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과 학습 전략이 중학생의 인지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안도희(Ahn, Doehee),장암미(Chang, Am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향상가능성, 항상성), 학습 전략(리허설, 정교화, 조직화, 비판적 사고, 초인지, 노력 조절, 도움 요청) 및 인지적 유능감이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과 학습 전략의 하위 요인들 중 인지적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4개 중학교의 재학생 총 588명(남학생 268명, 여학생 320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여학생 이 남학생에 비해 지적 능력에 대한 향상가능성 신념을 높게 지니고 있으며, 리허설,정교화, 조직화, 비판적 사고, 및 초인지 전략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낮은 인지적 유능감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의 인지적 유능감에는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과 리허설 및 노력 조절 전략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분석 결과, 남학생의 인지적 유능감에는 지적 능력에 대한 향상가능성 신념과 노력 조절 전략이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여학생의 인지적 유능감에는 지적 능력에 대한 향상가능성 신념과 리허설 및 노력 조절 전략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지적 능력에 대한 항상성 신념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junior-high school students beliefs about intelligence and learning strategies influence their cognitive competence. 588 junior-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 completed and returned the questionnaires. The final sample consisted of 268 males (45.6%) and 320 females(54.4%). Their average age was 14.08 years. Pearson s correlations indicated that students cognitive competenc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cremental beliefs about intelligence and learning strategies. However, their cognitive competence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entity beliefs about intelligence. Independence t-tests were indicated that female students had higher incremental beliefs about intelligence and used rehearsal, elaboration, organization, critical thinking,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than male students. On the other hand, male students perceived more cognitive competence than femal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incremental beliefs about intelligence, rehearsal and effort regulation strategies positively predicted students cognitive competence, while entity beliefs about intelligence negatively affected their cognitive competence. For male students, incremental beliefs about intelligence and effort regulation strategy positively predicted their cognitive competence. For female students, incremental beliefs about intelligence, rehearsal and effort regulation strategies positively predicted their cognitive competence, while entity beliefs about intelligence negatively predicted their cognitive competence. Results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school settings.

      • KCI등재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과 부모 및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청소년의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안도희(Ahn, Doehe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한국청소년연구 Vol.24 No.1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과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 그리고 청소년들이 지각하는 유능감이 학교급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그리고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과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청소년의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 분석 대상은 서울시와 수도권에 소재한 초?중?고등학교에 재학중인 학생 869명(만10.42세∼16.92세)이었다. 본 연구 결과, 인지적 유능감과 지적 능력에 대한 ‘향상 가능성’ 요인에서 학교급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인지적 유능감의 경우, 초등학생이 중학생과 고등학생에 비해 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적 능력에 대한 ‘향상 가능성’ 요인의 경우, 중?고등학생이 초등학생들에 비해 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과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청소년들은 지적 능력에 대한 ‘향상 가능성’ 요인은 유능감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데 반해 ‘항상성’ 요인은 유능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아울러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 또한 유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청소년들은 자신의 지적 능력은 노력하면 얼마든지 향상 가능한 것이라는 믿음이 강하고, 자신의 지적 능력은 노력에 관계없이 고정된 것이라는 믿음이 덜할수록 그리고 부모와 교사가 자율성을 지지해줄수록 이들의 유능감은 향상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whether students beliefs about intelligence(i.e., incremental, and entity), and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influenced their perceived competence. The study subjects were adolescents aged 10.42-16.92 years (N=869), all from the Seoul metropolitan area, Korea. There were differences in terms of both their perceived cognitive competence, and incremental beliefs about intelligence observed among school levels. In particul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hibited higher cognitive competence than junior-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Junior-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generally had more positive incremental beliefs about their own intelligence th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in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and explain students perceptions regarding competence. It was observed that adolescents incremental beliefs regarding intelligence, as well as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positively predicted their perceived competence, whereas their entity beliefs regarding intelligence negatively predicted their perceived competence levels.

      • KCI등재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과학영재의 과학문제발견력과 정의적·인지적 특성에 미치는 중 · 장기적 효과

        안도희(Ahn, Doehee),한기순(Han, Ki Soon),김명숙(Kim, Myung Sook) 한국영재학회 2009 영재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에서는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과학영재들의 정의적· 인지적 특성과 과학문제발견력에 영향을 미치는가의 여부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영재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과학영재 고 등학생(경험 집단) 69명과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의 교육 경험이 전혀 없는 과학고등학교 학생(비경험 집단) 91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과학 관련 검사도구는 과학문제발견력, 과학 불안도 및 과학태도이며, 학업관련 정의적 특성 검 사도구는 자기효능감, 내적 동기 및 시험불안이며, 인지적 특성 검사도구는 인지전략 및 자기조절이다. 과학영재들의 과거와 현재의 과학 관련 특성과 정의적 ․ 인지적 특 성의 집단별 차이를 검증한 결과, 자기조절 요인에서만 비경험 집단이 경험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영재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 유무에 따른 과 거와 현재의 이들 특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모두 과학 불안도, 자기효능 감 요인이 과거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되었으며, 시험불안 요인은 과거에 비해 유 의미하게 증가되었다. 또한 비경험 집단의 경우, 내적 동기, 인지전략 및 자기조절 요인이 과거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되었다. 과학문제발견력은 두 집단간 통계적으 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의 과학문제발견력에 영향을 미 치는 변인을 탐색한 결과, 경험 집단의 경우, 과학 불안도의 ‘특성’ 요인만이 과학문 제발견력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비경험 집단의 경 우, 과학 불안도의 ‘특성’ 요인과 과학태도의 ‘의미’ 요인이 과학문제발견력에 부정 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university-based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on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science problem finding ability and cognitive-affective factors. For this study, 69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with previous gifted education experiences at the university-based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s and 91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without any previous gifted education experiences were compared. Both groups of students were currently enrolled at a specialized science high school. To compare both groups, scientific problem finding ability, science anxiety, science related attitude, self-efficacy, intrinsic motivation, test anxiety, cognitive strategies, and self-regulation were measure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scientific problem finding ability between these two groups. The comparison between the past and now in the aspects of variables observed in the study showed that both groups of students were decreased in the science anxiety and self-efficacy. But the test anxie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past in both groups.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depth.

      • KCI등재

        지방직 공무원의 공공서비스 동기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정서적 조직몰입의 매개효과와 성별간 다집단 분석

        안도희(Doehee Ahn),안병국(Byungkuk Ahn)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5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0 No.2

        본 연구에서는 지방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라 공공서비스 동기, 정서적 조직몰입 그리고 직무성과가 차이를 보이는지, 정서적 조직몰입이 공공서비스 동기와 직무성과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그리고 이들 세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는지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충청도에 소재한 2개 군청에서 근무 중인 지방직 공무원 총 336명을 최종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성별로는 남자 공무원이 202명, 여자 공무원이 133명, 성별을 밝히지 않은 공무원이 1명이었다. 본 연구 결과 남자 공무원이 여자 공무원에 비해 공공서비스 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감성적’ 차원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정서적 조직몰입과 직무성과에서도 남자 공무원이 여자 공무원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정서적 조직몰입은 공공서비스 동기와 직무성과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성별에 관계없이 남자 공무원과 여자 공무원 모두에게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볼 때, 공공서비스 동기 향상을 통해 정서적 조직몰입이 증진되며, 이는 곧 직무성과 향상에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공무원의 직무성과 향상을 위해 공무원의 공공서비스 동기증진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gender differences on public service motivation,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of local public officials, the mediating role of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links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job performance, and gender differences on these relations. The final sample was 336 local public officials (202 males, 133 females, 1 unidentified) working in 2 counties in Chuncheong Province, Korea. It was found that male officials had higher public service motivation,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ed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job performance. As a result of multigroup analysi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in gender. It is expected that increasing public service motivation helps to enhance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increased affective commitment contributes to better job performanc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public service motivation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to enhance public officials’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 KCI등재후보

        고등학생의 학업 동기 및 사회적 지지와 학업 성취와의 관계

        안도희(Doehee Ahn),최혜림(Hyerim Choi)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2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부모, 친구, 유의미한 타인)와 학업 동기(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 무동기)가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표집 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3개 고등학교 1학년 재학생 총 401명이었으나, 이들 중 응답이 불성실한 학생 19명을 제외한 나머지 382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 학업 성취는 학업 동기의 하위 요인들 중 내재적 동기 요인과 외재적 동기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무동기 요인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학업 성취는 사회적 지지의 가족 요인 및 친구 요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학업 성취를 예측해주는 학업 동기의 하위 요인으로는 무동기 요인과 외재적 동기 요인으로 나타났는데, 구체적으로 학업에 대해 무관심할수록 학업 성취는 저하되며, 외재적 동기가 높을수록 학업 성취는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사회적 지지의 하위 요인들 중에는 가족 요인이 학업 성취를 긍정적으로 예측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가족으로부터 심리적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학생들의 학업 성취는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볼 때, 학생들의 학업 성취 증진을 위해서는 학생들이 학업에 무관심해지지 않도록 가정과 학교에서 세심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으며, 이와 더불어 학생들이 외재적 동기를 지닐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주고, 가정에서는 이들에게 심리적 지지를 아낌없이 제공해 줄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motivation and social support influenced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whether social support influenced their academic motiv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82 students (151 boys and 231 girls) from three high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Korea. Measures of academic motivation (i.e., intrinsic, extrinsic, and amotivation), social support (i.e., family, friends, and significant other),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used. Pearson's correlations indicated that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was associated with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amotivation, the perceived support from their family and friend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amotivation and extrinsic motivation predicted academic achievement; perceived support from family predicted academic achievement; perceived support from family, friends, and significant other positively predicted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perceived support from family and friends positively predicted students’ extrinsic motivation; perceived support from family negatively predicted amotivation.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academic motivation, social support, and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과학고 졸업생들의 과학 창의적 생산성: 가정의 심리적 환경, 학교수업 환경, 지적 능력, 과학태도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

        안도희(Doehee Ahn),조석희(Seokhee Cho) 한국영재학회 2021 영재교육연구 Vol.31 No.3

        본 연구에서는 과학고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가정의 심리적 환경, 학교수업 환경, 지적 능력, 과학태도 및 학업성취가 창의적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변인들간 구조적 관계를 설정하여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였으며, 창의적 생산성에 대한 직·간접효과와 총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전국 소재 과학고등학교를 졸업한 성인 총 442명이었다. 이들의 연령범위는 만 21세~42.83세 이었으며, 성별로는 남자가 376명(85.07%), 여자가 66명(14.93%)이었다. 본 연구결과, 가정의 심리적 환경과 학교수업 환경은 지적능력, 과학태도 및 학업성취를 거쳐 창의적 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수업 환경은 과학태도와 학업성취를 거치는 경로와 학업성취를 직접적으로 거치는 경로를 통해 창의적 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아울러, 창의적 생산성에 미치는 총효과는 학업성취, 학교수업 환경, 과학태도, 지적 능력, 가정의 심리적 환경 순으로 나타났으며, 간접효과는 학교수업 환경, 과학태도, 지적 능력 및 가정의 심리적 환경 순으로 나타났다. 즉, 과학고 졸업생들이 성인이 되어 창의적 생산성을 발휘하는데 있어 특히 학교 수업환경의 중요성이 입증되었다고 할 수 있다. 즉, 본 연구결과는 과학고등학교의 학교수업이 선택 폭이 넓고, 도전적이고, 흥미롭고, 의미를 찾을 수 있게 될수록 학생들의 과학 학습 동기와 학업성취가 높아져서, 성인기의 창의적 생산성도 높아지게 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to infer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relationships among correlated multiple variables including family processes, classroom quality, intelligence, science at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 to predict creative productivity of science high school graduates.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fitness of hypothesized model and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s of variables. Data were collected from 442 South Korean science high schools aged from 21 to 42.83 and majority of male (N=376) graduates. Family processes and classroom quality showed positive effects for creative productivity through intelligence, science attitudes and academic achievement. Classroom quality directly affected creative productivity and indirectly affected creative productivity through science at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 Total effects on creative productivity was manifested the most by academic achievement, then classroom quality, science attitudes, intelligence and the least by family processes. The results imply that it is essential for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to experience challenges, choices, interest, and meaning in their learning classes. To study the model with general education high school graduates is warranted.

      • KCI등재

        한ㆍ중 고등학생들이 지각한 교실 목적구조와 학교 참여 간의 관계에서 도움 요청 행동의 매개효과

        ( Qi Boya ),안도희 ( Ahn Doehee ) 안암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연구 Vol.22 No.3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한 교실 목적구조(숙달, 수행접근, 수행회피), 도움 요청 행동(도움 요청, 도움 요청 회피) 및 학교 참여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들이 지각한 교실 목적구조와 학교 참여 간의 관계에서 도움 요청행동(도움 요청, 도움 요청 회피)이 매개하는지에 대해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고등학생 총 584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한국의 고등학생들에 비해 중국의 고등학생들이 지각한 교실 숙달 목적구조 및 교실수행회피 목조구조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도움 요청과 정서적 학교 참여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한국 고등학생들이 중국 고등학생들에 비해 행동적 학교 참여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 고등학생들이 지닌 도움 요청 및 도움 요청 회피는 교실 숙달 목적구조와 학교 참여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며, 도움 요청 회피는 교실 수해회피 목적구조와 학교 참여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고등학생들이 지닌 도움 요청 및 도움 요청 회피는 교실 수행회피 목적구조와 학교 참여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며, 도움 요청 회피만 교실 숙달 목적구조와 학교 참여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본 연구 결과는 한국과 중국의 고등학생들의 학교 참여 수준 증진을 위한 방안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Korean and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on classroom goal structure(i.e., mastery, performance-approach, and performance-avoidance), help-seeking behavior(i.e., help-seeking, and help-seeking avoidance), and school engagement(i.e., behavioral, cognitive, and emotional), and to identify the mediating role of help-seeking behavior in the links between classroom goal structure and school engagement. The final samples consisted of 290 Korean and 294 Chinese students in high school.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ly, Chinese students had a higher classroom mastery goal structure, classroom performance-avoidance goal structure, help-seeking and emotional engagement than Korean students, whereas Korean students had a higher behavioral engagement than Chinese students. Secondly, for Korean students, help-seeking and help-seeking avoidance mediated between classroom mastery goal structure and school engagement. Moreover, for Korean students, help-seeking avoidance mediated between classroom performance-avoidance goal structure and school engagement. While, for Chinese students, help-seeking and help-seeking avoidance mediated between classroom performance-avoidance goal structure and school engagement. Also, for Chinese students, help-seeking avoidance mediated between classroom mastery goal structure and school engagement. Therefore, help-seeking should be promoted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school engagement, and classroom mastery goal structure need to be created in order to encourage students`` help-seeking.

      • KCI등재

        사회적 지지, 긍정적 학업정서, 행복감 및 학교 참여 간의 관계: 한국과 중국 고등학생 비교

        ( Wu Chuni ),안도희 ( Ahn Doeh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4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지닌 사회적 지지, 긍정적 학업정서, 행복감 및 학교 참여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사회적 지지, 긍정적 학업정서, 행복감 및 학교 참여 간의 상관관계와 학교 참여에 대한 직ㆍ간접적인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한국 고등학생 428명, 중국 고등학생 427명, 총 855명이었다. 본 연구 결과, 첫째, 한국 고등학생들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의 하위 요인인 교사 지지는 중국 고등학생들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국 고등학생들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의 하위 요인인 교사 지지, 긍정적 학업정서 및 학교 참여의 하위 요인인 정서적 참여는 한국 고등학생들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과 중국 고등학생들이 지닌 사회적 지지, 긍정적 학업정서, 행복감 및 학교 참여 변인들 간의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집단 분석을 통해, 사회적 지지가 긍정적 학업정서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한국 학생들에 비해 중국 학생들이 더 높게 나타났다. 넷째, 한국과 중국 고등학생들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학교 참여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긍정적 학업정서와 행복감을 거쳐 학교 참여에 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한ㆍ중 고등학생들의 학교 참여 증진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는 교육적 시사점과 교육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Korean and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on social support, positive academic emotions, happiness, and school engagement, and to explore multi-group differences of these relations between Korean and Chinese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428 Korean and 427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positive academic emotions, happiness and school engagement between Korean and Chinese students. Chinese students' perceived positive academic emotions and school engagement were higher than those of Korean students. Secondly, for Korean and Chinese students, correlation analyse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 among social support, positive academic emotions, happiness and school engagement. Finally,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Korean and Chinese students' perceived social support had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school engagement. Furthermore, positive academic emotions and happiness played a multiple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 of student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chool engagement.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한·중 고등학생의 부모의 헬리콥터 양육에 대한 지각, 자기조절학습, 자율성 및 학업 지연행동 간의 관계

        ( Wu Chuni ),안도희 ( Ahn Doeh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6(A)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한 부모의 헬리콥터 양육방식, 자기조절학습, 자율성 및 학업 지연행동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들이 지각한 부모의 헬리콥터양육방식, 자기조절학습, 자율성 및 학업 지연행동에 간의 상호관련성과 학업 지연행동에 대한 직·간접적인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 분석 대상은 한국 고등학생 388명, 중국 고등학생 410명, 총 798명이었다. 본 연구 결과, 한국과 중국의 고등학생들이 부모의 헬리콥터 양육방식, 자기조절학습, 자율성 및 학업 지연행동에 간의 상호관련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고등학생들의 자율성과 자기조절학습은 중국 고등학생들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중국고등학생들의 부모의 헬리콥터 양육은 학업 지연행동에 직·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율성은 학업 지연행동에 직·간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결과, 부모의 헬리콥터 양육방식이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과 자율성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은 중국 고등학생들에 비해 한국 고등학생들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자율성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중국 고등학생들의 경우에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Korean and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on helicopter parenting, self-regulated learning, autonomy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to explore multi-group differences of these relations between Korean and Chinese students. The final samples consisted of 388 Korean and 410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autonomy between Korean and Chinese students. Secondly, for Korean and Chinese students, helicopter parenting, self-regulated learning, autonomy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each other. Chinese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nd autonomy were higher than Korean students. As results of multi-group analysis, the influence of helicopter parenting on autonomy, and the influence of autonomy on self-regulated learning were stronger in the Korean students group than the Chinese students group. While, the influence of autonomy on academic procrastination was stronger in the Chinese students group than the Korean students group.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depth.

      • KCI등재

        중국 청소년의 부모양육방식, 성격강점 및 학교적응 간의 관계

        WANG DAN,안도희(Doehee Ah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6 比較敎育硏究 Vol.26 No.4

        본 연구에서는 중국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한 부모양육방식과 성격강점 및 학교적응 간의 상호관련성과 이들 변인들에 대한 성차를 살펴보고, 지각한 부모양육방식과 성격강점이 학교적응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 분석 대상은 중국 하남성 정주시에 소재한 고등학교 재학생 총 378명이었다. 본 연구 결과, 부모양육방식과 성격강점 및 학교적응은 상호 유의미한 관련을 보였으며, 부모양육방식의 하위 요인인 ‘권위주의적’ 요인과 성격강점의 하위 요인인 ‘용기’ 요인 및 학교적응의 하위 요인인 ‘교우관계’ 요인만이 유의미한 성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양육의 ‘권위주의적’요인이 성격강점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며, 성격강점을 통해 학 교적응에 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아울러 부모양육의 ‘민주적’ 요인이 성격강점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성격강점을 통해 학교적응에 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자녀양육에 대한 부모교육 및 학교적응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개발과 중국 청소년을 이해하고 한국과 중국 간의 교육적 차원에서의 교류를 활성화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s between parenting styles,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character strengths, and their school adjustment, an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parenting styles and character strengths on their school adjustment. The subjects were 378 high school students in Zheng Zhou, China.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parenting styles, character strengths, and school adjustment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each other. Secondly,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on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 courage, and peer relations. Thirdl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the participants supported that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 and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ha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school adjustment. Also, students’ character strengths mediated between authoritarian and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s and school adjustment.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dep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