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항공 우주 해상 : 항공 교통 상황 종합 현시 기능을 갖는 ADS-B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송인성 ( In Seong Song ),장은미 ( Eun Mee Jang ),윤완오 ( Wan Oh Yoon ),최상방 ( Sang Bang Choi ) 한국항행학회 2014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18 No.4

        ADS-B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항공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새롭게 개발된 항공 감시 기술로 레이더에 비해 높은 정확도와 빠른 갱신 주기를 제공하여 레이더를 대체하거나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지상 시스템과 항공기 간의 정보 교환에 무선 데이터링크를 사용하며 지상 시스템 내부의 정보 교환에 무결성이 보장되지 않는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때문에 ADS-B 시스템의 운용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ADS-B 시스템의 운용 상태 감시 기능과 더불어 ADS-B 감시 자료, 레이더 감시 자료, 비행 정보를 활용하여 항공 교통 상황을 종합적으로 현시할 수 있는 항공 교통 상황 종합 현시 기능을 갖는 ADS-B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구현한 시스템은 직접 구성한 ADS-B 지상 시스템과 연결하여 비행중인 항공기의 ADS-B 감시 자료와 레이더 감시 자료, 가상의 비행 정보를 수신한 뒤 현시하는 방법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ADS-B is a newly developed air surveillance technology to address the consistently increasing air traffic needs. ADS-B attracts attention for replacing or complementing a conventional radar since ADS-B can provide more accurate position information with a shorter interval when compared to the radar. However, as ADS-B uses wireless data links on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an aircraft and a ground ADS-B system, and uses protocols without integrity support on exchanging information within the ground ADS-B system, a system which can monitor the operational status of an ADS-B system is essential. In this work, we design and implement an ADS-B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isplaying air traffic situation that can show the comprehensive air traffic situation while monitoring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ADS-B system. The implemented ADS-B monitoring system has been verified with a configured ADS-B ground system by displaying ADS-B surveillance data, radar surveillance data, and flight information after receiving live surveillance data of in flight aircrafts, and virtual flight information data.

      • KCI등재

        원주 방언의 음운 연구

        송인성 ( Song In-seong ),장향실 ( Chang Hyang-sil ),권기현 ( Kwon Ki-hyon ),김은철 ( Kim Eun-cheol ) 우리어문학회 2018 우리어문연구 Vol.62 No.-

        이 연구에서는 원주 방언의 음운론적 특징을 살피고자, 원주 9개 지역의 70세 이상 남녀 제보자를 대상으로 방언 조사를 실시하였다. 원주 방언에 나타난 음소 목록은 자음 19개, 단모음 10개, 이중모음 11개이다. 원주 지역 70세 이상 남녀 화자는 /ㅔ/와 /ㅐ/를 구별하였고, /ㅟ/와 /ㅚ/를 주로 단모음으로 발음 하였다. 그리고 /ㅢ/의 경우 주로 어두 위치에서 이중모음으로 발음하는 특징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음운현상의 경우 체언 말 자음의 교체, 자음군단순화, 구개음화, 유기음화가 표준어 규정과 다른 양상을 보였고, 또한 표준어에서 인정하지 않는 움라우트, 단모음화, 전설모음화 현상 등이 관찰되었다. 흔히 원주 방언을 중부 방언의 하위 부류로 분류하는데, 이번 조사의 결과 원주 방언은 중부 방언의 대표어라 할 수 있는 경기 방언과 음운현상 면에서 상당히 다른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중부 방언권에 속한 언어들에 대한 정밀한 연구를 통해 중부 방언에 대한 세분화가 필요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f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in Wonju dialect. For this study, we conducted a dialect survey of Wonju dialect speakers aged 70 years and over. The phonemes of Wonju dialect are 19 consonants, 10 monothongs and 11 diphthongs. The male and female speakers over 70 in Wonju dialect distinguish /ㅔ/ and /ㅐ/, and pronounce /ㅟ/ and /ㅚ/ as monothong. And it is obseved that pronoucing /ㅢ/ as diphthong in word-initial position. There were different aspects in consonant alternation regarding noun final,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palatalization and aspiration from standard Korean. And phonological phenomena not obverved in standard Korean such as umlaut, monophthongization, vowel fronting were observed. Although Wonju dialect is classified as a subclass of the central dialect,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Wonju dialect is quite different from Gyeonggi dialect in phonological aspects which could be said as representative of the central diare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fine the central dialect through more detailed studies on the central dialect.

      • 唐宋선종 어록에 나타난 몇 가지 語氣助詞

        송인성 ( Song In-seong ) 성철사상연구원 1999 백련불교논집 Vol.9 No.-

        唐宋禪宗文獻, 尤其是其語錄部分, 在同時代的各類文獻中, 含有非常豐富的口語詞. 本文以『祖堂集』ㆍ『景德傳燈錄』ㆍ『五燈會元』等唐宋禪宗語錄爲 主要材料, 探討下列三個語氣助詞的用法, 發展情況及來源等, 其結果如下: ① “那”始見於六朝, 但多見於五代以後, 主要表示疑問及肯定語氣, 明代以後被“呢(哩)”“麽”取代. ② “摩(磨·麽)”已在唐末五代多見, 主要表示疑問語氣, 在淸代被“嗎”取代. ③ “聻(你·口爾)”始見於五代, 主要表示疑問語氣, 至元明代被“呢”取代. ④ 現代漢語助詞“嗎”及“呢”的來源分別是“摩(磨·麽)及”聻(你․口爾).

      • 당송(唐宋) 선종어록(禪宗語錄)의 언어연구(言語硏究) 현황(現況)과 과제(課題)

        송인성 ( Song In-seong ) 성철사상연구원 2000 백련불교논집 Vol.10 No.-

        本文先簡要介紹了唐宋禪宗語錄的主要文獻及其語言上的特色, 再討論了中國(含臺灣地區). 日本及韓國的禪宗語錄語言硏究現況及若干問題. 比較三國的硏究水平, 韓國算剛起步, 其水平還不如中國·日本. 故本文先提出幾個觀點, 以便普及禪學;再提出一些看法, 以提高禪宗語錄語言硏究水平.

      • KCI등재

        현대국어 호출어 ‘이+보-’류의 발달과 사용 양상의 변화

        송인성 ( Song¸ In-seo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0 民族文化硏究 Vol.89 No.-

        이 연구는 현대국어에서 호출어로 사용되고 있는 ‘이+보-’류의 발달 과정을 살펴보고, 구어 자료를 바탕으로 20세기 초부터 현재까지 호출어 ‘이+보-’류의 사용 양상의 변화를 발화 목적과 발화 상황 측면에서 파악하였다. 호출어는 호칭어, 지칭어와 함께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언어 표현으로 현대국어에서 다양한 언어 형식으로 사용된다. 호출어 ‘이+보-’류는 ‘여+보-’류가 ‘여기(를) 보-’에서 발달한 것과 같이 ‘이로 가리키는 대상을 보다’의 의미를 지닌 ‘이(를) 보-’에서 발달하여 현재 축약형인 ‘이봐’, ‘이봐요’의 형태가 주로 사용되고 변화형인 ‘이것/거 보-’도 호출어로 쓰이고 있다. 이 두 형태는 청자 대우법의 어미의 결합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나타난다. 호출어 ‘이+보-’류는 요청, 제안, 질문, 명령, 진술, 걱정, 문제 제기, 경고 등의 여러 발화 목적 및 상황에서 쓰이는데, 근래로 올수록 문제 제기, 경고 등의 상황에서 사용이 증가한다. 반면에 요청, 제안, 질문 등을 하는 상황에서의 사용은 1970년-1980년대를 기준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이 현상을 통해, 호출어 ‘이+보-’류에 문제 제기나 경고 등의 의미와 기능이 이전보다 강화되고 요청, 제안, 질문 등의 상황에서 사용 감소로 인해 전체적인 면에서는 ‘이+보-’류의 사용 범위가 축소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최근 들어 호출어 ‘저기(요)’가 요청, 제안, 질문 등의 발화 목적 및 상황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I+bo-’ class, which is used as a summonses, and to clarify the changes in the usage of the ‘I+bo-’ class in the modern Korean. Summonses is a frequently used language, and there are various types in modern Korean. The ‘I+bo-’ class is predicted to have developed from ‘I (leul) bo-’ just as the ‘Yeo+bo-’ class developed in ‘Yeogi (leul) bo-’. Currently, the abbreviated forms of ‘I-bwa-’ and ‘I-bwayo-’ are mainly used, and the transformed forms ‘I-geos/geo bo-’ is also used as summonses. These two forms appear in several forms depending on the binding pattern of Hearer-honorification endings. ‘I+bo-’ is used in various discourse situations, and in recent years, the use of ‘I+bo-’ in discourse situations such as protests and warnings ha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use of requests, suggestions, questions, etc., showed a decreasing trend from the 1970s to 1980s. Based on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meaning of protest and warning is strengthened in the ‘I+bo-’, and the entire scope of use of ‘I+bo-’ is shrinking through the reduction of use in situations such as requests and suggestions. This is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e recent use of the ‘Jeogi (yo)’ frequently in discourse situations such as requests, suggestions, and questions.

      • KCI등재

        원주 지역어의 세대 간 단모음 실현 양상

        송인성 ( Song¸ In-seo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1 民族文化硏究 Vol.92 No.-

        이 연구는 원주 지역 출신 70대와 20대 남녀 화자의 음성 자료를 구축하고 모음의 포먼트 분석과 모음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세대별 단모음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원주 지역어 단모음은 세대 간 차이가 관찰되었다. 먼저 전설 모음에서 /ㅟ/와 /ㅚ/의 경우 70대 화자는 이를 대부분 단모음으로 발음하였지만 20대 화자는 이를 대부분 이중모음으로 발음하였다. /ㅔ/와 /ㅐ/의 경우 70대 남녀 화자는 이 두 모음을 변별하여 발음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70대 남성 화자는 혀의 고저와 전후를 나타내는 F1, F2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70대 여성 화자는 F1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에 20대 남녀 화자는 /ㅔ/와 /ㅐ/를 변별하여 발음하지 않았다. F1과 F2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두 모음이 모음 공간에서 중첩되어 실현되었다. 다음으로 후설 모음의 실현 양상을 살펴보면 /ㅡ/의 경우 F2에서 세대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었으나, /ㅣ/-/ㅡ/와 /ㅡ/-/ㅜ/의 두 모음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70대와 20대 화자 모두 /ㅡ/가 전설 모음인 /ㅣ/보다 후설 모음인 /ㅜ/에 가깝게 실현되었다. /ㅓ/의 경우 F1, F2 모두 성별, 세대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ㅜ/와 /ㅗ/의 경우 70대 남녀 화자는 F1, F2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20대 남녀 화자는 혀의 전후인 F2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ㅜ/와 /ㅗ/의 거리 차이를 통해서도 세대 간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지금까지 방언학과 음성학 연구에서 관심이 부족하였던 원주 지역어를 대상으로 음향음성학적인 방법론을 통해 70대와 20대 화자의 단모음 특징과 세대 간 차이를 객관적으로 살펴본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monophthongs in the Won-ju dialect. For this purpose, voice data of male and female speakers in 70s and 20s from the Won-ju dialect were collected. And Characteristics of monophthongs were analyzed by analyzing the formants(F1, F2) of vowels and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vowels. As a results, a generational difference was observed in vowels of the Won-ju dialect. Male and female speakers 70s mainly pronounced /ㅟ/ and /ㅚ/ as monophthongs, but male and female speakers 20s mainly pronounced /ㅟ/ and /ㅚ/ as diphthongs. Male and female speakers 70s pronounced /ㅔ/ and ㅐ/ distinctly, but male and female speakers 20s did not differentiate between these two vowel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erations was observed in F2 in the articulation position of /ㅡ/, but both 70s and 20s pronounced the /ㅡ/ vowel in back. /ㅓ/ did not show any particular difference between generations. Finally, /ㅜ/ and /ㅗ/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2 between male and female speakers in 20s.

      • KCI등재

        20세기 구어 자료에 나타나는 `여보`류의 사용 양상 변화

        송인성 ( Song In-seong ) 우리어문학회 2016 우리어문연구 Vol.56 No.-

        이 연구는 20세기 구어 자료에 나타나는 `여보`류의 쓰임의 변화와 `여보`류와 공기하는 남녀별 청자 대우법 화계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여, 20세기 현대국어에서 실현되는 `여보`류 사용의 변화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20세기 현대국어에서 `여보`, `여보세요`, `여보게`, `여보시오`, `여보십시오`는 주로 화자가 낯선 사람을 부를 때, 친분이 있는 사람을 부를 때, 부부간에 서로를 부를 때, 전화 중에 상대를 부를 때 사용되었다. 이 `여보`류는 60~70년대를 기점으로 화자와 청자가 면대면 상황에서 사람을 부르는 말의 쓰임이 점점 약화되고, `여보`류 가운데 `여보`와 `여보세요`는 부부 사이라는 특정 관계와 전화 중이라는 특정 상황에서 주로 쓰이는 말로 변화가 나타났다. `여보`는 30년대부터 부부간에 서로를 부를 때 사용되었다. 70년대 이후에는 다른 기능보다 주로 부부 호칭어로 사용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여보세요`는 30년대부터 90년대까지 전화 중에 상대를 부르는 말로 꾸준히 사용되었다. 특히 전화기가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80년대 이후에 그 쓰임이 자주 나타났다. 다음으로, `여보`류에 공기하는 청자 대우법 화계의 실현 양상에 대하여 성별에 따른 차이와 시기별 청자 대우법 화계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였다. 남성은 주로 `여보`류와 격식체인 합쇼체, 하오체를 사용하다가 60~70년대 이후에 친분이 있는 사람이나 아내를 부를 때는 비격식체인 해체를 사용하는 변화를 보였다. 여성은 `여보`류와 비격식체인 해요체를 주로 사용하였는데, 남편을 부를 때 60년대까지 해요체와 하오체를 같이 사용하다가, 60년대 이후로는 해요체만 사용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aspects of the `Yeobo` class in Korean using spoken language corpus of the 20th century. `Yeobo` class has a same meaning that calls a person close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hearer-honorification lev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in the following. First, `Yeobo` class has not been used when speaker calls a stranger or familiar person since the 1960s and 1970s. `Yeobo` and `Yeoboseyo` have changed of uses; `Yeobo` is used only between husband and wife and `Yeoboseyo` used in a phone call. Second, hearer-honorification levels with `Yeobo` class depended on gender. And when calling in an close relationship or between married, hearer-honorification levels have changed from formal to informal style in modern Korean in the 20 century.

      • KCI등재

        담화표지 `뭐`의 기능과 운율적 특성

        송인성(In Seong Song) 한국어학회 2013 한국어학 Vol.58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sodic features of discourse marker ``mweo``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and to examine patterns of prosodic features related the functions. The previous studies of discourse marker ``mweo`` analyzed meanings and functions of ``mweo``. However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sodic features of ``mweo`` based on spontaneous speech corpus and actual speech data. By extension, I reveal unique prosodic features of ``mweo`` related to their functions. In order to analyze functions and prosodic features of ``mweo``, I extract total 784 times of ``mweo`` from corpus. The cues of prosodic features are position of utterance, prosodic unit, duration, pause, intonation (or tone). And I sort out eight functions among various discourse-textual functions of ``mweo``. The results show that the functions of ``mweo`` widely tend to be realize in each positions of utterance (initial, medial, final). Furthermore three functions (delay, focus, refutation) of ``mweo`` have salient prosodic features in each positions of utter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