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박민수 한국정보통신학회 1998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 No.2
본 연구는 미래 정보화사회에 적합한 정보통신망을 구축하기 위하여 이용자들의 요구, 현재의 정보통신망의 실태, 정보통신 참여기업들의 비젼방향을 분석하여 미래 정보통신망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져 한다. 본 연구는 문헌적 및 설문지 조사방법에 의해 정보통신망의 중장기계획의 필요성 및 정보통신망 구조조정변화를 가져야 하며, 이에 의해 정보통신의 구조개편, 정보통신사업자의 공정경쟁확립, 선진국간 정보통신 협상시 다자간 협상 유도, 정보통신망 분야에 기술적 수준이 우수한 중소기업체의 적극지원 및 각종 세제혜택으로 정보통신망 개발을 촉진시킬수 있도록 유도하므로서 미래 정보통신망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져 한다.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desirable schemes of policy on future telecommunication Network. In the scope and method of this study there must invalve following two items: 1) the first item is about the telecommunication Network System. 2) the second item is about the telecommunication network policy in future. The results of study is as follow: 1) an establishment of middle-long range planning for the telecommunication network 2) an establishment of the organization of society for system telecommunication network.
박민수 한국정보통신학회 200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4 No.1
This paper was studied on developmental direction of telecommunications for disabilities welfare. Method of this study is delphi method. Persons with disabilities is classed as motor disability, visual handicap, hearing impairment, and language and speech disorders. Persons with motor disability is needs as follow, speed recognition technology, video recognition technology, breath capacity recognition technology. Persons with visual handicap is needs as follow, display recognition technology, speed recognition technology, text recognition technology, intelligence conversion handling technology, video recognition - speed synthetic technology. Persons with hearing impairment and language - speech disorders is needs as follow, speed signal handling technology, speed recognition technology, intelligence conversion handling technology, video recognition technology, speed synthetic technology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 first, disabilities telecommunications organization must be constructed. Second,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need of universal service. Third,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need of information education, Fourth, studying for telecommunications in need of support. Fifth, small telecommunications company in need of support. Sixth, software industry in need of new development. Seventh,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need of standard guideline for telecommunications. 본 연구는 장애인이 일반인과 똑같이 정보사회에 적응시키기 위해 장애인복지를 위한 정보통신의 발전방향을 연구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델파이기법을 도입하였으며, 조사방법으로는 문헌적조사방법과 면담조사방법을 병행하여 연구분석의 틀에 의해 분석하였다. 정보통신에 대한 장애인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정보통신 접근의 불편, 보편적 서비스 저하, 장애인의 PC 통신 이용 저조, 장애인복지의 낙후, 정보통신요금의 부담, 정보화교육의 부족, 장애인정보의 부족, 장애인복지 정책결정에 장애인 미참여 등으로 분석되었다. 장애인에 필요한 정보통신기술을 살펴보면, 지체장애인에게는 음성인식기술ㆍ화상인식기술ㆍ호흡압력감지기술, 시각장애인에게는 표시기술ㆍ음성인식기술ㆍ문자인식기술ㆍ지적변환처리기술ㆍ화상인식음성합성기술, 청각ㆍ언어장애인에게는 음성신호처리기술ㆍ음성인식기술ㆍ기적변환처리기술ㆍ문자인식기술ㆍ화상인식기술ㆍ음성합성기술이 필요하다. 장애인복지를 위한 정보통신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장애인정보통신위원회의 구성, 보편적 서비스의 제공, 정보화교육의 실시, 연구개발의 지원, 중소정보통신기업의 지원 육성, 소프트웨어산업의 육성, 장애인용 표준화 작업 추진이 요구된다.
한국의 정보통신 기술정책에 관한 연구(II) - 사회적 변화를 중심으로 -
박민수,김기문 한국정보통신학회 1999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3 No.1
현재 우리사회의 변화요인을 분석해 보면 국제화사회 기반형성, 경제성장, 자원의 유한성, 인간형태변화, 안정성의 확보, 생활환경의 변화, 정보의 다양화, 의료환경의 변화, 교육환경의 변화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대다수의 국가들은 이러한 변화요인들이 새로운 차원의 사회문제를 생성하기도 하지만 미래 국가건설에 이바지 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요인들 중에 생활환경의 변화, 의료환경의 변화, 교육환경의 변화를 분석하여 미래 정보화사회에 적합한 정보통신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하여 국가적 정보통신 기술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개발된 정보통신서비스를 살펴보고 수요자들이 미래에 필요로 하는 정보통신서비스를 살펴보면 재택근무서비스, 원격진료서비스, 쌍방향홈쇼핑서비스, 쌍방향홈뱅킹서비스, 원격의료진료서비스, 재택교육서비스, 기타 원격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수요자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통신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하여 어떤 정보통신기술이 필요하며, 정책방향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를 연구하였으며, 미래에 필요한 정보통신기술정책은 한국에 맞는 정보통신기술 정책을 을 제시해야 하며, 미래에 모든 통신망이 통합할 수 있도록 계획되어야 하며, 모든 통신망을 통합하기 위해 B-ISDN이 완벽하게 구축되어야 한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developing of the telecommunication technique for the analysis on the social changes. In the scope and method of this study there must invalve following three items; change living environment, solution of medical problom, solution of education problem.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 First, telecommunication technique policy must be constructed in Korea. Second, digitalizing interchange machine and wire network must be promoted, presenting the development and establishment direction of B-ISDN. Third, the telecommunication policy in future must be able to unify all the networks.
21세기 우리 나라의 지식정보사회를 위한 정보통신 정책연구
신현식,윤형득 한국정보통신학회 200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4 No.4
새 천년을 맞이하면서 국내는 물론, 전세계가 새로 펼쳐질 미래의 생활상에 대한 기대찬 희망을 갖고있다. 우리생활 환경의 변화와 발전으로 더욱 많은 부분에서 혜택을 누리게 될 것이며 정보통신은 그 희망을 현실화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21세기의 정보통신 산업은 눈부신 기술진보와 함께 정치경제 문화사회의 전분야에 걸쳐 통신 패러다임의 획기적 변화로 말미암아 통신정보산업을 그 필요성과 함께 더울 발전할 것이며, 정보와 지식을 널리 전파하는 핵심 산업으로 자리잡을 것이다. 논문에서는 현재의 선진국과 우리 나라의 정보화 현황과 정도를 살펴보고 2000년대의 정보 통신기술을 전망하며, 이에 걸맞은 바람직한 정보통신정책 방향을 모색해 보고 정보통신 기술에 따른 정보격차 해소 방안은 무엇인지 제안해 보고자 연구하였다. Naturally the interior new millennium the whole world take life of future hope. We are enjoy many a part favor change and develop of environment. Information communication expect importance a role of this hope. Information communication industry of 21 century occurrence all the division epoch-making change, information and knowledge settle importance industry widely diffusion. A treatise observe present condition of information now a selection country and Korea.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of 2000 years prospect. Information difference solution plan studied whatever proposal.
김지호,이향범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8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1
While going through economic development for several decades, Korea has become an industrialized country, and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technology accelerated the advent of the information opportunity era. The recent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has brought forth the development of new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enables anybody to obtain information easily and simply, and recently power line communication technology is being developed that allows the use of the existing power line networks as they are. Each advanced country that faced up to a riffle effect of power line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enables us to obtain information easily anywhere at anytime is engaged in fierce competition to be a leader in this technology and to preoccupy the standardization of power line communication technology. At this point, this study is to help Korea take the lead i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by proposing a direction for the standardization that Korean power line communication technology needs to head for by identifying the trend of the worldwide of power line communication technology.
클러스터링 환경에 대한 IP 스푸핑 공격 발생시 라우팅 패턴에 기반한 단계별 서비스 암호화 모델
백용진,정원창,홍석원,박재흥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2017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Vol.10 No.6
The establishment of big data service environment requires both cloud-based network technology and clustering technology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information access. These cloud-based networks and clustering environments can provide variety of valuable information in real-time, which can be an intensive target of attackers attempting illegal access. In particular, attackers attempting IP spoofing can analyze information of mutual trust hosts constituting clustering, and attempt to attack directly to system existing in the clust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tect and respond to illegal attacks quickly, and it is demanded that the security policy is stronger than the security system that is constructed and operated in the existing single system.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routing pattern changes and use them as detection information to enable active correspondence and efficient information service in illegal attacks at this network environment. In addition, through the step-by -step encryption based on the routing information generated during the detection process,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stable service information without frequent disconnection of the information service for resetting. 빅데이터 서비스 환경 구축과 서비스에는 클라우드 기반의 네트워크 기슬과 정보 접근의 효율성 개선을 위한 클러스터링 기술이 함께 요구된다. 이러한 클라우드 기반의 네트워크와 클러스터링 환경은 다양하고 가치있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 할 수 있기 때문에, 불법적인 접근을 시도하는 공격자들의 집중적이 표적이 될 수 있다. 특히 IP 스푸핑을 시도하는 공격자들은 클러스터링을 구성하고 있는 상호 신뢰 호스트들의 정보를 분석하여, 클러스터 내에 존재하는 시스템으로 직접 공격을 시도할 수 있다. 그러므로 불법적인 공격에 대한 빠른 탐지와 대응이 필요하며, 기존의 단일 시스템에서 구축하여 운용하는 보안시스템 보다 강화된 보안정책이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불법적인 공격 발생에 능동적인 대응 및 효율적인 정보 서비스가 가능 할 수 있도록 라우팅 패턴 변화를 추적하여 탐지 정보로 활용하였다. 아울러 탐지 과정에서 발생하는 라우팅 정보에 기반한 단계별 암호화를 통하여 재설정을 위한 잦은 정보 서비스의 단절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안정적인 서비스 정보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자기주권신원기술의 국내 서비스 사례 및 연구 과제 분석을 통한 개인정보 주권 강화 방안연구
이정현(Jeong-Hyeon Lee),김지원(Ji-Won Kim),김철수(Chul-Soo Kim),양진홍(Jin-hong Yang)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2020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6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비즈니스가 폭발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개인정보가 포함된 데이터의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데이터 3법이 시행됨에 따라 개인정보가 포함된 데이터 활용 시의 규제 개선 및 명문화를 통해 기업들이 개인정보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서비스 이용에 따른 실명 인증 및 개인정보 제공과 관련해 개인정보 제공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기주권신원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최근 개인정보 이용에 따른 기록의 명확성 및 증명을 위해 자기주권신원 기능 이용 시 블록체인을 활용한 서비스 및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자기주권신원 서비스의 특징 및 블록체인 기반 자기주권신원기술과 관련된 연구 현황 및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데이터 3법 시대의 개인정보 주권을 강화하기 위한 자기주권신원기술 기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Along with the exponential growth of data businesses, the importance of data containing personal information of use have also increaseing. Particularly, in Korea, as the Data 3 Act was implemented, companies can use personal information more actively through regulatory improvement and stipulation in case of using data containing personal information. In this situation as per the service use, self-sovereign identity technology has emerged that can minimize the provis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 relation to real name authentication and provision of personal information. Recently, services and studies using blockchain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in case of using the self-sovereign identity function for clarity and verification of records according to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In this thesi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self-sovereign identity service and the current status and contents of research related to blockchain-based self-sovereign identity technology and we suggest a research direction based on self-sovereign identity technology to reinforce the sovereignty of personal information in the era of the 3rd Data Act do.
고경석,황동현,박상준,문가경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2018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Vol.11 No.6
매년 전기화재사고에 대한 사고유형 분석, 점검 등 전기적 화재사고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노력이 있었으나, 효율적인 의사결정지원 체계 및 기존 누적 데이터 활용방안의 미비로 효과적인 대처방안이 부재한 현황이다. 본 연구는 전기안전점검데이터, 전기화재사고정보, 건축물정보, 기상청정보 등 데이터 기반의 전기화재를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전기화재사고를 줄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전기안전공사, 기상청, 국토교통부, 소방본부 등 기관별로 수집된 데이터를 전처리, 융합, 분석, 모델링, 검증 과정을 거쳐 전기화재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과 예측모델을 도출하였다. 주요요인으로 절연저항 값, 습도, 풍속, 건축물 노후년수, 용적율, 건폐율, 건축물용도로 나타났고, Random forest 알고리즘을 활용한 예측모델은 74.7%의 정확도를 얻었다. Although various efforts have been made every year to reduce electric fire accidents such as accident analysis and inspection for electric fire accidents, there is no effective countermeasure due to lack of effective decision support system and existing cumulative data utilization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lgorithm for predicting electric fire based on data such as electric safety inspection data, electric fire accident information, building information, and weather information. Through the pre-processing of collected data for each institution such as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Fire Defense Headquarters, convergence, analysis, modeling, and verification process, we derive the factors influencing electric fire and develop prediction models. The results showed insulation resistance value, humidity, wind speed, building deterioration(aging), floor space ratio, building coverage ratio and building use. The accuracy of prediction model using random forest algorithm was 74.7%.
소형 창고형 공장 적용을 고려한 15와트 LED 조명과 40와트 태양광 패널을 활용한 가시광통신 송수신 시스템 분석
우덕건(Deok Gun Woo),마리아판 비나야감(Vinayagam Mariappan),박종용(Jong Yong Park),이종혁(Jong Hyeok Lee),김영민(Young Min Kim),차재상(Jae Sang Cha)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2018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Vol.11 No.5
ICT기술 확산과 더불어 효율적인 정보 운용을 위해 다양한 프로토콜의 근거리 무선통신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근거리 무선통신의 제한사항으로 인하여 주파수 혼선 및 창고형 공장 등 주파수 환경이 좋지 않은 곳에서 통신이 원활하지 못하다. 이에 대한 대안이 필요한 시점에 LED 기술의 발달과 빠른 보급을 통한 인프라 확충으로 LED 기반 가시광 통신이 대안으로 주목되고 넒은 분야에 확산되고 있다. 또한 신재생에너지 활성화에 맞춰 태양광 패널 또한 빠른 보급으로 인프라가 확충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PD를 활용한 가시광 통신은 PD의 수신각도 및 주변 환경의 빛으로 인해 LoS가 확보되고 주변의 빛에 영향이 적은 초근거리 환경에서 제한적으로 적용되어 왔다. 이를 해결하고자 현재 인프라가 확충되어 있는 LED 조명과 수신 면적이 넓은 태양광 패널을 이용하여 가시광 통신을 구현하였으며, 주변 환경 빛에서도 정확한 데이터를 복원을 위한 회로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태양광 패널을 수신부로 하는 가시광 통신 연구의 기반 자료로 활용 되어 가시광 통신이 더욱 넓게 응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In addition to the diffusion of ICT technology, various protocols of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re being applied for efficient information operation. However, due to limitations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is not smooth in places where frequency environment is poor, such as frequency confusion and warehouse type factory. When an alternative is needed. The development of LED technology and expansion of infrastructure through LED based visible light communication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and spreading the usage in wide range now a days. In addition, the infrastructure has been expanded with solar panels in response to the development of smarthome built-in with renewable energy. In this situati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sing PD has been limitedly applied in a near environment where the receiving angle of the PD and the ambient light ensure the LoS and the influence of the ambient light is small.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have implemented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sing LED lighting with large current infrastructure and solar panel with large receiving area, and proposed a circuit for restoring accurate data even in ambient light. Through this study results, it is expected that visible light communication can be more widely used and this result used as the base data for visible light communication research using the solar panel as the recei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