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주 지역어의 세대 간 단모음 실현 양상

        송인성 ( Song¸ In-seo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1 民族文化硏究 Vol.92 No.-

        이 연구는 원주 지역 출신 70대와 20대 남녀 화자의 음성 자료를 구축하고 모음의 포먼트 분석과 모음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세대별 단모음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원주 지역어 단모음은 세대 간 차이가 관찰되었다. 먼저 전설 모음에서 /ㅟ/와 /ㅚ/의 경우 70대 화자는 이를 대부분 단모음으로 발음하였지만 20대 화자는 이를 대부분 이중모음으로 발음하였다. /ㅔ/와 /ㅐ/의 경우 70대 남녀 화자는 이 두 모음을 변별하여 발음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70대 남성 화자는 혀의 고저와 전후를 나타내는 F1, F2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70대 여성 화자는 F1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에 20대 남녀 화자는 /ㅔ/와 /ㅐ/를 변별하여 발음하지 않았다. F1과 F2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두 모음이 모음 공간에서 중첩되어 실현되었다. 다음으로 후설 모음의 실현 양상을 살펴보면 /ㅡ/의 경우 F2에서 세대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었으나, /ㅣ/-/ㅡ/와 /ㅡ/-/ㅜ/의 두 모음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70대와 20대 화자 모두 /ㅡ/가 전설 모음인 /ㅣ/보다 후설 모음인 /ㅜ/에 가깝게 실현되었다. /ㅓ/의 경우 F1, F2 모두 성별, 세대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ㅜ/와 /ㅗ/의 경우 70대 남녀 화자는 F1, F2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20대 남녀 화자는 혀의 전후인 F2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ㅜ/와 /ㅗ/의 거리 차이를 통해서도 세대 간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지금까지 방언학과 음성학 연구에서 관심이 부족하였던 원주 지역어를 대상으로 음향음성학적인 방법론을 통해 70대와 20대 화자의 단모음 특징과 세대 간 차이를 객관적으로 살펴본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monophthongs in the Won-ju dialect. For this purpose, voice data of male and female speakers in 70s and 20s from the Won-ju dialect were collected. And Characteristics of monophthongs were analyzed by analyzing the formants(F1, F2) of vowels and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vowels. As a results, a generational difference was observed in vowels of the Won-ju dialect. Male and female speakers 70s mainly pronounced /ㅟ/ and /ㅚ/ as monophthongs, but male and female speakers 20s mainly pronounced /ㅟ/ and /ㅚ/ as diphthongs. Male and female speakers 70s pronounced /ㅔ/ and ㅐ/ distinctly, but male and female speakers 20s did not differentiate between these two vowel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erations was observed in F2 in the articulation position of /ㅡ/, but both 70s and 20s pronounced the /ㅡ/ vowel in back. /ㅓ/ did not show any particular difference between generations. Finally, /ㅜ/ and /ㅗ/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2 between male and female speakers in 20s.

      • KCI등재

        구어에 실현되는 감탄사 ‘그래’의 담화 기능과 운율 특성

        송인성 ( Song In-seong ) 우리어문학회 2020 우리어문연구 Vol.67 No.-

        이 연구는 TV 드라마 음성 자료와 전사 자료를 이용하여 구어에 실현되는 ‘그래’의 담화 기능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운율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래’의 담화 기능은 먼저 반응어와 진행어로 구분할 수 있었다. 반응어로 사용된 경우 평서문 발화에서는 동의, 수용, 허락의 긍정 기능과 상대의 부름, 인사, 진술에 대한 응답 기능이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의문문 발화에서는 감탄이나 가벼운 놀람, 상대방 말의 진위 여부 확인, 상대방 말에 가볍게 응수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그래’가 진행어로 사용된 경우 관심 유도, 강조 기능이 실현된 것으로 해석하였다. 관심 유도 기능은 화자가 친밀하게 화제를 도입하거나 전환하는 발화 시작 상황과 발화 중에 특별한 내용이 떠올라 이를 전하고자 할 때 나타난다. 강조 기능은 화자가 자신과 관련된 내용을 인정, 시인하거나 상대방과 관련된 내용을 공감하거나 평가할 때, 다짐이나 결심을 할 때와 ‘그래’를 통해 되묻기를 하는 상황에서 나타난다. ‘그래’에 실현된 운율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발화 내 위치’, ‘음높이 유형’, ‘길이’를 분석하였다. ‘그래’는 대부분 발화 초 위치에서 실현되었으나 반응어로 실현되었을 때 단독 발화로도 실현되었고, 진행어로 실현되었을 때 발화 중, 발화 말 위치에서도 실현되었다. ‘그래’는 각 담화 기능에 따라 다양한 경계 성조가 실현되었다. 경계 성조가 고조로 실현되는 감탄·놀람, 확인, 응수 기능에서는 ‘그래’의 끝음절에 실현된 F0의 최저점과 최고점에서 차이(상승 폭)가 나타났다. 길이의 경우 긍정, 응답, 감탄·놀람, 강조에서는 상대적으로 길게 나타났고 확인, 응수, 관심 유도에서는 상대적으로 짧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그래’의 선행 연구에서 심도 있게 다루지 않은 ‘그래’의 운율 특성을 음성 자료와 음성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객관적으로 살핀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prosodic features according to the discourse functions of ‘geu-lae’ realized in spoken language using large-scale TV drama video and voice data. Previous studies lacked interest in analyzing the prosodic features realized in ‘geu-lae’. So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the prosodic features of ‘geu-lae’. The discourse functions of ‘geu-lae’ are divided into the expression of reaction to other people’s speech and the progressive expression of one’s own speech. Discourse functions that respond to other people’ speech are ‘positive answer’, ‘response to a call’, ‘admiration · surprise’, ‘confirmation of authenticity’ ‘response for gap-filler’. The discourse functions that advances one’s own speech are ‘attention’, ‘emphasis’. In order to analyze the prosodic features realized in ‘geu-lae’, the ‘position in utterance’, ‘Type of tone’, and ‘average duration’ in ‘geu-lae’ were investigated. Through this process, it was possible to grasp the main prosodic features according to the discourse functions of ‘geu-lae’.

      • KCI등재

        원주 방언의 음운 연구

        송인성 ( Song In-seong ),장향실 ( Chang Hyang-sil ),권기현 ( Kwon Ki-hyon ),김은철 ( Kim Eun-cheol ) 우리어문학회 2018 우리어문연구 Vol.62 No.-

        이 연구에서는 원주 방언의 음운론적 특징을 살피고자, 원주 9개 지역의 70세 이상 남녀 제보자를 대상으로 방언 조사를 실시하였다. 원주 방언에 나타난 음소 목록은 자음 19개, 단모음 10개, 이중모음 11개이다. 원주 지역 70세 이상 남녀 화자는 /ㅔ/와 /ㅐ/를 구별하였고, /ㅟ/와 /ㅚ/를 주로 단모음으로 발음 하였다. 그리고 /ㅢ/의 경우 주로 어두 위치에서 이중모음으로 발음하는 특징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음운현상의 경우 체언 말 자음의 교체, 자음군단순화, 구개음화, 유기음화가 표준어 규정과 다른 양상을 보였고, 또한 표준어에서 인정하지 않는 움라우트, 단모음화, 전설모음화 현상 등이 관찰되었다. 흔히 원주 방언을 중부 방언의 하위 부류로 분류하는데, 이번 조사의 결과 원주 방언은 중부 방언의 대표어라 할 수 있는 경기 방언과 음운현상 면에서 상당히 다른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중부 방언권에 속한 언어들에 대한 정밀한 연구를 통해 중부 방언에 대한 세분화가 필요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f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in Wonju dialect. For this study, we conducted a dialect survey of Wonju dialect speakers aged 70 years and over. The phonemes of Wonju dialect are 19 consonants, 10 monothongs and 11 diphthongs. The male and female speakers over 70 in Wonju dialect distinguish /ㅔ/ and /ㅐ/, and pronounce /ㅟ/ and /ㅚ/ as monothong. And it is obseved that pronoucing /ㅢ/ as diphthong in word-initial position. There were different aspects in consonant alternation regarding noun final,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palatalization and aspiration from standard Korean. And phonological phenomena not obverved in standard Korean such as umlaut, monophthongization, vowel fronting were observed. Although Wonju dialect is classified as a subclass of the central dialect,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Wonju dialect is quite different from Gyeonggi dialect in phonological aspects which could be said as representative of the central diare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fine the central dialect through more detailed studies on the central dialect.

      • KCI등재

        현대국어 호출어 ‘이+보-’류의 발달과 사용 양상의 변화

        송인성 ( Song¸ In-seo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0 民族文化硏究 Vol.89 No.-

        이 연구는 현대국어에서 호출어로 사용되고 있는 ‘이+보-’류의 발달 과정을 살펴보고, 구어 자료를 바탕으로 20세기 초부터 현재까지 호출어 ‘이+보-’류의 사용 양상의 변화를 발화 목적과 발화 상황 측면에서 파악하였다. 호출어는 호칭어, 지칭어와 함께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언어 표현으로 현대국어에서 다양한 언어 형식으로 사용된다. 호출어 ‘이+보-’류는 ‘여+보-’류가 ‘여기(를) 보-’에서 발달한 것과 같이 ‘이로 가리키는 대상을 보다’의 의미를 지닌 ‘이(를) 보-’에서 발달하여 현재 축약형인 ‘이봐’, ‘이봐요’의 형태가 주로 사용되고 변화형인 ‘이것/거 보-’도 호출어로 쓰이고 있다. 이 두 형태는 청자 대우법의 어미의 결합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나타난다. 호출어 ‘이+보-’류는 요청, 제안, 질문, 명령, 진술, 걱정, 문제 제기, 경고 등의 여러 발화 목적 및 상황에서 쓰이는데, 근래로 올수록 문제 제기, 경고 등의 상황에서 사용이 증가한다. 반면에 요청, 제안, 질문 등을 하는 상황에서의 사용은 1970년-1980년대를 기준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이 현상을 통해, 호출어 ‘이+보-’류에 문제 제기나 경고 등의 의미와 기능이 이전보다 강화되고 요청, 제안, 질문 등의 상황에서 사용 감소로 인해 전체적인 면에서는 ‘이+보-’류의 사용 범위가 축소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최근 들어 호출어 ‘저기(요)’가 요청, 제안, 질문 등의 발화 목적 및 상황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I+bo-’ class, which is used as a summonses, and to clarify the changes in the usage of the ‘I+bo-’ class in the modern Korean. Summonses is a frequently used language, and there are various types in modern Korean. The ‘I+bo-’ class is predicted to have developed from ‘I (leul) bo-’ just as the ‘Yeo+bo-’ class developed in ‘Yeogi (leul) bo-’. Currently, the abbreviated forms of ‘I-bwa-’ and ‘I-bwayo-’ are mainly used, and the transformed forms ‘I-geos/geo bo-’ is also used as summonses. These two forms appear in several forms depending on the binding pattern of Hearer-honorification endings. ‘I+bo-’ is used in various discourse situations, and in recent years, the use of ‘I+bo-’ in discourse situations such as protests and warnings ha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use of requests, suggestions, questions, etc., showed a decreasing trend from the 1970s to 1980s. Based on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meaning of protest and warning is strengthened in the ‘I+bo-’, and the entire scope of use of ‘I+bo-’ is shrinking through the reduction of use in situations such as requests and suggestions. This is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e recent use of the ‘Jeogi (yo)’ frequently in discourse situations such as requests, suggestions, and questions.

      • KCI등재

        20세기 구어 자료에 나타나는 `여보`류의 사용 양상 변화

        송인성 ( Song In-seong ) 우리어문학회 2016 우리어문연구 Vol.56 No.-

        이 연구는 20세기 구어 자료에 나타나는 `여보`류의 쓰임의 변화와 `여보`류와 공기하는 남녀별 청자 대우법 화계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여, 20세기 현대국어에서 실현되는 `여보`류 사용의 변화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20세기 현대국어에서 `여보`, `여보세요`, `여보게`, `여보시오`, `여보십시오`는 주로 화자가 낯선 사람을 부를 때, 친분이 있는 사람을 부를 때, 부부간에 서로를 부를 때, 전화 중에 상대를 부를 때 사용되었다. 이 `여보`류는 60~70년대를 기점으로 화자와 청자가 면대면 상황에서 사람을 부르는 말의 쓰임이 점점 약화되고, `여보`류 가운데 `여보`와 `여보세요`는 부부 사이라는 특정 관계와 전화 중이라는 특정 상황에서 주로 쓰이는 말로 변화가 나타났다. `여보`는 30년대부터 부부간에 서로를 부를 때 사용되었다. 70년대 이후에는 다른 기능보다 주로 부부 호칭어로 사용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여보세요`는 30년대부터 90년대까지 전화 중에 상대를 부르는 말로 꾸준히 사용되었다. 특히 전화기가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80년대 이후에 그 쓰임이 자주 나타났다. 다음으로, `여보`류에 공기하는 청자 대우법 화계의 실현 양상에 대하여 성별에 따른 차이와 시기별 청자 대우법 화계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였다. 남성은 주로 `여보`류와 격식체인 합쇼체, 하오체를 사용하다가 60~70년대 이후에 친분이 있는 사람이나 아내를 부를 때는 비격식체인 해체를 사용하는 변화를 보였다. 여성은 `여보`류와 비격식체인 해요체를 주로 사용하였는데, 남편을 부를 때 60년대까지 해요체와 하오체를 같이 사용하다가, 60년대 이후로는 해요체만 사용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aspects of the `Yeobo` class in Korean using spoken language corpus of the 20th century. `Yeobo` class has a same meaning that calls a person close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hearer-honorification lev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in the following. First, `Yeobo` class has not been used when speaker calls a stranger or familiar person since the 1960s and 1970s. `Yeobo` and `Yeoboseyo` have changed of uses; `Yeobo` is used only between husband and wife and `Yeoboseyo` used in a phone call. Second, hearer-honorification levels with `Yeobo` class depended on gender. And when calling in an close relationship or between married, hearer-honorification levels have changed from formal to informal style in modern Korean in the 20 century.

      • KCI등재

        20세기 초 구어 연구를 위한 음성 자료의 유형과 특징에 대한 고찰

        오재혁 ( Jea Hyuk Oh ),송인성 ( In Seong Song ),도원영 ( Won Young Doh ),홍종선 ( Jong Seon Hong ) 민족어문학회 2014 어문논집 Vol.- No.70

        이 연구는 20세기 초 음성 자료의 유형과 특징을 고찰하여 현대 국어 초기의 구어를 연구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 가치와 활용 방안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지금까지 소개되었거나 전해지는 20세기 초 음성 자료의 현황을 살피고 자료의 내용과 보존 방식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여 각 유형별 자료에서 발견되는 특징적인 점들을 찾아 구어 연구에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20세기 초 음성 자료에는 유성기 음반으로 녹음된 구연, 연설, 강연, 연극, 영화 등의 자료와 한국영상자료원에서 필름을 복원하여 보존하고 있는 영화 자료 등이 있다. 국어학적인 관점에서 구어는 장르적 속성으로 참여자 간의 역할(tenor)에 따라 ‘일방향’, ‘양방향’, 그리고 ‘격식적’, ‘비격식적’ 유형으로 구분하고, 말하는 내용 즉 영역(field)에 따라 ‘전문적’, ‘일반적’으로 구분하여 분류하면 모두 8가지의 부류로 분류할 수 있다. 20세기 초 음성 자료는 이 중에서 ‘전문적인 격식적 일방향’, ‘일반적인 격식적 일방향’, ‘일반적인 비격식적 일방향’, ‘일반적인 비격식적 양방향’ 음성 자료만 발견된다. 한편 자료의 보존 방식에 따라서는 소리만 전하는 자료와 소리와 영상이 같이 전하는 자료, 그리고 후대에 전사를 하여 문자로도 기록된 자료로 나눌 수 있는데, 유성기 음반은 소리만 전하는 자료이며, 영화 필름 자료는 소리와 영상이 같이 전하는 자료이다. 유성기 음반 중에는 음성이 채록되어 전사된 기록 자료가 있다. 음성 자료는 문자 자료로는 살피기 어려운 언어생활의 실제성 즉 언어 사용의 생생한 면모를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자료로서의 가치가 매우 높다. 음성이 녹음되기 시작한 시대부터 음성 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분류해 놓는 작업은, 구어의 변화와 확산 과정을 연구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at determining the value and practical method as preliminary materials for the research of spoken language in its initial form of modern Korean language, exploring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phonetic material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o do this,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of phonetic data at the start of the 20 century, which has been introduced or passed on up to now, discovered distinct features found in each type of data by dividing types into the contents of data and the methods of preservation, and had discussion on the possible application of spoken research. Phonetic material in early 20th century included not only materials such as story-telling, speech, lecture, play and movie recorded on gramophone but also film material of which Korean Federation of Film Archives restored films and kept. From the prospective of Korean linguistics, spoken language is divided into ``one-way``, ``two-way`` and ``informal``, ``formal`` according to the role of participants (tenor) and divided into ``professional`` and ``normal`` depending on what people say, or field: It is classified into 8 groups. Among them, in early 20th century, there was only phonetic data on ``professional and formal one-way``, ``normal and formal one-way``, ``normal and informal one-way``, ``normal and informal two-way``. Meanwhile, depending on the method of data preservation, it is divided into phonetic material, phonetic and image material, and material written in the form of characters that was transcribed by later generations. While gramophone record is a device for conveying sound, movie film data shows sound and voice. Among gramophone record, there is a recorded data in which voice was recorded and transcribed. Phonetic material is highly valuable because it indicates the vivid aspects of daily use of language, compared with written material that is far from showing how people actually use their language. In order to carry out research for changes in spoken language and the process of the spread, it is necessarily needed to systematically prepare and classify phonetic material starting from the period of the beginning of phonetic recording.

      • KCI등재

        압착식, 압출식 착유 대마 종실유의 색깔과 주요성분 비교

        문윤호(Youn Ho Moon),연상(Yeon Sang Song),김광수(Kwang Soo Kim),이지은(Ji Eun Lee),유경단(Gyeong Dan Yu),이영화(Young Hwa Lee),이경보(Kyeong Bo Lee),인성(In Seong Choi),차영록(Young Lok Cha) 한국유화학회 2017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4 No.3

        대마[Cannabis sativa L.]는 오랫동안 섬유작물로 재배되었지만 종실의 기름 함량이 많고 불포화지방산 비율이 높아 식용유 원료작물로 유망하다. 오랫동안 대마 종실유를 이용해온 유럽의 여러 나라에서는 압출식으로 착유하는데, 이용 역사가 짧은 우리나라에서는 대마 종실유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소비자 기호도가 낮은 편이다. 본 연구는 압착식과 압출식으로 착유한 대마 종실유의 성분을 분석하여 소비자들에게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압출식 착유기로 착유하면 착유량이 압착식에 비해 많았다. 착유 부산물인 유박은 압출식에서는 으깨어져 얇고 납작하게 배출되지만, 압착식은 종실이 다소 납작해졌으나 종실의 형상을 유지하였다. 압출식 착유 종실유는 압착식에 비해 Chlorophyll A, B 및 Carotenoid 함량이 높아 명도(L)는 낮고 녹색과 황색은 진하였다. 지방산 조성에서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icid, γ-Linolenic acid 비율은 압출식 착유 종실유가 압착식에 비해 다소 높았으나, Linoleic acid와 α-Linolenic acid는 낮았다. 대마 종실유는 총 토코페롤 함량이 많고 그 중 γ-Tocopherol 함량이 많은 것이 특징이었는데 압출식 착유 종실유가 압착식에 비해 다소 적었다. Hemp [Cannabis sativa L.] has been cultivated as a fiber crop for long history, but it was a good oil crop because its seed contain plenty of lipid which is high ratio of unsaturated fatty acid. Hemp seed oil was extracted with a extruding method in many countries including Europe. The color of oil extracted with extruding method is dark green which could be difficult to attract consumer’s interest in Korea because of insufficient information about hemp seed oil. This study was conducted to know correct information about hemp seed oils which were extracted with pressuring and extruding methods. In extruding method, seeds were crushed during the extracting process and discharged oil cake in shape of thin ribbon, but maintained seed shape although the seed were slightly flatted in pressuring method. Oil yield were higher in the extruding method in comparison with pressuring method. The oil have lower degree of lightness but higher degree of greenness and yellowness in the extruding method in comparison with pressuring method because of higher content of chlorophyll A, B and carotenoid. In fatty acid composition, the ratio of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and γ-linolenic acid were higher but linoleic acid and α-linolenic acid were lower in the extruding method in comparison with pressuring method. The content of total tocopherol and γ -tocopherol were lower in the extruding method in comparison with pressuring method.

      • KCI등재

        옵티컬 그리드 환경에서 DAG 계층화를 통한 스케줄링 알고리즘

        윤완오(Wan-Oh Yoon),임현수(Hyun-Soo Lim),송인성(In-Seong Song),김지원(Ji-Won Kim),최상방(Sang-Bang Choi) 대한전자공학회 2010 電子工學會論文誌-CI (Computer and Information) Vol.47 No.4

        그리드 시스템에서 리스트 스케줄링 기반의 알고리즘을 사용한 태스크 스케줄링은 프로세서의 완전 연결된 환경에서 낮은 시간 복잡도와 높은 효율성을 보여준다. 하지만 기존 알고리즘은 태스크 간의 통신비용 및 옵티컬 그리드 환경에서 통신이 이루어지는 경로인 lightpath의 구성 과정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옵티컬 그리드 환경에 최적화 된 방향성 비순환 그래프(Directed Acyclic Graph, DAG)를 계층화하여 태스크의 할당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계층화 선택 알고리즘인 LSOG(Leveling Selection in Optical Grid)을 제안한다. 이 알고리즘은 동일한 계층 내 태스크들의 할당 우선순위를 결정할 때 부모 태스크와 통신비용이 가장 큰 태스크를 먼저 수행한 뒤 각각의 네트워크에서 태스크 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는 가장 짧은 길이의 경로를 고려한다. 이 과정은 옵티컬 그리드 환경에서 링크 리소스 사용을 최적화하여 스케줄링 과정의 통신비용을 개선시킨다. 기존의 알고리즘 중 ELSA (Extended List Scheduling Algorithm)와 SCP (Scheduled Critical Path) 알고리즘을 LSOG 와 비교한 결과 CCR 값의 증가와 네트워크 환경이 원활함에 따라 전체 스케줄링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In grid system, Task scheduling based on list scheduling models has showed low complexity and high efficiency in fully connected processor set environment. However, earlier schemes did not consider sufficiently the communication cost among tasks and the composition process of lightpath for communication in optical gird environment. In this thesis, we propose LSOG (Leveling Selection in Optical Grid) which sets task priority after forming a hierarchical directed acyclic graph (DAG) that is optimized in optical grid environment. To determine priorities of task assignment in the same level, proposed algorithm executes the task with biggest communication cost between itself and its predecessor. Then, it considers the shortest route for communication between tasks. This process improves communication cost in scheduling process through optimizing link resource usage in optical grid environment. We compared LSOG algorithm with conventional ELSA (Extended List Scheduling Algorithm) and SCP (Scheduled Critical Path) algorithm. We could see the enhancement in overall scheduling performance through increment in CCR value and smoothing network environment.

      • SCOPUSKCI등재

        크론병에서 항문 주위 병변의 임상상과 치료에 대한 반응

        김현대 ( Kim Hyeon Dae ),김찬규 ( Kim Chan Gyu ),김지원 ( Kim Ji Won ),김상균 ( Kim Sang Gyun ),김병관 ( Kim Byeong Gwan ),김주성 ( Kim Ju Seong ),정현채 ( Jeong Hyeon Chae ),송인성 ( Song In Seong ) 대한소화기학회 2003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2 No.2

        Background/Aim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linical features and therapeutic responses of perianal lesions in Crohn`s disease.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medical records of 94 cases with perianal lesions among 231 cases registered as Crohn`s disease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1975 and June 2001. The cases were investigated after dividing into two different groups. One group included the cases registered between January 1975 and December 1996 and the other group between January 1997 and June 2001. Results: The perianal lesions were observed in 41% of the cases. Perianal lesions were more frequent in colonic Crohn`s disease after 1997, but not before 1996. Fistula was significantly prevalent, followed by abscess, fissure, and stricture. Perianal lesions preceded intestinal symptoms such as abdominal pain and diarrhea in 25% of the cases. The remission rate with non-specific conservative treatment (10%) was lower than that before 1996. The remission rate after specific treatment (77%) was higher than that after surgery (53%). In cases of specific treatment, cumulative relapse rates were 7% in 1 year and 39% in 5 years. Conclusions: Crohn`s disease should be considered in young male patients who have the refractory perianal lesions. Perianal lesions should be managed initially with medical treatment. (Korean J Gastroenterol 2003;42:128-133)

      • 唐宋선종 어록에 나타난 몇 가지 語氣助詞

        송인성 ( Song In-seong ) 성철사상연구원 1999 백련불교논집 Vol.9 No.-

        唐宋禪宗文獻, 尤其是其語錄部分, 在同時代的各類文獻中, 含有非常豐富的口語詞. 本文以『祖堂集』ㆍ『景德傳燈錄』ㆍ『五燈會元』等唐宋禪宗語錄爲 主要材料, 探討下列三個語氣助詞的用法, 發展情況及來源等, 其結果如下: ① “那”始見於六朝, 但多見於五代以後, 主要表示疑問及肯定語氣, 明代以後被“呢(哩)”“麽”取代. ② “摩(磨·麽)”已在唐末五代多見, 主要表示疑問語氣, 在淸代被“嗎”取代. ③ “聻(你·口爾)”始見於五代, 主要表示疑問語氣, 至元明代被“呢”取代. ④ 現代漢語助詞“嗎”及“呢”的來源分別是“摩(磨·麽)及”聻(你․口爾).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