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요인 분석- 고등학교 동아리 활동을 중심으로

        최혜림(Hyerim Choi),홍혜인(Hyein Hong),김훈호(Hoonho Kim)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연구 Vol.33 No.2

        이 연구는 2010~2014학년도 고등학교 동아리 활동을 중심으로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도입 이후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의 변화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에듀데이터 서비스시스템(EDSS)에서 제공하는 학교정보 공시 및 에듀파인(학교회계시스템)의 2010~2014학년도 자료를 패널자료로 구성하여, 공분산 분석 및 고정효과 모형을 적용한 패널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공분석분석(ANCOVA)을 활용 한 동아리 운영 변화 분석 결과, 2009년 개정 교육과정 도입 이후 창의적 체험활동이 확대 되었으며, 특히 2014학년도 자율동아리가 도입되면서 빠르게 확대되는 추이를 보였다. 그리고 단위학교에 자율성에 부여됨에 따라 학교마다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고정효과 모형을 활용한 패널 회귀분석 결과, 학교유형, 자율학교 지정여부, 학교 규모, 학교 평균 사회경제적 배경, 학교평균 학업 성취도 수준 등의 학교 특성에 따라 단위학교 내의 동아리 수 및 동아리 참여율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적 체험활동의 지속적인 확대는 현행 교육과정 취지상 바람직한 추세이지만,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이 학교특성에 따라 달라진다는 본 연구결과는 또 다른 형태의 교육 기회 격차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단위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의 다양성은 보장하되 교육 기회 격차로 나아가지 않도록, 인적 · 물적 자원 제공, 단위학교 홍보 등 정책적 · 제도적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ime series changes of Experience-based Creative Activity and influence of school factors on experience-based creative activity especially focusing on high school club activities. Panel data from 2010 to 2014 derived from EDSS and Edufine were used and analyzed using ANCOVA and Fixed-effect regression mode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xperience-based Creative Activity has been increased since an implementation of 2009 curriculum revision. Second, school type, level of curricular autonomy, school size, school average SES, school average CSAT scores significantly affect school club activities. Expansion of Experience-based Creative Activity seems desirable; yet, the fact that it is affected by school factors implies an inequality of education opportunity. Thus, government’s support of human and financial resources is necessary for the sake of vitalizations of Experience-based Creative Activity in less-privileged high schools.

      • KCI등재후보

        고등학생의 학업 동기 및 사회적 지지와 학업 성취와의 관계

        안도희(Doehee Ahn),최혜림(Hyerim Choi)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2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부모, 친구, 유의미한 타인)와 학업 동기(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 무동기)가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표집 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3개 고등학교 1학년 재학생 총 401명이었으나, 이들 중 응답이 불성실한 학생 19명을 제외한 나머지 382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 학업 성취는 학업 동기의 하위 요인들 중 내재적 동기 요인과 외재적 동기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무동기 요인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학업 성취는 사회적 지지의 가족 요인 및 친구 요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학업 성취를 예측해주는 학업 동기의 하위 요인으로는 무동기 요인과 외재적 동기 요인으로 나타났는데, 구체적으로 학업에 대해 무관심할수록 학업 성취는 저하되며, 외재적 동기가 높을수록 학업 성취는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사회적 지지의 하위 요인들 중에는 가족 요인이 학업 성취를 긍정적으로 예측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가족으로부터 심리적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학생들의 학업 성취는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볼 때, 학생들의 학업 성취 증진을 위해서는 학생들이 학업에 무관심해지지 않도록 가정과 학교에서 세심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으며, 이와 더불어 학생들이 외재적 동기를 지닐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주고, 가정에서는 이들에게 심리적 지지를 아낌없이 제공해 줄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motivation and social support influenced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whether social support influenced their academic motiv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82 students (151 boys and 231 girls) from three high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Korea. Measures of academic motivation (i.e., intrinsic, extrinsic, and amotivation), social support (i.e., family, friends, and significant other),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used. Pearson's correlations indicated that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was associated with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amotivation, the perceived support from their family and friend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amotivation and extrinsic motivation predicted academic achievement; perceived support from family predicted academic achievement; perceived support from family, friends, and significant other positively predicted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perceived support from family and friends positively predicted students’ extrinsic motivation; perceived support from family negatively predicted amotivation.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academic motivation, social support, and academic achie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