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의 구강건강 실천행동 의도의 사회인지적 예측변인에 대한 탐구

        손영곤(Young Kon Sohn),이병관(Byoung Kwan Lee) 한국광고홍보학회 2010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2 No.1

        본 연구는 유아들의 구강건강 행동을 이해하고 예측하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건강신념모델(HBM)과 계획된 행동이론(TPB)을 적용하여 비교·분석함으로써 향후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치원 유아대상 중재 프로그램의 사후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총 471명의 유아들의 응답 자료를 분석을 위해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HBM이나 TPB 모두 유아의 구강건강 행동의도를 예측하는 데 모델의 적합도나 설명 변량 측면에서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모델의 간명성 측면에서는 TPB가 HBM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TPB에 따른 검증 결과, 지각된 행동통제가 높고 구강건강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구강건강 행동의도가 증가하고 있었으나 주관적 규범에 의한 행동의도의 변화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HBM과 TPB를 이론적 모델로 하여 유아들의 구강건강을 설명하였다는 점에서, 그리고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의 실행과 공중 커뮤니케이션 캠페인 메시지 전략 방향을 수립하고 전개하기 위한 지침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론적 및 실무적 함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predictors behavioral intention to preventive oral health among kindergarten children with the health belief model (HBM)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and to compare the models` predictive power and fit to the data. The post-test data (471 kindergarten children) collected from the kindergarten-based oral health intervention was analyzed for the stud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echniques were used in analysis of the data. Results showed that the TPB model is a better model compared with HBM in terms of model parsimony, even though both model showed a good fit to the data. Within the TPB model, attitudes and subjective norm had a positive relationship to behavioral intention for preventive oral health.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for oral health intervention are discussed.

      • KCI등재

        승마 스포츠 상품 개발과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 : 컨조인트 분석을 중심으로

        손영곤(Young Kon Sohn),김운한(Woon Han Kim),김현정(Hyun Jeong Kim) 한국광고PR실학회 2021 광고PR실학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승마 스포츠 커뮤니케이션 전략 수립에 기여하기 위해 승마 상품 선택 속성을 도출하여 타깃이 선호하는 최적의 승마상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승마 타깃층, 승마 혜택, 이용장소, 이용가격 등 승마 선택 속성을 이용한 컨조인트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들은 승마대상, 승마유형 등 승마상품을 구성하는 주요 속성 중 가격을 가장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승마대상의 부분가치는 여자, 남자, 어린이/청소년 순으로 높았다. 셋째, 승마 이용 장소에 대한 중요도는 상대적으로 높지 않은 편이었다. 넷째, 승마유형으로는 건강형 승마, 체험형 승마, 교육형 승마, 관광형 승마 순으로 가치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자, 건강형 승마, 공공장소를 활용한 승마, 3만원대 가격 요소를 포함한 승마 상품을 설계하고, 승마 활성화를 위한 기업 커뮤니케이션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tract the optimal selection attributes for composing horseback riding products, focused on the product aspect as a marketing strategy plan for the activation of horseback riding. Four value factors are used for conjoint analysis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horseback riding options such as target audience, horseback riding benefits, use places, and prices. The results of conjoint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value price among the attributes of horseback riding was found most highly perceived Second, the partial value of horseback riding type was higher in women than in men or children. Third, the importance of horseback riding places was perceived relatively low. Fourth, the value of horseback riding type was highly recognized in the order of health, experience, education, and tourism. Based on the results, the most appropriate products are proposed with some long-term activating plans.

      • KCI등재

        메타분석에 의한 국내 유명인 모델의 광고효과 연구 현황 및 개관

        손영곤(Young Kon Sohn) 한국광고홍보학회 2014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6 No.2

        본 연구는 유명인 광고모델의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들을 조사하여 그 결과들을 분류, 정리함으로써 그간 나타난 연구 흐름을 파악하는 한편, 개별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한 메타분석을 통해 축적된 연구결과들을 체계화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체계적 수집과정을 거쳐 77편의 논문에서 582개의 효과크기를 찾을 수 있었으며 연구에 포함된 총 표본크기는 23,515명이다. 유명인 광고모델의 광고효과는 .29로 나타났는데, 이는 일반인 모델에 비해 12.6% 정도 높은 효과를 보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전문가 모델의 경우 비전문가 모델에 비해 광고효과가 9.5%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유형에 따른 광고효과에서 두드러진 사실은 유명인 모델은 소비자들에게 호의적인 태도를 형성시키는 데는 크게 작용하고 있었으며, 전문가 모델은 광고나 브랜드를 알리는데 거의 효과가 없었다. 유명인 광고모델의 광고효과는 소비자들의 관여수준이나 제품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유명인 모델은 고관여 상황보다 저관여 상황에서 효과크기가 더 크게 나타났다. 반면 전문가 모델은 반대로 저관여보다 고관여 상황일 때 효과가 더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기서도 볼 수 있듯이 광고모델의 선정은 제품이나 브랜드가 처한 환경을 고려하여 선정되어야 함을 읽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First, this study examined, categorized and organized the research results about the effect of the celebrity endorsements in advertisements, so that tried to find out the research trends of this field which has been studied variously for a long time. This study explored all articles about the celebrity advertisement published nationally for the last 30 years, to investigate and integrate the effects of the celebrity endorsement in advertisements using meta-analysis. The results of collections were as follows: 77 articles and 582 effect sizes were came out. The effects of celebrity advertisements presented .29. This means that the effects of celebrity endorsement in advertisements are 12.6% higher than the effects of ordinary endorsement in advertisements. And the effects of expert endorsement in advertisements are 9.5% higher than in inexpert endorsement cases. The result means that celebrity endorsement in advertisements can increase the favorable attitude of the products, but the expert endorsement in advertisements has no effect for the informing the brand. The effects of celebrity endorsement in advertisements are presented differently as to the types of the products and the levels of the involvements. Also, high involvement situation in the celebrity endorsement in advertisements is higher than low involvement situation. After all, the result is showing that the choice of some models in advertisement should be considered by the situation of the brand and products.

      • KCI등재

        부정적 기사 내용, 소비자 조절초점 성향, 메시지 소구 방향의 조절초점 (불)일치성이 광고맥락효과에 미치는 영향

        손영곤(Sohn, Youngkon),문관식(Mun, Kwansik),정윤재(Jung, Yoonjae),신일기(Shin, Ilgi) 한국광고홍보학회 2021 광고연구 Vol.- No.129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친환경 자동차 개발과 더불어 탄소배출을 최소화도록 하는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다. 완성차 제조사들은 환경문제와 연비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기술 투자에 막대한 재정적 투입을 늘리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듯 소비자들의 자동차 선택과정에서 환경보호 정도를 중요한 구매결정요인으로 고려하고 있다. 자동차 제조사들의 광고마케팅 전략 방향 또한 환경과 연비를 강조하는 경향이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미쓰비시와 폭스바겐과 같은 유명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들의 조작사건은 해당 기업뿐만 아니라 자동차 산업 전반에 걸쳐 소비자들의 신뢰는 깨지게 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을 통해, 본 연구는 동종업계 기업 관련 부정적 뉴스를 통한 소비자의 부정적 경험이 소비자의 조절초점성향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형성되고 이에 따른 경쟁사의 광고메시지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을 어떻게 다르게 하는지 이론적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조절초점이론과 점화효과이론을 바탕으로 삼원요인실험을 설계하였다. 분석결과, 미쓰비시 연비조작사건기사에 노출된 촉진성향 소비자는 예방성향 소비자보다 광고 제품에 대한 부정적 태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부정적 기사 내용 유형, 소비의 조절초점성향, 그리고 광고메시지 유형 의 조절초점 일치 여부에 따라 촉진성향 소비자와 예방성향 소비자의 제품태도 및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Environmental pollutions have made consumers more interested in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and motivated consumers to purchase them. Accordingly, global vehicle manufacturers have invested in developing technologies for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like hybrid cars and planned a variety of advertising campaigns to emphasize their technologies and vehicles. In this regard, Volkswagen and Mitsubishi scandals inspired us to ask how negative publicity makes consumers feel regulatory fit violation and how the primed experiences cause consumers to react to advertisements for hybrid vehicles launched by other companies. In order to theoretically answer these questions, the current study employs regulatory focus and priming theories and conducts a three-way design: 2(Mitsubishi fuel economy scandal vs. a Volkswagen emission scandal) × 2(Promotion-oriented focus vs. Prevention-oriented focus) × 2(Fuel economy improvement message vs. Emission reduction message). As a result, promotion-oriented participants" attitude toward vehicle manufacturers is more negative than prevention-oriented participants" when they are exposed to Mitsubishi fuel economy scandal. Furthermore, we find that the differences of attitude toward products and purchase intention between promotion-orientation and prevention-oriented participants depend on whether or not they experience regulatory fit violation between the contexts of scandals and the types of advertising messages.

      • KCI등재

        자궁경부암 조기 검진 캠페인의 설득 효과에 관한 연구

        손영곤(Young Kon Sohn),이진우(Jin Woo Lee),장지영(Ji Young Jang) 한국광고홍보학회 2011 광고연구 Vol.0 No.90

        본 논문은 자궁경부암 조기검진 캠페인에 영향을 미치는 낙관적 편견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자궁경부암은 다른 암과는 달리 조기검진과 치료를 하면 예방과 완치가 가능한 질병이다. 그러나 젊은 여성들의 경우 자궁경부암에 대한 인식부족 및 조기검진 회피 등으로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자궁경부암에 대한 낙관적 편견 및 자아존중감, 통제 가능성, 관여도, 지식, 위험인식, 예방태도, 예방 행동의향 등이 낙관적 편견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받는 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분석결과 국내 여대생의 경우 자궁경부암에 대한 낙관적 편견이 존재하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자아존중감, 통제가능성, 관여도, 지식이 높을수록 낙관적 편견이 낮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낙관적 편견은 자아존중감과 태도, 지식과 태도, 지식과 행동의향 간에 유의한 매개 변수로 작용하고 있었다. The study attempts to find out effects of optimistic bias on early medical check-up of cervical cancer campaign. Unlike other cancers, cervical cancer is curable disease if early medical check-up and treatment have been done. However, young females are not well aware of cervical cancer and shun early medical check-up. As a result, outbreak rate of cervical cancer has been increased.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optimistic bias on cervical cancer and self-efficacy, controllability, involvement, risk perception, preventive attitude,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Female college students have been found to have optimistic bias on cervical cancer. As self-efficacy, controllability, and involvement increase, optimistic bias decreases. In addition, optimistic bias has been found to be a significant mediating variable between self-efficacy and preventive attitude, knowledge and attitude, knowledge and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 KCI등재

        성별 및 소비자 이용동기에 따른 바이럴 영상 콘텐츠 이용행동 차이

        손영곤 ( Young-Kon Sohn ),김운한 ( Woon-Han Kim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9 No.3

        최근 유튜브를 중심으로 타깃들의 주목을 끌기 위해 자극적인 내용의 바이럴 영상 콘텐츠가 보편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럴 영상의 자극성이 설득에 미치는 효과 과정에서 맥락효과 요인으로 제품유형 및 이용자의 성별 요인들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콘텐츠 수용도에 대한 자극성의 주 효과를 살펴본 결과, 자극성과 제품유형은 콘텐츠 태도와 콘텐츠 구전의도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자극성과 이용동기는 콘텐츠 태도와 구전의도에 상호작용효과를 보였다. 셋째, 자극성과 개인의 성 차의 상호작용효과에서는 콘텐츠 태도와 구전의도에 대해서도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바이럴 영상 콘텐츠의 자극성이 콘텐츠 태도와 콘텐츠 구전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용동기는 쾌락적 동기가 강할 경우, 이용자가 여성보다 남성일 경우에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perceived provocation of viral video on content attitude, content immersion, and word of mouth intention with modulating effects of product types and users’ gende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ain effects of stimulus on content acceptance, provocation of content and product types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content attitude, content immersion, and content word-of-mouth intention. Second, the interaction effect of provocation of content and product types was significant on content attitude and word-of-mouth intention. Third, perceived provocation and gender showed interaction effects on content attitude and word-of-mouth intention, but not content immersion. The results imply that the provocation of viral video have positive persuasive effects, but the effects are stronger in more hedonic motives and male context.

      • KCI등재

        컨조인트 분석에 의한 포털 플랫폼 신문광고 상품의 최적화 전략

        손영곤(Youngkon Sohn),김병희(Byoung Hee Kim) 한국광고홍보학회 2020 광고연구 Vol.0 No.127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포털 뉴스 페이지의 신문광고 영업을 위한 소비자 유인방안과 영업 전략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포털 이용자들이 포털에서 뉴스를 볼 때 나타나는 광고에 대해 중요하게 평가하는 속성은 무엇이며, 선호도가 가장 높은 최적의 광고상품 조합은 무엇인지 규명했다. 포털 뉴스 이용자들이 인식하는 신문광고의 중요도를 규명하고, 가상의 광고상품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예측했다. 컨조인트 분석을 활용한 본 연구는 광고형태(디스플레이 광고, 동영상 광고, 네이티브 광고), 게재위치(언론사 홈, 기사본문 하단, 기사본문 중간), 소구형태(정보제공, 흥미유발), 제품유형(고관여 이성, 고관여 감성, 저관여 이성, 저관여 감성) 등 4개의 속성과 속성별로 2~4개의 수준을 정하고, SPSS의 직교설계를 이용한 부분 요인설계를 통해 20개의 광고상품 조합을 추출했다. 컨조인트 분석 결과, 속성 중에서 제품유형이 인터넷 포털 광고에 주목하게 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이 광고형태, 게재위치의 순이었으며, 소구형태에 대해서는 고려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new alternatives in terms of consumer engagement and business strategy for newspaper advertisement within the portal platform newspaper sec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ritical factors(attributes) of advertisement on online portal newspaper section that influence on the perceived evaluation towards the advertisement, and proposed the optimal combination of online-advertisement based on consumers’ level of preference. The study analyzed the perception of online portal news users towards newspaper advertisement, and its future market share by conducting simulations on mock advertisement products. Applying conjoint analysis, this study focused on sorting out the newspaper advertisement into four types; advertisement type(display ad, video ad, and native ad), placement(on the main page of the press, at the bottom of article text, and in the middle of article text), appeal type(information suggestion, and interest arousing), product type(high involvement rational/emotional, and low involvement rational/emotional). For the data analysis, twenty advertisement product combinations were selected based on two to four levels for four attributes by conducting fractional factorial design using SPSS. As a result of conjoint analysis, the product type among the four attributes was found to be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 paying attention to internet portal advertisements, followed by advertisement type, placement, and appeal type.

      • KCI등재

        데이터 마이닝을 이용한 스마트폰 이용행동 예측 모형에 관한 연구

        손영곤(Young Kon Sohn),주시각(Shi Gak Choo),이진우(Jin Woo Lee) 한국광고홍보학회 2012 광고연구 Vol.0 No.95

        모바일 혁명으로 일컬어지는 스마트폰과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들이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편의성 등 정보기술수용모형에 기초하여 스마트폰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는 데 그치고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여기에 한 걸음 더 나아가 스마트폰 이용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측정 변수를 요약, 축소하여 가장 영향력이 높은 설명 변수를 추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500명을 대상으로 선행 연구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12개 변수의 설명량을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의사결정나무분석에서 도출한 6개의 변수(지각된 유희성, 적합성,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편의성, 사회적 영향/압력, 자기효능감)에 대한 신경망 분석을 통해 개별 측정 모형의 예측력을 검증하였다. 이를 토대로 스마트폰 이용행동과 예측 모형에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Most of the studies related to smartphone, which is referred as the mobile revolution, are examined to show the factors of smartphone usage based on TAM(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smartphone use behavior and to develop the most powerful explanatory variable among them. In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the twelve candidates for determining factors are investigated through the Data Mining Answer Tree program with 500 samples. In the other part of this study, six determinants derived from decision tree model-perceived playfulness, compatibility,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to use, social influence and pressure, self-efficacy - are compared through the Data Mining Clementine program. And then those result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terms of smartphone use behavior and prediction model.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옥외광고물 활성화 제도(자율관리구역 및 한시적 자유표시구역)에 대한 전문가 인식 연구: 개별심층면접을 중심으로

        손영곤 ( Sohn Youngkon ),신일기 ( Shin Ilgi ),김희정 ( Kim Heejung ),김기민 ( Kim Kimin ) 단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1 No.2

        옥외광고물법의 개정에 따라 국내 옥외광고 환경은 상당한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옥외광고 전문가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현재 자율관리구역과 한시적 자유표시구역 제도를 둘러싼 전반적인 인식과 이슈를 고찰하고 향후 연착륙을 위한 지역 선정 및 그 운영방향을 위한 실질적이고 전문적인 제언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에서 진행하였다. 조사결과, 자율관리구역과 한시적 자유표시구역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서는 충분히 인식하고 있지만, 실무 단위의 제도적 이해와 관리에 대한 구체적인 전략은 아직까지 미흡한 것으로 보인다. 자율관리구역이 정착되기 위해서는 지역주민사회를 포함한 이해관계자들의 사전 충분한 공감대 형성과 의견 조율이 전제되어야 하며, 한시적 자유표시구역은 해당 지자체의 기획력, 유동인구 유입으로 대표되는 공간적 특성, 기업 유치를 통한 사업성, 랜드마크화 등 문화적 특성을 두루 반영하고 있어야 한다는 전문가의 의견이다. 향후 옥외광고물 운영과 관련해서도 자율관리구역은 도시형태별로 상이한 기준과 광고 가이드라인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한시적 자유표시구역은 안정성, 철거 용이성, 원상복구 등의 요건을 갖추고 있다면 광고형태나 규격 등에 제한을 두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전문가들은 전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자율관리구역과 한시적 자유표시구역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였다. With the amendment of the outdoor advertising law, outdoor advertising industries are facing enormous and various environmental changes.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outdoor advertising experts,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verall perception and issues surrounding the autonomous management district and the temporary free outdoor advertising district. Advertising experts recognize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autonomous management zones and temporary free outdoor advertising zones. And they also agree that specific strategies for institutional understanding and management of working units are still lacking. To settle the autonomous management district, it is necessary to form a consensus of the stake-holders including the local residents, public officer, and advisory consultant. The temporary free outdoor advertising district is composed of planning ability of the local government and spatial characteristic represented by flowing population. Advertising experts express the core factors for settlement of temporary free outdoor advertising district reflect regional, econom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Based on advertising experts opinion, the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in outdoor advertising district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