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터넷 기반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안선영(Sun Young Ahn),박승옥(Sung Ok Park),장은정(Eun Jung Chang),서주하(Ju Ha Seo),최황규(Hwang Kyu Choi) 한국정보과학회 199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2Ⅲ

        본 논문은 인터넷상에 분산 저장되어 있는 MPEG 비디오/오디오 및 텍스트 파일들을 자신의 컴퓨터로 전량 복사함 없이 실시간 연속 재생 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는 실시간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 플레이어와 서버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하여 기술한다. 시스템은 TCP/IP 인터넷 상에서 클라이언트/서버 동기화와 QoS 제어 등의 실시간 제어 기능을 소프트웨어 피드백 개념을 적용하여 구현한다. 구현된 시스템은 인터넷상에서의 실험을 통하여 통신망의 환경에 잘 적응하여 실시간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음을 보인다.

      • KCI등재후보

        무증상 간기능 검사 이상 환자의 진단적 접근

        안선영 ( Sun Young Ahn ),박수영 ( Soo Young Park ) 대한내과학회 2012 대한내과학회지 Vol.82 No.2

        Interpretation of abnormalities in liver function tests is valuable because they provide clues for various hepatobiliary disease. Because liver function tests have become a routine checkup in screening tests, isolated alterations of biochemical markers of liver damage in a seemingly healthy patient often represent a challenge for a clinician. Detailed history taking and physical examination are often helpful in interpretation of abnormal liver function tests and differential diagnosis. Proper diagnosis and management can be made with further laboratory tests and understanding of the laboratory results. (Korean J Med 2012;82:134-142)

      • KCI등재

        디지털게임 가상공간의 변화와 여성주의 실천에 대한 연구

        안선영(Ahn Sun Young) 한국여성연구소 2010 페미니즘 연구 Vol.10 No.2

        현대인의 여가생활의 한 축으로 자리 잡게 된 디지털게임에 대한 국가적, 시장적 관심은 계속 높아지고 있지만 이 디지털게임 가상공간 안에서 일어나고 있는 실제적인 다양한 현상들을 분석하려는 이론적 노력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특히, 주 소비성별이 남성이며 폭력적이고 선정적인 콘텐츠가 대부분일 것이라는 디지털게임 가상공간에 대한 막연한 인식은 이 안에 존재하는 여성들의 행위성을 살펴보기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그동안 디지털게임 가상공간이 어떠한 공간으로서 인식되어왔는지 여성주의 시각을 통해 검토하였고 실제로 지금까지 디지털게임 가상공간이 게임 콘텐츠를 통해 어떠한 방식으로 남성과 여성이용자들을 이분화 하는 구조를 만들어왔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비폭력, 비목적적인 게임임에도 불구하고 디지털게임 시장에서 크게 성공을 거두었던 〈심즈〉라는 게임을 통해서 이용자들이 스스로 변화하고 감수성을 발현하며 게임 문화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일련의 과정을 정리하였다. 연구 결과 이들은 디지털게임 가상공간에서 주어지는 무분별한 가치들을 그대로 체화하여 반복적으로 소비하는 수동적인 소비자의 모습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심즈〉라는 새로운 형식의 게임 콘텐츠를 통해서 적극적으로 게임을 즐기고 재능을 발휘하며 다른 방식의 게임 문화를 형성하고 실천해내는 창조적인 주체로서 기능하고 있었다. 이들 이용자들의 다양한 변화의 모습들은 디지털게임 가상공간이 여성친화적 공간으로 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따라서 앞으로 다각적으로 진행될 디지털게임 가상공간에서의 변화의 가능성을 주시하며, 앞으로 이것들이 보여줄 여성주의적 변혁의 지점들을 제대로 고찰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과 인식들이 필요하다. National and market concerns on the digital game which are placed as a part of modern people’s leisure time are increasing. Though the theoretical tries are lacked for analysing the actual, diverse phenomenons which are happening in digital cyber space. Especially, the main consumer sex is men and the thoughts almost contents are suggestive are make difficult for insecting the women’s acts in this cyber space. So this article checked how digital cyberspace are placing according to the feminism view and how digital game cyber space make woman user and man user as the dichotomous structure. Also this article manages the process that users change themselves, manifest their sensitivity, and influence the game culture through 〈Sims〉. 〈Sims〉 makes success in digital game market though it is nonviolent and nonpurposeful. According to the result, Users are functioning as a creative being enjoying the new game contents 〈Sims〉 actively, demonstrating their talents and making and practicing new game culture. Users are not passive consumer who accept the values which is given in digital game cyberspace indiscreetly and pied them up, consume it repetitively. This users’ change is showing the potentiality that digital game cyberspace is becoming women-friendly space. Thus we monitor the possibility of changes which are made in various aspects in digital game cyberspace. And new approach and new recognition that can catch the feminism’s change are needed.

      • KCI등재

        생명과학 지식의 가공과 콘텐츠화 과정에 대한 연구

        안선영(Sun-Young Ahn),김산하(San-Ha Kim),장이권(Yi-Kweon Jang)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11

        일반인들의 자연에 대한 감상과 생명과학의 이해는 오늘날 과학의 대중화에서 큰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일반인의 관심이 높은 전시와 같은 비형식 과학교육은 생태학, 동물행동학, 환경학 등 거시생물학적 분야의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렇지만 전문가의 참여 부재, 자연 현상의 피상적인 기술 등의 이유로 대중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되고 있지 않다. 정보와 지식은 그 자체로는 수용자가 곧바로 이해하고 받아들일 만한 형태 및 구조를 가지지 못하다. 생명과학 지식을 일반인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콘텐츠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콘텐츠화 하는 가공 과정이 필요하다. 주제의 선정 단계에서부터 내용의 편집 및 표현 단계까지의 일련의 과정으로서 관련 분야의 전문가인 과학자의 적극적인 역할이 강조된다. 콘텐츠화 과정은 과학적, 논리적 사고방식과 더불어 예술적 표현 및 소통 능력을 필요로 한다. 과학의 대중화를 위한 이론적 및 실천적 틀로서 통역의 개념을 제안한다. Appreciation of nature and an understanding of the biological sciences by the general public are key to the popularization of modern science. In particular, informal and accessible venues such as museum exhibits occupy a crucial role in science education, and they depend heavily on fields related to macrobiology, including Ecology, Animal Behavior, and Environmental Science. Unfortunately, lack of engaged experts and superficial descriptions of natural phenomena all too often prevent scientific knowledge from being shared effectively with the general public. Raw information itself and knowledge are not in a form or structure accessible to nonspecialists. In order to move successfully deliver substantive comprehension of the biological knowledge to the general public, it is necessary to categorize information from a content-conscious perspective and transform it into useful biological content. Therefore, the role of scientists is critically important in a series of processes that include theme selection, editing, and even graphical layout of contents. These processes require not only a scientific and logical way of thinking, but also an aptitude for artistic presentation and effective communication. The concept of Translation is presented as a theoretical and operational framework for the popularization of science.

      • KCI등재
      • KCI등재

        e-스포츠 산업 종사자의 노동자성에 관한 연구

        안선영(Sun-Young Ahn),심재웅(Jae-Woong Sh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13 한국언론정보학보 Vol.62 No.2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급속도로 발전했던 e-스포츠 산업을 중심으로 이 문화산업에 종사하는 20대 청년 문화 노동자의 노동시장 진입과 퇴출이라는 일련의 과정 속에서 발생하는 구조적 문제들에 대해 분석한 연구다. 기존의 e-스포츠에 관한 연구들은 스포츠 산업의 산업적 전망과 비즈니스 모델로서의 가치에만 주로 맞춰져 왔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 새로운 산업을 지탱하고 유지시키는 동력이 되는 산업 종사자들에 대한 분석에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결과 가볍고 유동적이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후기 근대의 개인화된 노동시장 상황과 1990년대 이후 진행된 IT 산업의 성장, 관련 직종의 분화 등의 상황이 맞물리면서 e-스포츠 산업에 들어오고자 하는 청년층이 생성되었고 이들의 열정을 바탕으로 이 문화 산업은 큰 폭으로 확장되었다. 그러나 ‘프로’라는 이름으로 명명된 이들의 노동 형태는 실제로는 비정형 고용형태로 기존의 비정규형의 노동과는 다른 새로운 노동형태로서 보장체계나 구조적 안전망 등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스스로 구조를 변화시키는 힘을 가질 수 없는 상황 속에서 결과적으로 모든 것은 개인의 능력의 문제로 치환되며 결국 노동시장에서 빠르게 퇴출되는 일련의 과정들이 나타났다. 이러한 지점은 미디어 산업의 한 축으로써 주목받아온 e-스포츠 산업의 산업적 전망과 비즈니스 모델이 매우 건강하지 못한 상황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들의 노동자성과 노동 구조에 대한 근본적인 구조적 변화와 함께 이에 대한 관심과 인식의 전환이 요구되는 때이다. The goal of the study is to analyze some structural issues of e-sport industry which has rapidly developed since 2000.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regarding e-sport dealt with e-sport in terms of industrial prospect and economic values.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focus on employees of the field using in-depth interview method. Research findings show that there were several reasons for younger workers to early enter into the industry such as individualized labor market of post-modern era, growth of IT industry, and diversion of related occupational categories. The development of e-sport industry was possible with the youth’ passion for the industry. However, their labor so called “professional” is vulnerable without systematic structure for them. This indicates that industrial prospect of e-sport industry and business models are not healthy. In addition, som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 문학작품 읽기에서의 감정 활성화: 피부전도도 연구

        안선영(Ahn, Sun-young),계은진(Gye, Eun-jin),김영주(Kim, Young-joo) 국어국문학회 2021 국어국문학 Vol.- No.195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모어 화자만큼 한국 문학작품 읽기 과정에서 작품에 내재된 감정을 느낄 수 있는가를 조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학습자가 세 가지 감정 유형(중립, 기쁨, 슬픔)이 내포된 한국 문학 텍스트를 읽었을 때, 자동적으로 나타나는 두 집단의 피부전도도를 비교하였다.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에서 약 100개의 단어가 사용된 12개 단락(감정 당 세 단락씩)을 추출하였으며, 한국어 모어 화자 19명과 TOPIK 4급 이상의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 15명의 피부전도도를 기록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어 화자는 감정 유형에 따라 유의미하게 다른 감정 활성화가 이루어진 반면, 감정 유형에 따른 학습자의 감정 활성화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숙달도, 거주 기간, 학습 기간에 따른 한국어 학습자 집단 내 차이 역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는 한국어 학습자의 높은 숙달도에도 불구하고,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가 한국 문학작품에 내재된 감정을 아직 느끼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제2언어 읽기에서 나타나는 감정적 거리 때문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learners of Korean (L2 Korean speakers) can sense emotion embedded in the Korean literature as intensively as native (L1) Korea speakers. For this purpose, we compared Galvanic skin responses (GSRs) automatically risen by emotional stimuli between L1 and L2 Korean speakers according to three types of emotions (neutral, happy, and sad) while reading a Korean literature. Twelve 100-word long passages (three per each emotion) from Kyung-sook Shin’s “Look after mom” were used for the stimuli. GSRs of 19 L1 Korean speakers and 15 L2 Korean speakers with 4<SUP>th</SUP> or upper levels of TOPIK were recorded during reading and then analyzed. As a result, L1 Korean speaker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emotional reactivity according to the type of emotion while L2 Korean speakers did not. This finding suggests the L2 Korean speakers could not feel the emotions implied in the Korean literature, despite their high level of Korean proficiency, which is consistently found as emotional distance in L2 reading.

      • KCI등재
      • KCI등재

        인지적 편향과 불안감이 미국 대학생의 위험 신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상호작용효과

        안선영 ( Sun Young Ahn ),( Ya-hui Kuo ),( Joyce Serido ),심소연 ( Soyeon Shim ) 대한가정학회 2018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6 No.5

        This study determines whether certain cognitive biases (i.e., time preference, goal attainment expectation, unrealistic optimism, and overconfidence) and a specific negative mood-state (i.e., anxiety) influence credit misuse among college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fourth-year college students (N=1,146), all of whom attended the same university in the southwest United State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and moderator analyses were employed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es. Results showed that specific cognitive biases and anxiety were directly associated with credit misuse. We found that the longer goal attainment was delayed, the greater the students’ unrealistic optimism concerning future income; in addition, the more overconfident they became with respect to financial knowledge, the more frequently they engaged in credit misuse. The study also showed that the higher a student’s level of anxiety, the more often that students engaged in credit misuse. We also found that cognitive bias factors and anxiety interact to influence credit misuse. Anxiety interacted with time preference and unrealistic optimism such that present-oriented time preference was negatively related to credit misuse while optimism toward future income was positively related to credit misuse, but only for students with high anxiety level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understanding and preventing irresponsible financial behavior among young adults.

      • KCI등재

        Perception of Undergraduat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Students of Hangu University on Their Career Prospect and Career Preparation

        안선영(Sun-Young Ahn),이용환(Yong-Hwan Lee),양안나(Anna Yang),금지헌(Ji-Hun Kum) 한국환경교육학회 2008 環境 敎育 Vol.21 No.1

        이 연구의 주요한 목적은 환경교육과 학생의 진로 발달을 고찰하는데 있으며,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그들의 진로 전망 인식, 진로 준비 과정, 대학의 진로발달지원을 이해하는데 있다. 대부분의 대학생에게 학교를 다니는 주요한 목적은 진로를 준비하는 것이지만 대학의 교육은 그들이 원하는 직업을 얻기에 충분하지가 않다. 전공이 특정한 진로경로를 가지고 있지 않거나 또는 전공이 특정한 진로경로를 가지고 있지만 흡족하고 질 높은 직업을 제공하지 않을 때 진로 준비는 더 복잡해진다. 학부 환경교육과 프로그램이 최근의 전형적인 예이다. 학부 환경교육과 학생들과 그들을 둘러싼 환경을 이해하기 위해 2007년 8월 17일부터 8월 20일까지 인스턴트 메신저를 통해 항구대학교(가칭) 환경교육과 학부, 졸업생 6명에 대하여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는 연구 참여자 한 사람 당 1~2회 1회 2시간 정도 개별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들은 진로 전망, 진로 결정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지만 잘 발견되지는 않았다. 두 번째, 진로 탐색, 진로준비는 개인적으로 수행되며, 학교는 많은 체계적인 진로 지원을 제공하지 않고 있었다. 세 번째, 프로그램의 교과과정과 그들의 미래진로는 관련을 보이지 않았다. 이 연구의 결과로부터 대학에서 진로 발달과 관련된 몇 가지 주요한 함의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환경교육과 프로그램의 학부 학생들은 전공과 관련된 직업 기회의 탐색으로부터 직업 탐색 스킬의 개발에 이르기까지의 종합적인 진로 발달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경험적인 진로 탐색이 환경교육이 자신의 적성과 흥미에 적합한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 이들 학생들을 위한 진로 발달 지원은 대학교 저학년부터 실시해야 한다. 세 번째, 이들 학생들은 다른 학문적 영역뿐만 아니라 그들의 전공과 관련된 다양한 기회를 탐색하는 데 있어서 도움을 필요로 할 것이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career development of under-graduat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students. More specifically, it intends to understand how they perceive their career prospect, how they prepare for they career and what kind of career development assistance they receive from their school. For most of college students, a primary purpose for attending college is to prepare for a career, but often academic preparation in college is not enough to get the job they aspire. Career preparation becomes even more complex when their major does not dictate any specific career path or when the major does dictate a specific career path but it does not provide sufficient and quality job opportunities. Undergraduat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are typical examples of the latter. To illuminate the understanding of the context surrounding undergraduat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students,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through an instance message software program from August 17th, 2007 to August 20th, 2007.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4 undergraduate students and 2 graduates of Hangu University (a tentative name). Each participant was interviewed once or twice for about 2 hours each interview.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y maintain a positive attitude regarding the career outlook and the career decision but it is not well founded. Second, career search and career preparation are conducted individually, and their school does not provide much systematic career assistance. Third, they did not see the relevance of the curriculum of their program to their future career. A few preliminary implications for practices related to career development may be drawn from the findings reported in this study. First, undergraduate students i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appear to be in need of comprehensive career development assistance ranging from exploration of job opportunities related to majors, to development of job-seeking skills, to general issues of career preparation and choice. Experiential modes of career exploration seem to be helpful in clarifying their interest and aptitude in the area of environmental education. Second, career development assistance for these students should start at early college years. Third, these students may need help in exploring diverse opportunities related to their major as well as other academic areas. Finally, it is recommended to create more careers in the area of environment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