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교급식의 나트륨 저감화를 위한 영양(교)사의 인식조사 및 조리법 개발

        신지희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1. 영양(교)사의 나트륨 저감화 실천 인식 대구 경북에 소재한 영양(교)사의 나트륨 저감화 실천 인식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사항 조사대상자의 연령은 30대가 54.1%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근무경력은 5년 이상 10년미만이 54.1%,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근무처는 초등학교 34.3%, 중학교 38.9%, 고등학교 22.2%로 중학교에 근무자의 비율이 높았다. 배식의 형태는 식당급식이 71.3%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고 급식운영은 직영 95.4%로 많았다. 2) 영양(교)사의 나트륨 저감화 인식 영양(교)사의 나트륨 저감화 인식에서 ‘중요하다’ 88.9%, ‘메뉴개발이 필요하다’ 87.2%, ‘저감화 실천이 필요하다’ 91.6%로 높았고 식단중 나트륨 함량 정도에서 ‘적당하다’가 55.1%로 과반수 이상이고 식단중 식염 체크 방법은 ‘국물의 염도를 염도계로 확인한다’ 63.2%, ‘NEIS에서 확인한다’ 21.1%, ‘외부자료를 이용하여 확인한다’ 15.7%로 나타났다. 식단중 저감화 노력 여부에는 ‘노력한다’가 63.8%로 높았다. 반면 식당중 식염 체크여부는 ‘체크해본 적이 없다’ 82.2%, 식당중 저감화 식단을 제공해 본적이 있는지에 ‘없다’가 75.2%로 영양(교)사는 앞서 나트륨의 중요성 및 메뉴개발의 필요성과 실천 필요성에 높은 인식과 달리 실제 학교급식 식단에서의 실천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식단 구성에서 나트륨 저감화의 중요성 식단구성에서 나트륨 저감화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결과, 연령이 높을수록, 근무 경력이 높을수록(p<0.05) 나트륨 저감화 중요성에 대해 높이 인식하고 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근무처별로는 초등학교 근무자가 더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식단 구성에서 나트륨 저감화 메뉴 개발의 필요성 나트륨 저감화 메뉴개발의 필요성의 결과, 연령이 높을수록(p<0.05) 상대적으로 더 인식하고 있고, 근무경력이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더 인식하고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근무처별로는 고등학교 근무자가 상대적으로 초, 중학교 근무자보다 비교적 낮게 평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학교 급식에서 나트륨 저감화 실천 여부 나트륨 저감화 실천 필요성의 결과, 연령별, 근무경력별, 근무처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전체적으로 나트륨 저감화를 실천하는 데 깊이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30대가 89.7%, 근무경력 및 근무처의 경우에는 10년 이상 근무자와 초등학교 근무자가 각각 89.5%, 86.5%의 비율로 ‘예’라고 응답하여 다른 집단에 비하여 비교적 낮은 동의 수준을 보일 뿐, 집단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확인되지 않으며 전체적으로 나트륨 저감화를 실천하는데 대하여 깊게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학교급식의 나트륨 저감화 실행 집단 전체적으로 영양교사와 조리사, 조리종사자 모두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는 응답이 91.6%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40대 이상이 85.0%, 근무경력의 경우에는 5년 이상 10년 미만 근무자가 89.7%, 근무처별로는 초등학교 근무자가 89.2%의 비율로 모두가 노력해야 한다고 응답하고 있는 바, 다른 집단에 비하여 그 비율이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7) 식단 중 나트륨 함량 정도 식단 중 나트륨 함량의 결과, ‘적당하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많다’는 응답 또한 상당히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모르겠다’는 응답 또한 10.3%로 나타나고 있고 나트륨 저감화의 중요성 및 필요성에 대한 높은 인식과 비교해 볼 때 나트륨 함량 수준에 대한 관리가 전반적으로 자리 잡은 것은 아님을 알 수 있다. 연령의 경우 20대의 46.7%가 ‘모르겠다’ 또는 ‘많다’는 응답을 보여 20대가 다른 집단에 비하여 나트륨 함량 관리에 비교적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경력의 경우, 5년 미만 근무자의 43.3%, 5년 이상 10년 미만 근무자의 31.0%, 10년 이상 근무자의 36.8%가 ‘모르겠다’ 또는 ‘많다’고 응답하고 있고, 5년 이상 10년 미만 근무자가 다른 집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나트륨 함량 수준에 대한 관리를 보다 적극적으로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처의 경우에는 초등학교 근무자의 29.7%, 중학교 근무자의 34.1%, 고등학교 근무자의 37.5%가 ‘모르겠다’ 또는 ‘많다’고 응답하고 있어, 고등학교 근무자가 다른 집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나트륨 함량 관리에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다. 8) 식단중 나트륨 함량 수준과 확인 여부 전체적으로 나트륨 함량 수준을 확인해 본 경험이 있다고 한 응답자는 17.8%에 그쳤으며, 82.2%는 나트륨 함량 수준을 확인해 본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20대의 86.7%가 나트륨 함량 확인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다른 연령집단에 비하여 비교적 그 비율이 높았으며, 반대로 근무경력의 경우에는 10년 이상 근무자들이 다른 집단에 비하여 나트륨 함량 확인을 해 본 경험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68.4%). 근무처의 경우, 나트륨 확인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근무자의 비율이 각각 86.5%, 82.9%, 75.0%로 나타나 고등학교 근무자가 다른 집단에 비하여 나트륨 함량 확인을 해 본 경험이 비교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단 중 나트륨 함량 수준 확인 방법에 대한 교차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국물의 염도를 염도계로 확인해 보았다’는 응답이 63.2%로 가장 높았으며, ‘NEIS에서 나트륨함량을 확인해 보았다’는 응답이 21.1%, ‘외부 자료를 이용하여 확인해 보았다’는 응답이 15.8%로 유사한 비율을 보였다. 9) 식단을 준비할 때 나트륨 저감화 노력 전체적으로 ‘노력한다’는 응답이 63.8%, ‘노력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36.19%로 나타나 응답자의 3분의 2가량은 식단을 준비함에 있어 나트륨 저감화를 위하여 노력을 기울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의 경우 40대 이상의 84.2%가 ‘노력한다’고 응답한 반면, 20대와 30대의 경우에는 그 비율이 각각 60.0%, 58.9%에 그쳐 40대 이상이 나트륨 저감화를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근무경력의 경우 또한 연령별 결과와 유사하게, 10년 이상 근무자(79.0%)가 5년 미만 근무자(56.7%) 및 5년 이상 10년 미만 근무자(62.5%)에 비하여 나트륨 저감화를 위하여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처의 경우에는 뚜렷한 차이가 확인되지 않으나 고등학교 근무자가 다른 집단에 비하여 ‘노력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력방법으로는 전체적으로 ‘국 간을 싱겁게 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었으며, ‘간을 싱겁게 한 후 소스를 사용하는 방법’과 ‘샐러드 소스를 직접 만들어서 제공하는 방법’, ‘간장과 소금의 양을 줄이고 야채를 늘려서 제공하는 방법’ 또한 비교적 높은 활용도를 보이고 있다. 10) 나트륨 저감화 식단 제공시 피급식자의 반응 연령대의 경우 30대가, 근무처의 경우 초등학교 근무자가 다른 집단에 비하여 식단 제공 경험이 ‘없다’는 응답이 높아 소극적인 것으로 알 수 있고, 근무경력별로는 뚜렷한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피급식자 반응은 전체적으로 ‘맛이 싱겁다는 불평이 많았다’는 응답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반면 차이가 크지는 않지만 ‘잔반이 많이 나왔다’는 응답에 비하여 ‘잔반이 줄었다’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 바, 나트륨 저감화 식단은 맛이 싱겁다는 불평을 야기하는 것과 동시에 일정 정도 잔반을 줄이는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11) 나트륨 저감화 식단을 개발하여 실천 어려움 전체적으로 ‘맛이 없다는 불평이 많았다’는 이유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피급식자의 맛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기가 어렵다’는 이유 또한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앞서 나트륨 저감화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높은 응답률에도 불구하고 나트륨 저감화 식단 제공 및 실천은 비교적 낮게 나타났던 일견 모순된 응답결과는 ‘피급식자의 불평과 맛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영양(교)사가 느끼는 부담감’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즉, 영양(교)사는 나트륨 저감화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 깊게 공감하면서도 맛의 변화에 대한 피급식자들의 불만스런 반응이 부담스러워 쉽게 나트륨 저감화를 실천하지 못하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2. 초등학생 소금 관련 지식 및 식행동 남녀별 소금관련 영양지식의 인지율과 정답률의 결과, ‘짠맛은 무엇 때문에 느끼는가’90.3%, ‘식품을 저장할 때 소금을 넣는 이유’93.1%로 높은 인지율과 정답률을 보인 반면 ‘나트륨이 많이 들어 있는 음료’23.6%으로 낮은 인지률과 정답률이 나타났다. 초등학생 2학년과 5학년 대상으로 인지수준에 맞추어 개발한 교재를 사용하여 잘못된 지식을 가지고 있었던 것을 교육 후 크게 교정되었다는 결과(조명기, 2007)와 비교해 볼 때 교육의 필요성을 느끼게 한다. 남녀별로는 ‘간식으로 적당한 식품’에서 남자보다 여자가 정답률이 높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초등학생 남녀별 소금에 관한 식태도의 결과 ‘짠맛을 좋아한다’에 남자60.3%, 여자 21.1%로 남자가 월등히 짠맛을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5). ‘평소 짜게 먹는다’에 큰 차이는 아니지만 남자 39.7%, 여자 22.5%로 남자가 여자 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이는 김선화 등의 연구에서 단맛, 매운맛, 짠맛, 신맛 등에 대한 미각감지역치 및 미각인지역치는 모든 경우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낮았고 미각선호도에 대한 조사 결과에서는 짠맛에 대해서 남자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남성들이 여성들에 비해 짠 음식을 좋아하는 사람이 많았다는 결과와 일치하게 본 연구 결과에서도 남자가 여자보다 짠맛 선호도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남녀별 소금 섭취에 대한 인식조사에서 ‘소금이 많은 음식을 먹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 많이 먹을 것이다’에 남자자 여자보다 높은 점수로 나타났다(p<0.01). '소금이 많은 음식을 많이 먹고 있으며 언제가 섭취량을 줄여 나갈 계획이다'에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소금이 많은 음식을 많이 먹고 있으나 곧 섭취량을 줄일 것 이다‘에도 남자가 여자보다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p<0.05). 이는 남자가 여자보다 짠맛을 더 좋아한다는(이순영, 2008)의 결과와 일치하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짠 음식 섭취와 관련된 식태도는 남녀 모두 바람직한 식태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남녀별 소금에 관한 식행동의 차이의 결과 남녀 모두 바람직한 식행동을 보이고 있고 ‘햄버거나 피자를 자주 먹는다’에 남자가 여자보다 더 자주 먹는다고 나왔다. 나트륨 저감화를 위한 초등학생용 교육자료 개발과 효과분석 연구에서 2학년과 5학년 대상으로 교육 후 ‘햄버거와 피자를 자주 먹는다’는 식행동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어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고 하였다(조명기, 2008).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건강한 식생활 습관 형성을 위한 영양교육을 실시한 결과 ‘싱겁게 먹는다’ ‘외식을 자주 하지 않는다’ ‘청량음료를 자주 마시지 않는다’와 ‘영양지식을 실생활에 활용한다’ 문항에서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교육 후 긍정적인 방향으로 점수가 증가한 결과(Lee KH, Her ES, Woo TJ,2005)도 있어 영양교육을 통한 식행동의 교육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3. 나트륨 저감화 조리법 개발과 적용 학교급식에서 많이 사용하는 장류, 소스류에 나트륨 함량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실제로 시판되는 장류, 소스류에 저감화를 실시해 본 결과 1) 자장면에서 분말소스 대신 춘장으로 사용했을 때 33.9%나트륨 저감이 되었다. 맛에 대한 평가에서 남녀 모두 저감화 후의 점수가 높았고, 먹은 양에 대한 평가에서도 저감후에 먹은 양이 더 많았다. 또한 음식을 남긴 이유에 대해서도 맛이 없어서가 절반으로 줄었고 자장면을 싫어하는 학생도 저감화 후 싫어한다는 응답이 없었다. 2) 스파게티의 경우 토마토케첩의 양을 줄이고 완숙토마토를 넣었을 때 11.8% 나트륨이 저감이 되었다. 맛에 대한 평가는 저감화 후 남자는 낮고, 여자는 다소 높았다. 먹은 양은 저감화 전후에 남녀별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음식을 남긴 이유에서 전체적으로 남긴 학생 수는 줄었고 ‘스파게티를 싫어한다’는 응답과 ‘너무 짜다’, ‘맛이 없어서’라는 응답에서 줄었다. 3) 나트륨 저감화를 적용한 결과 돈육장조림에서 간장의 양을 1 g줄여서 26.1%나트륨 저감이 되었고 맛에 대한 평가는 ‘맛있다’ 60.0%, 다음 메뉴 반영도에 ‘좋다’ 65.3%로 나왔다. 닭고기 야채볶음에서 진간장을 2 g줄여 36.9% 나트륨 저감 되었고 맛에 대한 평가에서 ‘맛있다’ 64.9%, 다음 메뉴 반영도에 ‘좋다’ 52.7%로 Adams 등의 연구에서 소금의 양을 1/3정도로 줄여도 소비자의 수용도에는 그다지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결과와 비교해 볼 때 학생들이 기호식품에서 소금이나 간장의 양을 조금씩 줄여나가도 나트륨 저감화 효과도 있을 뿐 아니라 맛에 대한 평가에서도 학생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만 학생들의 기호도가 낮은 채소류나 조리법인 국류의 경우에는 기호도가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소스류의 경우 필요량에서 일부나 천연의 재료를 사용함으로 나트륨 저감화 되었고 열량의 감소도 높게 나타났다. Korean traditional meal is mainly composed of vegetables and is recognized as so-called "well-being" foods. However, sodium contents in the meal is high and it has been reported that sodium intake of koreans is 3-fold higher that of WHO recommendation. Since excess intake of sodium can cause various chronic degenerative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atherosclerosis, and cardiovascular diseases, diverse efforts to reduce sodium intake have been tried worldwide. In this study, we first investigated perception of dietitians for reduced sodium intake in School food service with 109 school dieticians. We also developed several sodium-restricted recipes, applied to the menu in School food Service, and evaluated the response of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Survey on the reduction of sodium contents in the meal, dieticians perceived than 'It is very important.'(88.9%), 'There needs to be development of menu.'(87.2%), and 'Reduction of sodium needs to be practiced.'(91.6%) On the method to check the amount of sodium in food, the answers were 'It can be checked by the salinity in broth.'(63.2%) and 'It can be checked in NEIS'(21.1%). For the trial on the reduction of sodium in school menu, most answers were ‘I do try.'(63.8%). On the method to confirm that menu is provided with reduced sodium, the answers were 'I never checked'(82.2%) and 'I have not tried to provide sodium-restricted menu'(75.2%). These data suggest that most dieticians highl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lowering sodium intake in school food service and the necessity for the development of sodium-restricted menu, however, actual trial to reduce sodium contents in school menu is insufficient. 2. Survey on the perception of sodium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e students are highly recognizing about sodium-related things such as salty taste, the reason for putting salt for food storage. However, they answered poorly on the question such as 'Do you know how much sodium in soda?' The results showed that in general boys prefer salty flavor more than girls(p<0.05). 3. On the development of sodium-restricted menu in school, We development 'chajangmyon' in which chinese soybean paste was used instead of chajangmyon powder sauce In this way 33.9% of sodium could be reduced. and the response of students was ' It was delicious(4.5point)'. For spaghetti, we put the ripen tomato instead of ketchup. by which 11.8% of sodium was reduced. For boiled pork, when 1% of soy is reduced 26.1% of sodium can be reduced. We also developed sodium-restricted Kiwi sauce. The calorie was dramatically lowered by putting 20 g of kiwi instead of putting 9 g of kiwi dressing and 3 g of mayonnaise, and also sodium was reduced to 11.3%. In chicken ribs, 19.8% of sodium was decreased by reducing the amount of pepper paste to 2%. Taken together, overall response to the sodium-restricted menu was good and these menus can be applied in school food service.

      • 성인학습자의 영어발음 인지치유 : 영어리듬의 인식을 중심으로

        신지희 단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크게 세 부분에 초점을 맞추었다. 첫 번째로, 성인학습자의 정의이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인 성인학습자를 뇌 언어학적, 심리언어학적 특징으로 구분하여 연구하였다. 이에 사춘기가 지나면 영어를 올바르게 습득할 수 없다는 결정적 시기가설(The Critical Period Hypothesis)과 그에 대한 수정론인 다중 결정적 시기 가설, 민감 시기 가설등을 내세웠다. 그러나 이 세 가설은 성인학습자도 영어를 올바르게 습득할 수 있지만, 영어 발음만은 습득할 수 있다는 것에 맥락을 같이한다. 이에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영어발음을 연구하였다. 두 번째, 영어의 리듬인식이다. 한국어의 발음에 익숙한 성인학습자에게 정확한 영어발음을 가르치는 데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이해 가능한 발음을 습득하는데 도움을 주는 영어리듬을 활용하였다. 영어의 리듬 활용방안으로는 텝스 교재를 선택하였다. 성인학습자의 특징 중에 이 말하길 성인학습자는 배운 것을 현업에 돌아가서 곧 활용하기를 원하는 특성이 있다는 것에 착안, 한국인 성인학습자를 위해 만들었다는 텝스를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영어의 리듬은 내용어와 기능어, Pause, schwa에 대한 영어리듬의 인식을 기반으로 삼았다. 그리고 아동학습자보다 정의적 영역에 대한 영향을 받는 성인학습자의 특징을 거울삼아 인지치유 기법을 접목하여 성인학습자를 위한 영어발음 인지 치유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세 번째는 인지치유교수법이다. 성인학습자의 주요 특징인 자기주도적 특징과 심리적인 장애가 인지에 관한 습관적인 특정한 실수를 만들어 낸다는 것으로 인지치유 과정과 접목시켜 리듬지도의 인식, 학습자의 현재 리듬인식 정도를 간단히 평가, 교수학습지도안 적용, 숙제제시, 주요 리듬 인식에 대한 부분에 초점을 맞춤, 피드백으로 과정을 세워 인지치유 활용기법인 인지개념화도표 활용, 문제해결 작업표, 긍정적 자가 진술 기록지, 자기 치유 활동, 장점쓰기 활동 등이 있다. 그동안 영어리듬에 관한 교육이 아동학습자에게 가르치던 교수요목을 그대로 성인에게 적용시켜 왔다는 점과 성인학습자들에게 거의 영어발음 교육은 하지 않았다는 점을 들어 성인학습자에게 영어의 리듬을 활용하여 영어발음을 치유 하는 것을 지도안으로 제시하였다. 이에 영어발음 치유교수법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역할: 교사의 역할은 성인학습자의 특징 및 성인학습자의 특장점을 살려 교수에 활용될 수 있은 교사여야 하고, 물론 영어교사는 음성 음운론적 지식이 있어 영어발음 교육을 훌륭히 해 낼 수 있어야 한다. 둘째, 교수방법: 성인학습자의 특장점을 살린 교수방법을 적용해야 한다. 셋째, 교실환경: 친밀한 분위기를 조성해야 하고 편안한 분위기여야 한다. 넷째, 학습자를 교수요목 작성 때 참여 시켜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습자 간에 Monitoring과 학습자 스스로 Self-monitoring을 하게 도와준다. 오류를 지적해서 교정해주거나 스스로 학습 가능할 수 있도록 교사가 도와준다. 이러한 연구는 성인학습자들의 인지치유를 도와 영어 발음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데 큰 밑거름이 되리라 믿는다. Recently, English has been the most popular language all over the world and learning English increases dramatically to adult learners. Therefore, the primary goal of the this research is the cure of English pronunciation through the perception of the English rhythm related to the adult learners. This research is focused on three main parts: First, the definition of adult learners. It is to be classified into the neurolinguistic characters, the psycholinguistic characters of English adult learners. Three main hypothesises are based on this research; The Critical Period Hypothesis, the Multiple periods Hypothesis and the Sensitive Periods Hypothesis. These hypothesises are in collusion that the adult learners could acquire L2 language, but it couldn't speak English pronunciation properly after post-puberty. Second, the perception of English rhythm would be rather concentrated on the fluency of English pronunciation than the accuracy of English. It utilized English rhythm since the adult learners are familiar with Korean. The English rhythm activates in this study were using TEPS listening tape. Since the adult learners want to develope social positions. This research suggested activities for perceiving English rhythm: content words vs. function words, pause, and schwa. Third, the cure of cognition therapy. Cognitive therapy is a direct form of psychotherapy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situations (cognitive structure of experiences) that determine how an individual feels and behaves. It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cognition, the process of acquiring knowledge and forming beliefs, are a primary determinant of mood and behavior. The therapy uses behavioral and verbal techniques to identify and correct negative thinking that is at the root of the aberrant behavior. Cognitive therapy techniques combine the English rhythmic evaluation, model, homework, perception, feedback. This activities vitalized through positive self-statement log, diagram, program-solving, so on. This research showed the teaching plan for the cure of English pronunciation through the perception of the English rhythm for adult learners. In the meantime, English rhythm focuses on the education for the children and the adult learners. Therefore, this research may help the adult learners who want to speak English pronunciation and have a confidence of English learning.

      • 스마트폰 중독수준이 대학생의 손목 관절 각도에 미치는 영향

        신지희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smartphone addiction level affects the change in wrist angle.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5 university students. Smartphone addiction levels were classified into high risk group, latent risk group, and general use group. Each group's wrist joint angle was measured by setting it in four directions: flexion, extension, ulna deviation, and radial deviation. Resul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he wrist flexion angle, bu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changes in the angle of extension, ulna deviation, and radial deviation.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smartphone addiction affects wrist angle changes. In this study, only the changed part of the wrist joint angle among many joints in the body was studied. You will also have to think about how to use it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 디지털 뉴스 미디어 환경의 알고리즘 추천과 정보 선택의 효과: 선택적?균형적 노출과 확증편향 및 정치참여

        신지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cause and effect of recommendation algorithms in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and their impact on individuals' lives. It focuses on understanding the technical mechanisms underlying the recommendation algorithms and their implications. The study investigates how the nature of recommended political articles influences individuals' political attitudes and behavioral changes in digital media environments that emphasize individual and media choices. The research explores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that influence news users' choices in algorithmic environments where related news is recommended based on customized subscriptions. Additionally, it aims to uncover how perceptual evaluation factors of personalized information are associated with confirmation bia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 algorithm-based information environments that are independent of news users' choices. The perceptual evaluation factors considered relivance and fairness. Relivance is assessing whether news optimized is accurately delivered for me. Faireness is assessing whether various opinions are presented in a balanced manner. Summarizing the analysis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different mechanisms operate depending on individuals' experiences of selective exposure and balanced exposure. Selective exposure, observed in the subject and types of news agency, involves heuristic information processing for quick decision-making through intuitive thinking and discussions with like-minded individuals. Balanced exposure, on the other hand, is more prominent among individuals with high political tolerance, characterized by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diverse views. Also, the experience of seeking dissenting information in the past positively influences balanced exposure in the types of news agency, while individuals with a strong sense of efficacy gained through discussions with dissenting individuals exhibit higher levels of balanced exposure in the subject. Furthermore, participants in the selective exposure group displayed a high level of opinion reinforcement, suggesting a potential confirmation bias, when exposed to one-sided articles that align solely with their preferred political party. Conversely, when participants in the selective exposure group were recommended articles covering the political views of both competing parties, there was a tendency towards opinion moderating. The effect on political participation varied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a selective exposure group and the algorithm recommendation method. In a digital media environment emphasizing individual choices, selective exposure groups exhibited higher levels of online political participation when exposed to one-sided articles, while balanced exposure groups displayed a greater inclination to engage in political discussions with individuals sharing the same political orientation. In an algorithm-based personalized information recommendation environment, selective exposure groups showed a higher willingness to converse with individuals holding different political tendencies when articles from both sides were recommended. Lastly, the selective exposure group, when exposed to personalized one-side articles aligned with their preferred political party, exhibited a high level of relivance perception. This high level of perceived relivance led to polarization. However, the perception of fairness regarding personalized recommended article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nature of political articles but showed a potential for de-polarization. 본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추천 알고리즘 시스템의 형식이 삶의 영역에 미치는 원인과 결과를 기술적 메커니즘의 원리 속에서 체계적으로 이해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알고리즘의 기계적 지식 논리 속에서 뉴스 추천방식의 대표적 특징으로, 개인과 미디어의 선택이 강조된 미디어 환경에서 추천된 정치기사의 성격이 정치적 의견과 행동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보이는지를 정치적 양극화의 맥락에서 규명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개인의 맞춤 구독방식을 통해 관련 뉴스가 추천되는 알고리즘 환경에서는 뉴스 이용자들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토대로 정보처리의 메커니즘을 알아보았다. 또한 알고리즘 추천 기반의 정보 환경에서는 개인화된 정보의 지각 평가로, 자신에게 최적화된 뉴스가 정확하게 전달되었는지를 평가하는 적절성과 다양한 의견을 균형있게 다루었는가로 공정성의 평가가 확증편향의 가능성과 정치참여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밝혔다. 분석 결과, 첫째 뉴스 이용자들은 선택적 노출과 균형적 노출 경험에 따라 서로 다른 기제가 작동하는 것을 발견했으며, 선택적 노출의 경험은 직관에 의한 사고체계를 이용해 단순하고 빠른 의사결정을 위한 휴리스틱 정보처리와 자신과 유사한 정치적 견해를 가진 사람들과 토론을 통해 자신감을 경험한 것으로 동견 정치토론 효능감이 주제와 매체 영역의 뉴스 선택을 높이는 결과를 보였다. 특히 뉴스 매체의 이념적 성향은 선택적 노출을 높이는 데 영향을 미쳤으며, 이용자들은 자신의 정치집단 정체성을 통해 소속감을 느끼는 뉴스 매체에 대한 정보를 더 선택하려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균형적 노출 경험은 자신과 다른 견해를 가진 상대방에 대한 이해와 포용으로 정치적 관용이 높을수록 주제와 매체 선택에 영향을 미쳤으며, 과거 이견 정보에 대한 추구 경험은 매체 정보에, 이견을 가진 사람들과의 토론을 통한 효능감은 주제 정보의 균형적 선택을 증가시켰다. 둘째, 편향적 뉴스 소비 경험이 높은 선택적 노출 집단의 참여자들은 두 유형의 알고리즘 추천방식에서 모두 선호 정당의 입장만을 다룬 일방향 기사를 제공했을 경우 확증편향의 가능성으로 논의되는 의견보강 정보처리와 의견 공고화가 높게 형성됐다. 이들에게 경쟁하는 두 정당의 정치적 견해가 골고루 다뤄진 양방향의 기사를 추천한 경우에는 태도 극단을 완화하는 이견추구 정보처리 의향과 의견 절충이 높은 경향성을 보였다. 그러나 정치참여 효과는 선택적 노출 집단의 여부와 알고리즘 추천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를 보였다. 이용자 개인이 선택한 조건에 따라 관련 기사가 추천되는 미디어 환경에서는 선택적 노출 집단에게 일방향 기사를 추천할 경우 온라인 정치참여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균형적 노출 집단의 경우 일방향의 기사를 제공했을 때 자신과 정치적 성향이 동일한 사람들과 대화하고자 하는 동질적 정치대화의 의향이 높게 나타났다. 이용자의 선택에 기빈한 개인화된 정보 추천 환경의 결과는 선택적 노출 집단에게 양방향의 기사를 추천할 경우 자신과 정치적 성향이 다른 사람들과 대화하려는 이질적 정치대화 의향이 높은 것으로 발견돼 체계적인 논의가 필요한 부분으로 다뤄졌다. 셋째, 미디어가 추천한 개인화된 정치기사를 읽은 선택적 노출 집단은 일방향 기사를 읽고 내용에 대한 적절성의 평가가 높게 나타났으며, 정치적 기사의 방향성과 적절성의 지각 평가 수준은 양극화와 연결된 결과에 대해 주목해 볼 필요성이 제기됐다. 반면 개인화된 추천 기사에 대한 공정성 지각은 정치기사의 성격과는 별다른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으나, 탈극화의 맥락에서 논의되는 의견 조정과 이질적 정치대화의 효과가 높아지는 결과를 보여 향후 연구가 더 필요한 부분으로 볼 수 있었다.

      • 아버지의 양육태도 및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이 영유아 자녀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신지희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Influence of Paternal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and Child-Nurturing attitudes on Infants' Smart­Phone Immersion Shin, Jihe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ngshi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ternal smart phone addictionn proneness and their infants’ immersion. 202 one to five year olds in daycare centers in Yangcheon-gu, Seoul. and their fathers were selected for the current survey study. Several questionaires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Korean Mobile Phone Addiction Scale(Kyungho Hur, 2004), Parenting attitudes Scale(Lee & Oh, 1982), and infants' Smart­Phone & Immersion Scale(Yoon, 2015).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SPSS WIN 22.0 program.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deducted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father and infants and their actual use of smart devices. Then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t-test and one-way ANOVA were also calculated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fathers’ smart phone proneness and their nurturing attitudes according to their general variables and correlation analysis to se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Last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wo. The statistical test was performed at significance level α =.05. Significant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endency of smart­phone addic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fathers' educations, occupations, monthly incomes, and dual incomes. Howeve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tendency of the smart­phone addiction according to the fathers' religion or not, the fathers without religion tend to be addicted to smart­phone.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attitudes level according to fathers' general variables,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ofessions, but father with religion showed more attainable and reasonable attitudes toward infant than the father without religion.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s’ smart phone immersion showed that the higher the fathers' smart phone addition proneness, the higher the infants' smart phone immersion showed.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ub-factors of the addiction tendency of smart phone such as ‘morbid immersion, life disorder, loss of control, obsession symptom' and ‘infant development, excessive pursuit, obsessive use' appear.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 fathers' tendency to add to the smart­phone and the child's subordinate factors. Also,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arenting attitudes and infants' smart­phone and immersion, nurturing attitudes and immersi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The higher the fathers’ nurturing attitudes were affectionate, autonomous, attainable, and reasonable, the lower the infants' smart­phone immersion revealed. Affective-rejection, autonomy-control, achievement-non-achievement, rational-unreasonable parenting attitudes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various sub-factors such as abnormal development, excessive pursuit and obsessive use. This suggests that there should be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tendency of the fathers' addiction to the smart­phone and the subordinate factor of the infants' smart­phone. Third, it was predicted that fathers'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had a greater impact on infants’ immersion than nurturing attitudes. The more the fathers' loss of control over the smart­phone and the higher the obsession with confirming the smart phone, the more the infant and the smart­phone become more immersed. On the other hand, as the father shows more affectionate and reasonable parenting attitudes, the infant‘s smart­phone and immersion tend to decrease. This result shows that fathers' loss of smart­phone control,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and affectionate and reasonable parenting attitudes are the main predictors of infants' smart­Phone and commi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the fathers' tendency to add to the smart­phone and the infants' involvement with the Smart­Phone. This is crucial to the development of infants, and it is important for fathers to play important roles in control over their infants’ smart phone usages. In order to make proper use of infants who are Smart­Phone users of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are for and study various aspects such as parenting, awareness and attitudes. In order to reduce the immersion of infants and smart­phone, precautionary research should be preceded by the use of the correct smart­phone by the father. In addition, a program to prevent smart­phone addiction should be developed and parent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o provide reasonable guides to parents.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the effects of infant and toddlers on smart­phone and immersion when infant and toddler limit their smart­phone exposure time. 국문초록 본 연구는 아버지와 영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실태를 살펴보고, 아버지의 양육태도 및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이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관계와 영향을 알아보려 한다. 이를 위해 아버지의 일반적 변인에 따른 아버지의 양육태도,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의 차이와, 아버지의 양육태도 및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과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과의 관계, 아버지의 양육태도 및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이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인 서울시 양천구에 소재한 가정, 민간, 국공립 어린이집의 영 · 유아반(만1세∼5세)에 재원중인 영유아의 아버지 202명에게 한주리와 허경호(2004)가 개발하고 박용민(2011)이 수정·보완한 스마트폰 중독척도, 이종승, 오성심(1982)의 부모양육태도 척도, 윤태정(2015)의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 평가척도를 사용한 질문지를 배부하고 회수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대상 아버지와 자녀의 일반적 특성과 스마트기기 사용실태를 빈도(N)와 백분율(%) 통해 산출하였고, 측정도구의 신뢰성을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아버지의 일반적 변인에 따라 아버지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양육태도 수준에 차이가 있는 지를 살펴보기 위해 t 검정과 일원분산분석(one-way ANVOA)을 실시하였고, 아버지의 양육태도 및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이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 간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아버지의 양육태도 및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이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통계적 검증은 유의수준 α=.05에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아버지의 학력, 직업, 가정 월소득, 맞벌이 등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에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아버지의 종교 유무에 따라 과몰입/스마트폰 몰입/중독 경향성을 살펴본 결과, 종교가 없는 아버지들이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일반적 변인 중 아버지의 학력, 직업, 가정 월소득, 맞벌이 등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반면 종교가 있는 아버지가 종교가 있는 없는 아버지에 비해 영유아에게 성취적이고 합리적인 양육태도를 많이 보였음이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과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아버지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이 높을수록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도 높게 나타났다. 병적과몰입, 생활장애, 통제상실, 강박증상, 등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 하위 요인과 이상발달, 과도한 추구, 집착적 사용 등의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 하위요인과도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아버지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과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 하위 요인 간에도 상호 밀접한 상관성이 있음이 드러났다.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양육태도는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여, 아버지가 애정적, 자율적, 성취적, 합리적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이 낮게 드러났다. 아버지의 애정-거부, 자율-통제, 성취-비성취, 합리-비합리 양육태도는 이상발달, 과도한 추구, 집착적 사용 등의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 하위 요인과도 모두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아버지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과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 하위 요인 간에도 밀접한 상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아버지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경향성 요인이 양육태도에 비해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고 예측되었다. 아버지가 스마트폰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과 수시로 스마트폰을 확인하는 강박증상이 높을수록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은 높아지고, 아버지가 애정적, 합리적 양육태도를 많이 보일수록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어, 아버지의 스마트폰에 대한 통제상실과 강박증상과 자녀에 대한 애정적, 합리적 양육태도가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예측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아버지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과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 간의 유의한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부모 역할의 중요성에 대해 알게 되었는데 이는 영유아의 발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영유아가 스마트폰을 사용함에 있어서 적절한 통제를 담당하기 때문이다. 영유아가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바르고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부모인 아버지 또한 인식과 태도와 같은 여러 측면에서 영유아의 스마트폰 사용과 관련하여 지속적인 관심과 더불어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을 줄이기 위해 무엇보다 아버지의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을 위한 예방차원의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며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부모의 합리적인 지도를 위한 부모 교육 및 영유아의 스마트폰 노출시간을 제한할 때의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 덧무늬기법을 활용한 도자 작품 연구

        신지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덧무늬 토기란 융기문 토기라고도 하며 덧무늬로 장식된 토기로써 기물 위에 흙을 덧붙이거나 기물의 흙을 집어 올려 무늬가 도드라지도록 장식된 토기를 말한다. 덧무늬 토기를 만드는 과정은 인간의 생애와 닮아있다. 인간은 긴 시간에 걸쳐 다양한 경험을 쌓아 자아를 형성해 나아간다. 덧무늬 토기는 차근차근 흙 줄을 쌓아 만든 후에 다시 흙을 쌓아 기물을 완성한다. 따라서 덧무늬 토기는 단순한 기물을 넘어 누군가의 시간의 집적물이자 총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이 필자를 매료시켜 연구를 통해 현대적 미감으로 재해석 하고자 하였다. 무늬가 도드라지도록 장식하는 기법에는 덧무늬 외에 양각기법과 퇴화기법이 있다. 이 기법들은 시기, 목적, 방법이 크게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잘 알려진 양각기법과 퇴화기법 훨씬 이전에 덧무늬가 있었음을 재조명하고 현대적으로 활용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작품 제작 연구에 앞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진행한 이론적 연구를 통해 신석기시대 토기의 제작 양상과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덧무늬 토기의 제작 양상, 특징, 문양을 살펴봤다. 덧무늬 토기는 단독으로 장식된 예도 있지만, 다른 장식과 함께 복합적으로 장식된 예가 더 많다. 문양 형식도 다양하고 흙 줄을 붙이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위를 도구로 눌러 문양을 남기기도 한다. 이처럼 덧무늬 작품 제작 연구에 앞선 이론적 연구는 덧무늬 토기를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었다. 덧무늬 도자 작품은 기물과 덧무늬 사이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실험장에서 덧무늬 태토 부착 및 발색 실험을 진행했다. 작품 제작에 사용하는 분청토와 색과 질감이 다른 산백토, 산청토, 흑토를 일정한 비율로 배합한 후 장식하여 조건에 따른 변화를 확인했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태토와 동일한 점토 외에 산백토, 흑토를 일정한 비율로 배합하여 덧무늬 장식에 사용하였다. 덧무늬 도자 작품 제작 단계에서는 덧무늬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새로운 미감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도자기 제작 시 사용되는 각 점토의 특성을 이용해 덧무늬 장식을 보다 다양하게 표현하고자 하였고, 자연의 태동을 주제로 현대인의 생각과 감성을 담아 보고자 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덧무늬 토기를 현대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덧무늬 토기를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신석기시대로부터 현재를 이을 수 있는 전통의 가교가 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덧무늬기법이 지속적으로 활용되어 전통 도자 양식의 하나로써 자리매김하기를 바란다. 주제어 : 신석기시대 토기, 덧무늬 토기, 덧무늬, 융기문 토기, 장식기법 Also called raised-pattern pottery, raised-design ceramics are raised pattern decorations to highlight the design by adding clay to the object or raising its clay. The process of making raised design ceramic resembles human life. Human beings form their ego by accumulating various experiences over a long period. Similarly, the raised-design ceramics are made by piling up clay rows step by step and stacking up the clay again to complete the object. Thus, raised-design ceramics are said to be an accumulation and totality of one’s time beyond a simple object. Fascinated by this, I decided to reinterpret raised-design ceramics with a modern aesthetic sense through research. Decoration techniques to accentuate and highlight designs include embossed carving and slip painting techniques in addition to raised designs, varying greatly in timing, purpose, and method.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reexamine the existence of raised designs long before the well-known embossed carving technique and slip painting technique and to use them in a modern way. Prior to the research on ceramics product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and aspects of the ceramics production of the New Stone Age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based on prior studies. Also, this study analyzed the production aspects, characteristics, and the patterns of raised-design ceramics, which had examples of decorated alone and more examples of decorated in combination with other patterns. It had diverse forms and left designs with the top pressed using a tool beyond attaching the clay rows. As such, the theoretical research prior to the production of raised-design ceramics helped to understand raised-design ceramics more deeply. For raised-design ceramics, it is important to avoid cracks between the object and the raised designs. Thus, an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e lab on the attachment and coloring development of raised designs. This study mixed in a certain ratio the Sancheong black clay, Sancheong clay, and black clay, which are different in color and texture from the powdered green clay used in the ceramics production, decorated them, and confirmed the changes according to the condition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mixed Sancheong black clay and black clay in a certain ratio in addition to the clay with the same clay source and used them for decorating the raised designs. In the ceramics production stage, raised designs were reinterpreted in a modern way to express a new aesthetic sense.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ay in ceramics production, this study attempted to diversify the decoration of raised designs and incorporate the thoughts and emotions of today’s people with the birth of nature as the theme. This process enabled the search for ways to employ raised-design ceramics in a modern way. This study theoretically examined raised-design ceramics and reinterpreted them in a modern way to become the bridge of tradition connecting the present to the Neolithic Age. It is hoped that the raised design technique will be continuously used and established as one of the traditional ceramic forms. Keywords: New Stone Age ceramics, Raised-design ceramics, Raised designs, Ceramic bowl with raised designs, Decoration technique

      • 시각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그래픽위트를 활용한 광고에 관한 연구 : commercial poster를 중심으로

        신지희 성신여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포스터 디자인은 미적 가치가 있는 것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감각에 소구하는 형식을 통해 보다 높은 심리작용을 이용하는 강화형식으로 대중에게 전달하고 설득하는 일을 하며 현대사회에서도 대중적 시각언어로서 독자적인 위치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그래픽위트의 시각표현에 있어 현대사회의 문화를 인간적 흥미와 자극을 주면서 이해와 공감을 얻고 메시지를 핵심적으로 전달하면서도 쉽게 떠올릴 수 있는 commercial poster를 제작하여 소비자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메시지 수용에 있어 거부감이 없으며 오래도록 메시지를 기억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위트(wit)는 커뮤니케이션의 한 방법으로 사람들에게 거부감이나 긴장감을 주지 않고 설득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커뮤니케이션은 이해와 공감대에서 비롯되며 유머 즉, 위트는 소구의 유형이기도 하지만 사회문화적 상황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 표현양식으로 다른 소구의 유형보다 보다 더 심리적 친근감을 가져다준다. 유머의 시각적 표현기법인 그래픽 위트를 commercial poster에서 활용한다면 기존의 상업포스터에 비하여 그 의미를 명쾌하게 표현하고 주목성을 가지며 독창적인 표현으로 메시지 수용과 광고회상도 측면에서 탁월한 결과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또한 주제와 소재 및 표현 방법에 있어 새로운 시도들과 함께 개성적이고 위트 있는 아이디어로 대중에게 즐거움을 줌과 동시에 정확한 계획과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에 대한 주제와 목적을 뚜렷하게 하여 정보전달의 효과를 높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그래픽 위트의 시각적 특성과 유형별 표현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commercial poster의 효과적인 의미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그래픽위트의 표현을 유형화하여 작품 제작을 한다. A poster design not only pursuits its aesthetic value, but it is through the form of sensual appeal that intensifies the use of mental process as a strengthening form to communicate and persuade the general public. Poster designs have been in a unique position as being the visual language for the contemporary society. This study aims to use graphic wit as a form of visual expression in the culture of contemporary society in order to stimulate human interests that deliver core messages of understanding and sympathy through the production of commercial poster that interests consumers and leaves long-lasting messages without having reluctance. Wit is one method of communication that does not give denial or tension to the people but rather have benefits in persuading people. Communication begins with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where humor, in this case, wit, is a type of appeal that also connects between intimacy and social culture that connects to other forms of expression, bringing more psychological feeling of closeness than other appeals. As a type of visual representation technique of humor, by utilizing graphic wit into commercial poster, the meaning of expression will bring more clarity than the older commercial posters. Researches predict that it will be more attentive to the public that will produce excellent results in message capacity and ad retrospection due to its expressive originality. Also, new experiments through the techniques from topics, contents and expressions will produce fresh unique and witted ideas, and there needs to be accurate plan that can deliver the message in its themes and goals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delivering information. This study will analyze the visual attributions and expression types of graphic wit, and through this, try to produce a commercial poster that expresses through graphic wit that can deliver its meaning in an effective way.

      • 격려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장애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및 자기존중감, 통제소재, 사회적 관심에 미치는 효과

        신지희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18세 미만의 발달장애아동을 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격려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자기존중감, 통제소재, 사회적 관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장애아동 어머니 총 20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0명씩 무선배정한 후에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8회기의 격려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프로그램 실시 전 후에 양육 스트레스, 자존감, 통제소재, 사회적 관심 검사를 실시하고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격려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양육 스트레스에서 유의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의 효과를 보면, 격려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부부 및 가족문제와 부모의 비판적 태도 요인에서 유의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격려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자기존중감에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격려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어머니들은 통제집단 어머니들에 비해 내적통제 점수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격려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어머니들은 통제집단 어머니들에 비해 외적통제 점수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격려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사회적 관심에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격려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장애아동 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 자기존중감, 사회적 관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