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ffect of User Possession Attachment and Characteristics of Mobile Media on Acceptance of Mobile AD

        신일기,최윤슬,신현신,Shin, Il-Gi,Choi, Yun-Seul,Shin, Hyun-Sin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2014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모바일 미디어를 통하여 나타나는 확장된 개인의 자아 형성을 여러 관점에서 다양하게 논의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미디어의 개인적 특성과 사회적 특성에 따라 모바일 광고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한다. 특히 주목할 점은 개인이 자신만을 위한 모바일 기기를 소유함으로서 소유인식이나 자아에 영향을 주는 개인의 사회적 차원에 주목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모바일 미디어 사용에서 개인적 이용특성과 사회적 이용 특성과정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으며, 가설 검증 결과 모바일의 이용으로 발생하는 사회적 특성과 개인적 특성이 광고인식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특성이 보다 개인적 특성이 상대적으로 영향력을 더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광고인식의 발생에 있어서 기능중심의 개인적 특징이 광고에 대한 지각이나 노출이라는 측면에서 영향력이 큰 반면 사회적 특징과 관계적 특징이 향 후 내면적 인식에 따른 상호작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investigate how personalized and socialized mobile media impacts on users' acceptance of mobile advertising, given the consideration of users' mobile possession attachment. For this, the current study used focus group interview and surveyed mobile users. Interestingly, the findings reveal that personalized and socialized mobile characteristicssignificantly affect users' acceptance of mobile ads. That is to say, users' personalized mobile characteristics play an important role in either awareness of mobile ads or exposure to mobile ads.

      • KCI등재

        소비자가 인식하는 구매 시기와 제품 유형의 시간적 거리감이 광고 정보처리 과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신일기(Shin, Ilgi),손영곤(Sohn, Youngkon) 한국광고홍보학회 2017 광고연구 Vol.0 No.112

        본 연구는 소비자의 해석 수준에 따른 시간적 거리와 제품 유형인 실용재와 쾌락재에 노출되는 광고 메시지를 어떻게 처리하여 구매에 이르게 되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소비자들에게 시간적 거리감과 제품 유형(실용재, 쾌락재), 그리고 제시되는 광고 메시지가 제품 본질적인 측면 강조 여부에 따른 광고 속성의 삼원 요인 실험설계를 구성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시간적 거리감과 제품 유형, 시간적 거리감과 광고 속성의 이원상호작용만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결과를 종합해보면 먼 미래 시점의 소비자 광고 태도와 제품 태도의 형성을 위해서는 제품의 본질적인 기능이나 속성을 소구하는 광고 전략이, 가까운 미래 시점의 경우 구매 시점의 촉진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점을 소구하는 전략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향후 연구 방향과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consumers’ construal level interprets advertising messages which contains temporal distance and then their interpretation influences their intention to purchase. Further, it is assumed that both product-attribute information and the types of products differentiate the impact of consumers’ construal level on processing advertising messages and purchase intention. For this, this study employs a three-way design: 2 (high temporal distance vs. low temporal distance) × 2 (hedonic vs. utilitarian products) × 2 (functional vs. symbolic appeals). Even though there is not a three-way interaction of temporal distance, the types of products, and product-attribute information, the results significantly reveals that there exist a two- way interaction between temporal distance and the types of product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emporal distance and product-attribute information. In other words, it is plausible that functional appeal is more effective for consumers who consider a distant future purchase. In contrast, symbolic appeal is more persuasive for people who decide a near future purchase. With thes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in detail.

      • KCI등재

        모바일 광고의 상호작용 구성요인이 모바일 광고 수용에 미치는 영향 : 몰입과 침입성을 매개변인으로

        신일기 ( Shin Il-gi ),최수형 ( Choi Soo-hyung ),신현신 ( Shin Hyun-si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1 한국디자인포럼 Vol.33 No.-

        2000년대 이후 인터넷의 등장과 모바일의 급격한 확산은 기존 미디어의 역할과 개념을 완전히 바꾸었으며 이를 통해 미디어 이용자 생활양식과 더불어 미디어 산업 전반의 변화를 이끌고 있다. 따라서 미디어의 지각변동을 가져온 모바일 미디어와 모바일 광고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모바일미디어에 대한 접근도 필요하지만 모바일 사용자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더불어 모바일 미디어 통한 인터랙티브 광고는 디자인 연구의 확장을 돕고 나아가 새로운 하나의 영역으로 중요한 역할을 형성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서베이를 통하여 자료수집을 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SPSS 17.0을 사용하여 요인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모바일 광고의 6가지 구성요인들 중 오락성과 경제성이 몰입에 유의하였으며, 오락성과 정보성이 침입성에 유의한 결과를 나타났다. 또한 몰입에 따라 광고태도와 구전의도에 서로 유의하였으며, 반면 침입성은 광고태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구전의도에는 유의하지 못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모바일 광고의 구성요인들이 여러 효과 분석을 통하여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가에 대한 차별화된 전략을 제안할 수 있다. Since the 2000s, the coming of the Internet and the rapid growth of the Mobile radically changed the roles and concepts of the media as we knew. With this change, it is leading the changes over the entire digital media industry as well as the life style of the media users. So,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bile media and the mobile advertisements, which brought about such a radical change in the media, it is necessary to have a deeper understanding on the uses of the Mobile, as well as an approach toward the Mobile media. Also, Interactive-media advertising is a new field with broad space of research coming into being emergence and extensive study of design. with the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survey to collect the relevant study data.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done using SPSS 17.0 software through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showed that of the six elements of the Mobile Ads, the entertainment and econom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ver the absorption, while entertainment and informativenes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f the intrusiveness. On the other hand, the intrusiveness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attitude toward the advertisement, while 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ver the intent of verbal spreading of the words. With the above mentioned result, it was possible to suggest a differentiated strategy on who the elements of the Mobile Ads wielded their influences through various efficacy analysis.

      • KCI등재

        네거티브 정치광고의 유형과 광고 회의주의가 스폰서 후보 평가 및 투표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일기(Il Gi Shin),이병관(Byoung Kwan Lee),조병량(Byung Lyang Cho) 한국광고홍보학회 2008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0 No.3

        정치광고 캠페인 전략의 하나인 네거티브 정치광고의 효과성에 대해 후보자, 선거 컨설턴트, 언론사 등의 정치 일선에서는 물론 정치 커뮤니케이션 관련 학계에서도 오랫동안 관심의 대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선거캠페인 동안 집중된 광고에 대한 수용자들의 정치광고에 회의주의에 영향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네거티브 정치광고의 유형과 정치광고 회의주의에 따른 스폰서 후보자에 대한 평가와 투표의도에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피험자들의 정치광고 회의주의 성향은 어느 정도이며, 어떠한 요인들이 이러한 회의주의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가상 후보의 신문정치광 고물을 제작하여 피험자들에게 노출 후 연구결과 선향연구에서 이루어진 이성적(이슈/정책 중심) 광고와 감성적(이미지/개인적 자질 중심)광고의 상대적 효과에 대한 재검증 차원에서 이루어진 네거티브 정치광고의 유형의 후보자 평가 및 투표의도에 대한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네거티브 정치광고의 스폰서 후보의 평가에 있어서는 네거티브 이성광고에 노출된 피험자들이 네거티브 감성광고에 노출된 피험자들에 비해 다소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들의 정치광고 회의주의 성향은 스폰서 후보자에 대한 평가와 투표의도 모두에 강력한 부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발견하였다. 이는 개인의 성별, 연령, 투표경험과 광고의 유형에 상관없이 독립적인 영향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정치광고 캠페인 전략의 하나인 네거티브 정치광고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의 축적에 기여하였으며, 정치광고 캠페인에 있어서 정치광고에 대한 회의주의라는 중요한 변인을 제시함으로서 정치광고 캠페인 연구에 이론적 기여를 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The effect of negative advertising has been hardly studied in spite of its popularity not only among political practitioners such as politicians, political consultants, and presses, but also in scholars in political communication. Moreover, the effect of political advertising concentrated during the period of political campaign on audiences` level of political advertising Skepticism has never been revealed.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ims to reveal the effect of negative political advertising type and audiences` level of Skepticism on evaluating candidates and developing voting intention. The level of respondents` political Skepticism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Skepticism are also explored. The newspaper advertisements for an imaginary candidate are exposed to the research subjects. Two types of advertisements were manipulated to test the comparative effect of (a) rational appeals focusing on issues and policies advocated by the candidate, and (b) emotional appeals focusing on image and personal capability of the candidates, on evaluating the candidate and the developing voting intention. In results, the group exposed to the rational negative advertisements evaluated the candidates more positively than the subject group exposed to the emotional negative advertisements. Moreover, the level of individual political advertising Skepticism had negative effects on estimating the candidate and developing voting intentions regardless of the subjects` gender, age, voting experiences, and types of advertisements. The present study contributed not only to the study on political advertising campaign strategies by revealing the effect of negative political advertisement but also to theoretical accumulation of by proposing the concept of political advertising Skepticism.

      • 디지털과 아날로그 옥외광고의 공존

        신일기(Ilgi Shin) 한국OOH광고학회 2016 한국OOH광고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0

        본 연구는 옥외광고 자유표시구역의 운영원칙에 대한 기초적 접근을 위해 기존 도시와 공간에 대한 개념적 접근과 소비자의 변화에 따른 옥외광고와 콘텐츠의 본질적 변화를 중심으로 개념적인 형태로 사례연구를 하였으며, 가장 최근에 조성된 캐나다의 던다스스퀘어의 사례를 기반으로 도시 공간에 따른 옥외광고의 자유표시구역의 운영에 대한 제헌을 통해 도시의 가치제고를 위한 고려 요소와 목표달성을 위한 전략방안을 제시하였다. Free Outdoor Advertising Zone, where the outdoor advertising can be installed freely without the constraints on the number, location, etc, will have a big influence on the urban landscape. we observed different aspects of signboard improvement projects through relevant literatures. It also included some case studies in New York Times Square case, where the local government has already completed a series of advertising management regulations and Free Outdoor Advertising Zone. this study aims to suggest principles for the designation of Free Outdoor Advertising Zone considering the quality of urban space, so the harmony between the Free Outdoor Advertising Zone and the urban value can be achieved.

      • KCI등재후보

        옥외광고 구성요소를 통한 옥외광고 개성에 관한 연구

        신일기(Il-Gi Shin),변혜민(Hye-Min Byun),박인성(In-Sung Park) 한국옥외광고학회 2010 OOH광고학연구 Vol.7 No.4

        옥외광고는 외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소비자가 자연스럽게 노출 될 수 있고, 소비자의 상품을 구매하는 시점에서 광고를 노출 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효과는 더 직접적이며 다른 매체에 비해 더 효과적이라 볼 수 있다. 더욱이 옥외 광고는 만약 좋은 위치가 확보된다면 특정 지역적 소비자의 주목을 끌기에 적합하며 궁극적으로 매장의 방문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옥외 광고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측면으로 연구되어야 한다. 최근의 연구는 옥외 광고의 효과를 측정하는데 주로 시각적 요인의 효과에 집중하여 옥외 광고의 효과를 분석하고 있다. 시각적인 요소는 옥외 광고가 소비자에게 인지되고 기억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렇지만, 현재의 연구는 옥외 광고에 미치는 시각적 요소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만 증명했을 뿐, 그 요소가 결합했을 때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옥외 광고의 구성 요소가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 구성 요소가 결합되었을 때 어떠한 결합이 사람들에게 선호되는지 보고자한다. 또한 옥외 광고를 통해 개성을 인식하는지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소비자의 매장 방문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옥외 광고를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 중에서도, 기존 연구를 통해 문자의 굵기와 문자체, 그리고 픽토그램을 선정하여 실험 설계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드러난 옥외광고에 지배적인 개성차원은 창의, 매력, 재미, 세련, 친근 등으로 나타났으며, 옥외광고에 대한 유형별 지배적 개성은 개성, 창의, 진보, 활기 등의 요소가 지배적인 개인인식요소로 나타나고 있으며, 익숙, 친근, 정감, 신뢰 요소들의 경우도 매장에 개성 인식요소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외광고물의 구성형태에 따라서 옥외매장에 대한 개성요소의 인식이 상이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OOH(Out of Home) can be naturally disclosed to consumers because it is fixed on the outside of a building, and the effect is more directly and effective than other media because the advertisement can be disclosed to consumers at the point of purchase. If it will be well-located, besides, it is very appropriate to attract the attention of specified local consumers and then finally, it can induce a consumer to visit a shop. In this regard, OOH should be studied in various aspects. The latest studies about OOH have mainly analyzed the effect by concentrating on the effect of visual factors in measuring the effect. Its visual factors carry out the main role in order to make consumers acknowledge and remember OOH. However, the existing studies testified only what visual factor affects OOH and they have never studied the effect caused by the combination of such visual factors. Accordingly,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effect that the components of OOH affect consumers and to examine the combination of visual factors that consumers prefer.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whether consumers are aware of their own personality or not, and finally, it researched what OOH affects the intention of consumers who want to visit a shop. Also, it designed an experiment by selecting a thickness and a style (font) of letters and pictogram in the existing studies among various factors consisting of OOH. As a result of above experiment, the dominant personality dimensions to OOH were originality, attractiveness, amusement, refinement, familiarity and etc., the dominant personal cognitive elements to the types of OOH were personality, originality, advancement, vitality and etc. and the personal cognitive elements for visiting a shop were familiarity, friendliness, emotion and confidence. It could be discovered that the personal cognitive elements for an outdoor store depend on the organization of OOH elements based on above results.

      • KCI등재후보

        옥외광고물 자유표시구역 추진 방안 연구

        신일기(Ilgi Shin) 한국OOH광고학회 2016 OOH광고학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옥외광고자유표시구역의 운영원칙에 대한 기초적 접근을 위해 소비자의 변화에 따른 옥외광고와 콘텐츠의 본질적 변화와 도시와 공간에 대한 개념적 접근을 중심으로 개념적인 사례연구를 하였다. 미국의 타임스퀘어와 최근에 조성된 캐나다의 던다스스퀘어를 비롯한 세계적 도시의 사례를 기반으로 도시 공간에 따른 옥외광고자유표시구역의 운영에 대한 제언을 통해 도시의 가치제고를 위한 고려요소와 전략방안을 제시하였다. Free Outdoor Advertising Zone, where the outdoor advertising can be installed freely without the constraints on the number, location, etc, will have a big influence on the urban landscape. we observed different aspects of signboard improvement projects through relevant literatures. It also included some case studies in New York Times Square case, where the local government has already completed a series of advertising management regulations and Free Outdoor Advertising Zone. this study aims to suggest principles for the designation of Free Outdoor Advertising Zone considering the quality of urban space, so the harmony between the Free Outdoor Advertising Zone and the urban value can be achieved.

      • KCI등재후보

        매장의 옥외 이미지가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옥외광고와 매장 인테리어의 차이가 점포태도 및 구매에 미치는 영향

        신일기(Shin Ilgi),심성욱(Shim Sungwook),최정규(Choi Jeungkyu) 한국옥외광고학회 2007 OOH광고학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화장품브랜드샵”의 옥외광고 및 인테리어에서 독특하게 사용하고 있는 시각적 색채 이미지가 소비자의 브랜드 이미지 형성 및 태도에 주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화장품 전문점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색상과 명도를 적용한 색채 자극물을 제시하여 색채에 대한 피험자의 인식과 태도에 대해 측정하고, 이후 각각의 화장품 전문점에 대한 옥외광고물 및 인테리어에 대한 이미지를 제시한 후 피험자가 매장에 대한 평가하도록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hether color image of store has an impact on the brand image and store attitude. Color stimuli which was used in store were presented to respondents and respondents' perception and attitude were measured. After that, respondents who saw the image of store's outdoor advertising and interior responded the stor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he respondents who preferred specific color are likely to respond positively to store's attitude which included specific color.

      • KCI등재

        한국형 타임스퀘어의 장소성 형성과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분석 : 코엑스 옥외광고 자유표시구역의 장소성을 중심으로

        신일기(Shin, Ilgi),손영곤(Sohn, Youngkon) 한국광고홍보학회 2022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4 No.4

        장소란 무엇인가? 공간과 장소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장소는 공간에 주관적인 가치와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생성되는 공간이다. 이렇게 볼 때 장소는 반드시 유명 관광지만을 가리키지 않는다. 장소성의 초기 형성은 미디어 및 온오프라인 구전을 통해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초기의 발생은 이미지와 향유할 수 있는 콘텐츠의 형태로 전달되고 안정된 경험의 수준에 따라 명소로 유지되거나 소멸하게 된다. 이는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도심도 경험적 소비를 위한 대상도 공간, 나아가 특정 장소가 될 수 있다. 이 연구는 독특한 미디어와 광고물 그리고 문화예술 행사의 경험적 소비가 장소성에 대한 초기 구성과 수용자들의 인식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명소화 프로젝트가 진행된 옥외광고 자유표시구역의 장소성 형성과 그에 따른 방문의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한 콘텐츠와 문화예술행사 등 다양한 볼거리와 다른 즐길거리를 제공하는 옥외광고물 자유표시구역이 장소성 형성 및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 소재 대학생 3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장소성을 형성하는 물리적, 행동적, 의미적 요인은 모두 장소 정체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장소 정체성은 장소 애착과 장소 의존성, 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렇게 형성된 장소성은 다시 사람들의 방문의도를 높이는데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자유표시구역 방문 여부에 따른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여 장소성 형성 관계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코엑스 자유표시구역의 장소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What is a place?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space and place? The place refers to the space generated by giving subjective values and meaning to the space. In this sense, the place is not necessarily a famous sightseeing. The city center of everyday life can be a place for empirical consumption, and it can be a plac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formation of the location of the free outdoor advertising zone and the intention to visit accordingly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sense of place. The effect of contents using digital signage and cultural and artistic events on the forming sense of place and intention of visit in the outdoor advertisement free outdoor advertising zone was empirically analyzed. To this end, factors that form sense of place were classified physically, behaviorally, and semantically, and to analyze sense of place in a multidimensional manner, it was divided into place identity, place attachment, and place dependence. To verify hypothesis a survey was conducted on 327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As a result of the study, physical, behavioral, and semantic factors had a signigicant effect on place identity, and place identity had an effect on place attachment, place dependence, and visit intention. The sense of place formed in this way had a positive (+) effect on increasing people’s intention to visit again. In addition, a multi-group analysi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o visit the COEX Free Display Area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place formation in depth.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easures to increase the location of the COEX Free Display Zone were discussed.

      • KCI등재

        광고소구유형에 따른 소비자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일기(Shin, Ilgi),손영곤(Sohn, Youngkon),이진우(Lee, Jinwoo),정윤재(Jung, Yoonjae) 한국광고홍보학회 2014 광고연구 Vol.0 No.102

        본 연구는 소비자의 추론수준에 따른 시간적 거리와 마감시간 압박이 노출되는 광고메시지를 어떻게 처리하여 구매에 이르게 되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소비자들에게 한정된 기간 내에만 구매할 수 있음을 강조하는 광고 전략을 내세우는 소셜커머스에서 제품 사용상황을 기준으로 시간적 거리감과 제품 마감시간에 따른 시간 압박, 그리고 제시되는 광고메시지가 제품 본질적인 측면 강조 여부에 따른 광고속성의 삼원 요인 실험설계를 구성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소비자들은 시간 제약에 놓일 경우 단순화한 정보처리과정을 거쳐 의사결정을 하고 있었다. 둘째, 휴리스틱 의사결정의 연장선상에서 마감시간은 시간적 거리감의 영향을 매개하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셋째, 시간적 거리감과 마감시간은 소비자들에게 전달되는 광고메시지를 구성하는데도 하나의 지침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광고메시지 구성 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consumers perceive both temporal distance and time pressure embedded in advertising messages and explore how such perception leads to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Besides, this study theoretically employs a traditional approach to explain the effect of advertising appeals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Accordingly, this study generates eight separate conditions: 2(high temporal distance level vs. low temporal distance level) × 2(high time pressure vs. low time pressure) × 2(functional appeal vs. symbolic appeal). Participant(n=227) were undergraduate students from large universities in Korea. In sum, this result first reveals that people under a high time pressure condition tend to make a purchase decision by employing simple information process. Second, the results illustrates that time pressure mediates the effect of temporal distance on people"s heuristic information process. Finally, both temporal distance and time pressure direct people"s purchase intention. Given the findings, we sugges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discuss methodological limit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