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녹지 면적과 기온의 비교분석을 통한 서울시 도시공원계획의 고찰 : 기후변화 대응을 중심으로

        이초현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87

        These days, 2022, In the era of in the face of the climate crisis, the world is setting common global goals such as carbon neutralit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o reduce global temperature by 1.5℃ and promoting various policies and plans by country and city. Seoul, the capital of the Republic of Korea, is also continuing to promote urban planning and policies to deal with climate change. Therefore, in this study, intuitively analyzed how the securing of green spaces for climate changes responses is related to the reduction of urban heat islands. In addition, after selecting autonomous districts with weak green spaces, implications were drawn through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urban park plan of Seoul.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reen area index and the heat island related index was analyzed based on the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of the green area and extreme temperature using ArcGIS Pro.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green area index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xtreme temperature. In particular,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green cover area and green cover rate with extreme temperature was -0.68(p=0.000), showing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green space and temperature in the city, and a total of 9 indicators related to green space were comprehensively sorted out to select Dongdaemun-gu and Yeongdeungpo-gu as autonomous districts with weak green spaces in this study. In addition,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check whether the actual satisfaction level of each autonomous district corresponds to this result, and the two autonomous districts showed low values ​​in terms of satisfaction as well. Accordingly, this thesis suggested that Dongdaemun-gu and Yeongdeungpo-gu desperately need to secure green areas. Afterwards, the 「2030 Seoul Parks and Green Space Master Plan」 and the 「Comprehensive Plan for Response to Climate Change」 were reviewed to review the park and green area expansion plans for Dongdaemun-gu and Yeongdeungpo-gu. In the「2030 Seoul Parks and Green Space Master Plan」 there were plans to expand parks in Dongdaemun-gu(4.35%) and Yeongdeungpo-gu(3.87%), So this thesis emphasized that the policy to expand parks and green areas should be pursued as planned by 2030. In addition, Suggest that the park creation plan using idle land, which is being promoted to resolve the imbalance in underprivileged areas in the 「Comprehensive Plan for Response to Climate Change」, should be implemented first for the above two autonomous districts. 2022년 현재 전 세계는 기후 위기 시대를 맞아, 지구 온도 1.5℃ 저감을 위한 탄소중립, 지속가능한 발전 등과 같은 세계 공동목표를 세우고 국가별·도시별로 다양한 정책과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수도인 서울 또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도시계획과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녹지 확보가 도시열섬 저감에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 직관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녹지 취약 자치구를 선정하여 서울시의 도시공원계획을 고찰한 결과를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먼저, ArcGIS Pro를 이용하여 녹지와 극한 기온의 공간 분포 분석을 바탕으로 녹지 지표와 열섬 관련 지표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녹지 지표가 극한 기온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특별히 녹피면적 및 녹피율이 극한 기온과 갖는 상관계수는-0.68(p=0.000)로 나타나 강한 음의 상관성을 가졌다. 이에, 도시 내 녹지와 기온이 상관관계가 있다고 판단하였고, 총 9개의 녹지 지표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동대문구와 영등포구를 본 연구의 녹지 취약 자치구로 선정하였다. 아울러 실제 자치구별 만족도가 이 결과에 상응하는지 확인하고자 비교분석을 하였고, 두 자치구는 만족도 측면에서도 저조한 값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동대문구와 영등포구는 녹지 확보가 절실히 필요함을 제언하는 바이다. 이후, 「2030 서울시 공원녹지 기본계획」과 「기후변화 대응 종합계획」을 고찰하여 동대문구와 영등포구에 해당하는 공원녹지 확충 계획을 검토하였다. 「2030 서울시 공원녹지 기본계획」에서는 동대문구(4.35%), 영등포구(3.87%)로 공원확충 계획이 있었기 때문에, 2030년까지 계획대로 공원녹지를 확충하는 정책을 추진해야 함을 강조한다. 또한, 「기후변화 대응 종합계획」의 공원 소외지역 불균형 해소를 위하여 추진하고 있는 유휴지를 활용한 공원 조성계획은 위 두 자치구를 대상으로 최우선적으로 시행되어야 함을 제언하는 바이다.

      • 도시 오픈스페이스(Open Space)의 물리적 요소에 따른 보행만족도 변화 : -서울시내 3개 주요 광장을 중심으로-

        이하정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87

        This study has firstly started from the simple question in a view of a pedestrian that we want to walk or stay somewhere which is unconsciously and unintentionally perceived and determined. A Gwanghwamun Square, built under the municipal urban environmental regeneration project in Seoul, has been used for various cultural events, social/political gatherings by particular interest groups, and sometimes pan-national gathering purpose. Seoul Square and Cheonggye Square, being operated and managed under Seoul municipal government as well as Gwanghwamun Square, have been specially recognized by citizens featured with its location, historical background, social recognition and other multiple factors despite its different physical characteristics. As our daily place excluding its extraordinary nature of these squares, however, there still remains a question that those squares are where we want to walk and stay and they are places to naturally lead the steps of pedestrians. It was remarkable that these places seem isolated rather than being harmonized as a public space excluding significant events such as peaceful gatherings or world cup cheering. Therefore, I thought its main cause is coming from internal/external physical characteristics featuring Gwanghwamun Square and finally hypothesized that walkability of the pedestrian is influenced by particular physical characteristics in open space with a logic of the research as follow. Firstly, advanced research on pedestrian’s walkability will be studied, and key factor securing walkability of urban open space will be comprehended. Secondly, physical characteristics influencing walk space and environment will be comprehended and particular physical characteristics to be verified by this research will be extracted. Thirdly, numeric value will be surveyed by applying the extracted physical characteristics on Seoul Square, Cheonggye Square, and Gwanghwamun Square. The survey will be conducted by Google Map, Naver Map, and site visiting. Fourthly, walkability on three squares will be verified by question survey and their walkability will be comprehended by analyzing survey result with advanced research cases. Through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verified physical characteristics can be further considered for urban planning at the initial stage. Keywords: Open Space, Square Plaza, Walkability, Physical Characteristics of Walk Space 본 연구는 보행자의 관점에서 무의식적으로 지각하고 결정지어지는 ‘이 길을 걷고 싶은가’ 또는 ‘이 곳에 머물고 싶은가’ 에 대한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서울시의 도시환경정비사업의 일환으로 개발된 광화문 광장에서는 다채로운 문화행사가 열리기도 하고, 때로는 특정 이해집단의 사회․정치적 집회의 장소로 쓰이며, 범국민적인 화합의 장소로 활용되기도 한다. 광화문광장과 함께 서울시 관리 하에 운영되는 서울광장과 청계광장 역시 그 규모와 형태는 다르지만 광장의 위치, 역사적 배경, 기타 사회적 인식 등 다양한 요소들로 인하여 서울시민들에게 특별한 장소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광장이 지닌 이러한 특수성을 배제하고, 우리의 일상의 장소로 생각하였을 때, 과연 이 광장이 정말 가고 싶은 장소인지 머물고 싶은 장소인지, 보행자의 발걸음을 자연스럽게 이끌게 하는 곳인지 의문이 들었다. 국민적 화합을 도모하는 평화적 시위, 월드컵응원 등의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광화문광장은 ‘화합’보다는 ‘격리’의 모습으로 비추어지는 것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개인의 경험에 비추어, 이러한 원인을 광화문광장을 구성하는 내외부 물리요소라고 생각하였고, 이에 오픈스페이스는 보행환경의 특정 물리적요소가 보행자의 보행성(walkability)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세우고 다음과 같이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첫째, 보행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도시 오픈스페이스가 보행성을 확보하는 데 어떤 요소가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한다. 둘째, 보행공간 및 보행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요소를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파악하고 본 연구의 대상에 적용할 물리요소를 선별한다. 셋째, 선별된 물리요소를 서울광장, 청계광장, 광화문광장에 적용하여 구체적인 수치를 조사한다. 조사는 구글맵, 네이버지도, 현장방문조사를 통해 수행한다. 넷째, 3개 광장을 대상으로 보행자 설문을 통하여 대상지의 보행선호도를 조사하고, 조사결과를 선행연구사례와 비교분석하여 보행성 확보여부를 파악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도시 오픈스페이스가 보행성을 확보하여 보행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보행공간 물리요소를 파악함으로서 향후 도시계획 초기단계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 주제어: 오픈스페이스, 광장, 보행성, 보행공간의 물리적요소

      • 도시화가 완료된 도시지역 토지적성평가 수립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중심으로

        이세광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87

        ABSTRACT The Study of Land Aptitude Assessment in Urban Areas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completed of Development Lee, Se Kwang International School of Urban Sciences University of Seoul The study began when asked whether the results of the land aptitude Assessment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 completed urban area, meet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e land aptitude evaluation and are appropriate as basic data for the urban basic plan and urban management pla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Land Suitability Assessment comprehensively analyzed environmental ecological, physic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examined the location status, establishment status, and the content characteristics of the establishment, and confirmed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 to select optional indicato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irst, a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completed its metropolitanization, so there are no managed areas and agricultural and forestry areas. As a result of conducting a land aptitude assessment for the green area,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development tendency were shown. In terms of urban planning, green areas are located in areas that need conservation to protect the natural environment and landscape, protect animals and plants,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protect farmland, preserve it, and prevent urban sprawl. As a result of the Land Suitability Assessment, these areas were assessed with some developmental tendencies. Seco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decided to select the distance from the Biotop Class 1 in consideration of the city's regional characteristics in consideration of its policy direction to preserve green areas. Although it was induced to preserve natural green areas, the results of the land aptitude evaluation were derived from the development aptitude of the "라" and "마" class for a certain area (0.28fi) of the first grade of Biotop land. Therefore,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assessment of the land aptitude assessment alone did not represent the values derived from the selection of optional indicators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so the green area using qualitative absolute assessment (designation of the conservation target area) could be preserved as much as possible. The establishment of a land aptitude assessment in urban areas, which has been developed for mandatory land suitability assessment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e National Land Planning Act, was found to be inconsistent with the purpose of green area designation, even if the selection of optional indicators and qualitative absolute evaluation of separate conservation areas were added.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to review relevant regulations, such as exclusion from the establishment of a land aptitude assessment in urban areas such as Seoul, where only the preservation area remains subject to a land aptitude assessment, since the average of land aptitude and standard deviation are converted to standardized values. 국문초록 이 연구는 개발이 완료된 도시지역인 서울특별시의 토지적성평가 결과가 토지적성평가의 근본적인 목적에 부합하는지와 도시기본계획과 도시관리계획의 기초자료로서 적합한지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서울특별시의 토지적성평가에 대한 서울시 환경 생태적·물리적·공간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입지현황, 수립현황, 수립의 내용적 특성을 살펴보았고, 선택지표 선택을 위한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사례에서 기도시화가 완료되어 관리지역과, 농림지역등이 존재하지 않고 보전적으로 관리되어야 할 녹지지역만을 평가대상으로 토지적성평가를 실시한 결과 개발성향의 평가 결과가 나타났다. 도시계획적 측면에서 녹지지역은 자연환경 및 경관의 보호, 휘기 및 멸종위기 야생 등 동식물의 보호, 환경오염의 예방, 농경지보호, 보전과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녹지의 보전이 필요한 지역에 입지시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지역이 토지적성평가 결과 일부 개발성향으로 평가되었다. 둘째, 서울시는 녹지지역을 보전해야 한다는 정책방향을 고려하여 서울시의 지역특성을 고려한 비오톱1등급지와의 거리를 선택지표로 결정하여 자연녹지지역을 보전하려고 유도하였으나 토지적성평가 결과는 비오톱1등급 토지의 일정면적(0.28㎢)이 “라”,마“등급의 개발적성으로 결과 값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토지적성평가의 정량적평가 결과만으로는 지역특성을 반영한 선택지표의 선택으로는 평가결과 값을 유도한 대로 나타내지 못하였기에 정성적 절대평가(보전대상지역 지정 부록1참조 )를 활용한 녹지지역을 최대한 보전할 수 있었다. 현재 국토계획법 규정에 따라 전 국토에 대해 의무적으로 실시해야 하는 토지적성평가 수립에 대해 기개발이 완료된 도시지역에서의 토지적성평가의 수립은 지역적합성을 반영한 선택지표 선택과 별도보전지역 지정에 따른 정성적 절대평가를 추가하더라도 녹지지역 지정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결과 값이 나타났다. 따라서 토지적성평가 전체 평가대상 토지의 적성값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표준정규분포곡선상의 표준화값으로 변환하는 방식은 적성등급의 비율이 일정하게 나타나므로 보전지역만이 토지적성평가 대상으로 남은 서울시와 같은 도시지역에서는 토지적성평가 수립에서 제외하는 등 관련 규정의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Urban regeneration sustainability under a traditional market improvement : A comparative study between santa market Jakarta, Indonesia and Jeonju Cheongnyeon Mall, South Korea

        Christiaji, Nugroho Ratrian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71

        Recent global trends and dynamic changes make a city continues to redefine its physical appearance and its living space as an activities container. At the same time, there are some part of society that have insufficient power to follow the rapid change of urban movement. As a result, there would be some parts of a city are becoming degenerated. Those spots have been remaining on physical decay, in an extreme case, it is tended to be abandoned. There is no exception case for every building type, as well as a traditional market building, facing this physical degradation problem. Nevertheless, urban regeneration is a proper alternative method to overcome the problem. This method is focused on redefining and reactivating urban environment without rebuild or redevelop its physical construction. This research is mainly to evaluate successful cases applying urban regeneration method focused on traditional market revitalization projects. The evaluation is delivered towards a comparative learning on two successful precedents at the Cheongnyeon Market in South Korea and the Santa Market in Indonesia. Collaborative data collection analysis, documents review, and site visits have been conducted for this research to create a recommendation for a similar project type of urban regeneration focusing on traditional market building in the future time. 최근 전 세계적 동향과 역동적인 변화로 인해 도시 경관과 삶의 공간이라는 도시의 정의가 활동 공간(activities container)으로 재정립되고 있다. 한편, 도시의 급격한 변화를 따라갈 여력이 불충분한 사회 계층도 존재한다. 그 결과, 도시의 일부가 오히려 퇴보하는 현상도 나타날 것이다. 이러한 곳은 물리적 노후 현상에 직면하게 되고, 극단적인 경우에는 방치되는 경향을 보인다. 유형을 불문하고 모든 건물(전통 시장 건물 포함)은 예외 없이 물리적 노후 문제를 겪는다. 도시 재생(urban regeneration)이 이러한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적절한 대안이 될 수 있다. 이 방안은 물리적인 재건축이나 재개발 없이 도시 환경을 다시 정의하고 활성화하는 데 중점을 둔다. 본 연구에서는 주로 전통 시장 재활성화 사업에 중점을 둔 도시 재생 방안을 적용한 성공 사례를 평가한다. 평가는 두 가지 성공 사례(대한민국의 청년 시장과 인도네시아의 산타 시장)에 대한 비교 학습을 통해 제시된다. 본 연구를 위해 협력적 데이터 수집/분석, 문서 검토 및 현장 방문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전통 시장 구축에 중점을 둔 유사한 유형의 도시 재생 사업에 대한 권고를 작성했다.

      • Informal settlements in the process of urbanisation : a case study of Garden Hills and ATS Samarai Block in Port Moresby, Papua New Guinea

        Wilson Gusamo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71

        Informal settlements are an eyesore but are inevitable products of urbanization. In the process of urbanization, so many informal settlements have sprung up in city precincts, suburbs, and peri-urban areas. At least 83 informal settlements have sprung up in Port Moresby, the capital city of Papua New Guinea (PNG). Given that Port Moresby receives the most migrants, this study discusses informal settlements in the city as it undergoes urbanization using the typical cases of Garden Hills and ATS Samarai Block.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dwellers of Garden Hills and ATS Samarai Block, examine the rate of population changes in Port Moresby and determine why settlers choose to live in informal settlements, look into the affordability of housing and land, assess the state of informal settlements and the direction of city growth, and identify challenges for governments brought on by informal urbanization for policy interventions. The study also aims to take a closer look at the issues pertaining to land (both State and Customary) and law and order issues. Residents of informal settlements are interviewed to gain insight into their motivations for moving to Port Moresby. In-migration, population change, urbanization and city-directional growth, the status of informal settlements, housing affordability, and land issues at the study sites are the main subjects of the study. The study employed a sample biased technique for both convenience sample and purpose response sample. The 40 household respondents were selected from the total population of the area using random sampling to grasp the different socio - economic characteristics because both settlements were comprised of people from all over PNG living in Port Moresby city. The result indicates that younger people are coming to Port Moresby for school and enjoying city bright lights and employment. Majority of the residents of both communities, 43% and 35%, respectively, are from the Milne Bay and Eastern Highlands Provinces. Public sector salary pay structure the least paid worker (PS01) gets 633 PGK per month; 30% is 190 PGK, worker at median (PS10) gets 1, 660 PGK; 30% is 498 PGK and a highly paid worker (PS20) gets 6087.93 PGK; 30% is 1826.37 PGK. There is a need for Policy or Regulatory Framework to regulate housing, real estate, land prices and the upgrading of informal settlements into city suburbs. The Vagrancy Act must be reviewed, and proper control mechanisms must be put in place to control city movements and orderly settings of the city areas. The Papua New Guinea National Housing Policy 2021-2030 must be reviewed and put into place an effective implementation mechanism to deal with city’s housing issues. To ensure that the city's design and expansion are managed and administered in an orderly and planned manner, the Port Moresby Towards 2030 Plan must be resourced and efficiently implemented.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비공식 주거지는 도시화의 불가피한 산물이다. 도시화 과정에서 도시 구역, 교외, 도시 주변 지역에 수많은 비공식 주거지가 생겨난다. 파푸아뉴기니의 수도 포트모르즈비에는 최소 83개의 비공식 주거지가 있다. 이 연구는 파푸아뉴기니에서 가장 많은 이주민을 수용하는 도시인 포트모르즈비의 가든힐스(Garden Hills)와 ATS 사마라이 블록(ATS Samarai Block)의 대표적인 사례를 통해 포트모르즈비의 비공식 주거지를 논의한다. 이 연구의 목표는 가든힐스와 ATS 사마라이 블록 거주자의 사회경제적, 인구통계적 특성을 조사하고, 포트모르즈비의 인구 변화율을 조사하여 정착민들이 비공식 거주지를 선택한 이유를 파악하고, 주택과 토지의 경제성을 조사하고, 비공식 주거지의 상태와 도시 성장 방향을 평가하고, 비공식 도시화로 인한 정부의 정책 개입 과제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또 다른 목표는 토지(국영토지, 관습토지 모두 포함)와 관련된 문제와 법과 질서 문제를 면밀히 살펴보는 것이다. 포트모르즈비로 이주 동기를 파악하기 위해 비공식 주거지 주민들을 인터뷰했다. 연구의 주요 주제는 이주, 인구 변화, 도시화 및 도시 방향 성장, 비공식 주거지 현황, 주택 경제성, 연구 대상지의 토지 문제다. 이 연구는 편의 표본과 목적 응답 표본에 표본 편향 기법을 사용했다. 두 주거지 모두 파푸아뉴기니 전역에서 온 이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사회경제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해당 지역의 전체 인구에서 무작위 표본 추출을 통해 응답자로 40가구를 선정했다. 연구 결과는 젊은 사람들은 진학을 위해 포트모르즈비로 이주하고 도시의 밝은 불빛과 일자리를 향유함을 시사한다. 가든힐스의 43%, ATS 사마라이 블록의 35% 등 지역 주민 다수가 밀른베이 (Milne Bay)와 이스턴하이랜드 프로빈스(Eastern Highlands Province) 출신이다. 공공부문 급여 구조 최저임금 노동자(PS01)는 월 633키나(30%는 190키나), 중간임금 노동자(PS10)는 1,660키나(30%는 498키나), 고임금 노동자(PS20)는 6087.93키나(30%는 1826.37키나)를 받는다. 주택, 부동산, 토지 가격 및 비공식 주거지의 도시 교외로의 업그레이드를 규제하기 위해서는 정책 또는 규제 프레임 워크가 필요하다. 부랑자법(Vagrancy Act)을 검토하고, 도시 이동과 도시 지역의 질서 정연한 환경을 통제하기 위한 적절한 통제 메커니즘을 마련해야 한다. <파푸아뉴기니 국가 주택 정책 2021-2030(Papua New Guinea National Housing Policy 2021-2030)>을 검토하고 도시의 주택 문제를 처리하기 위한 효과적인 실행 메커니즘을 마련해야 한다. 도시의 설계와 확장을 질서정연하고 계획적인 방식으로 관리하고 운영되려면 <포트모르즈비 2030 계획(Port Moresby Towards 2030 Plan)>을 지원하고 효율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 서울시 주상복합개발의 제도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성모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복합용도개발에서 새로운 주거형태로 증가추세에 있는 주상복합개발에 대하여 당초 정책 목적인 도심공동화 현상방지와 직・주근접을 통한 원거리 통근(통학)방지 등 도시공간구조를 활용한 토지이용 효율성 증대로 효과를 기대할 것으로 예측하였으나 단순한 공급위주의 개발로 인한 정책적 목적의 실현과는 너무나 거리가 있다는 평가를 받으며 미흡함을 나태내고 있다. 따라서 주상복합개발의 문제점을 측정하고 복합용도 개발의 효과성을 모색하여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함으로써 정책적 시사점과 관련분야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연구의 2장에서는 주상복합개발의 이론적 기초, 3장에서는 서울시 주상복합 건물의 효과성 평가, 4장에서는 서울시 주상복합 건물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첫째, 도심공동화는 기능간 시너지 효과를 이루지 못한 채 주거공급에 의하여 부분적인 접근을 보이고 있으며 둘째, 직・주근접을 통한 원거리 통근(통학)방지는 수요층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셋째, 만족도에 대하여는 경제성 가치를 제외하고는 좋은 반응을 얻지 못하고 있다. 효과성 평가 측면에서도 이 방법 또한 미시적인 방안으로 간주되며 미래도시를 위하여 거시적인 방안채택이 요구된다. 이러한 상태로 지속적인 집행이 된다면 미래의 도시기능은 더욱 열악한 요인이 될 것으로 판단되므로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이 요구된다. 첫째 : 도시기반 용적률을 제도적 측면에서 도시기반시설 용량기준 평점제도를 적용하여야 한다. 기존용적률 적용은 소유필지에만 적용하고 있다. 둘째 : 관련법 체계의 완화 및 규제를 효율적이고 실효성 있는 정책의 방향으로 개선하여야 한다. 셋째 : 시민의 참여와 함께 의사반영을 위한 컨트롤 타워 시스템 구축과 정보공유를 하며 개선할 수 있는 광장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복합용도개발에서 파생된 용도의 주상복합개발에 대한 제고해야 할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주요어 : 복합용도개발, 주상복합개발, 도심 공동화 현상방지, 직・주근접, 용도용적제, 도시기반 용적률 A study on operation of institutional improvement plan for mixed-use housing in Seoul Regarding increasing mixed-use housing, a new residing form in mixed-use development, this study predicted benefits due to effectiveness increase of land use by utilizing city space structure such as prevention of downtown hollowing out, original purpose of the policy, and prevention of distant commuting(attending school) by living close to work place. However, mixed-use housing plan has revealed as insufficient with evaluation that it is too far from realization of political purpose due to supply-centered simply development. Therefore, this study puts its purpose on suggesting political countermeasure and improvement plan for related part by measuring problems of mixed-use housing, figuring effectiveness of mixed-use development out and structuring new paradigm for resolving urban problems. Moreover, this study analyzed theoretical basis of mixed-use housing in second chapter, effectiveness evaluation of Seoul mixed-use housing in third chapter and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 for Seoul mixed-use housing in fourth chapter. The results of analyze were as follows. First, downtown hollowing out is showing partial access by supply of residency without synergy effect between functions. Second, prevention of distant commuting(attending school) by living close to work place is revealing different reaction per each demanding level. Third, satisfaction has not been good except economic value. Concerning evaluation of effectiveness, it also regarded as microscopic measure, demanding macroscopic countermeasure for future city. Should execution continues with this status, function of future city would be deteriorated. With summary of study result, I could find following facts. First : floor space index should apply grades system based on capacity in institutional view. Existing floor space index has applied only to possessing plots. Second : deregulation and regulation of related law must be improved to the direction of efficient and effective policy. Third : control tower system and open spaces for information share should be prepared with participation of citizens. As stated above, this study suggested improvement direction for mixed-use housing derived from mixed-use development. Key Words : mixed-use development, mixed-use housing, prevention of downtown hollowing out, living close to work place, floor space index per use, floor space index based on city

      • Evaluation of land use master plan and sustainable urban mobility plan of Tbilisi : future improvements and recommendations

        Giorgi Shavliashvili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ustainable Urban Mobility Plan and Land Use Master Plan. Both documents play a crucial role in developing a sustainable urban environment. While Land Use Master Plan guides the physical development of a city, Sustainable Urban Mobility Plan promotes sustainable transportation modes, reduces car dependency, and improves accessibility. For the best mobility pattern, it’s important to develop both documents considering one another. The research uses a mixed method approach. Data for this study is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field work, project documents, spatial databases, and remote sensing. And public transport accessibility is calculated using weighted average method. This research evaluates Sustainable Urban Mobility Plan and Land Use Master Plan of Tbilisi, exposes their connection, and identifies four out of many problematic areas for the further discussion. These areas were chosen according to the different factors, including existing and future residential development, street network, existing and planned public transport accessibility, and mismatch between Land Use Master Plan and Sustainable Urban Mobility Plan on these locations. Additionally, research explores major problems of the documents, such as topological errors and principal issues, including defining land use zones without calculating current and future transport demand, and calculates public transport accessibility to evaluate how public transport coverage will improve after implementing public transport modes proposed by Sustainable Urban Mobility Plan. Research concludes with a set of recommendations (e.g., Updating Land Use Master Plan after conducting household survey and traffic count, and avoiding high intensity zones in the peripheral districts) to improve the integration of Sustainable Urban Mobility Plan and Land Use Master Plan, and promote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이 연구의 목표는 조지아 트빌리시의 ‘지속가능도시이동성계획(Sustainable Urban Mobility Plan)’과 ‘토지이용마스터 계획(Land Use Master Plan)’ 간의 관계를 탐구하는 것이다. 두 문서는 모두 지속 가능한 도시 환경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토지이용마스터계획은 도시의 물리적 개발에 대한 지침을 담고 있고, 지속가능도시이동성계획은 지속가능한 교통수단을 장려하고, 자동차 의존도를 낮추며, 접근성을 개선한다. 최적의 이동성 형태를 위해서는 두 문서를 함께 참조해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는 혼합적 연구방법을 사용한다. 이 연구는 인터뷰, 현장 작업, 프로젝트 문서, 공간 데이터베이스, 원격 탐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한다. 대중교통 접근성은 가중평균 방법을 사용하여 계산한다. 이 연구는 트빌리시의 지속가능도시이동성계획과 토지이용마스터플랜을 평가하고, 둘 간의 관계를 드러내고, 추가로 논의해야 할 여러 문제 영역 중 네 가지를 식별한다. 네 영역을 선정하는 데 사용한 요인들은 트빌리시의 현재 및 향후 주거개발, 가로망, 현재 및 계획된 대중교통 접근성, 토지이용마스터계획과 지속가능도시이동성계획의 불일치 등이다. 또한, 이 연구는 현재 및 미래 교통 수요를 계산하지 않은 토지 사용 구역의 정의 등 이 문서들의 위상적 오류 및 주요 쟁점을 살펴보고, 지속가능도시이동성계획에서 제안한 대중교통 양식을 구현할 경우 대중교통 커버리지가 어떻게 개선되는지 평가할 수 있도록 대중교통 접근성을 계산한다. 결론에서는 일련의 권고사항(가구 조사 및 교통량 집계 후 토지이용마스터계획 업데이트하기, 주변 지역의 고밀도 구역을 피하기 등)을 제시함으로써 지속가능도시이동성계획과 토지이용마스터계획의 통합을 개선하고 지속가능한 도시 개발을 촉진하도록 한다.

      • 건강도시 조성을 위한 계획지표에 관한 연구

        이진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rapid urbanization in our cities since the 1970's made emphasis focused on development rather than quality of life. A paradigm of the city we live in is changing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this kind of value of life is currently requiring a high amenity of urban environment than ever before. The concept of "Healthy Cities" was introduced in order to achieve such a high level of urban environment, many studies are underway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Healthy city paradigm of the past dealt with overall physical and non-physical factors of the city, but now the importance of the physical factors are emphasizes and it was reported that the physical design cause a synergy to non-physical factors. In this research, physical planning is seen as an important indicator of the health city's composition; therefore, the research is used to analyze the physical factors necessary to create a healthy city that can be utilized in practice for the cities which has stopped growing but carries the paradigm as 'healthy'. The scope of the research targets analysis from healthy cities conference and agenda (WHO and Agenda21 etc) and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leading research and research reports. Method of research is to configure the available physical health indicators in urban development planning process. First, domestic research, international reports, and academic study were referred to derived the physical elements of the healthy city. Second, final indicators of urban structure and the facilities were drawn from the frequent high index. Third, because indexes are not in equal hierarchical value, AHP analysis were used to draw out the indexes which can be use as a future guide lines and checklists. Indicators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were mostly about the city structure than facilities, and as in previous research, AHP analysis of hierarchical values of each indicator results city structure is more important for healthy city. Implications for research are that there are no plans which could be practically used in the process of planning, compared to overseas construction cases, and checklists and guidelines are needed for creating Healthy City. This research discussed about actual plan index for Healthy City, and there needs to be policy and design-related efforts in order to become socially and physically fit via more specific checklists and guidelines. 우리 도시는 70년대 이후로 빠른 도시화가 진행이 되면서 삶의 질 보다는 개발에 치중되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우리가 살고 있는 도시에 대한 패러다임은 삶의 질의 향상으로 점점 바뀌어 가고 있고, 이러한 삶의 가치에 대한 생각은 현재 과거 어느때보다 높은 도시환경의 어메니티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한 높은 수준의 도시환경을 이루기 위해서 ‘건강도시’라는 개념이 도입되었고, 국∙내외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과거 건강도시의 패러다임은 물리적인 요인과 비 물리적인 요인을 전반적으로 다루고 있었지만, 현재는 물리적 요인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었으며, 물리적인 디자인에 의해 비 물리적인 요소의 상승효과를 유발한다고 보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 계획이 건강도시 조성을 위한 중요한 계획의 지표라고 보아 현재 비 성장도시에서 추구하는 패러다임인 ‘건강함’의 측면에서 실제적으로 활용 할 수 있는 건강도시를 조성하는데 필요한 물리적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건강도시 의제 및 회의와 국∙내외 선행연구와 연구보고서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건강도시 조성과정에서 활용 가능한 물리적 계획 지표를 구성하기 위해 첫 번째로, 국내 연구 및 국외의 보고서 및 학술 연구를 참고하여 건강도시를 이루는 물리적 요소를 도출하였고, 두 번째로, 빈도가 높은 지표에 대해 도시구조와, 시설로 분류를 하여 최종적인 지표를 도출하였다. 세 번째로, 도출된 지표는 동등한 위계를 가진 값이 아니어서 추후 가이드라인 및 체크리스트에 활용 할 수 있도록 AHP 분석으로 지표에 대한 가중치를 도출 하였다. 선행연구에서 도출한 지표는 대부분 시설 보다 도시 구조에 대해 많이 다루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고, 각 지표의 위계 값을 분석한 AHP 분석에서도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도시 구조적인 측면이 건강도시 조성을 위해 중요한 지표라는 결과가 나왔다. 시사점은 국내의 건강도시 조성사례는 국외 건강도시와 비교해서 실제적으로 계획 과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이 없는 실정이고, 건강도시 조성을 위한 체크리스트 및 가이드라인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도시 조성을 위한 실제적인 계획지표에 대하여 논의하였고, 앞으로 보다 구체적인 체크리스트 및 가이드라인을 위한 연구를 통해 사회·물리적으로 건강해지도록 하는 정책 및 디자인적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Infusion of land readjustment tool to prevent urban sprawl and land invasion in Addis Ababa city

        Derartu Dendena Agama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의 토지행정전략으로서 토지구획정리 현황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에티오피아, 아프리카, 전세계는 각각 5.6%, 4.9%, 2.8% 비율로 도시화가 이루어지고 있다(UNCHS2018). 의도적이든 아니든 도시화는 앞으로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에티오피아 도시화율은 20%지만 에티오피아 통계청과 세계은행은 2034년 이 수치가 4배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현재 토지 관리 제도는 이러한 빠른 인구 팽창과 토지 사유권을 제한하는 토지 정책으로 인해 토지 유용에 취약하다. 토지 오용 및 활용 부족과 함께, 급속한 도시화로 인해 관리 시스템이 성장 방향에 적절한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고 추가적인 도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에티오피아는 국가가 토지 소유권을 독점하고, 민간 개발업자나 개인은 통제되지 않은 과도한 도시 스프롤 및 확장으로 이어질 수 있는 부동산을 소유할 수 없다. 토지 임차인과 농민들은 정부보다 높은 가격을 제시하는 개인에게 토지를 판매한다. 이들 구매자는 필요에 따라 토지를 분할하여 가입자선, 송전선과 같은 필수 공익사업과 국경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 이후에는 대규모 개인 주택 이름으로 토지를 임대한다. 이로 인해 지자체, 원래 토지 소유자는 물론 인근 주민들도 정당한 개발 혜택을 누리리가 어려워진다. 본 연구는 토지구획정리 관행을 설명하고 시민들에게 더욱 많은 도시화와 개발 혜택을 제공할 수 있는 대안적 토지 정책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광범위한 개념을 평가하고 다양한 정의 및 적용을 검토한 다음 향후 정책 시행을 위한 개념을 개발했다. This research aims to evaluate the application of land readjustment as a strategy for land administration in Addis Ababa, Ethiopia. Urbanization is expanding at rates of 5.6%, 4.9%, and 2.8% in Ethiopia, Africa, and the world, respectively. (UNCHS2018). Whether deliberate or not, the urbanization rate will increase. The present urbanization rate in Ethiopia is 20%, and it is anticipated to quadruple by 2034, according to the Ethiopian statistics agency and the World Bank. With such rapid population expansion and a land policy that restricts private land ownership, the current management of land is susceptible to allowing land to be misappropriated. Along with the misuse and underutilization of land, fast urbanization allows for the emergence of additional urban issues due to the inability of the management system to allocate adequate attention to growth directions. The government is the exclusive owner of the land ownership rights. No private developer or individual may own any parcel of property that has allowed for excessive, uncontrolled urban sprawl and expansion. Land tenants and farmers choose to sell their land to individuals who are willing to pay them more than the government; these buyers will parcel the land according to its suitability, risking the border and essential utilities like access and utility lines. Subsequently, lease the land in the name of a large private dwelling. This prohibits the municipality, original landowners, and even the neighborhood from maximizing the development's benefits. This research aims to describe the customary practices of the land readjustment method and to provide an alternative land policy that allows inhabitants to benefit more from the urbanization and development processes. The study begins by evaluating the broad concept and examining its various definitions and applications, followed by the development of concepts for potential future implementations of a policy. Keywords: urban sprawl, slum, land invasion, land management, land administration, land policy, Land Readjus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