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벵자맹 콩스탕의 연극 미학

        이순희(Soonhee Le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6 외국문학연구 Vol.- No.61

        본 연구는 벵자맹 콩스탕이 1809년에서 1829년에 이르기까지 20년 동안에발표한 연극미학에 관한 4편의 텍스트들을 종합, 정리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첫 세 편은 1809년에 발표된 실러의 작품을 번안한 〈발슈타인〉의 〈서문>과1817년, 1829년에 발표된 〈서문>의 수정본이다. 마지막 텍스트는 콩스탕이 사망하기 한 해 전에 발표된 것으로 이전의 텍스트들의 총론이자 증보판이다. 이 4편의 텍스트들의 중심 사고는 더 이상 새로운 시대의 취향에 맞지 않는 고전비극을 쇄신하기 위한 내용과 형식 차원에서의 고전비극의 재고였다. 형식상으로는고전비극을 얽매고 있던 삼일치 원칙으로부터의 해방을, 내용상으로는 정념보다는 인간의 다양한 면모와 성격을, 나아가 인간과 사회의 상호작용을 주제로 하는비극을 주장했다. 그러나 각기 발표 시기를 달리하는 만큼, 각 시기의 정황들이글 속에 반영되어 있다. 여전히 고전주의 전통이 팽배해있던 제정시대의 텍스트에는 조심스럽고 신중한 태도가 엿보이고, 이미 고전파 내에서도 변화의 움직임이 싹트기 시작했던 왕정복고 초기의 텍스트에는 보다 신념에 찬 목소리가 담겨있다.〈크롬웰〉 〈서문>의 발표와 더불어 연극 장르의 쇄신을 위해 많은 작가들이 오랫동안 기울였던 노력들이 낭만주의 드라마로 귀결되던 무렵, 이전의 생각들을정리한 연극 미학의 수정, 증보판인 〈비극에 관한 고찰>이 발표되었다. 여기에서콩스탕은 시대의 요구에 따라 변화해온 비극의 역사를 그리면서 연극장르를 넘어서까지도 적용가능한 새로운 문학적 제재로써 개인과 사회의 대립과 갈등을 제시했고 이에 가장 적절한 연극장르로써 ‘역사비극’을 제안했다. 일견 시대착오적이라고까지 보일 수 있는 이와 같은 그의 제안은 ‘양세기간 작가로서’ 그가 생각할수 있었던 최선, 즉 고전 전통의 쇄신과 청년 작가들로 구성된 낭만파의 과감함 사이의 하나의 중도적인 해결책이었다. This study will group all of Benjamin Constant’s texts on theatricalaesthetics and consider his thoughts on theater. Three first texts include:the preface to Wallstein, adaptation of Wallenstein Schiller (1809) andtwo revised versions (1817 and 1829). The fourth and final text, whichappeared a year before Constant’s death, is a new version of the threeprevious texts. The central idea of these texts is the revival of the tragictheater, both in content and in form. For the form, Constant demandedthe freedom of the three units for the content, character of an individualin all its setbacks, and the action of society on the individual. But asthese four texts appeared in various circumstances, they echo in textes .Under the empire which ruled yet classic, it takes a more cautiousattitude and in the beginning of the Restoration, which began the changeof movement, he raised his voice more.When all the efforts that writers have devoted to renew the tragic theater converge on romantic drama with the publication of the famouspreface to Cromwell, Constant published a final reflection on the tragedy.He tells the story of the tragedy, and offers a new theme tailored to theneeds of his time, that of the action of society on man. And as a theatricalgenre that can contain this new theme, he offers historical tragedy. In away, this proposal may seem anachronistic, but it is a solution that canoffer a writer of two centuries such as Benjamin Constant, one of therenewed tradition and audacity of the new romantic school.

      • KCI등재

        자살생각 설문조사에 참여한 청소년의 심리적 경험에 대한 연구

        이순희 ( Lee Soonhee ),허만세 ( Hoe Maanse ),김영숙 ( Kim Youngsook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7 청소년복지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자살생각 설문 조사에 참여하는 청소년들의 심리적 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 자살생각 설문조사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13명의 중학생들을 심층면접하여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고, 주제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총 15개의 개념을 발견하였으며 자살생각 설문조사에서 심리적 부담을 느끼는 집단과 심리적 부담을 느끼지 않은 집단으로 유형을 구분 하였다. 이에 15개 개념에 추상성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총 5개의 하위범주, 타인에 대한 `자살생각을 하는 사람들에 대한 공감 부족`, `자살문제에 대한 민감성의 둔화`, `자살생각 설문조사에 대한 긍정적 반응`, `설문조사가 과거의 부정적 경험에 대한 회상을 촉발시킴`, `자살이라는 두려운 상황에 대한 회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청소년들이 자살생각 설문조사에 참여하면서 심리적인 부담감을 경험하는 경우는 과거에 부모 및 친구관계에서 부정적인 경험을 가진 경우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들은 자살생각 설문조사에 참여하면서 자살이 자신에게 일어날 수 있는 일이기 때문에 걱정을 하게 되는 것으로 보이며, 부정적인 사건을 간접적으로 경험한 경우에도 심리적인 부담감을 느낄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설문조사를 실시할 때 심리적 부담감을 느끼는 청소년에 대한 별도의 임상적 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sychological burdens which adolescents could experience when participating in a suicide ideation survey. Thirteen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d participated in a suicide ideation survey were interviewed in depth and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theme analysis. Adolesc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depending on having or not having psychological burdens. Results showed that 15 concepts emerged. Considering abstract of concepts, data was analyzed with following 5 sub-categories: `lack of empathic interaction with others`, `a defensive avoidance strategy`, `desensitization to social problems`, `positive response to questions regarding suicide`, `recalling negative experience in the past`, `avoidance strategy against suicidal thoughts`. Taken together, adolescents who had negative experiences with parents and friends in the past had a psychological burden while participating in the survey. Some of them seemed to be more worried because suicide might happen to themselves. In addition, others who indirectly experienced negative events felt psychologically burdensom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clinical intervention should be necessary for adolescents who had psychological burdens during the survey. Implications for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discussed .

      • KCI등재

        『삼국유사』에 표기된 초월적 색채 오색(五色)에 관한 연구

        이순희(SoonHee Lee) 한국색채학회 2014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8 No.2

        『삼국유사』에 표기된 초월적 색채인 오색(五色)은 동양의 음양오행사상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오방정색은 외면적?내면적 색채의 상징과 달리 신비함과 신성함을 내포한 색으로서 완전함을 뜻하는 동경의 대상이 되는 색이다. 특히 『삼국유사』에서의 오색의 표현은 불교로서 나라를 구한다는 ‘불국토’의 종교적 정신과 왕권의 신성함을 상징하는 초월적인 색으로 나타난다. 또한 악귀를 물리치는 벽사의 색으로 표기되어 그 신묘함을 표현하기도 한다. 『삼국유사』에 표현된 ‘불국토’의 사상에 대한 종교적 신성함은 온갖 기이한 형상과 부처를 모시기 위한 ‘오색찬란한 방석’의 표현이나 ‘오색광명형(五色光明形)·오색원광형(五色圓光形)’과 같은 부처의 진신(眞身)을 형상화한 내용에서 나타난다. 왕권의 옹립과 신성성을 드러내는 표현은 정신대왕(淨神大王)의 태자 효명(孝明)의 즉위 과정에서 이레 동안 나타난 신비한 ‘오색구름’에서 살펴 볼 수 있다. 벽사의 색으로서 오색의 표현은 선덕왕 덕만의 병을 낫게 한 밀본법사(密本法師)의 이마의 ‘오색찬란한 빛’이나 그의 이마 위에 둘린 ‘오색구름’과 같은 표현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삼국유사』의 오색의 표현은 대부분 동물이나 식물과 같이 구체성을 띈 생명이 있는 것이 아니다. 추상적 관념을 투영시킬 수 있는 무생물의 형태로써 초월적 신비함을 표현한 것이다. 오색의 형태는 오색의 빛 그 자체이거나 부처의 형상과 빛, 사물의 표면의 색 혹은 오색의 구름과 같은 현상색 등으로 표현된다. 그리고 오색은 초월적 상징의 힘을 의미하는 것으로 페르소나(Persona)의 아키타입(Archetype)과 긍정적 그림자의 아키타입이 내재된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transcendental colors, i.e. the five cardinal colors in 『Samgukyusa』 are closely related to the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Idea of the Orient. The five cardinal colors, unlike the symbol of external, internal colors, are the ones implying perfection as the colors connoting the mystery and sacredness, becoming objects of admiration to people. Particularly, expression of the five cardinal colors in『Samgukyusa』is embodied in transcendental colors symbolizing the religious spirit of "The Land of Buddha," which has the meaning of saving a nation with Buddhism and of sacredness of royal authority. In addition, the five cardinal colors are expressed as the ones driving away evil spirits, representing the mysterious, marvellous taste as well. The religious sacredness for the idea of "The Land of Buddha" expressed in『Samgukyusa』is shown through the expression of "the brilliant sitting cushion’ to serve all sorts of bizarre shapes and Buddha, or in the content of imagery of holy body of Buddha such as "five-colored brilliance. five-colored halo." The expression revealing enthroning and divinity of royal authority can be observed through the mysterious "five-colored clouds’ which appeared for seven days during the enthronement process of Hyomyeong the prince of King Jeongshin. The expression of the five cardinal colors as the ones expelling evil spirits can be found in the expressions like ‘the five bright colors’ on the forehead of Buddhist monk Milbon, who healed the diseased king Seondeok Deokman, or "five-colored clouds’ wrapped on his forehead. The expression of the five cardinal colors in 『Samgukyusa』 does not have concrete life like most animals and plants. As the form o inanimate object that can project the abstract concept, it is the expression of the transcendental mystery. The form of five colors is expressed as the light itself of the five colors, form and light of Buddha, the color of the surface of an object, or appearance colors like those of five-colored clouds. In addition, the five cardinal colors signify the power of transcendental symbol, and it could be seen that the Archetype of Personal and Archetype of positive shadow are embedded.

      • KCI등재

        청소년의 스트레스 및 우울이 자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

        이순희 ( Lee Soonhee ),허만세 ( Hoe Maanse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1 청소년복지연구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스트레스 및 우울이 자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에 거주하는 중학교 1,2,3학년 학생 중 임의표집을 통해 600명의 연구대상자를 선정하였으며, 이들 중 513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최종 분석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조절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통제력의 상하집단 간 자해행동의 차이는 자기통제력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에 비해 자해행동이 더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트레스가 자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는 자해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스트레스와 자기통제력 상호작용항도 유의하여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자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통제력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우울은 자해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으며, 우울과 자기통제력의 상호작용항도 자해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우울이 자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통제력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우울이 높을수록 자해행동이 증가하지만 자기조절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자해행동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스트레스와 우울을 경험하는 상황에서 자해 행동을 경험하는 청소년들에 대해 자기통제력을 개입기제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혔다는 실천적 의의가 있다. 또한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한계를 밝히고 추후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trol in the effects of adolescents’ stress and depression on self-harm behavior. 600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1st, 2nd, and 3rd graders living in Daegu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513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Data were analyzed by SPSS 20.0.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trol was verified by using t-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difference of self-harm behavior between the upper and lower groups of self-control, the group with low self-control had a significantly higher self-harm behavior than the group with higher self-control. Second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self-harm behavior, str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harm behavior. Also, the interaction term between stress and self-control power was significant, indicating that self-control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tress and self-harm behavior. Lastly, it was found that adolescents’ depression was a variable influencing self-injury behavior, and the interaction term between depression and self-control had also a significant impact on self-injury behavior. It was identified that self-control had an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elf-harm behavior.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adolescents’ stress and depression, the higher self-harm behavior increase, but the self-harm behavior can be alleviated by improving self-control power. This study is practically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ed that self-control could be used as an intervention mechanism for adolescents experiencing self-harm behavior in the environment in which adolescents go through stress and depression. The limitations and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

        프랑스 신문비평의 제 양상

        이순희(Lee, Soonhee),양승미(Yang, Seungmie),이보슬(Lee, Boseul),제갈승현(Jegal, Seunghyu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4 외국문학연구 Vol.- No.53

        본 연구에서는 1818년에서 1820년까지의 신문의 정치ㆍ문학적인 구도를 검토하고, 당시의 신문비평의 한계와 의의를 짚어보기 위해서 『미네르브 프랑세즈 Minerve française』를 중심으로 하여 당시의 주요 신문의 문학비평문을 검토해 보았다. 이 시기의 신문비평은 비교적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지 못했는데, 이는 당시의 문학이 정치적 저널리즘에 깊숙이 관여하고 있었기 때문에, '보편적인 가치'를 결여한 채, 시의에 따라 지나치게 '주관적'인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과도한 '시의성'과 '주관성'으로 보편적인 가치를 인정받지 못한 비평문들이라고 할지라도 바로 그 '시의성'과 '주관성' 때문에 당시의 '생생한' 문학 풍토를 우리에게 그려보인다는 점에서 이 시기의 신문비평은 연구의 가치가 있다. 19세기 중반부터 진행되어 온 신문비평에 관한 연구의 흐름이 대체로 통시적 연구, 시대별 연구, 신문별 연구, 개별 작가-비평가 연구로 나아가고 있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일 것이다. 반드시 이러한 순서로 연구가 진행되었다고는 단언할 수는 없으나, 대체로 각 단계의 연구가 후속 연구들을 촉발시켰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경향에 맞게, 하나의 작품이 서로 다른 신문에서 다루어지는 양상들을 보다 면밀히 검토한다거나, 연구의 중심을 작가-비평가로 옮겨 그의 문학비평문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어쩌면 더 생산적인 연구가 될 수도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점들을 충분히 인지하면서도, 우리가 주요 신문들을 검토하고자 했던 이유는 비평문들을 통해 상대적으로 연구자들의 관심을 받지 못했던 1818-1820년의 문학장을 '생생하게' 느껴보고자 했다는 데 있다. Our study was to observe aspects of journalistic criticism of 1818- 1820, including that of the Minerve française to see the political and literary perspective and to consider the limit and value of the review journalism at that time. The researchers are not interested in journalistic criticism this time, it may be because it is devoid of universal value and is too subjective, literature then is intimately linked to political journalism. This is because what we do not value assigned to its rightly. However, this journalistic criticism too subjective interest by its subjectivity, because it draws us the literary life of this time as it was. Studies on the journalistic criticism began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continue until today. Studies on journalistic criticism evolved historical studies, studies by period, studies on each newspaper and each writer-critic. We can not confirm that thses studies took place in that order, but at least we can assume that each stage has resulted in subsequent studies. According to current studies, we probably would have had to study the reception of a single work in various newspapers, or study different literary articles of a single author. It could have been more productive. But while recognizing this interest, if we wanted to look more closely at the literary criticism of the Minerve française in its entirety, it is because we wanted to recapture the political and literary climate between 1818 and 1820 which researchers.

      • KCI등재

        근대 초기 프랑스 낭만주의 시 번역에 관한 시론

        이순희(Lee, Soonhee),양승미(Yang Seungmi),이진영(Lee Jinyoung),제갈승현(Jegal Seunghyu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4 외국문학연구 Vol.- No.55

        본 연구의 목표는 근대 초기, 즉 1920~30년대 프랑스 낭만주의 시 번역과 수용 양상을 살펴보는 데 있다. 특히 알프레드 드 뮈세의 번역 양상을 검토하고 뮈세를 번역한 번역가 손우성에 관한 고찰을 진행하는 데 연구의 초점을 두고 있다. 오늘날 한국문학의 근대화 과정에서 번역문학이 담당했던 역할에 대한 다각적인 검토가 이루어지면서 점차 관련 연구의 지평이 심화, 확장되고 있는 추세임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번역문학, 혹은 번역문학사에 관한 관심과 관련 연구의 비약적인 증가에도 불구하고 기존 자료에 대한 재확인 작업은 여전히 답보적인 상태에 머물러 있으며, 특히 해방 이전의 자료들과 1990년대를 전후한 시점에서 멈춰있는 문헌조사는 체계적인 재확인과 조사 작업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영국이나 독일의 낭만주의 시보다 비교적 뒤늦게 번역, 소개된 프랑스 낭만주의 시들에 대한 검토와 그 가운데에서도 특히 알프레드 드 뮈세의 번역 서지와 그 양상을 조사하고 확인하는 데 일차적인 연구목표를 두었다. 기존 선행연구들의 문헌서지를 검토하고 재확인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프랑스 낭만주의 시 번역에 관한 보다 종합적인 조망을 시도하였고, 뮈세의 경우, 기존의 서지를 보완하는 동시에 비교적 까다로운 작업에 해당하는 원텍스트 확인 작업을 병행했다. 또한 번역문학을 언급할 때 거의 언제나 조명을 받지 못했던, 그러나 실상은 번역의 주체였던 번역가에 대해서 재고의 기회를 가졌다는 점에서도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프랑스 낭만주의 시의 뒤늦은 번역과 수용에 대해 구체적인 번역 정황들을 짚어내지 못했다는 점, 번역가 손우성에 대한 보다 다각적인 검토가 시도되지 못했다는 점은 본 연구의 한계이자 차후에 이루어질 후속 작업의 과제이기도 하다. 위고, 비니, 라마르틴의 번역시들을 개별적으로 검토해나가고, 또 그 번역가들에 관한 연구를 병행해나감으로써 20~30년대 번역문학(사) 연구에서 비교적 주목을 받지 못했던 프랑스 낭만주의 시 번역과 수용에 대한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검토의 장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Our study aims to consider various aspects of translation and reception of French romantic poetry in Korea in the 1920s and 1930s, especially those in the translation of Alfred de Musset and his translator Sohn Woosung. Today, studies of translated literature are realized at different angles depending on the growing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literature translated into the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literature. Despite the growth of interest and research in this area, there is still the need to clarify and complete the bibliographic data of published documents especially before 1945. It is in this light that we have tried to conduct a critical review of previous studies, in order to open a holistic perspective on the translation and reception of Romantic poets in early modern Korea. Regarding Musset, we completed the list of translations and confirmed the original texts. At the same time, we also reflected on the translator who was the subject of translation but had attracted little attention from researchers, here in this case, Sohn Woosung. Some weaknesses of our study lies in the fact that we have not been able to clearly define the contexts of these translations and perform analayses on translating Sohn Woosung from different perspectives, will be the treat to our future research. Conduct the examination of particular translations Hugo, Vigny, Lamartine and also their translators will help us to complete an incomplete page in the history of translated literature on translation and reception of French Romantic poets and their translators. 본 연구의 목표는 근대 초기, 즉 1920~30년대 프랑스 낭만주의 시 번역과 수용 양상을 살펴보는 데 있다. 특히 알프레드 드 뮈세의 번역 양상을 검토하고 뮈세를 번역한 번역가 손우성에 관한 고찰을 진행하는 데 연구의 초점을 두고 있다. 오늘날 한국문학의 근대화 과정에서 번역문학이 담당했던 역할에 대한 다각적인 검토가 이루어지면서 점차 관련 연구의 지평이 심화, 확장되고 있는 추세임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번역문학, 혹은 번역문학사에 관한 관심과 관련 연구의 비약적인 증가에도 불구하고 기존 자료에 대한 재확인 작업은 여전히 답보적인 상태에 머물러 있으며, 특히 해방 이전의 자료들과 1990년대를 전후한 시점에서 멈춰있는 문헌조사는 체계적인 재확인과 조사 작업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영국이나 독일의 낭만주의 시보다 비교적 뒤늦게 번역, 소개된 프랑스 낭만주의 시들에 대한 검토와 그 가운데에서도 특히 알프레드 드 뮈세의 번역 서지와 그 양상을 조사하고 확인하는 데 일차적인 연구목표를 두었다. 기존 선행연구들의 문헌서지를 검토하고 재확인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프랑스 낭만주의 시 번역에 관한 보다 종합적인 조망을 시도하였고, 뮈세의 경우, 기존의 서지를 보완하는 동시에 비교적 까다로운 작업에 해당하는 원텍스트 확인 작업을 병행했다. 또한 번역문학을 언급할 때 거의 언제나 조명을 받지 못했던, 그러나 실상은 번역의 주체였던 번역가에 대해서 재고의 기회를 가졌다는 점에서도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프랑스 낭만주의 시의 뒤늦은 번역과 수용에 대해 구체적인 번역 정황들을 짚어내지 못했다는 점, 번역가 손우성에 대한 보다 다각적인 검토가 시도되지 못했다는 점은 본 연구의 한계이자 차후에 이루어질 후속 작업의 과제이기도 하다. 위고, 비니, 라마르틴의 번역시들을 개별적으로 검토해나가고, 또 그 번역가들에 관한 연구를 병행해나감으로써 20~30년대 번역문학(사) 연구에서 비교적 주목을 받지 못했던 프랑스 낭만주의 시 번역과 수용에 대한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검토의 장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Our study aims to consider various aspects of translation and reception of French romantic poetry in Korea in the 1920s and 1930s, especially those in the translation of Alfred de Musset and his translator Sohn Woosung. Today, studies of translated literature are realized at different angles depending on the growing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literature translated into the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literature. Despite the growth of interest and research in this area, there is still the need to clarify and complete the bibliographic data of published documents especially before 1945. It is in this light that we have tried to conduct a critical review of previous studies, in order to open a holistic perspective on the translation and reception of Romantic poets in early modern Korea. Regarding Musset, we completed the list of translations and confirmed the original texts. At the same time, we also reflected on the translator who was the subject of translation but had attracted little attention from researchers, here in this case, Sohn Woosung. Some weaknesses of our study lies in the fact that we have not been able to clearly define the contexts of these translations and perform analayses on translating Sohn Woosung from different perspectives, will be the treat to our future research. Conduct the examination of particular translations Hugo, Vigny, Lamartine and also their translators will help us to complete an incomplete page in the history of translated literature on translation and reception of French Romantic poets and their translators.

      • KCI등재

        ‘보조 텍스트’의 기능과 의의(I)

        이순희(Lee, Soonhee),김미경(Kim Miky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5 외국문학연구 Vol.- No.57

        샤토브리앙의 작품 세계에서 다양한 형태의 ‘보조 텍스트’는 적지 않은 자리를 차지한다. 많은 경우, 작품의 재검토 및 수정작업의 산물인 만큼 소홀히 다루어 질 수 없으며, 특히 작가의 대부분의 작품들이 ‘재정비’되었던 라드보카본 전집에 수록된 보조 텍스트들은 독자와 연구자의 보다 세심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 비평본에 따라 삭제되기도 하고 재생되기도 하는 일부 보조 텍스트들의 불안정한 위상에 대한 의구심에서 출발한 본 연구에서는 판본에 따라 유동적인 양상을 보이는 몇 가지 텍스트들 가운데 1826년 라드보카본을 위해 새로 구성된『여정』의 보조 텍스트를 중심으로 그 기능과 의의를 살펴보았다. 검토 대상으로 삼은 다섯 종의 현대 비평본 가운데 세 가지 비평본에는 『여정』의 서두를 장식했던 백 여 페이지에 달하는 보조 텍스트들이 재수록 되어 있지 않았다. 텍스트를 무겁게 하지 않기 위해서, 혹은 정치적인 색채를 제거하기 위해 이 글들이 ‘희생’되었을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새로운 구성의 『여정』을 준비하던 작가의 손길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여정』초판의 그리스 여행에는 고대문명의 기억을 찾아 길을 떠나는 순례자의 모습만이 그려져 있었던 것은 아니다. 오스만 제국의 억압과 횡포로 황폐해진 땅과 사람들, 또 그 암울한 미래가 그려져 있기도 했다. 그러나 1826년『여정』의 새 판본을 준비하던 시기의 그리스는 1806년의 모습과는 전연 달랐다. 조국을 핏빛으로 물들여가면서 자유와 독립을 위해 일어선 그리스의 ‘오늘’이 모두의 기억 속에 각인되도록 만들어야만 했다. 이를 위해 샤토브리앙은 전집의 첫 회 배본을 구성하는 『여정』의 1권 서두에 백여 페이지에 달하는 ‘보조 텍스트’를 수록함으로써 서구문명의 모체, 그리스에 대한 열정과 의무를 표현해냈다. The ‘textes accompagnateurs’ occupy a significant place in the work of Chateaubriand. For the most part, they are the fruits of revision, we can not neglect them. These texts, which draws us attention, it is the ‘textes accompagnateurs’ in Ladvocat edition in which all the writings of Chateaubriand are reworked and arranged. Our study is started with the question of the fickleness of the ‘textes accompagnateurs’. And we discuss in particular on the Itineraire of Ladvocat edition. Among the five critical editions we looked more closely, three did not reproduce the texts that adorn the start of the Itineraire. This is probably fot not to charge and ‘depoliticiser’ the work that publishers have not taken these texts. However, we must trace the intention of the author in the arrangement of these ‘textes accompagnateurs’ for Itineraire 1826. In the journey to Greece, it was not only a question of literary pilgrimage, there were also descriptions of inert Greece under the Turkish yoke without showing the will to resist. But Greece in 1826 was not that of 1806. It took burn in memory those Greeks who rose to risk their lives for their independence and led a bloody struggle against the Ottoman Empire. It was for Chateaubriand to fulfill the duties towards the mother of civilization, and its agency texts relating to the Greek cause at the entrance of Itineraire 1826 as the vestibule of a Greek building. 샤토브리앙의 작품 세계에서 다양한 형태의 ‘보조 텍스트’는 적지 않은 자리를 차지한다. 많은 경우, 작품의 재검토 및 수정작업의 산물인 만큼 소홀히 다루어 질 수 없으며, 특히 작가의 대부분의 작품들이 ‘재정비’되었던 라드보카본 전집에 수록된 보조 텍스트들은 독자와 연구자의 보다 세심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 비평본에 따라 삭제되기도 하고 재생되기도 하는 일부 보조 텍스트들의 불안정한 위상에 대한 의구심에서 출발한 본 연구에서는 판본에 따라 유동적인 양상을 보이는 몇 가지 텍스트들 가운데 1826년 라드보카본을 위해 새로 구성된『여정』의 보조 텍스트를 중심으로 그 기능과 의의를 살펴보았다. 검토 대상으로 삼은 다섯 종의 현대 비평본 가운데 세 가지 비평본에는 『여정』의 서두를 장식했던 백 여 페이지에 달하는 보조 텍스트들이 재수록 되어 있지 않았다. 텍스트를 무겁게 하지 않기 위해서, 혹은 정치적인 색채를 제거하기 위해 이 글들이 ‘희생’되었을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새로운 구성의 『여정』을 준비하던 작가의 손길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여정』초판의 그리스 여행에는 고대문명의 기억을 찾아 길을 떠나는 순례자의 모습만이 그려져 있었던 것은 아니다. 오스만 제국의 억압과 횡포로 황폐해진 땅과 사람들, 또 그 암울한 미래가 그려져 있기도 했다. 그러나 1826년『여정』의 새 판본을 준비하던 시기의 그리스는 1806년의 모습과는 전연 달랐다. 조국을 핏빛으로 물들여가면서 자유와 독립을 위해 일어선 그리스의 ‘오늘’이 모두의 기억 속에 각인되도록 만들어야만 했다. 이를 위해 샤토브리앙은 전집의 첫 회 배본을 구성하는 『여정』의 1권 서두에 백여 페이지에 달하는 ‘보조 텍스트’를 수록함으로써 서구문명의 모체, 그리스에 대한 열정과 의무를 표현해냈다. The ‘textes accompagnateurs’ occupy a significant place in the work of Chateaubriand. For the most part, they are the fruits of revision, we can not neglect them. These texts, which draws us attention, it is the ‘textes accompagnateurs’ in Ladvocat edition in which all the writings of Chateaubriand are reworked and arranged. Our study is started with the question of the fickleness of the ‘textes accompagnateurs’. And we discuss in particular on the Itineraire of Ladvocat edition. Among the five critical editions we looked more closely, three did not reproduce the texts that adorn the start of the Itineraire. This is probably fot not to charge and ‘depoliticiser’ the work that publishers have not taken these texts. However, we must trace the intention of the author in the arrangement of these ‘textes accompagnateurs’ for Itineraire 1826. In the journey to Greece, it was not only a question of literary pilgrimage, there were also descriptions of inert Greece under the Turkish yoke without showing the will to resist. But Greece in 1826 was not that of 1806. It took burn in memory those Greeks who rose to risk their lives for their independence and led a bloody struggle against the Ottoman Empire. It was for Chateaubriand to fulfill the duties towards the mother of civilization, and its agency texts relating to the Greek cause at the entrance of Itineraire 1826 as the vestibule of a Greek building.

      • KCI등재

        공분산 추정방법에 따른 최적자산배분 성과 분석

        이순희(Soonhee Lee) 한국경영과학회 2014 韓國經營科學會誌 Vol.39 No.4

        In this paper, I suggest several techniques to estimate covariance matrix and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global minimum variance portfolio (GMVP) in terms of out of sampl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return. As a result, the return differences among the GMVPs are insignificant. The mean standard deviation of the GMVP using historical covariance is sensitive to the estimation window and the number of assets in the portfolio. Among the model covariance, the GMVP using constant systematic risk ratio model or using short sale restriction shows the best performance. The performance difference between the GMVPs using historical covariance and model covariance becomes insignificant as the historical covariance is estimated with longer estimation window. Lastly, the implied volatilities from ELW prices do not lead to superior performance to the historical vari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