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상(李箱)의 시(詩)에 나타난 수학적 표현과 의미

        신경희,Shin, Kyunghee 한국수학사학회 2016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ol.29 No.2

        Lee Sang, one of the representative poets of Korean Modern Poetry, wrote poems which present the existentialistic modernism in the 1920s, the chaotic era of Korean history. The characteristics of his works have been shown by various points of view. This paper especially explored the meaning and feature of mathematical expressions by numbers, symbols and other signs of mathematics in Lee's poems. His poems are composed by scientific and abstract rules in mathematics which are expressed as mathematical symbols. The paper focuses on analyzing seven poems which maximizes mathematical expressions among his poetry. This kind of work would be the one of ways to figure out the features of mathematics through literature.

      • KCI등재후보

        개혁 미분 방정식 수업에 기반한 학습자의 고유치 고유벡터 개념 발생 및 이해

        신경희,Shin Kyunghee 한국수학사학회 2004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ol.17 No.4

        18세기 오일러와 베르누이에 의해 최초로 등장했던 고유치의 개념 발생의 장은 탄성을 가진 물체의 변위에 관련된 미분 방정식의 풀이 해법 문제였다. 역사 발생적 원리에 따라 용수철에 매달린 물체의 변위 문제를 모델로 개혁 미분 방정식 수업에 기반한 학습자의 고유치 고유벡터의 효과적인 개념 발생의 가능성을 논한다. 소그룹 토의 학습으로 진행된 교수 학습 모델의 실제 적용 과정과 방법, 효과적인 인지변화에 대한 교수학적 요인과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의 변화를 진술한다. In this paper, we discuss students' conceptual development of eigen value and eigen vector in differential equation course based on reformed differential equation using the mathematical model of mass spring according to historico-generic principle. Moreover, in setting of small group interactive learning, we investigate the students' development of mathematical attitude.

      • KCI등재

        교사들의 공동교육과정 운영과정으로 본 교사의 자율권 분석: 미국 초등학교 교사들을 중심으로

        신경희 ( Kyunghee Shin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0 교육과정연구 Vol.3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초등학교 교사들의 공동교육과정 운영 경험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미국 중서부 M 지역에 위치한 N 초등학교 2학년 교사 3명을 면담하였다. N 초등학교에서는 동학년 교사들이 서로 협력하여 학년공동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운영하고 있었으며, 이를 위해 N 초등학교 교사들은 학년공동교육과정의 기본 방향부터 구체적인 학습 자료까지 함께 논의하여 결정하고 있었다. 이러한 공동교육 과정 설계 및 운영 과정을 통해 교사들은 개인적 자율권과 집합적 자율권을 신장시켜 나가고 있었다. 또한 이들의 공동교육과정 운영은 지속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미국 교사들과의 면담 결과 지속 가능한 공동교육과정 교육과정 운영의 이면에는 교사들의 자율권과 독립성 보장, 같은 학년에 장기간 근무 한다는 점, 학교의 물리적 가상적 제도의 협조 등의 구조적 특징이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한국 교육현장에서 전문성을 가진 교사들이 공동적으로 교육과정 개선에 참여할 수 있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qualitative study examined American teachers' experiences teaching common curriculum.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narrative interviews with 3 second grade teachers at N Elementary School in the M region which is located in the Midwest of the United States. Interviews revealed that the teachers have developed their individual and collective autonomy by designing and organizing common curriculum. Their common curriculum has been sustained for a long period. This research also found several factors behind this sustained common curriculum including like the following: their approved curriculum autonomy, secured teaching positions, and online platforms and digital learning tools easy to acces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 also provided for Korean education in order to increase opportunity for teachers to involve in improving their own curriculum.

      • KCI등재

        미국 초등 교사들을 통해 본 교육과정 자율적 운영에 관한 인식 및 관점

        신경희(Shin Ky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3

        최근 정부는 정부 주도의 획일화된 하향식 교육의 한계를 인지하고, 단위학교를 중심으로 개별교사들이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할 수 있는 권한을 확대해가고 있다. 그러나, 실제 자율적 교육과정 운영은 추상적인 정책 차원에만 머물러 있을 뿐 구체적인 교실 현장에서 실현되지 못하고 있다. 교사수준의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권이 답보적인 한국과 달리 미국은 교사들의 교육과정 자율권을 오랫동안 제도권 내에서 보장해왔다. 본 연구는 미국 교사들이 교육과정 자율권을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해분석함으로써 한국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본 연구 목적을 위해 연구자는 미국 초등학교 교사의 경험을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분석하기 위해 개별 면담 조 사를 실시하였다. 면담을 위한 기본 질문은 교육과정 자율권이 실행되는 영역과 실행되는 정도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연구자는 2019년 상반기 동안 미국 중서부 지역 M도시에서 VH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4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 였다. 결과 분석은 자료 수집과 동시에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면담 참여자들은 교사로서 자율성은 교육내용 선정, 교육 자료, 그리고 교육환경 구성에서 발휘된다고 믿었다. 미국 교사들은 이상의 세 가지 영역에서 자율권이 보장될 때 교사로서 전문성 역시 보장된다고 가정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교사의 자율성은 다양한 학생들을 위한 수업을 최적화하기 위한 선행조건임을 시사한다. The Korean government has implemented policies to change its traditional standardized education into active student-centered learning. The policies allow each school to make decisions on the certain areas, expanding the authority of individual teachers. However, few teachers perceive that they have autonomy in teaching their own teachers. Unlike Korea education which just started to recognize teachers as autonomous professionals, the American education has guaranteed the autonomy of teachers in their curriculum for a long time. Analyzing how American teachers’ practices with teaching autonomy will provide the implications for Korean education. I conducted individual interviews with American teachers who are teaching first grade and second grade in an primary school. The interview questions are related with a main research question of how they use their teaching autonomy. Four elementary school eachers in M city of mid-west area of the US participated in my semi-structured interview. As a result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showed that autonomy is the content of education, educational material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 KCI등재

        American teachers' textbook usage and its implications for Korean education

        Kyunghee Shin(신경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0 교육과학연구 Vol.41 No.2

        제 7차 교육과정 개정안의 주요 특징 중 하나인 교재 선택권은 현장 교사들로부터 실질적으로 교육과정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에 저자는 교재 선택권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미국을 연구 대상 국가로 선정하여 미국 현장 교육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교재 선택권 운영에 관한 시사점을 연구 분석하고자한다. 사례 연구를 위하여 저자는 교재 선택권을 가진 미국 교사들을 선별하여 이들의 교재 선택권과 교육과정 운영을 조사하였다. 연구에는 미국 중서부에 위치한 스프링 카운티지역의 6 명의 고등학교 교사들이 참석하였다. 6명의 참여자들은 기존 교과서를 사용하는 교사들과 기존의 교과서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교사들로 나누어졌다. 저자는 이들과의 개별면담을 통해 이들의 교재 사용 전략, 지식에 대한 정의 및 교사의 역할에 관한 의견을 수렴하여 분석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 지식과 교과서의 관계 및 교사의 역할을 논의해온 비판적 교육과정 이론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스프링 카운티 교사들은 교재 선택권을 학생들과 평등한 관계에서 새로운 지식을 추구하고 창조해나가는 통로로 사용함으로써 자신의 교육철학이 담긴 다양한 교육과정을 효율적으로 실현하고 있었다. 이 연구결과는 획일화되고 경직된 교육과정을 탈피하기 위해 교재 선택권을 채택하고 있는 한국 교육에 시사하는 점이 많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제 7차 교육과정의 교재 선택권이 자율화되고 다양화된 교육과정으로 연결되려면, 지식, 교과서 및 교사의 역할에 대한 재정의가 반드시 함께 이루어져야한다고 할 수 있다. The Korean government has changed its strategy regulating textbooks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One of the major elements of the recent reform is to give teachers the "freedom to select textbooks" which are most suitable for their own use. The education system, however, continues to discourage teachers from going beyond what is government-approved. By examining the American case, this study shows what kinds of discussions is are necessary to bring actual changes to Korean education. For the theoretical framework, literature was reviewed that discusses the relationships between knowledge, texts and teachers. For the research metho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mpare and contrast experiences and understandings of teachers regarding the issue of textbook usage and knowledge. Six American history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Other participants included three teachers who employed common textbooks as main teaching materials and three teachers who used alternative materials mainly in the classroom. Results imply that the Korean education system is moving toward empowering teachers to select their own teaching materials.

      • KCI등재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경험 연구

        신경희(Kyunghee Shin) 한국여성학회 2016 한국여성학 Vol.32 No.3

        본 연구는 노조에 가입한 학교 영양사와의 일대일 심층면접을 통해 영양사들의 노조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이들이 비정규직 노동자로서 스스로가 처한 불평등한 현실에 대해 ‘인식적 자각’을 경험하고 노조 활동을 통해 집단적으로 저항해 나가는 과정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비정규직 학교 영양사는 노동시장에서 불평등과 배제를 경험하였지만, 이들은 수동적 피해자의 위치에만 머무르지 않는 능동적 주체로 정의된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을 위하여 4년제 대졸 이상 학교 영양사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면담지를 사용한 심층면접을 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참여자들은 자신들의 불평등한 위치를 극복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집단적 노조활동을 긍정적으로 보고 노조원으로 가입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들은 실제 조합원으로 가입한 후 노조활동의 가능성도 경험하였지만 여러 가지 제한점을 발견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조직화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진 비정규직 여성 근로자들이 어떻게 집단적이고 조직적인 저항활동에 참여하게 되는지, 그리고 어떠한 조건에서 그러한 집합행동이 촉진되고 성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분석적 자원을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My research focuses on school dietitians who mainly compromise the temporary labor force in the education sector. I problematize that despite their educational and professional backgrounds, they are trapped into insecure and low-paid jobs. My aim in this paper is to demonstrate what mechanism causes the job ghetto and how women empower themselves through their collective and individual endeavors. I target school dietitians in the N metropolitan city who are enrolled in the SNWU and who are attending a teacher certification program at a graduate school.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I review previous studies examining the government’s neoliberal patriarchal ideologies and its austerity measures. I also explore the history of union activities of Korean women. I individually interviewed with 10 dieticians. The interview findings showed that they shared a feeling of unfairness, and collectively mobilized themselves for their working condition. However, some participants did not support the union’s strategies and its final goal of permanent status. Because of a prolonged economic recession, they were divided in their opinions of union activism. Facing such challenge, active union members call for more solidarity in order to effect real change.

      • KCI등재

        성소수자 친화적 다문화 교사교육을 통한 예비교사의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신경희(Shin, Kyungh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18 열린교육연구 Vol.26 No.2

        우리 사회에는 기존의 세대, 지역, 이념 갈등에 더해 새로운 긴장 요소들이 등장하고 있다. 성소수자 문제는 최근 우리 사회의 긴장요소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성소수자들이 겪는 편견과 차별을 이해하고 학교라는 공간이 이를 재생산하는 과정을 이해하고 스스로를 변화의 주체로서 이해하고 소수자 중의 소수자로 알려진 성소수자들이 소외되지 않을 수 있는 교육환경을 주도적으로 만들어나가는 인식변화과정을 탐구한다.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했던 성소수자에 대한 논의를 예비교사교육에 포함시켜 예비교사들이 교실 내에서 성소수자에 대한 자신의 교수적 태도에 대한 자기반성적인 성찰 이 드러나도록 하고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성소수자에 대한 교육 담론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내용구성, 접근방법에 대한 연구담론을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본 연구는 다문화 교사교육을 바탕으로 예비교사들이 성소수자에 관한 관련 자료 읽기, 토론 및 성소수자 면담으로 이루어진 성소수자 친화적 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함으로써 예비교사들이 성소수자들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반성적으로 검토해 보고, 학교 조직 내 편견에 대항하는 변화의 주체 역할을 담당하도록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prospective teachers perceive their own prejudices toward sexual minorities and whether they decide to implement LGBT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inclusive education. The twelve prospective teachers participated in a LGBT-inclusive project, which comprises of three-step self-reflective writings. I took a narrative inquiry as a research method in order to show how individual prospective teachers are challenged and changed for sexual minorities. As the prospective teachers are involved in a program consisting of self-reflective writing consisting of reading, discussing, and interviewing with sexual minorities, they have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ir identity and their thoughts about sexual minorities.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past experiences of the prospective teachers and their future changes in the classroom by approaching them as active agents of change rather than passive deliverers of norms and knowledge in our existing socie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미국 중등 교사들을 통해 본 주제 중심 통합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및 관점

        신경희(Shin, Kyungh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19 열린교육연구 Vol.27 No.2

        최근 한국 교육에서 교육과정의 통합적 운영은 중요한 연구 주제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 라의 교육의 기본 방향 역시 단위학교의 재량권을 강화하고, 주제 중심 통합교육과정을 더욱 확대 운영 하는 형태로 나아가고 있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 교사가 자율권을 가지고 교과를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구체적인 정보와 사례는 여전히 부족하다. 또한 분과주의 형태로 교과가 제시되는 초등학교 고학년 수준 이상에서의 통합교육 운영 사례 연구는 매우 드물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단위학교 수준에서 주제별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이 정착된 미국 중등학교에 대한 연구는 현재 통합교육과정이 초등학교 저학년 수준 에서 정부 주도로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 교육 상황에서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는 미국 단위 중등학교 교사들이 주제별 통합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운영하는 사례를 발굴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논의의 역사 속에서 제시된 통합 교육과정에 이상적 정의와 이에 따른 교사의 역할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이를 이론적 틀로써 활용하였다. 미국 중서부 지역에서 5명의 중등학교 사회과 교사들이 면담에 참여하였다. The integrated curriculum is one of the major research topics for Korean education. These days, Korean education is moving toward emphasizing the autonomy of a school unit and expanding the thematic integrated curriculum. However, there is a lack of information and examples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practiced by teachers with their autonomy. In addition, there are few studies focusing on the integrated curriculum practiced at the upper elementary school levels, which are given a separate discipline based curriculum. Thus, the study of American secondary schools which have designed and implemented an integrated curriculum is expected to provide insights for Korean education in which an integrated curriculum is practiced at the lower levels of elementary school by the government. In this sense, this study aims at presenting exemplary cases of American secondary school teachers who organize and practice the thematic integrated curriculum. This study also provides a theoretical framework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dealing with definitions of the ideal integrated curriculum and the expected teachers’ roles. Five social studies teachers of secondary schools in the Midwest regions of the US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