<0.05) and convenience(P<0.05) in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kitchen were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involvement, while comfort, cleanliness and safety all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job involvement. Fourth, when the total number of working years of service in foodservice company was more than five years, the job involvement of cooking employee increased. In conclusion, in order for the cooking employee to work conveniently to achieve job satisfaction, various facility factors that determine the comfort of the kitchen's physical environment must be well equipped. It is believed that convenience should be given same weight as job satisfaction in order for the cooking employee to achieve more involvement in their du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tracted industry foodservices will be able to set the detailed composition proposal direction of the kitchen for job satisfaction of the cooking employee.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efficient and practical environment of the kitchen in industry foodser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