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Effect of ${\alpha}$-Interferon 2b on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with High Serum ALT

        이헌주,송영두,Lee, Heon-Ju,Song, Young-Doo Yeungna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1998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15 No.2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Interferon (IFN) 치료 후 혈청 HBeAg 소실 및 anti-HBe의 양전율을 높이고 효율적인 치료의 근거를 알기 위하여 치료 전 간기능검사상 갑자기 상승한 혈청 ALT치를 나타낸 환자군과 그렇지 않은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여 IFN을 투여한 군과 IFN 치료없이 정상 HBeAg의 자연 소실을 보인 환자군을 임상적으로 장기간 관찰하고 조사하였다. ALT치가 정상 상한치의 4배 이상 높이 증가되어 3개월 이상 왕복을 보인 40명의 환자(A군)와 ALT치가 정상 상한치의 3배 이하로 증가된 10명(B군)에게 ${\alpha}$-IFN 2b를 매일 300만 단위 피하주사로 3~12개월 주사하였다. 대조군으로는 ALT치가 A군처럼 장승한 45명 (C군)이었으며, IFN 치료없이 평균 2.9년을 관찰하였다. HBeAg/anti-HBe 혈청 양전율은 A군 68%, B군 20%, C군 13%이었으며 IFN 치료 중단 후 1년까지의 HBeAg 재양성율은 A군에서 29%였고 HBeAg이 소실된 A와 B군의 38명중에서 6명에서 HBV DNA가 양성이었다. 6명중 4명은 HBeAg/anti-HBe 양전을 보였으나 HBV DNA 양성이었고 나머지 2명은 HBeAg, anti-HBe 및 HBV DNA (hybridization) 모두 음성이었으나 중합효소연쇄반응검사상 HBV DNA 양성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비록 IFN 치료 후에 HBeAg이 소실되었다가 다시 양성화되더라도 IFN은 단기간내에 혈중 HBeAg이나 DNA가 자연적으로 감소가 될 환자나 그렇지 않은 환자에게도 HBV의 비증식화를 유발하여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IFN 투여 후에도 혈중 HBeAg과 DNA 소실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 환자 및 HBV 증식 억제효과가 기대되는 HBV 간질환 환자의 조건, IFN 투여량, 기간 등에 대한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로 더 나은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건강진단자에서 복부초음파검사상 나타난 공간점유간병소에 대한 임상적 고찰

        김기윤(Ki Yun Kim),이헌주(Heon Ju Lee),서정일(Jeong Ill Suh),박찬원(Chan Won Back),이동준(Dong Jun Lee),송영두(Young Doo Song),도갑석(Gab Suk Doh),전경진(Kweong Jin Jeon),김준환(Jun Hawn Kim) 대한내과학회 1996 대한내과학회지 Vol.51 No.2

        N/A Objectives: Ultrasonography(USG) is widely used for the screening and detection of liver SOL in pa- tients with acute and chronic hepatopathy, but the prevalence of liver SOL on a nonselected population by ultrasonographic screening examination is not well know. We experienced some patients with liver SOL in a automated med-screening center visitor by USG and reviewed the prevalence and clinical aspects of liver SOL detected by USG in a view of dynamic relation to hepatoma. Methods: Form March 1983 to April 1994, USG was performed on 27,140 visitors from a urban and suburban area of Taegu city. Initial USG of the liver was followed by follow up USG and other imaging modalities in case it was necessary. Results: 1) Liver SOL was detected in 337 cases(1.24%) of 27140 examinees by initial screening USG. 2) Among 337 cases of liver SOL 226(67.1%) of cyst, 19(5.7%) of hepatoma, 15(4.5%) of hemangioma, 12(3.6%) of polycystic kidney, 2(0.6%) of metastatic cancer, 1(0.3%) of abscess, 22(6.5%) of false positive finding without SOL and 40 cases(11.9%) of nonspecific questionable SOL without confirmation were noted at the end. 3) The sensitivity of USG detecting liver SOL was 93.5% and 100.0%, 93.3% and 94.7 in cyst, hemangioma and hepatoma respectively. False positivity of USG was 6.5%. 4) The incidence rate of hepatoma is presumed to be 8.1 and 3.5 per 100,000 in male nad female, respectively. Coclusion: The prevalence of liver SOL in general population by USG screening was presumed to be 1.24%. USG screening and follow up examination might be needed for the detection of benign and

      • 뇌형 말라리아 1예

        이현우,송영두,이충기,이형우,박종원,원규장,전경진,김정숙 대한감염학회 1996 감염 Vol.28 No.4

        저자들은 중부 아프리카 케냐를 여행한 후 감염된 열대열 말라리아의 중증 감염인 뇌형 말라리아 1예를 치료 경험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ere are about 300 million cases of malaria worldwide and several million deaths annually. Recently, many cases of malaria have been reported in Korea because of increasing chance to travel to the foreign country. We experienced a case with cerebral malaria in a 26 year old Korean female after visiting to Kenya, Africa. She was initially treated with chloroquine, which was changed to quinidine, and tetracycline and exchange transfusion due to comatous mentality on the third hospital day. She was successfully recovered on the 7th hospital day without neurologic sequelae.

      • 당뇨병환자에서 무증상세균뇨

        도갑석,송영두,원규장,조인호,이충기,이형우,이현우,신경철 대한감염학회 1995 감염 Vol.27 No.3

        배경:배뇨곤란, 빈뇨, 잔뇨감 등 현성 요로감염의 증상이 없는 부증상세균뇨의 발생빈도가 여자 당뇨병환자에서 당뇨병이 없는 여자보다 더 높다는 보고가 있으나, 연구자에 따라 그 결과가 다르게 보고되고 있다. 방법:1992년 1월부터 1993년 6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내과에 입원한 당뇨병환자 279명(남자146명, 여자133명)을 대상으로 무증상세균뇨의 유병률을 조사하고 연령, 당뇨병 이환기간, 당화혈색소(HbAl), QTc간격, CAN score및 당뇨병성 미세혈관합병증 등이 무증상세균뇨 발생빈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결과:당뇨병 환자군 전체의 무증상세균뇨 유병률은 9.6%로 대조군의 1.1%보다 높았으며 특히 여자환자군의 유병률은 15.8%로 여자 대조군의 1.5%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p<0.001), 남자환자군은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연령에 따른 무증상세균뇨의 유병률은 50대, 60대, 70대에서 각각 13.6%, 10.8%, 13.0%이었으며 50대 이상이 전체 27례중 23례로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CAN test중 Valsalva ratio는 세균뇨가 있는 군과 없는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여자 환자군의 QTc간격은 무증상세균뇨가 있는 군은 428.3msec, 없는 군은 410.6msec로 두 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당뇨관련인자가 무증상세균뇨의 발생빈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에서는 당뇨병 이환기간, HbAl, 당뇨병성신증 및 망막병증 등과는 서로 상관이 없었으나 당뇨병성 자율신경병증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무증상세균뇨의 원인균으로 E.coil가 가장 많았으며 그외 Enterococcus, Pseudomonas, Enterobacter, Klebsiella, Staphyiococcus등도 배양되었다. 결론:당뇨병 환자에서 무증상세균뇨의 유병률은 일반인에 비해 높았으며 특히 고령의 여자에서 높은 발생빈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당뇨관련 인자중 당뇨병성신경증과 자율신경계 손상 등은 무증상세균뇨의 발생빈도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The majority of investigators have reported that the prevalence of asymptomatic bacteriuria is higher in diabetic women than in nondiabetic women. Several promoters of bactriruia have been suggested in the diabetic host, such as glycosuria, immune defence defects or autonomic neuropthy, affecting bladder and unethral function. Methods: The prevalence of asymptomatic bacteriuria was studied in 279 diabetic patients and 182 nondiabetic controls. The possible role of host factors such as glycosylated hemoglobin, duration of diabetes mellitus, cardiovascular autonomic reflex, diabetic microangiopathies, was also assessed in diabetic patients with or without bacteriuria. Results: The prevalence of asymptomatic bacteriuri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diabetic women than in nondiabetic controls(15.8 vs 1.5%, p<0.001), but not higher in diabetic men. Escherichia coli was found in 70.3% of urine culture with significant growth from diabetic patients. Risk of asymptomatic becteriruia was not related to the level of glycosylated hemoglobin(HbA₁), eman duration of diabetes mellitus, diabetic nephropathy or retinopathy. Abnormalities of cardiovascular autonomic function and diabetic neuropathy were more common in diabetic patients with bacteriuria than in those without bacteriuria.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abetic patients with abnormal cardiovascular reflex test and autonomic neuropathy appear to be at increased risk of developing bacteriuria.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diovascular test of autonomic function and autonomic abnormalities in other systems, especially involving bladder innervation.

      • 간동맥 색전술이 간세포암의 폐 전이에 미치는 영향

        이헌주,송영두,박찬원,은종렬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2000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17 No.1

        1991년 3월부터 1995년 3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내과에 입원해서 혈청학적, 방사선학적 및 조직학적으로 간세포암으로 진단받은 156명의 환자 중 진단당시부터 폐전이를 동반한 12명(7.7%)을 제외한 14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최소한 5개월 이상을 추적관찰하여 폐전이를 동반한 경우와 동반하지 않은 경우로 나누어 나이, 성별, Child-Pugh 점수, 간경변증 동반유무, AFP치 및 간동맥 색전술여부 등을 조사하여 그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추적관찰중 폐전이를 동반한 경우가 26례(18.0%)였는데 간동맥 색전술을 시행한 경우가 26례 중 24례(92.3%), 시행하지않은 경우가 26례 중 2례(7.7%)였다. 폐전이를 동반하지 않은 118례 가운데 간동맥 색전술을 시행한 경우가 78례, 시행하지않은 경우가 40례였다. 따라서 간동맥 색전술 시행후 폐전이를 동반한 경우가 102례 중 24례(23.5%), 간동맥 색전술을 시행하지 않고 폐전이를 동반한 경우가 42례 중 2례(4.7%)로 나타나서 간동맥 색전술 이후 폐전이가 더 빈번함을 알 수 있었다(p<0.01). 그러나, 나이, 성별, Child-Pugh 점수, 간경변증 동반유무 및 AFP치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간세포암에서 간동맥 색전술 이후 폐전이가 보다 많이 동반됨을 알 수 있었고 이에 관련되는 근본적인 설명과 그외 관련인자들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During the follow up period after transarterial embolization(TAE), cases of pulmonary metastasis were more prevalent in Tae-treated patients than in TAE-untreated patients. Therefore, a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whether TAE increases the incidence of pulmonary metastasis of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to clarify the risk factors for pulmonary metastasis. Methods : From March 1991 to March 1995, 156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by serology, and radiographic and histologic methods at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were involved in this study. We excluded 12 patients with lung metastasis on initial diagnosis and the others. The remaining 144 patients had been followed up for at least 5 months and,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lung metastasis and trans-arterial embolization treatment, and evaluated for age, sex, child-pugh score, liver cirrhosis, and level of AFP. Results : Pulmonary metastasis was found in 18.0% (26/144), of which 92.3%(24/26) and 7.7%(2/26) of the patients with and without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respectively. Of the patients, 23.5% (24/102) with TAE had lung metastais during follow-up periods and 4.7% (2/42) without TAE had lung metastasis. There was more likelihood for lung metastasis after TAE,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age, sex, child-pugh class, the presence of liver cirrhosis, and AFP. Conclusions : The incidence of pulmonary metastasis of hepatocellular carcinoma after TAE was higher. Child-pugh class was the only related clinical precipitating factors for pulmonary metastasis in TAE in our study. Our results suggest that regular chest X-ray check-ups may be more frequently needed by patients who had TAE treatment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