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orphological Study and Stress Analysis of Korean Mandibular Second Premolar

        전경진,유의식,원예연,이종엽 한국정밀공학회 2009 International Journal of Precision Engineering and Vol. No.

        Tooth morphology has an important role in esthetical characteristics, functional performance and physiological action. Mandibular second premolars among teeth were taken for a close investigation with a micro-CT for a nondestructive measurement. Thus, the shape of the tooth was classified into a few partitions and measured by setting the reference axis to express internal and external morphology numerically. About a thousand tomographic images were obtained for each specimen and were reconstructed to a three-dimensional form. The lengths and widths of each dental tissue were measured from the three-dimensional form. In this tooth type, the width of dentine is comparatively larger than that of enamel, and buccal tissue of the crown is thicker than lingual tissue. Hence, buccal tissue could afford to withstand against exterior impact or stimulus. Finite element models were drawn up, applied with an ordinary occlusal force and analyzed to get the stress distribution. Thus it was shown that the irregular feature of the tooth is not useful only to masticating and pronouncing as well known, but that it is also suitable for protecting inner tissue by dispersing stress and delivering proper pressure to periodontal tissue to continue a physiological action. These results could be used for development of dental implants and clinical trials.

      • KCI등재

        월남전과 국가주도 외자조달체계 구축 과정 : 한국(외환)은행 사이공지점과 월남특수 본국송금을 중심으로

        전경진 한국동남아학회 2022 동남아시아연구 Vol.32 No.4

        본고는 1960년대 중반 한국과 월남의 금융환경과 외국환송금 경로를 분석하여 월남에 설립된 한국외환은행 사이공지점이 월남특수로 발생한 외화조달과 외화소득의 통제과정에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 본다. 1960년대 월남전 파병에 따른 월남특수는 한국경제발전 초창기에 필요한 재원을 마련해준 중요한 외화 조달처였다. 당시 박정희 정권은 월남파병의 반대급부로 획득한 군납사업권을 기반으로 인력송출과 국가적 차원의 대월무역을 확대하여 경제발전에 필요한 외화수입을 도모하고 이를 극대화하여 산업자본으로 운용하고자 하였다. 주월한국군과 월남진출 한국기업의 금융지원을 위해 정부는 한국외환은행 사이공지점의 전신이었던 한국은행 사이공지점을 1966년에 개설하였고, 이 국책은행 해외지점을 정부 대리인으로 삼아 주월한국군의 해외근무수당을 관리하고 대사관을 동원해 월남진출 한국기업과 파월노동자의 외화소득을 국외취업허가와 결부시켜 감독함으로써 월남에서 획득한 외화가 현지에서 누락되지 않고 본국으로 최대한 송금될 수 있도록 하였다.

      • KCI등재

        비도덕주의적 니체 해석 비판

        전경진 대동철학회 2016 大同哲學 Vol.77 No.-

        이 글의 목적은 니체의 도덕철학에 대한 비도덕주의적 해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데 있다. 비도덕주의는 기본적으로 도덕에 반대하는 니체의 입장을 이해하려는 시도라고 볼 수 있다. 비도덕주의는 도덕을 부정적 가치나 극복해야만 하는 어떤 것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비도덕주의는 니체가 도덕적 가치와는 다른 미적 가치, 또는 도덕과는 다른 윤리적 삶의 형식을 지지한다고 주장한다는 점에서 무도덕주의와 다르다. 한마디로 비도덕주의적 입장은 니체가 도덕은 거부하면서도 도덕과는 다른 대안적 시각을 지지한다고 주장한다. 그런데 이러한 가치 평가적 기획에는 메타윤리적 질문이 동반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비도덕주의가 지지하는 니체의 대안적 가치가 그가 거부하는 도덕적 가치에 비해 어떤 특권을 가질 수 있느냐 하는 의문이 제기된다. 이 글에서 필자는 비도덕주의가 니체의 대안적 시각의 규범적 정당화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을 위해 필자는 먼저 그것이 제안하는 대안적 시각의 성격에 따라 비도덕주의를 ‘미학적’ 입장과 ‘윤리적’ 입장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각 입장의 의의와 한계를 검토한다. 그 결과 니체에 대한 비도덕주의적 해석이 다원화된 새로운 문화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 미적이고 윤리적인 대안적 실존의 가능성을 위한 토대를 마련해 주었음에도 불구하고, 니체의 도덕철학에 담긴 대안적 시각을 규범적으로 정당화하기 어렵다고 주장한다. 필자는 그 한계가 비도덕주의적 입장이 여전히 ‘좋은 것의 정초’라는 전통 윤리학의 기본가정에 매여 있기 때문이라고 본다. 즉 필자는 비도덕주의가 도덕적 가치 대신 니체의 대안적 가치를 정초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기본적인 한계를 갖는다고 주장한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그 한계가 니체의 도덕철학을 비도덕주의가 아닌 도덕적 자연주의로 이해함으로써 보완될 수 있고, 그 전환의 의미는 니체의 도덕적 자연주의를 ‘정초의 윤리학’이 아닌 ‘금지의 윤리학’으로 파악함으로써 더 잘 해명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examine immoralistic interpretation of Nietzsche’s philosophy. Immoralism can be considered an attempt to understand Nietzsche's position as denying morality itself. Immoralism claims that morality is a negative value, which should be overcome and thrown away. But immoralism claims that Nietzsche advocates aesthetic values or ways of ethical life that are different from moral ones. In this sense, it is not the same as amoralism. In other words, immoralism claims that Nietzsche advocates other alternative values. However, the enterprise of evaluating the value of values necessarily leads to the following meta-ethical question in immoralism.: Is there some privilege in Nietzsche’s alternative values as compared with moral values that he rejects? In this paper I criticize the immoralistic interpretation, because it cannot solve the problem of normative justification of Nietzsche’s positive value. First, I distinguish immoralism into ‘the aesthetic’ and ‘the ethical’ according to the mode of the alternative values within it; then I explore these types to find immoralism’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As a result, I argue that immoralism cannot be normatively justified as an alternative perspective in Nietzsche’s moral philosophy, although immoralism may provide some new grounds for the possibility of an alternative, for instance, as a way to ground aesthetic and ethical existence in a pluralistic world. I argue that the immoralistic position is limited in that it maintains the basic assumption of the traditional ethics which is called “foundation of the good.” That is to say, immoralism is limited in that it only repeats the attempt to pursue a foundation, based on Nietzsche’s positive value in the place of moral value. In conclusion, I argue that such a limit can be compensated for by reading Nietzsche’s moral philosophy not as immoralism but as moral naturalism, and that the significance of this turn can be better clarified by understanding his moral naturalism not as an “ethics of foundation,” but as an “ethics of prohibition.”

      • KCI등재

        도덕은 어떻게 원한의 도구가 되었는가?-니체의 <도덕의 계보>를 중심으로

        전경진 범한철학회 2022 汎韓哲學 Vol.105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ay attention to Nietzsche's "ressentiment" as a psychological origin of slave morality in Zur Genealogie der Moral, and to analyze slave mor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a means of political superiority of ascetic priest. To this end, this article focus on three main tasks. First, it analyzes concept of ressentiment as a psychological condition for the occurrence of slave morality. In this process, Nietzsche pays attention to ascetic priest as a man of ressentiment, and through this,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ressentiment are identified as psychological conditions with experiences of pain, dissatisfaction, or frustrated desire. Second, the moralization process of ressentiment is analyzed by paying attention to the role of ascetic priest. The key argument of Zur genealogie der moral is that moral values arise under a specific psychological condition of ressentiment. Each essay of Zur genealogie der moral shows the moralization process of ressentiment. In this process, ressentiment becomes the starting point for all of it, and it is the ascetic priest, the man of ressentiment, who takes the lead in this process. The ascetic priest mobilizes and embraces slaves to lead the slave revolt in morality, invents the bad conscience to instill guilt so that slaves cannot escape their rule, and establishes ascetic ideals, eventually leading them to a life of ressentiment. Third, as a result, it is argued that slave morality, unlike its name, is not a morality for slaves, but a means of political superiority of ascetic priest. In this process, the slaves were not the subject of slave morality, but rather the actors mobilized in deceptive revenge directed by an ascetic priest, and the unfortunate protagonists who eventually had to become their fallen supporters. The reason why Nietzsche takes issue with ressentiment is simple. This is because morality, which should be a means of life, has become a means of ressentiment according to the harassment of ascetic priest, who is man of ressentiment. Nietzsche's criticism of morality is only an attempt to return depraved morality embraced by an ascetic priest.

      • KCI등재

        하이데거의 형이상학적 니체 해석 비판

        전경진 새한철학회 2018 哲學論叢 Vol.91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ize Heidegger’s metaphysical assumptions underlying his interpretation of Nietzsche. Heidegger has been considered to have made a substantial contribution to evaluate Nietzsche as one that represents Western philosophy by interpreting the problem of metaphysics as a major task of Nietzsche’s philosophy. Various evaluations notwithstanding, Heidegger’s reading of Nietzsche seems subject to a radical criticism, in that it opened up a whole new ground to interpret Nietzsche’s philosophy and still defines the fundamental line of interpreting Nietzsche. In this paper, I argue that the confrontation with Heidegger cannot be done properly by simply pointing out the drawbacks of his reading of Nietzsche or criticizing his negative evaluation of Nietzsche. Instead, it should be done by overcoming the very frame of Heidegger’s reading of Nietzsche, in which the key question is this: “Is it the completion of the metaphysics or the renunciation of metaphysics?” As long as we are tied to Heidegger’s metaphysical framework, Nietzsche still remains metaphysical in both traditional and alternative senses. In this paper, I try to remove the Heidegger’s shadow from the interpretation of Nietzsche by critically examining Heidegger’s metaphysical framework itself. Heidegger reduces Nietzsche’s transition to the question of value based on his fundamental project of overcoming metaphysics back to the restoration of the truth of Being. I try to show that Heidegger’s metaphysical assumption is neither necessary nor appropriate in interpreting Nietzsche’s philosophy. This attempt is to overcome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philosophy following Nietzsche, and in turn to restores the naturalistic implications of Nietzsche’s radical understanding of philosophy as a transition from the question of being to the question of value. 이 글의 목적은 하이데거의 니체 해석의 기저에 깔려 있는 그의 형이상학적 가정을 비판하는 데 있다. 하이데거는 형이상학의 문제를 니체 철학의 주요한 과제로 해석함으로써 니체가 서양철학을 대표하는 철학자의 반열에 이름을 올리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엇갈린 평가들에도 불구하고, 하이데거의 니체 읽기가 니체 철학을 해석하는 전적으로 새로운 지평을 열었고 현재까지도 니체 해석의 근본적인 방향을 규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하이데거 이후의 니체 해석에서 하이데거와의 대결은 불가피한 일이 되었다. 이 글에서 필자는 하이데거와의 대결이 그의 니체 읽기의 문제점을 단순히 지적하거나 니체에 대한 그의 부정적인 평가를 비판하는 것만으로 적절히 이루어질 수 없다고 주장한다. 대신에 그것은 ‘형이상학의 완성이냐 극복이냐’라는 하이데거의 니체 읽기의 기본 구도를 극복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이데거의 형이상학적인 틀에 묶여 있는 한, 니체는 전통적인 의미에서든 대안적인 의미에서든 여전히 형이상학자로 남을 수밖에 없다. 이 글에서 필자는 하이데거의 형이상학적 가정 자체를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니체 해석에서 하이데거의 그림자를 걷어내려고 시도한다. 하이데거는 존재의 진리의 회복을 통한 형이상학의 극복이라는 그의 근본적인 기획을 토대로 니체의 가치물음으로의 전환을 축소시킨다. 필자는 하이데거의 형이상학적 가정이 니체 철학을 해석하는 데 필요하지도 않을 뿐만 아니라 적절하지도 않다는 것을 보여주려고 시도한다. 이러한 시도는 니체를 따라 철학에 대한 전통적인 이해를 극복하는 것이며, 이는 결국 존재물음에서 가치물음으로의 전환이라는 철학에 대한 니체의 급진적 이해에 담긴 자연주의적 함의를 다시 회복하는 것이기도 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