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체 대장암 세포주 SW480에서 docosahexaenoic acid에 의한 침윤억제 기전

        Soyeon Shin(신소연),Yong-Jo Kim(김용조),Kyoung-Sub Song(송경섭),Kaipeng Jing,Nayeong Kim(김나영),Soyeon Jeong(정소연),Ji-Hoon Park(박지훈),Kang-Sik Seo(서강식),Jun-Young Heo(허준영),Hyun-Joo Kwon(권현주),Jong-Il Park(박종일),Seung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4

        대장암은 미국 등 서양 국가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2번째로 많이 발병이 되는 암으로 알려져 있다. 역학조사에 의하면 ω3-PUFAs를 많이 섭취한 인종에서 대장암 발생빈도가 감소하고 최근 ω3-PUFAs는 수종의 암에 대해 항암작용을 나타낸다고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장암에서 DHA 등 ω3-PUFA의 항침윤 기전을 규명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DHA 및 EPA는 대장암 세포주 SW480의 증식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나 AA는 거의 영향이 없었으며 TUNEL assay로 apoptotic cell death가 확인 되었다. DHA는 β-catenin 단백 및 TCF/LEF luciferase 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 하였다. SW480 세포의 침윤능은 DHA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DHA처리 후 MMP-9 및 MMP-2 mRNA양이 감소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 promoter의 reporter 활성도 억제되었다. NF-kB 및 p-IkB 단백짙양도 DHA의 처리농도에 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NF-kB promoter의 활성도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ω3-PUFA는 대장암에서 NF-kB 신호전달 차단에 의한 MMP-2 및 MMP-9 발현을 억제하여 침윤을 억제하여 항암작용을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하며, 따라서 ω3-PUFA는 대장암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Colon cancer is one of the most common malignancies in the western world and the second leading cause of cancer death in Korea. Epidemiology studies have shown a reduced incidence of colon cancer among populations consuming a large quantity of ω3-polyunsaturated fatty acids (ω3-PUFA) of marine origin. Recently, it has been found that ω3-PUFA has an antineoplastic effect in several cancer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the anti-invasive effect of ω3-PUFA in colon cancer. ω3-PUFA, docosahexaenoic acids (DHA) and eicosapentaenoic acid (EPA) treatment resulted in a dose-dependent inhibition of cell growth in SW480 human colon cancer cells. In contrast, arachidonic acid (AA), a ω6-PUFA, exhibited no significant effect. This action likely involves apoptosis, given that DHA treatment increased apoptotic cells in TUNEL assay. Moreover, invasiveness of SW480 cells was inhibited following treatment of DHA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contrast, AA had no effect. The levels of MMP-9 and MMP-2 mRNA decreased after DHA pretreatment. MMP-9 and MMP-2 promoter activities were also inhibited by DHA treatment. The levels of NF-kB and p-IkB protein were down-regulated by DHA pretreatment in a dose dependent manner. In addition, DHA inhibited NF-kB promoter reporter activiti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ω3-PUFA may inhibit cancer cell invasion by inhibition of MMPs via reduction of NF-kB in colon cancer. In conclusion, ω3-PUFA could be used for chemoprevention and treatment of human colon cancer.

      • KCI등재

        圓覺寺址 十層石塔의 西遊記 浮周 硏究

        신소연(Shin Soyeon) 한국미술사학회 2006 美術史學硏究 Vol.- No.249

        1348년에 건립된 敬天寺 十層石塔과 1467년 건립된 圓覺寺址 十層石塔은 다층다각의 석탑으로 각층마다 다양한 도상을 갖춘 독특한 형태의 대리석 석탑이다. 참배자의 눈에 잘 띄는 기단부 중대면석 전체와 상대면석의 두 장변에는 소설 『西遊記』의 내용이 부조로 남아 있다. 현장은 인도에서 수많은 경전을 가져왔으며 譯經작업을 통해 중국의 불교 발전에 크게 기여한 역사적인 인물로, 업적과 명성이 널리 알려지면서 그의 求法行 역시 전설화되었다, 가장 잘 알려진 예가 바로 明代 吳承恩의 『西遊記』이다. 경천사 석탑의 건립연대를 통해 석탑의 서유기 부조의 내용 전개는 元代 『서유기』에 근거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경천사 석탑의 서유기 부조는 10여 장면만이 남아 있으며 석탑 전체가 해체ㆍ복원되어 보고서 간행 작업중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경천사 석탑과 도상이 동일하며 22장면이 모두 잘 남아 있는 원각사지 석탑의 부조를 중심으로 서유기 부조를 살펴보았다. 현존하는 원대 『서유기』는 잔편만이 남아 있으나, 고려시대 중국어 회화 교본인 『朴通事』를 언해한 『朴通事諺解』에는 원대 『서유기』의 항목과 내용이 잘 남아 있다. 이를 명대 『서유기』의 내용과 비교하면 『서유기』의 기본적 내용과 구성이 이미 원대에 확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석탑 부조의 내용은 唐을 출발하여 靈鷲大會에 도착하기까지 현장이 겪는 다양한 사건을 묘사하였다. 부조에는 출발의 계기가 된 당 태종의 無遮大會와 송별 장면이 있으며, 현장의 제자들이 등장하고, 火焰山이나 車遲國 일화처럼 현장이 겪은 모험담과 경전을 얻어 돌아와 證果를 얻는 장면이 나열되어 있다. 각 부재의 내용은 명확하지만 그 배치 순서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배열로 보기 어렵다. 부조면의 길이가 긴 동서남북의 정중앙에 위치한 부재들만을 별도로 본다면 시계반대 방향으로 내용이 전개되는 반면, 나머지 다른 부재들의 장면만을 놓고 볼 때는 시계방향으로 진행되어 내용 전개 방향이 일치하지 않는다. 이러한 두 가지 상반된 전개 방향은 남측 남면의 귀환 장면과 북측 북면의 출발 장면을 혼동한 결과로 보인다. 만약 북측 북면과 남측 남면 장면을 바꾼다면 동측부터 탑돌이 방향인 시계방향으로 ‘출발’, ‘모험’, ‘취경’, ‘귀환’이라는 이야기가 전개된다. 이러한 중앙 면석 중심의 전개 방식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순차적인 배치라기보다는 효과적인 이야기 전달을 위한 것으로 보인다. 서유기 부조의 조형적 특징을 살펴보면 경천사 석탑의 부조는 입체적인 데 비해 원각사지 석탑은 평면적이다. 또한, 경천사 석탑은 꼼꼼한 세부 묘사가 특징인 반면, 원각사지 석탑의 부조는 동일한 도상임에도 생략되거나 불분명한 경우가 있다. 이는 원각사지 석탑이 경천사 석탑을 모방하여 만들었으나, 제작 당시 도상에 대한 이해는 낮았음을 알려준다. 서유기 부조는 여러 장면에 걸쳐 내용을 표현한 것으로 후대 『서유기』에 수록된 판화의 형식과 매우 유사하다. 경천사 석탑과 원각사지 석탑의 서유기 부조를 통해 명대 통속소설인 『서유기』 판화의 원형이 원대에 성립되었음을 확인해볼 수 있다. 서유기 부조는 스투파에 새겨진 불전이나 본생담과 같은 서사 부조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 통속소설로 알려진 『서유기』의 내용이 석탑의 기단부에 부조된 이유는 『서유기』의 내용이 참배자에게 공덕을 쌓아 깨달음을 얻은 현장과 그의 제자들의 이야기를 통해 證果라는 종교적 메시지를 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현장이 증과를 얻는 장변은 상대면석의 나한상 중에 위치해 있다. 송대 이후 현장을 나한 중의 한 명으로 인식하기도 하는데, 서유기 부조 역시 이러한 전통이 이어진 결과로 보인다. 조선시대 왕실이나 궁궐 건축의 지붕 위에 있는 잡상의 명칭이 『서유기』의 주인공인 현장 일행의 이름과 일치한다는 점에서 『서유기』 등장인물이 지니는 벽사적인 상징적 의미가 석탑의 부조에 반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This paper attempts to make a close examination of the Xiyouji reliefs calved on the ten-story pagoda at the Wongak Monastery and define its significance and function. Xuanzang (玄?), one of the most well-known Chinese monks. made pilgrimage to India between AD. 629 to 645. On his return, he brought massive volumes of Buddhist scriptures and devoted the rest of his life in translating the texts. Xuanzang's successful nip and remarkable accomplishment in Buddhist studies led to the mystification of the monk himself and his religious journey. Xiyouji (西遊記) or Journey to the West, a novel written by Wu Chengen (吳承恩), is the most widely known story of Xuanzang wth his four disciples. In the story. Xuanzang travels toward the Leiyin Monastery (雷音寺) in Mt. Vulture (靈鷲山) to obtain Buddhist scriptures for the people in me East. The ten-story pagoda at the Gyeongcheon Monastery (敬天寺), built in 1348. is significant as to the formation of Xiyouji and its pictorial translation in the Yuan dynasty. The form and decoration of this marble pagoda was repeated in the pagoda built at the Wongak Monastery (圓覺寺) in 1467 by order of King Sejo (世祖, r. 1417-1468). On each monument Xiyouji story is represented in 22 scenes in relief sculpture. Twenty scenes are located in the middle parts and two scenes are in the upper parts of the foundations. Except for some stylistic differences. the depictions on the two marble pagodas are almost identical. As the pagoda of Gyeongcheon Monastery were seriously damaged. changes have occurred in the appearance of the pagoda and the arrangement of the stone pieces. On the contrary, the pagoda of the Wongak Monastery maintains its original form. Hence, this paper focuses on Xiyouji reliefs on the pagoda at the Wongak Monastery. When collaborating with several versions of Xiyouji, the episodes of Xiyouji reliefs on the pagoda are similar to the contents in Paktongsa eonbae (朴通事諺解), which records the storyline and several episodes of Yuan version of Xiyouji. This identification is significant since it suggests that the relief sculptures on the Wongak Monastery pagoda can be related to the prototype of Wu Chengen's Xiyouji in the Ming dynasty. Moreover, the selected scenes and compositions in the relief sculptures also appear similar to the woodblock print of the novel of the Ming Compared with the relief on the pagoda of Gyeongcheon Monastery, the relief on the pagoda at Wongak Monastery is bas-relief and it lacks three-dimensional effect and fineness of detail. While the story of each relief scene is easily identifiable, the order of the scenes reveal some discrepancies, being inconsistent with the general order of the depiction from departure. adventures, obtainment of scriptures and return. Based on the size and placement of each relief piece, it seems that the relief of the departure' scene in the north and that of return in the south have changed. When these two pieces are replaced by one another the sequence of the story becomes clear starting from the east side and ending in the north. This arrangement also accords with the directions in the traditional way of viewing scroll paintings and the circumambulation of the pagoda. The inclusion of the popular literature Xiyouji in the sacred construction of pagoda can be justified by the pious nature of the story in which Xuanzang pursues enlightenment with great determination and effort When walking around the pagoda, worshipers would have seen the story of Xuanzang making virtuous deeds and learn important teachings of Buddhism. The scene of Xuanzang's enlightenment is located among the scenes of Luohans in the upper part of the foundation. Considering that Xuanzang was considered as one of Luohans since Song dynasty. the effectiveness of Xuanzang relief on this pagoda is comparable to those on Fan pagoda in Kaifeng. Besides being exemplary Buddhist practitioners, Xuanzang and his four disciples also functioned as powerful guardians. Con

      • KCI등재

        서사무가적 측면에서 본 〈신중타령〉연구

        신소연(Shin Soyeon) 한국무속학회 2021 한국무속학 Vol.- No.43

        이 글은 동해안굿에서 불리는 무가 〈신중타령〉을 소개하고자 마련되었다. 〈신중타령〉이란 ‘신중’ 또는 ‘신중애기’라 불리는 여성신의 내력을 설명하는 본풀이로서 민중의 여성이 겪는 고통과 청춘과부의 애달픈 일생을 노래한다는 특징을 지닌 구비서사시이다. 이 서사시는 천애의 고아로 힘들게 자란 여성이 혼인하여 청춘에 과부가 되었으며, 시집살이의 설움을 견디지 못하고 마침내 중이 된다는 내용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와 같은 유형의 서사는 전국적인 분포를 보이는 일반적 보편서사로, 보통 서사민요로 전승되는 것이 예사이다. 그런데 동해안 지역에서는 이것이 특별하게 서사민요는 물론 서사무가로도 불리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신중타령〉은 서사무가와 서사민요 사이에 심각한 갈래적 혼란을 야기하는 자료이다. 〈신중타령〉에서 발견되는 무가와 민요의 교섭 양상은 종래의 무가가 민요화 되었다고 보는 보편적인 관점과는 구분된다. 여기서는 신성한 인물의 세속화나 흥미 위주, 골계적 요소 등의 문제가 대두되지 않으며, 일상적 인물의 비극적 삶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신중타령〉의 주인공은 신성(神聖)한 인물이 아닌 비극적 삶을 영위한 민중의 일반 여성이며, 신령으로 위하고 모시는 것이 아니라 어르고 달래줘야 하는 위무의 성격에 가까운 신격인 점이 드러난다. 그렇기에 이 무가는 신령서사시나 영웅서사시가 아닌 범인의 내력을 보여주는 범인서사시라는 점에서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신중타령〉을 서사무가로 볼 수 있는가?’하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러한 논쟁에도 〈신중타령〉을 서사무가로 봐야 하는 연유는 이 무가가 갖는 서사적 · 의례적 기능에 있음이 확인되었다. 신중은 상위신격이 아닌 하위신격에 머무르는 신격이다. 하위신격이기 때문에 신직을 부여받는 특별한 서사적 결말이 존재하지 않으며, 의례적으로도 독자적인 굿거리를 배당 받지 못한 점이 드러난다. 그럼에도 〈신중타령〉과 같은 신격의 의례가 본풀이로 구현되는 것은 무속서사시의 새로운 전환이라는 관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 무가는 본래는 여성이 전유했던 여성 서사시였으나, 조선후기 무속에 편입하게 되면서 무속서사시로서 공감과 치유의 기능을 담당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The study was arranged to introduce a 〈Sinjung-Taryeong〉 Shamanic Songs called in the Donghaeangut. ‘Sinjung-Taryeong’ is a story about the history of the female god, called ‘Sinjung’ and is a poem that features the sad life of a widow and suffering of women the people. The epic tells the story of a woman who grew up as an orphan married and became a widow, unable to endure the pain of living with her in-laws and eventually became a monk. This type of epic is a universal narrative type with a nationwide distribution. It is usually handed down to epic folk songs. But the East Sea Coast regions, This narrative type is passed down not only to epic folk songs but also to shamanic epics. 〈Sinjung-Taryeong〉is a source of serious confusion between Shamanic Epic and epic folk songs. The negotiation aspect of Shamanic Epic and folk songs is distinct from the universal view that traditional Shamanic Epichas become. Here, the tragic life of everyday characters is emphasized. The main character of 〈Sinjung-Taryeong〉 is not a sacred figure but a woman in the general public who lived a tragic life. He is not sacred but close to a divinity that needs to be comforted. This Shamanic Epic is not a divinity story or a hero epic. It is particularly meaningful in that it is an epic story that shows the criminal’s. Is 〈Sinjung-Taryeong〉 a shamanic epic? The reason why you should view 〈Sinjung-Taryeong〉as a shamanic epic is because of its epic and ceremonial functions. Shinjung is not a high divinity but a lower divinity. There is no particular narrative ending that is granted a new position because it is a lower divinity. Ritualistically, it was not allocated its own the tune of gut. Nevertheless, it is important in terms of the new transition of shamanistic epic that the ritual of deity such as 〈Sinjung-Taryeong〉 is embodied in bonpury. This shamanic epic would have originally been a female epic. However, when that was incorporated into shaman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at would have been in charge of empathy and healing as a Shamanic Epic.

      • KCI등재

        오메가-3 지방산에 의한 COX-2/MMPs/VEGF 억제에 따른 대장암세포의 종양 형성 및 침윤 억제

        신소연(Soyeon Shin),김용조(Yong-Jo Kim),한승현(Seung-Hyeon Han),프라산타(Prashanta Silwal),허준영(Jun-Young Heo),전영주(Young-Joo Jeon),박승길(Seung-Kiel Park),권기량(Gi-Ryang Kweon),박종일(Jong-Il Park),임규(Kyu Lim) 한국생명과학회 2017 생명과학회지 Vol.27 No.9

        대장암은 미국 등 서양 국가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2번째로 많이 발병이 되는 암으로 알려져 있다. 역학조사에 의하면 오메가-3를 많이 섭취한 인종에서 대장암 발생빈도가 감소하고 최근 오메가-3는 수종의 암에 대해 항암작용을 나타낸다고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장암에서 DHA의 항침윤, 항혈관 신생 및 항종양 형성능 억제의 기전을 규명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DHA는 인체 대장암 세포주 HT29 의 증식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나 AA는 거의 영향이 없었다. FACS 분석에서 DHA 처리했을 때 Sub G1 phase의 세포가 DHA의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 하였다. DHA 처리 후 cleaved PARP가 증가하고, uncelaved caspase-3가 감소 하였다. HT29 세포의 침윤능은 DHA 처리에 의해 억제 되었다. DHA 처리 후 MMP-9 및 MMP-2 mRNA양이 감소 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 promoter의 reporter 활성도 억제하였으며 VEGF promoter 활성도 DHA에 의해 억제 되었다. NF-kB promoter 활성 및 핵으로의 이동도 DHA에 의해 억제 되었다. In vivo 동물실험에서 생쥐 대장암 세포주인 MCA38에 대한 Fat-1 transgenic mice에서의 종양 형성능은 현저히 억제 되었다. 면역형광염색법을 이용한 Fat-1 transgenic mice의 종양 조직에서의 TUNEL 양성세포는 wild type mice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으나 CD31의 형광강도는 감소 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오메가-3는 대장암 세포에서 NF-kB 억제에 따른 COX-2, MMP-2 및 MMP-9 등 matrix matalloproteinase의 억제를 통한 침윤능의 억제, VEGF 억제를 통한 혈관신생의 억제등 복합적 기전에 의해 항암작용을 나타내리라 생각되며, 따라서 오메가-3는 대장암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Epidemiology studies have reported a reduced incidence of colon cancer among populations that consume a large quantity of ω3-polyunsaturated fatty acids (ω3-PUFAs) of marine origin. Herein, we demonstrated a mechanism of anticancer action of ω3-PUFAs, showing that they suppressed invasion and tumorigenicity in colon cancer cells. Docosahexaenoic acids (DHA) inhibited the cell growth of HT29 cells. This action likely involved apoptosis, given that the DHA treatment increased the cleaved form of PARP and sub G1 cells. Moreover, the invasiveness of HT29 cells was inhibited following DHA treatment, whereas arachidonic acid (AA) had no effect. The levels of Matrix-metalloproteinase-9(MMP-9) and MMP-2 mRNA decreased after DHA pretreatment. DHA treatment inhibited MMP-9 and MMP-2 promoter activities and reduced VEGF promoter activity. DHA pretreatment also inhibited the activities of prostaglandin-2 (PGE2)-induced MMPs and the VEGF promoter. Cyclooxygenase-2(COX-2) overexpression increased the activity of MMPs and that of the Vascular endotherial growth factor (VEGF) promoter in HT29 cells, and DHA inhibited NF-kB and COX-2 promoter reporter activities. As shown by in vivo experiments, when mouse colon cancer cells (MCA38) were implanted into Fat-1 and wild-type mice, both the tumoral size and volume were dramatically inhibited in Fat-1 transgenic mice. Furthermore, TUNEL-positive cells increased in tumors from Fat-1 mice compared with wild mice. In immunohistochemistry, the intensity of CD31 in Fat-1 tumors was weak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ω3-PUFAs may inhibit tumorigenicity and angiogenesis as well as cancer cell invasion by suppression of COX-2, MMPs and VEGF via the reduction of NF-kB in colon cancer.

      • KCI등재

        일제강점기 경기 개성 지역 석조문화재 보존사업

        申紹然(Shin Soyeon) 미술사연구회 2021 미술사연구 Vol.- No.40

        This paper examines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and systems of Japanese conservation projects for stone pagodas in Gaeseong, North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by focusing on the official documents and gelatin dry plates housed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 Japanese survey project on historic remains in Korea was undertaken as a practical investigation attempting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then-present condition of historic remains in the early colonial period. It led to the smuggling into Japan of a number of stone cultural properties, including the Stone Pagoda from the Gyeongcheonsa Temple site, or their exhibition at expositions or museums. Conservation projects for historic remains were carried out in a systematic manner after the Regulations on the Conservation of Historic Remains and Relics were enforced in 1916. The Stone Pagoda from Gyeongcheonsa Temple site was returned to Korea. However, the return of the Gyeongcheonsa Stone Pagoda was conceived as reinstituting an asset of colonial Joseon and displaying it at a museum rather than as a repatriation of cultural heritage. In 1918,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brought back to Korea numerous fragments and elements of the Gyeongcheonsa Stone Pagoda from the Tokyo Imperial Household Museum (present-day Tokyo National Museum) and attempted to facilitate the restoration of the pagoda within the precincts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Museum. It also attempted to place the restored pagoda in front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Museum as a trophy of the Japanese Empire. Due to technical difficulties, however,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failed to complete this restoration. The division of roles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offices was clarified in the mid-1920s. Accordingly, conservation projects for historic remains became gradually more systemized and detailed procedures were emplaced. After a provincial governor or county magistrate surveyed damaged cultural properties and reported them to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t was required to pay the costs for repairs. When it was necessary to relocate an important cultural propert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dispatched an on-site survey committee to undertake the project. As a case in point, the Stone Pagoda from the Heungguksa Temple site demonstrates the procedures for a conservation project. During its survey on historic remains,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discovered a need for conservation of the pagoda and relocated the pagoda from a private estate to the Gaeseong City Museum. Conservation documents created in and after the 1930s contained the contents of a report, details and costs of conservation, specifications, designs, floor plans, and photographs.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shared such detailed information with local government offices while the conservation work was in progress. The Seven-story Stone Pagoda disassembled and damaged in 1937 at the Hyeonhwasa Temple site is a classic example that shows the full process of a conservation project carried out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and Gyeonggi-do Province. The conservation projects for stone pagodas in Gaeseo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produced fruitful outcomes by maintaining designated cultural assets and preparing measures for responding to the risk of damage. On the other hand, these projects allowed stone cultural properties to be relocated or scattered under the pretense of conservation.

      • 힐링이 필요한 사람들을 위한 3D 어드벤처 촬영 게임

        신소연(Soyeon Shin),주희선(Heesun Joo),최연호(Yeonho Choi),최종인(Jongin Choi),박수이(Su-E Park)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 한국정보통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26 No.1

        현재 COVID-19 장기화로 인한 스트레스성 질병이 증가하고 있어 코로나 블루가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인 배경은 직장생활 좌절, 기존 생활 리듬 변화, 경제적 원천 차단 등으로 인한 부정적인 정서를 유발하며 현시대를 힐링이 필요한 시대로 이해하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환상적 공간을 모험하고, 사진 촬영을 통해 추억과 경험을 저장하는 3D 기반 어드벤처 촬영 게임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로 힐링의 중요한 요소들을 탐색하고, 이를 기반으로 3ds Max, Unity를 활용하여 게임을 구현하였다. 연구 결과, 힐링을 위한 귀엽고 포근한 시각적 요소와 감성적으로 다가가는 스토리, 공간의 의미를 담아주는 촬영 기능을 적용한 게임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는 사용자게에 비대면으로 힐링을 줄 수 있는 게임을 제공하며, 서비스 제공자에게는 효과적이고 중요한 힐링 요소를 제시한다. As the number of stress-related diseases increases due to the prolonged Corona 19, Corona Blue is attracting attention. This social background causes negative emotions due to frustration at work, changes in existing life rhythms, and blockade of economic sources, and makes us understand our era as an era in need of heal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3D-based adventure filming game that adventures a fantastic space and stores memories and experiences through photos. For this, important elements of healing were explored through literature study, and based on this, a game using 3ds Max and Unity was implement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game was implemented with a filming function that contains visual elements for cute and warm healing, an emotionally approaching story, and the meaning of space. This study provides a game that can provide non-face-to-face healing to users and presents effective and important healing factors to service providers.

      • KCI등재

        인체 혀의 편평세포암 세포에서 ω3-fatty acid desaturase 유전자 발현이 침윤 및 종양형성에 미치는 영향

        홍태화(Tae-Hwa Hong),신소연(Soyeon Shin),한승현(Seung-Hyeon Han),황병두(Byung-Doo Hwang),임규(Kyu Lim) 한국생명과학회 2018 생명과학회지 Vol.28 No.8

        오메가-3 지방산(오메가-3)은 수종의 암에 대해 종양형성 억제 및 침윤이 억제됨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혀의 편평세포암 세포에서 내인성 오메가-3에 의한 침윤 및 종양형성 억제 대한 연구가 명확하게 보고된 바 없다. 이에 본 연구는 혀의 편평세포암 세포에서 ω3-fatty acid desaturase의 유전자 발현이 침윤 및 종양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먼저 SCC-4 및 SCC-9세포의 침윤능은 오메가-3인 DHA 처리에 의해 억제 됨을 확인 하였다. DHA 처리 후 MMP-9 및 MMP-2 활성이 감소 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 promoter의 reporter 활성도 억제하였다. 또한 COX-2 및 VEGF promoter 활성 뿐만 아니라 NF-kB 활성도 DHA에 의해 억제 되었다. SCC-9의 ω3-desaturase 유전자 stable 세포(fSCC-9sc)의 세포증식 및 colony formation이 억제 되었으며, in vivo 동물실험에서 fSCC-9sc 세포의 종양형성능은 현저히 억제 되었고, 면역형광염색법을 이용한 fSCC-9sc 세포의 종양 조직에서의 TUNEL 양성세포는 대조군인 fSCC-9cc 세포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오메가-3는 인체 혀의 편평세포암 세포의 침윤 뿐만 아니라 종양형성을 억제하여 항암작용을 나타낼 수 있으며 따라서 오메가-3는 인체 혀의 편평암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Omega-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ω3-fatty acid) have been found to possess anticancer properties in a variety of cancer cell lines and animal models, but their effects in human tongue squamous cell carcinomas (SCCs) remain unclear.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 of ω3-fatty acid desaturase (fat-1) gene expression on invasion and tumorigenicity in human tongue SCC cells and the molecular mechanism of its action. Docosahexaenoic acid (DHA) treatment inhibited in vitro invas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zymography,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 and Matrix metallopeptidase-2 (MMP-2) activities were reduced, and MMP-9 and MMP-2 promoter activities were inhibited by the DHA treatment. In addition, cyclooxygenase-2 (COX-2)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promoter reporter activities were inhibited in SCC-4 and SCC-9 cells after the DHA treatmen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high level of endogenous ω3 fatty acids, a stable SCC-9 cell line expressing the ω3-desaturase gene (fSCC-9sc) was generated. The growth rate and colony-forming capacity of fSCC-9sc were remarkably decreased as compared with those of fSCC-9cc. Likewise, the tumor size and volume of fSCC-9sc implanted into nude mice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with increases in the cell death index. Furthermore, a transwell chamber invasion assay showed a reduction in cell invasion of the fSCC-9sc lines when compared with that of the fSCC-9cc line.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fat-1 gene expression inhibited tumorigenicity, as well as invasion in human tongue SCC cells. Thus, utilization of ω3 fatty acids may represent a promising therapeutic approach for chemoprevention and the treatment of human tongue SCCs.

      • 설득적 글쓰기와 정서 표현 글쓰기에 나타난 표현 양상 -강원국·김민식의 저서와 강연 분석을 중심으로-

        권순희 ( Kwon Soonhee ),김여흘 ( Kim Yeoheul ),신소연 ( Shin Soyeon ),안병현 ( Ahn Byeonghyun ),원보람 ( Won Boram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021 先淸語文 Vol.49 No.-

        In order to examine the connection between logical and emotional writing and writing theory, Kang Wonguk’s book ‘President‘s writing’ and Kim Minsik’s book ‘Did you write every morning?’ were selected as the texts to analyze, and ‘Time to change the world, 15 minutes’, ‘How to Write Moving People (Kang Wonguk)’ and ‘Writing that Changes Pain to Pleasure (Kim Minsik)’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are shown in the table below. The above difference comes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discourse between Kang Wonguk and Kim Minsik. Kang Wonguk explains his speeches and talks to persuade others in his writings and lectures. Therefore, Kang Wonguk’s writing focuses on logical writing, and the direction of writing is directed to the outside. Kim Minsik, on the other hand, mentions diaries and personal blog posts and talks about self-reflective and internal discourse. The direction of writing is directed inward, communicating with the self, and in the process of self-healing through writing.

      • KCI등재

        인체 구강암 세포주에서 Docosahexaenoic acid에 의한 세포독성 기전

        홍태화(Tae-hwa Hong),김훈(Hoon Kim),신소연(Soyeon Shin),Kaipeng Jing,정소연(Soyeon Jeong),임현(Hyun Lim),윤동혁(Donghyuk Yun),정기은(Ki-Eun Jeong),이명렬(Myung-Ryul Lee),박종일(Jong-Il Park),권기량(Gi-Ryang Kweon),박승길(Seung Kiel 한국생명과학회 2013 생명과학회지 Vol.23 No.5

        오메가-3 지방산은 많은 암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낸다고 보고 되어 왔으나 구강암에 대한 연구는 전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강암세포에서 오메가-3 지방산 중 DHA의 세포독성 기전을 규명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DHA는 구강암 세포주 SCC-4 및 SCC-9의 증식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며, FACS 분석, TUNEL assay 및 PARP cleavage 등에 의해 자가사멸을 유도함이 확인 되었다. 또한 DHA는 LC-3II 단백증가, GFP-LC-3 dot 형성 및 autophagic flux assay 등에 의해 자가포식도 유도됨이 규명되었다. SCC-9 세포에서 AMPK의 인산화는 DHA 에 의해 증가 하였으나, p-AKT<sup>Thr308</sup>, p-AKT<sup>Ser473</sup> 및 mTOR단백양은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DHA는 구강암세포에서 AMPK 활성증가 및 AKT 억제에 통한 mTOR 신호경로 차단에 따른 자가사멸 및 자가포식에 의해 세포독성을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하며, 따라서 DHA는 구강암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In the United States, about 40,000 new cases of oral cancer are diagnosed each year and nearly 7,800 patients died from it in 2012. Omega-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have been found to have anticancer effects in a variety of cancer cell lines and animal models, but their effect in oral cancer remains unclear.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 of docosahexaenoic acid (DHA, a kind of omega- 3 fatty acid) on oral cancer cells and the molecular mechanism of its action. We found that exposure of squamous cell carcinoma-4 (SCC-4) and squamous cell carcinoma-9 (SCC-9) human oral cancer cells to DHA induced growth inhibition in a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Meanwhile, in addition to the elevated levels of apoptotic markers, such as cleaved PARP, subG1 portion and TUNEL-positive nuclei, DHA led to autophagic vesicle formation and an increase in autophagic flux, indicating the involvement of both apoptosis and autophagy in the inhibitory effects of DHA on oral cancer cells. Further experiments revealed that the apoptosis and autophagy induced by DHA were linked to inhibition of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mTOR) signaling by AKT inhibition and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activation in SCC-9 cells. Toge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DHA induces apoptosis- and autophagy-associated cell death through the AMPK/AKT/mTOR signaling pathway in oral cancer cells. Thus, utilization of omega-3 fatty acids may represent a promising therapeutic approach for chemoprevention and treatment of human oral canc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