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smart 시스템의 도입과 옥외광고 전문인력 양성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 간판시범가로 조성사업을 중심으로

        이경아(Kyong-A Lee) 한국옥외광고학회 2009 OOH광고학연구 Vol.6 No.1

        이에 본 연구에서는 행정안전부가 추진하고 있는 옥외광고물 개선 정책 중 가장 두드러지는 간판 시범가로 조성사업 운영상의 제도적 성과와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시범가로 조성사업은 옥외광고에 대한 시민의 의식을 고취시키고, 공공재로서 인식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거리를 획일화의 우려 속에 빠뜨리고 있으며, 고시의 남발로 인하여 소재와 표현의 제한을 받고 있고 관리주체측은 단기간의 성과에 급급한 측면을 보이고 있다. 정책의 시행에 앞서 제도적 보완의 세심함이 필요하며 간판조성사업의 완성을 위하여 제도적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현 옥외광고물 관리시스템은 민원정보시스템을 활용한 인허가행정 위주로 구축되어 있어 광고물의 특성상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경관관리차원에서의 관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의 해결 방안으로 "S-smart”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다 하겠다. "S-smart" 시스템이란 옥외광고물의 광고주일반사항 및 광고물일반사항과 광고물제작자일반사항을 통합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광고물의 시각적 · 안전도적 관리에 초점을 맞춘 on-line 관리시스템이다. 둘째, 옥외광고 전문인력 양성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① 옥외광고사제도 개편의 필요성, 자격기준을 다양화하여 「옥외광고산업기사1 · 2급」 「옥외광고기사1 · 2급」 「안전도평가사」제도를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② 옥외광고 담당 공무원의 「디자인직제 도입」의 필요성: 옥외광고업무는 전문적 지석, 옥외광고물 관리법 · 령에 대한 해박한 지식, 디자인에 대한 전문 지식이 필요하다. ③ 옥외광고업자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제도 개편의 필요성: 디자인 서비스 능력 강화 교육, 생활형 광고물에 대한 안전도평가 안전설계 · 시공 등의 「옥외광고물 안전점검 전문인력 양성교육 실시가 그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가 옥외광고물 관리행정 시스템구축과 옥외광고물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로드맵에 활용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offer institutional results and development plan under management and development suggestions for the most out?standing promoting project of the model street for a signboard in the policy for improving the outdoor advertisements which the Ministry of Administration and Safety push ahead with. The promoting project of the model street became the motivation of raising the civilian consciousness for outdoor advertisements and for recognizing it as public goods. However, this may be a concern of making streets uniformed, and the excessive issue of a notification may also limit materials and expressions. In addition, the management operator wants to bring the results in haste in a short term.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compensate for the system prior to implementing the policy, so the institutional development plan was suggested to complete the promoting project for a signboard. First, as the current management system for outdoor advertisements is mainly constructed with the advertisement for approval and certification using the civil information system, actually it lacks in the management in terms of scene management which is important considering its property. Thus, as a solution for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S-smart System. S-smart is the system allowing a user to uniformly check and manage general items for clients in outdoor advertisements and general items for advertisement producers and this on-line management system focuses on management in vision and safety on advertising material. Second, it is required to construct the system for educating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in outdoor advertisements. For this, Ⅰ) It is needed to introduce the revision of an outdoor advertiser-system :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outdoor advertisement-industrial technician for class Ⅰ and Ⅱ, the outdoor advertisement technician for class Ⅰ and Ⅱ, and the safety evaluator -system for class Ⅰ and Ⅱ. Ⅱ) It is required to introduce the design-position for a public service man: For outdoor advertisement operation, It is needed to have the professional knowledge, the wide-knowledge on the laws and ordinance of outdoor advertisements, and the professional knowledge on design. ⅲ) It is needed to revise the education system for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of an outdoor advertisement producer: It includes the education of enhancing the design service capability, the evaluation of safety on lifestyle advertisements,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education for cultivating professional safety-human resources in outdoor advertisements including safety design and construction. It is desirabl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road-map for constructing management and the administration system and for educating the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for outdoor advertisements.

      • KCI등재후보

        옥외광고 구성요소를 통한 옥외광고 개성에 관한 연구

        신일기(Il-Gi Shin),변혜민(Hye-Min Byun),박인성(In-Sung Park) 한국옥외광고학회 2010 OOH광고학연구 Vol.7 No.4

        옥외광고는 외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소비자가 자연스럽게 노출 될 수 있고, 소비자의 상품을 구매하는 시점에서 광고를 노출 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효과는 더 직접적이며 다른 매체에 비해 더 효과적이라 볼 수 있다. 더욱이 옥외 광고는 만약 좋은 위치가 확보된다면 특정 지역적 소비자의 주목을 끌기에 적합하며 궁극적으로 매장의 방문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옥외 광고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측면으로 연구되어야 한다. 최근의 연구는 옥외 광고의 효과를 측정하는데 주로 시각적 요인의 효과에 집중하여 옥외 광고의 효과를 분석하고 있다. 시각적인 요소는 옥외 광고가 소비자에게 인지되고 기억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렇지만, 현재의 연구는 옥외 광고에 미치는 시각적 요소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만 증명했을 뿐, 그 요소가 결합했을 때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옥외 광고의 구성 요소가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 구성 요소가 결합되었을 때 어떠한 결합이 사람들에게 선호되는지 보고자한다. 또한 옥외 광고를 통해 개성을 인식하는지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소비자의 매장 방문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옥외 광고를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 중에서도, 기존 연구를 통해 문자의 굵기와 문자체, 그리고 픽토그램을 선정하여 실험 설계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드러난 옥외광고에 지배적인 개성차원은 창의, 매력, 재미, 세련, 친근 등으로 나타났으며, 옥외광고에 대한 유형별 지배적 개성은 개성, 창의, 진보, 활기 등의 요소가 지배적인 개인인식요소로 나타나고 있으며, 익숙, 친근, 정감, 신뢰 요소들의 경우도 매장에 개성 인식요소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외광고물의 구성형태에 따라서 옥외매장에 대한 개성요소의 인식이 상이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OOH(Out of Home) can be naturally disclosed to consumers because it is fixed on the outside of a building, and the effect is more directly and effective than other media because the advertisement can be disclosed to consumers at the point of purchase. If it will be well-located, besides, it is very appropriate to attract the attention of specified local consumers and then finally, it can induce a consumer to visit a shop. In this regard, OOH should be studied in various aspects. The latest studies about OOH have mainly analyzed the effect by concentrating on the effect of visual factors in measuring the effect. Its visual factors carry out the main role in order to make consumers acknowledge and remember OOH. However, the existing studies testified only what visual factor affects OOH and they have never studied the effect caused by the combination of such visual factors. Accordingly,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effect that the components of OOH affect consumers and to examine the combination of visual factors that consumers prefer.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whether consumers are aware of their own personality or not, and finally, it researched what OOH affects the intention of consumers who want to visit a shop. Also, it designed an experiment by selecting a thickness and a style (font) of letters and pictogram in the existing studies among various factors consisting of OOH. As a result of above experiment, the dominant personality dimensions to OOH were originality, attractiveness, amusement, refinement, familiarity and etc., the dominant personal cognitive elements to the types of OOH were personality, originality, advancement, vitality and etc. and the personal cognitive elements for visiting a shop were familiarity, friendliness, emotion and confidence. It could be discovered that the personal cognitive elements for an outdoor store depend on the organization of OOH elements based on above results.

      • KCI등재

        옥외광고정책 이슈의 동향과 특성에 관한 연구 : 옥외광고 관련기사를 중심으로

        염성원(Sung-Won Yeom),신동진(Dong-Jin Shin) 한국옥외광고학회 2010 OOH광고학연구 Vol.7 No.3

        본 연구는 최근 5년간 논의되었던 옥외광고 관련 정책적 이슈들의 흐름과 동향을 체계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위해 옥외광고정책 동향과 관련한 옥외광고 전문잡지의 기사를 분석하는 질적 내용분석방법을 사용했다. 분석결과, 옥외광고 정책관련 이슈는 옥외광고물관리법과 시행령 개정이라는 입법적 정책이슈가 매우 중요한 정책적 환경을 조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행정적 차원에서 이른바 가로정비사업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과 관련한 정책이슈가 많았다. 그러나 옥외광고의 규모에 비해 옥외광고의 발전과 진흥을 위한 정책당국과 산업계의 소통이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여, 향후 옥외광고 정책 당국과 산업계 간에 옥외광고 정책과 관련한 소통이 활성화하고, 의견수렴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했다. This paper examines outdoor advertising-related policy issues over five years in Kore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used to review outdoor advertising-related policy issues reported by a professional trade magazine 'POPSIGN'. First of all, legislative policy issues such as amending the outdoor advertising law and its implementing ordinances make the outdoor advertising environment. Next, administrative issues are focused to the “street landscape improvement project” by the local government. However, it seems to be lack of dialogues and communication between policy authorities and outdoor advertising industry. It is strongly recommended that policy authorities and outdoor advertising industry should mor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bout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y.

      • KCI등재후보

        옥외광고물 허가완화 특례에 대한 한국과 미국 그리고 영국 법규의 비교 연구

        권수미(Su-Me Kwon),김성훈(Sung-Hun Kim) 한국옥외광고학회 2010 OOH광고학연구 Vol.7 No.2

        본 논문은 각국의 옥외광고물 게시의 허가완화특례를 비교함으로써 이들 광고물이 특례를 적용받는 각각의 이유 및 광고게시자의 자율권 범위 등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이를 통해 법규가 근거하는 핵심적 원칙들을 비교하고 한국 옥외광고법령의 입안 목적을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료는 한국 옥외광고물 등 관리법과 옥외 광고물 관리법 시행령, 미국 버지니아주와 플로리다주의 옥외광고법, 영국 옥외광고법이다. 연구결과 각국의 법령 간에는 유사점보다 차이점이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미국과 영국은 공히 자사광고에 대한 허가완화특례를 두고 있는 반면 한국 법령은 이에 대해 허가완화가 아닌 광고금지 지역에 대한 게시허용특례만을 부여하고 있었다. 비영리단체 부문에서 한국이 종교 · 교육 · 노동단체 광고에 대해서만 허가완화특례를 적용하는 데 비해 영 · 미 법은 보다 다양한 비영리 단체와 커뮤니티 광고를 이 범주에 넣었다. 허가완화 관련쟁점의 비교를 통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원칙을 재조명하게 되었다. 첫째, 광고물 규제가 지향하는 가치는 공공성의 유지라는 점이다. 공공성은 교통을 방해하지 않을 것, 선거 · 정책 안내를 제외한 공공 사인은 허가를 받을 것, 광고물이 안전하게 설치될 것, 광고내용이 단순할 것, 공동체에 기여하는 비영리 활동 관련 광고 게시를 보다 넓게 허용할 것, 의료 · 지역 정보 등 이용자들에게 필수적인 내용의 게시를 수월하게 할 것을 의미한다. 둘째, 상업광고의 경우 심미적 환경을 저해하지 않는 선에서 영업권을 보장한다는 점이다. 이는 광고물 면적 또는 수량의 제한, 명문화된 설치기준, 광고물 내용규제의 배제 등을 의미한다. This study is to verify and compare the provisions exempted or relaxed from the regulations by which each authority can permit or ban display of outdoor advertisements in three countries' laws. It is conducted to identify the principles that the regulations of the countries is based upon and to review objectives of the regulation in Korea. The research material is outdoor advertising codes of Korea, Florid and Virginia in US, and England in UK. The result shows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each provision exempted or relaxed from the regulation. Especially US and UK, contrary to Korea, commonly relaxe the regulation of permit about display of on-premise advertisement. And US and UK also do the same thing about displays of more non-profit communities and organizations than Korea does. Finally, it is concluded that the provisions present what the countries' legislator regards the public interest as and how the regulations gives shape to it.

      • KCI등재

        옥외 광고에 대한 언론 보도 프레임 분석 : 경향신문 동아일보 한국일보의 보도를 중심으로

        염성원(Yeom Sung Won),이상휘(Lee Sang Whee),도형래(Do Hyung Rea) 한국옥외광고학회 2011 OOH광고학연구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옥외 광고에 대한 이미지가 일반 공중에게 어떻게 전달되고 인식되는가를 밝히기 위해 옥외광고에 대한 뉴스 프레임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은 2010년 6월 1일부터 2011년 6월 30일까지 1년 동안 경향신문 동아일보 한국일보 등 3개의 신문을 대상으로 한국언론진흥재단 카인즈(KINDS) 검색 시스템을 통해 옥외 광고 유형별 검색어를 질의해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하루 평균 0.23건의 옥외 광고 기사가 분석대상에서 보도 되었으며 옥외 광고 관련 기사의 취재원은 지자체와 중앙정부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또한 옥외 광고 관련 기사 가운데 27.5%만이 중심주제로 옥외 광고를 보도했으며 나머지는 주변부의 소품으로 옥외 광고를 다루었다. 옥외 광고의 내용적 프레임에 있어서도 옥외 광고를 관리나 개선되어야할 대상으로 보도하는 프레임이 전체 57.5%를 차지하며 과반을 넘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언론에 보도되는 옥외 광고의 이미지 역시 긍정적 이미지(11.4%)보다 부정적 이미지를 부각 시키는 보도(31.8%)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로 전통적인 옥외 광고유형(간판 현수막 등)과 달리 최근 새롭게 등장한 전광판 지하철 광고 등에서는 부정적 보도 보다 긍정적 이미지로 보도되는 경우가 많았다는 점에서 인식 개선의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다고 분석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news frame of outdoor advertising for exploring how outdoor advertising outcome delivered and perceived to public. Th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KINDS system used the key word of outdoor advertising. For this study three nationwide newspapers such as Kyunghyang Daily Donga Daily Hankook Daily for a year was used. The result is following. Firstly First 0.23 articles on outdoor advertising was reported in analyzed media on average daily and the news source of articles was most frequent local governments and the central governments. Of the whole articles on outdoor advertising was reported for a year only 27.5% actually become main topic of the article the rest of articles was minor things. the articles with image of be regulated are reported 40% more likely than those with a promising industry. The outdoor advertising were reported on more negative images(31.8%) than positive image(11.4 percent). But the recent introduction of a new display system and a subway media were reported positive image so in the near future the outdoor advertising was anticipateed the improvement of cognition for changing positive image.

      • KCI등재

        새로운 도시문화 조성을 위한 옥외광고디자인 정책과제 : 간판시범거리 조성사업 정책사례를 중심으로

        박영윤(Young-Yoon Park) 한국옥외광고학회 2009 OOH광고학연구 Vol.6 No.3

        본 연구는 최근 도시미관과 가로경관 등 공간의 질을 높이려는 자치단체들이 늘어나면서, 한 나라의 문화적 수준과 국가 정체성의 주요한 척도가 되고 있는 옥외광고의 개선을 위한 근본적이고 구체적인 실천방안의 필요성 증대에 따른 것이다. 따라서 새로운 도시문화 형성을 위한 옥외광고디자인 정책을 이론적 · 실증적으로 접근하여 환경과 조건에 부합하는 바람직한 실천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을 통해 도시문화와 옥외광고의 이론적 배경에 관하여 살펴보고 우리나라 옥외광고 현황 및 제도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옥외광고디자인 정책사례로서 4개 도시의 간판시범거리 조성사업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민관협력을 3가지로 유형화하였으며 도시문화와 옥외광고에 대한 시사점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In line with the recent increase in the local governments' effort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space such as urban and street landscape, this study responses to the increasing necessity for a fundamental and solid action policy in enhancing Out-of Home (OOH), which has become a criterion on the cultural standard and the identity of a country.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an actual direction matching with the circumstances and conditions by adopting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approaches to the policy for OOH design for fostering a new urban culture. For achieving those objectives of the study, the author explor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about the urban culture and OOH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he present status and framework of OOH. Comparison among the Promotion Projects for Model OOH Street of four cities enabled to categorize public-private partnership into three types and to grasp implications of urban culture and OOH.

      • KCI등재

        국내 옥외광고 관련 연구동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1990년대부터 2008년까지 학술지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염성원(Sung-Won Yeom),장우성(Woo-Sung Chang) 한국옥외광고학회 2009 OOH광고학연구 Vol.6 No.3

        본 연구는 1990년대부터 2008년까지 학술지에 게재된 옥외광고 관련 연구논문의 동항을 탐색하였다. 분석대상은 학술지 원문검색 시스템인 KISS에서 검색된 옥외광고 관련 연구논문 그리고 KISS에서 검색되지 않는 광고연구 및 옥외광고학연구 학술지에 게재된 옥외광고 관련 연구논문 87편이었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옥외광고 관련 연구는 초기에 주로 디자인계열 전공자들에 의해 도시환경 및 크리에이티브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주로 문헌조사 및 사례를 제시하는 사례관찰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또한 학술 논문보다는 간행물을 참고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그러나 매체환경의 변화로 인한 옥외광고 등 BTL매체의 관심 증대 그리고 2004년 옥외광고학 연구의 발행과 함께 다양한 주제 및 방법이 사용되었다. 특히 광고홍보학 전공자들에 의한 옥외광고 효과연구가 늘어나면서 실험 및 서베이 등 정량적 방법에 의한 과학적 연구가 증가하였으며 참고문헌의 경우에도 점차 학술논문의 인용 및 참고가 많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This study explored the trends of research papers related to outdoor advertising that were printed on scientific journals published from 1990' s to 2008. The objects of the study were 87 theses including some research papers related to outdoor advertising found on the Korean Studies Information System, KISS, some advertising theses that were not found in KISS, and some outdoor advertising-related theses published on outdoor advertising journal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shown that the early stage of researches related to outdoor advertising was filled mainly with the studies on the urban environment and the creative conducted by those who had design-related degrees, and adopted the case observation method using the documentary survey and presenting cases. Also, journals rather than academic theses were relatively more referenced. However, as the interest in BTL media including outdoor advertising brought about by the change of medium environment increased and the Outdoor Advertising Studies published in 2004, diverse subjects and methods were used. In particular, with the increase in the research on the outdoor advertising effect conducted by those who have degrees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the scientific research conducted through quantitative method such as experiments and surveys has increased. Also with regard to bibliography, the academic theses have the gradually increasing tendency to be referred and quoted.

      • KCI등재

        옥외광고 규제에 대한 소비자 인식 모델 : 기능적(Utilitarian) 태도와 쾌락적(Hedonic) 태도의 역할

        전종우(Jun Jong Woo),정아름 한국옥외광고학회 2008 OOH광고학연구 Vol.5 No.3

        최근 들어 BTL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이 광고업계와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옥외광고에 대한 고찰과 옥외광고 규제의 시행을 앞두고 옥외광고에 대한 소비자 인식에 대해 탐구한 연구이다. 광고 일반에 대한 태도, 옥외광고에 대한 기능적 태도와 쾌락적 태도, 그리고 옥외광고 규제에 대한 태도를 한 모델 안에 구현하여 서울시의 옥외광고 규제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모형화하였다. 결과적으로 광고에 대한 일반적인 태도는 옥외광고의 기능적 태도와 쾌락적 태도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쾌락적 태도가 옥외광고 규제에 대해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 소비자들이 옥외광고에 대한 평가에 있어 매체에 담기는 정보성 보다는 디자인 등 쾌락적인 요소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결과에 대한 논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도 후반부에 실려 있다. As BTL marketing communications draw attentions, OOH advertising is evaluated as effective advertising media with potentials. This study explores consumers' perceptions on OOH advertising. Through incorporating general advertising attitudes, utilitarian attitudes, hedonic attitudes, and attitudes toward the OOH regulations in a model, we modeled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n the OOH advertising regulation. In essence, general attitudes toward advertising influenced both utilitarian and hedonic attitudes toward OOH advertising, and utilitarian attitudes affect the OOH regulation negatively. This result provides an implication that college students value more on hedonic elements like design than information contained in OOH advertising media.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are attached at the end of this paper.

      • KCI등재

        국내 옥외광고의 비언어적 특성에 관한 주관성 유형 연구

        이혜주(Lee Hye Ju),이제영(Lee Jei Young) 한국옥외광고학회 2005 OOH광고학연구 Vol.2 No.1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옥외 조형물 상단에 위치한 광고물에 대해서 광고 자체의 공공기능과 건강하고 쾌적한 도시환경 조성, 미풍양속 유지 및 공중 위해 방지를 강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끊임없이 제기되었고, 이는 옥외광고물에 대한 다양한 차원에서의 커뮤니케이션 현상으로 변화해야 함을 암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 에서는 국내 옥외광고의 비언어적 특성에 관한 일반대중들의 일상적인 이미지와 성향에 대한 인식유형을 구조화 하고 유형별 특성을 파악, 기술하고 설명하는데 좀 더 발견적이고 가설생성적인 Q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연구문제로는 첫째, 국내 옥외광고의 비언어적 요소가 일반대중들에게 미치는 인식 유형은 어떻게 분류되고 있나?, 둘째 이들 각 유형틀 간의 동질적이며 이질적인 특성은 무엇인가? 등이다. 분석결과, 제 1유형은 “사회적 역할 중시형”, 제 2유형은 “비언어적 효과 중시형”, 제 3유형은 “합리적 옥외광고 선호형”이라고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국내 옥외광고의 비언어적 특성에 관한 일반대중들의 주관적 이미지와 성향은 대부분 긍정적이고 호의적인 성향을 보여 주었고, 이에 따른 국내 옥외광고에 대한 과학적이고도 합리적인 체계성 확립의 필요성이 제기할 수 있다. The perception type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in all through Q-methodology. Above all,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wo points us. Points of this study ; First, how the type of the perception is divided on the subjectivity by the nonverbal characteristics of outdoor advertising in Korea? Second, what is a trait of character in same or different quality within these types? The result reveal three type that divided 'importance of social responsibility', 'importance of nonverbal effect', 'preference of resonable outdoor-advertising'. It found that is very different type.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efficiently the degree of the nonverbal characteristics of outdoor advertising in Korea.

      • 국내 옥외광고 관련 연구의 현황에 대한 탐색적 고찰

        류지연(Lyu Jiyun) 한국옥외광고학회 2005 OOH광고학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1990년 이후 진행되어 온 국내 옥외광고 관련 연구에 관한 종합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1990년부터 2005년 현재까지 국내 광고관련 학술지들(광고연구, 광고학연구, 광고홍보학보, 옥외광고학연구)과 디자인관련 주요 학술지(디자인과학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시각디자인학술지)에 게재된 옥외광고관련 논문을 대상으로 연도별/학술지별 논문수, 논문의 세부주제, 연구자의 수와 소속, 연구방법, 참고문헌의 수, 주요참고문헌의 저자와 저서 등으로 나누어 내용분석을 수행하였다. 최근 발간된 옥외광고학연구를 제외한 6개 학술지에 실린 옥외광고 관련연구는 9편에 불과하였다. 또한 옥외광고 관련연구들의 연구방법은 2차 자료와 대안제시 형태에 편중되어 있었으며(47%), 참고문헌의 활용에 있어서도 학술지논문의 참고 비율(18%)이 낮고, 상대적으로 단행본의 참고 비율(44%)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옥외광고학연구의 발간으로 관련연구의 편수가 늘고 연구주제들이 다양해지고 있으나 옥외광고 산업의 확산 추세로 볼 때 보다 폭넓은 문제의식과 연구방법을 활용하는 다각도의 시도들이 절실히 요구되어진다고 하겠다. This study content-analyzed the articles for outdoor advertising in Korea since 1990. This analysis contained the articles for outdoor advertising of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the Korean Advertising Journal,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Journal of Outdoor Advertising Research, Journal of Design Science, the Korean Journal of Design Cultural Science, Journal of Visual Design. There were few of the studies for outdoor advertising.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about half of the articles have been written by one scholar with academic background of advertising or design. City environment and Creative-related issues have been the most popular topic of the studies. Methodologically, non-empirical approaches have been used most often. Average number of references were 18.7 and domestic articles have been cited much more frequently than foreign o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