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ㆍ중 고등학생들이 지각한 교실 목적구조와 학교 참여 간의 관계에서 도움 요청 행동의 매개효과

        ( Qi Boya ),안도희 ( Ahn Doehee ) 안암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연구 Vol.22 No.3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한 교실 목적구조(숙달, 수행접근, 수행회피), 도움 요청 행동(도움 요청, 도움 요청 회피) 및 학교 참여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들이 지각한 교실 목적구조와 학교 참여 간의 관계에서 도움 요청행동(도움 요청, 도움 요청 회피)이 매개하는지에 대해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고등학생 총 584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한국의 고등학생들에 비해 중국의 고등학생들이 지각한 교실 숙달 목적구조 및 교실수행회피 목조구조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도움 요청과 정서적 학교 참여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한국 고등학생들이 중국 고등학생들에 비해 행동적 학교 참여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 고등학생들이 지닌 도움 요청 및 도움 요청 회피는 교실 숙달 목적구조와 학교 참여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며, 도움 요청 회피는 교실 수해회피 목적구조와 학교 참여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고등학생들이 지닌 도움 요청 및 도움 요청 회피는 교실 수행회피 목적구조와 학교 참여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며, 도움 요청 회피만 교실 숙달 목적구조와 학교 참여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본 연구 결과는 한국과 중국의 고등학생들의 학교 참여 수준 증진을 위한 방안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Korean and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on classroom goal structure(i.e., mastery, performance-approach, and performance-avoidance), help-seeking behavior(i.e., help-seeking, and help-seeking avoidance), and school engagement(i.e., behavioral, cognitive, and emotional), and to identify the mediating role of help-seeking behavior in the links between classroom goal structure and school engagement. The final samples consisted of 290 Korean and 294 Chinese students in high school.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ly, Chinese students had a higher classroom mastery goal structure, classroom performance-avoidance goal structure, help-seeking and emotional engagement than Korean students, whereas Korean students had a higher behavioral engagement than Chinese students. Secondly, for Korean students, help-seeking and help-seeking avoidance mediated between classroom mastery goal structure and school engagement. Moreover, for Korean students, help-seeking avoidance mediated between classroom performance-avoidance goal structure and school engagement. While, for Chinese students, help-seeking and help-seeking avoidance mediated between classroom performance-avoidance goal structure and school engagement. Also, for Chinese students, help-seeking avoidance mediated between classroom mastery goal structure and school engagement. Therefore, help-seeking should be promoted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school engagement, and classroom mastery goal structure need to be created in order to encourage students`` help-seeking.

      • KCI등재

        한 중 중학생의 · 사회적 지지, 고민, 학업 스트레스, 학교 만족도 및 행복감 간의 관계모형

        QI BOYA,안도희(Ahn, Doe-Hee) 한국비교교육학회 2016 比較敎育硏究 Vol.26 No.1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사회적 지지,고민,학업 스트레스, 학교 만족도 및 행복감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들이 지닌 사회적 지지,고민,학업 스트레스, 학교 만족도가 행복감에 직 간접작으로 영향을 미치는 지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극의 중학생 총 700명을 최종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한국의 중학생들이 중극의 중학생들에 비해 사회적 지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국의 중핵생들이 한국의 중학생들에 비해 고민과 학업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는 학교 만족도 및 행복감에 정적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며, 고민은 학교 만족도 및 행복감에 부적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회적 지지는 고민을 거쳐 학교 만족도 및 행복감에 정적으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 및 중국의 중학생 모두 동일하게 나타났다. 또한, 한국의 중학생들이 지니 학업 스트레스는 행복감에 부적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국의 중학생들이 지니 학업 스트레스는 학교 만족도를 거쳐 행복감에 부적으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본 연구 결과는 한국과 중국의 중학생들의 학교 만족도 및 행복감 증진을 위한 방안을 개발하는 데 기초차료로 활용될수 있을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Korean and 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on academic stress. adolescent concerns, social support, school satisfaction, and happiness, an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academic stress, adolescent concernsm social support, and school satisfaction on happines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Chinese students had a higher academic stress and adolescent concerns than Korean students. Whereas Korean students had a higher social support than Chinese students . Secondly, for Korean and Chinese students. adolescent concerns had negative direct effects on schools satosfaction and happiness, it also had positive dorect effects on school satisfaction and happiness via concerns fof both Korean and Chinese students. Results also showed that academic stress had negative direct effects on school satisfaction and happiness in Korean students. in contrast, academic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happiness through school satisfaction in Chinese students,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depth.

      • KCI등재

        한국과 중국 중학생들이 지각한 학교 분위기, 유능감 및 학교 만족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QI BOYA,안도희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9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8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한 학교 분위기, 유능 감, 학교 만족도 및 학교 적응 변인들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한국과 중국 중학생들이 지각한 학교 분위기, 유능감 및 학교 만족도는 이들의 학교 적응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이들 변인들 간의 관계모형에서 국가(한국·중국)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중 학생 총 854명을 최종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중국 중학생들이 한국 중 학생들에 비해 더욱 긍정적인 학교 분위기를 지각하고, 유능감, 학교 만족도 및 학교 적 응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 분위기는 학교 적응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유능감 및 학교 만족도를 거쳐 학교 적응에 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교 분위기가 학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한국 학생 들에 비해 중국 학생들이 미미하지만 높게 나타났는데, 유능감이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 향은 중국 학생들에 비해 한국 학생들이 높게 나타났다. 나머지 경로는 두 집단 간에 유 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중국의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 결 과는 양국 중학생들의 학교환경과 관련한 다양한 특성을 이해하고, 이들의 학교적응 증 진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한・중 청소년의 학교 적응 영향요인 변화추이 비교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Korean and 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on school climate, competence, school satisfaction and school adjustment. It was also to explore influences of school climate, competence and school satisfaction on students' school adjustment by examining multi-group path model for Korean and Chinese student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Chinese students had higher perceived school climate(i.e., accomplishment, recognition, affiliation, and commitment), competence (i.e., cognitive competence), school satisfaction and school adjustment(i.e., relations with other students) than Korean students. Secondly, the influence of school climate on school satisfaction was stronger in Chinese students group than Korean students group. While, the influence of competence on school adjustment was stronger in Korean students group than Chinese students group. And for both Korean and Chinese students, school climate had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and also significant positive indirect influences on school adjustment through competence and school satisfaction. Results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ways of improving students’ school adjustment in Korea and Chi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