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교유형에 따른 여학생들의 체육수업태도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손유진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55

        <국문초록> 고교유형에 따른 여학생들의 체육수업태도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손유진 지 도 교 수 권양기 본 연구는 일반계와 상업계고 여학생들의 체육수업 태도 및 만족도에 대한 비교 분석에 목적을 두고 서울지역과 전북지역의 여자고등학생 총 676명(서울지역 일반계고 167명, 상업계고 171명, 전북지역 일반계고 170명, 상업계고 16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는 Likert Scale의 5단계 평정척도로 되어있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79∼.93으로 양호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일반계고와 상업계고의 태도와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태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만족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일반계고가 상업계고보다 체육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울지역 일반계고와 상업계고의 태도 및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태도 요인에서 일반계고가 상업계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만족도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만족도 또한 일반계고가 상업계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서울지역에서는 체육수업 태도와 만족도 모두 일반계고가 상업계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북지역 일반계고와 상업계고의 태도 및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서울지역과 전북지역 일반계고의 태도 및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서울지역과 전북지역 상업계고의 태도 및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태도와 만족도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북지역이 서울지역 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Study on the Attitude of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Satisfaction in Female students according to the type Type of High School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 Suk University Major in Physical Education, Yu-Jin Son Supervisor, Yang- Ki Kw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about attitude of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satisfaction between general high school and commercial high school. 676 female students(regular high school in Seoul: 167, commercial high school in Seoul: 171, regular high school in Jeonbuk: 170, commercial high school in Jeonbuk: 168)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for the study was used by 5-Likert scale,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was Cronbach’s Alpha=.79~.93.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ly, by analyzing difference of attitude and satisfaction in female students between general high school and commercial high school,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itude factor. However,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factor, and femal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satisfaction than female commercial high school students. Secondly, by analyzing difference of attitude and satisfaction in female students between general high school and commercial high school in Seoul, female general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attitude factor than female commercial high school.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tisfaction factor, and femal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satisfaction than female commercial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Therefore, in Seoul, femal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both the attitude and satisfaction factors than female commercial high school students. Third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attitude and satisfaction factors between femal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commercial high school students in Jeonbuk. Fourth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attitude and satisfaction factors between femal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commercial high school students in Jeonbuk. Fifthly, by analyzing difference of attitude and satisfaction in female students between commercial high school in Seoul and commercial high school in Jeonbuk,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attitude and satisfaction factors, and female commercial high school students in Jeonbuk showed higher attitude and satisfaction than female commercial high school in Seoul.

      • 다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손유진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유아교사는 유아들이 처음 만나는 교육자라는 점에서 유아교사의 인식은 유아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 유아교사의 인식이 교수 판단과 행동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Knopp & Smith, 2005) 다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는 것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다양성에 대한 태도, 다문화가정 유아에 대한 태도,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 다문화 교사교육에 대한 인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고, 유아교사의 개인적 요인에 따라 다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교사의 개인적 요인(연령, 학력, 경력, 근무기관유형, 다문화가정 유아 지도 경험, 다문화 교사교육 경험)에 따른 다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지역 유아교육기관(유치원, 어린이집)에 소속된 교사 328명이다. 다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조영달(2007)과 Rosa(2001)의 연구도구를 연구자가 재구성하여 척도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를 사용하였으며, one-way ANOVA 검증을 사용하여 개인적 요인에 따른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이에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학력에 따라 인종이나 민족, 다문화가정태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원 이상을 졸업한 유아교사가 보육교사 교육원을 졸업한 유아교사보다 문화 다양성에 대한 태도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인식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학력과 다문화 교사교육 경험에 따라 다문화가정 유아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원 이상을 졸업한 유아교사가 보육교사 교육원을 졸업한 유아교사보다 다문화가정 유아에 대한 태도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인식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다문화 교사교육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가 다문화 교사교육 경험이 없는 유아교사보다 다문화가정 유아에 대한 태도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인식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유아교사의 학력과 근무기관 유형에 따라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 교육원을 졸업한 유아교사, 2-3년제 대학을 졸업한 유아교사, 4년제 대학을 졸업한 유아교사, 대학원 이상을 졸업한 유아교사 순으로 학력이 높을수록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인식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유치원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가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보다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인식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유아교사의 개인적 요인에 따라 다문화 교사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모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사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는 전반적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정책적으로 교사양성기관에서의 다문화교육 강좌 개설을 권장할 필요가 있으며, 다문화 교사교육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유아교사는 다문화교육의 참여자로서 긍정적인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고 보고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는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the first educator of young children. As the teachers' perceptions affects the children’s cognitive judgement ability and behaviors(Knopp & Smith, 2005),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multicultral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multicultral education, including his/her perception and demands on multicult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This study also compared the differences 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the multicultral education, depending o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 factor. The follwing research question was set for this study. Question 1. How does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 factors (age, educational background, work experience, type of institution, multicultural teaching experience, inservice education experience) influence his/her perception on multicultral educa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28 teachers work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eyonggi-do(province). To te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n multicultural education, this study developed a survey based on the criterion by Jo(2007), Rosa(2001). This study used the one-way ANOVA to find out the teachers’ perceptions on multicult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ir personal factor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race, ethnic groups, and multicultural families depending on the teacher's educational backgrou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master’s degree recognized the cultural variety positively than those graduated from the early childhood training program.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eachers' attitude on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ccording to the teac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his/her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background. The teachers with master’s degree had more positive attitudes on multicultural families than those graduated from the 1-year training program. Besides, the teachers with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experience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on multicultural families than those without such experience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teacher's perception and demands on the multicultral education depending on the teac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e institution type. Teachers with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more positively recognized the multicultral education and relevant demands in the order of teachers graduated from graduate schools, those from 4-year universities, those from 2-3 year colleges, and those from early childhood training program. And the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recognized multicultral education more positively and relevant demands than those working in daycare centers. Four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eacher's perception and relevant demands on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according to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 factors. However,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nd demands on the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was generally high. This indicates that relevant policies need to encourage to open the multicultral education programs. Additionally,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program needs to be developed continuously.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need to change their perception on the multiculturalism more positively as the participant in the multicultral education.

      • 경계선 인격 성향을 가진 대학생의 신경심리 프로파일

        손유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경계선 인격 성향을 가진 대학생들의 신경심리기능 결함 및 신경심리기능과 경계선 증상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포괄적인 신경심리검사를 사용하여 경계선 인격 성향군(n=25)과 정상 통제군(n=25)의 시각적 조직화 및 비언어 기억(Rey-Osterrieth Complex Figure Test: RCFT), 언어 기억(Korean version of California Verbal Learning Test: K-CVLT), 집행기능(Wisconsin Card Sorting Test: WCST, Iowa Gambling Task: IGT), 주의(Trail-Making Test: TMT, Stroop Color-Word Test, d2 Test), 언어유창성(Controlled Oral Word Association: COWA)을 측정하였다. 신경심리검사 수행 분석결과 경계선 인격 성향군이 정상 통제군에 비해 시구성 능력 및 비언어적 기억을 평가하는 RCFT의 모사, 즉시회상, 지연회상에서 유의하게 저하된 수행을 나타내었다. 또한, 집행기능을 평가하는 WCST에서도 경계선 인격 성향군이 정상 통제군에 비해 유의하게 많은 오반응수, 보속 반응수와 보속 오반응수를 보였다. 그리고 경계선 인격 성향군의 Stroop 색채-단어 수행은 이들의 자해 수준과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Stroop 색채-단어 수행은 경계선 인격 성향군의 자해 수준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경계선 인격 성향군이 시구성 능력 및 비언어적 기억과 집행기능의 결함을 가지고 있음과 나아가 전전두엽 기능이상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 슈만의 가곡에 나타난 낭만주의 모티브 연구 : 『빌헬름 마이스터 가곡집』(Lieder und Ges?ng aus Wilhelm Meister, Op. 98a)을 중심으로

        손유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가곡(Lied)'은 음악과 문학이 결합하여 탄생한 19세기 낭만주의 예술의 대표적인 장르이다. 가곡을 감상하는 것은 음악의 심미적 차원을 경험하는 것과 더불어, 그의 배경이 되는 문학을 경험하는 것이고, 나아가 그것이 널리 향유되던 당시의 사회적 분위기와 사상을 경험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가곡을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음악뿐만 아니라 그 가곡이 만들어졌던 시기의 문학, 역사, 철학, 사회, 정치 등 여러 분야에 관한 총체적인 지식과 안목이 필요하다. 본 논문의 연구 대상인 슈만의 『빌헬름 마이스터 가곡집』(Lieder und Gesäng aus Wilhelm Meister, Op. 98a, 1849)은 독일 낭만주의 문학의 대표작으로 일컬어지는 괴테의 소설 『빌헬름 마이스터의 수업시대』을 바탕으로 한 작품이다. 소설에 수록된 시 열 편 중 여덟 편이 미뇽과 하프 타는 노인의 노래인데, 소설 속에서 미뇽과 하프 타는 노인은 상실한 것에 대한 동경과 절대적 고독을 가지고 있는 낭만적 인물로 그려지고 있으며, 이들이 부르는 노래에는 그리움, 무한성에의 추구, 기이함, 밤, 초월주의, 고독과 고통, 불안과 분열 등의 낭만적 주제들이 담겨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시에 담겨 있는 낭만적 주제를 슈만이 어떻게 음악으로 표현하였는지를 밝혀 그의 가곡을 더욱 잘 이해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낭만주의의 역사적 발생 과정과 성격에 관하여 알아보았으며, 낭만주의를 대표하는 여러 이미지를 ‘동경’, ‘고통’, ‘유토피아’의 세 가지 모티브로 유형화한 이론에 따라, 각각의 모티브가 의미하는 바와 그것들이 포함하는 세부적인 이미지를 심층적으로 연구하였다. 그리고 ‘동경’, ‘고통’, ‘유토피아’가 슈만의 『빌헬름 마이스터 가곡집』에 음악으로 표현된 방법에 초점을 맞추어, 미뇽의 노래 네 곡-「당신은 그 나라를 아시나요?」(Kennst du das Land?, no.1), 「그리움을 아는 사람만이」(Nur wer die Sehnsucht kennt, no.3), 「말하라 하지 말고 침묵하게 해줘요」(Heiss' mich nicht reden, heiss' mich schweigen, no.5), 「참다운 존재로 될 때까지는 그냥 허깨비로 있게 해주세요」(So lasst mich scheinen, bis ich werde, no.9)과 하프 타는 노인의 노래 네 곡 -「하프 타는 이의 노래」(Ballade des Harfners, no.2), 「눈물 젖은 빵을 먹어보지 못하고」(Wer nie sein Brod mit Thränen ass, no.4), 「고독의 몸을 바친 자」(Wer sich der Einsamkeit ergiebt, no.6), 「문마다 가만히 다가가」(An die Thüren will ich schleichen, no.8)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동경’, ‘고통’, ‘유토피아’의 이미지를 표현하는 슈만의 특징적인 작곡 기법과 관습적인 음악 어법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빌헬름 마이스터 가곡집』을 낭만주의 모티브와 연결하여 분석함으로써 작품의 의미를 새롭게 발견하며, 슈만의 가곡에 나타난 낭만주의 모티브의 음악적 표현 양상을 밝혀 그의 음악을 한층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관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대학생이 지각한 모의 심리적 통제가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자기개념명확성의 매개효과

        손유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모의 심리적 통제, 자기개념명확성,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를 살펴보고, 대학생이 지각한 모의 심리적 통제가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개념명확성이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대학생이 지각한 모의 심리적 통제, 자기개념명확성, 관계적 공격성의 차이가 있는가? 둘째, 대학생이 지각한 모의 심리적 통제, 자기개념명확성,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대학생이 지각한 모의 심리적 통제가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개념명확성은 매개하는가? 연구대상은 온라인 설문을 통하여 모집하였으며 서울, 경기, 강원도, 경상도에 위치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20세~29세 이하의 1학년~5학년 대학생 250명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측정도구로는 모의 심리적 통제 척도, 자기개념명확성 척도, 관계적 공격성 척도를 사용하였고,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이 지각한 모의 심리적 통제, 자기개념명확성, 관계적 공격성에 대한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대학생이 지각한 모의 심리적 통제는 관계적 공격성과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자기개념명확성과는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자기개념명확성과 관계적 공격성은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대학생이 지각한 모의 심리적 통제는 관계적 공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대학생이 지각한 모의 심리적 통제가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개념명확성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대학생이 지각한 모의 심리적 통제가 자기개념명확성을 거쳐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상담현장에서 대학생 내담자를 상담할 때 직접적 접근이 어려운 모의 양육태도인 심리적 통제 대신 대학생의 자기개념명확성을 높이는 방법으로 개입하여 관계적 공격성을 낮추어 대학생의 원만한 대인관계와 적응적인 대학생활을 도울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mediated effect college students’ self-concept clarity effect o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percieved by college students on their relational aggression. The sample of the study was 250 students (male;121, female;129) from college located in Seoul, Gyeong-gi, Gangwon-do, Gyeongsang-do area. Psychological Control Scale-Youth Self-Report (PCS-YSR), Self-Report of Aggression and Social Behavior Measure(SRASBM), Self-Concept Clarity Scale (SCCS) was used and SPSS 22.0 program was utilized for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in the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self-concept clarity, and relational aggression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Secondly, The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relational aggression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concept clarity. Self-concept clarity and relational aggressi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 Thirdly, The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had a direct influence on relational aggress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elf-concept clarity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the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on relational aggression.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the mother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ffects relational aggression through self-concept clarity. Based on this, when consulting college student clients, it is necessary to intervene in a way that increases the clarity of college students' self-concepts instead of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mothers who have difficulty in direct access.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relational aggression can be lowered to help college students have smoo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daptive college life.

      • 대학생의 동아리 및 여가참여 유무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손유진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대사회의 여가는 일상생활의 중요한 부분으로서 과거에는 의식주가 생활의 주된 관심이 되어 왔으나 앞으로는 여가의 활용이 인간생활의 기본문제로 제기될 뿐만 아니라 여가시간에의 대체가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될 것이다. 특히 성인기의 시작이자 준비기간에 있는 대학생들은 그들의 대학생활 동안 여가선용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체험을 갖고 창조적이고도 바람직한 여가활동의 방법을 습득하는 것은 중요한 과업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여가 및 동아리 활동 참여 유무가 대학생활 적응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03년 임의표집을 이용하여 총 35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중 답변이 정확치 않아 자료로 쓸 수 없는 20명의 자료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330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대학생들의 동아리 및 여가활동 참여유무에 따른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한 측정도구는 <대학생활적응도>이다. 이는 Baker(1989)가 제시한 대학생적응도검사(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로서 국내에서도 이 검사는 연세대학교 학생상담소에서 번안하여 사용한 연구가 몇 차례 실시된 바 있다(김은주 외, 1993).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버전 10.0을 이용하였으며 적용된 통계기법은 t-검증과 F-검증이었다. 이상의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를 기초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아리활동을 하는 대학생집단이 동아리활동을 하지 않는 대학생집단보다 대학생활의 사회적응과 정서적응이 높다. 둘째, 여가활동을 하는 대학생집단이 여가활동을 하지 않는 대학생집단보다 대학생활의 사회적응과 정서적응이 높다. 셋째, 여가활동과 동아리활동 두 가지 활동을 하는 대학생집단이 대학생활의 사회적응과 정서적응이 높다. Traditionally food, clothing and housing were the first needs to be met in life; however, leisure has become a very important part of modern society. How to make use of one's increasing leisure will not only be a basic issue of modern society, but also the recreational activities chosen will have great impact upon one's life, both personally and socially. In particular, university students, who are in between the adult and the child stage, should acknowledge the notion of leisure and take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it fully. It is also important for them to understand how to spend their leisure both creatively and desirably. A poll was conducted with 350 university students using the Temporary Model Chart in 2003to ascertain as to whether or not university students are acknowledging the notion of leisure and taking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data collected was analyzed using 330 of the 350 responses. Twenty of the responses were unclear and therefore not included in the data.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questionnaire was used to evaluate now the participation in clubs or recreational activities impact on the college life. The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suggested by Baker (1989), was translated by a Yonsei University student and has been used for several studies similar. To analyze the collected materials, the SPSS version 10.0 was used and the statistical data is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The conclusions set out below were made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e raw data collected. First, university students who join a club are able to better adapt themselves to school life socially and emotionally than those who don't. Second,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 in some recreational activity are able to better adapt themselves to school life socially and emotionally than those who don't. Third, university students who both join a club and participate in a recreational activity are much more able to adapt themselves to the school life in a social way and also an emotional wa

      •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 양상

        손유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lation of parents's nurture style and their children's school life. This hypothesis is to show how student's activities in school are effected by the psychological environment provided at home. Firs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impact that parents can have onto a child's school life. Followings are the questions I have in this study. How does the way parents raise their children effect their performance in class with relations to their teachers, classmates, and after school sessions. For six months, observations were made on a second grade student from elementary school in Gyeongido. I observed children with authoritarian, authoritative, permissive and indifferent parents. There were eight students involved in this study and either one or both parents were under one of the categories stated before. I interviewed the students and observed their performance during class, performance during after school sessions, relations with their teachers and peers. The students with authoritative parents studied well, prepared for class well, and did all their homework. They ere more open with the teachers and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These students talked more about their families and were accepting of the teacher's opinions. They were more popular amongst the students. During the after school sessions, the students were more sincere and had a good attendance. The students with permissive parents did not show a consistent performance. They were only involved when they thought it was fun and at other times they seemed bored. They were not consistent with their homework but did well when they did it. When interacting with other students, they were more stubborn with what they wanted. These students did not have as good of a relationship and did not speak of their family too often. These children were not popular because of the character but because they did well in games or other activities. They would attend the after school sessions but were now as involved. The students with authoritarian parents could not adjust as well as the other students. These students prepared for class well and did all their homework. but they were not as involved and did not enjoy class. They were very distant with their teachers and rarely spoke about their families. They did not trust the teachers as much and would lie often. These students were not social and would be seen by themselves. They were more likely to get into fights with other students. During after school sessions, these students did not adapt well and would stop attending the classes. They were more disruptive during class and would be disrespectful towards the teacher. The students with indifferent parents did not prepare for class or do any homework they did not adjust well and were not confident. These students were not social in group settings and disliked by other students, did not have good relations with other student. They were more open with their teachers but depended on them too much. They asked a lot more questions, favors, and sometimes can be rude towards the teachers. These students had a clique of friends but were looked down on and not always included. They would attend after school sessions but were not as involved and never brought their materials. It did not matter if they attended or not. I was able to conclude that how parents raise their children does have an influence on a child's performance in school. Out of all the categories, the children with moderately strict parents had the best performance in school. The other students seemed to struggle more compared to the students with moderately strict parents. It is important that teachers acknowledge how the students are raised and adjust their teaching style accordingly. If the teacher understand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ent and his/her parents, then the teacher would be able to give better advice to the parents on how to improve the student's performance. It would be important to develop this hypothesis and create a more accurate conclusion by continuing this study, it could benefit the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Key word: parents's nurture style, adaptation in elementary school life 이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초등학교 아동들이 학교생활에 적응해 가는 모습이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한 연구이다. 부모가 만드는 가정의 심리적 환경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생각에서 시작한 연구이다.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초등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의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심층적인 접근방법으로 알아보고 아동이 학교생활에 적응해 가면서 일어나는 일들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는 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곧 이 연구의 문제는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아동의 수업 참여, 교사와의 관계, 교우관계, 방과후학교 참여의 양상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해 연구자가 담임한 경기도 소재 ㅅ초등학교 2학년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학교생활적응 양상을 6개월간의 질적 관찰을 통해 알아보았다. 부모의 양육태도를 권위형, 독재형, 허용형, 방임형으로 나눈 후 각 유형의 부모에 따라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 양상을 관찰하였는데 양육태도 유형별로 한 명씩, 총 네 명의 아동을 관찰하였다. 학교생활적응의 영역은 수업시간 참여, 교사와의 관계, 교우관계 및 방과후학교 참여의 네 영역으로 나누었고 각 영역에 따라 면담과 참여관찰의 심층적인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의미 있는 결론을 얻고자 하였다. 부모의 양육태도를 권위형으로 지각한 아동은 학습에 열의를 보였고 학습준비를 잘 해왔으며 과제를 매우 꾸준히 수행하고 있었다. 교사와는 개방적이고 긍정적인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교사의 의견이나 조언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학급에서 만들어진 또래집단에 속해 있거나 스스로 새로운 또래집단을 만들어 가기도 하면서 교우들 사이에서도 인정을 받고 있었다. 그러나 친구들의 일에 참견을 많이 하였고 학급을 벗어난 교우관계에서는 충돌이 있기도 하였다. 방과후학교에는 그리 활발히 참여하는 편은 아니었으나 성실하고 꾸준하게 참여하였다. 부모의 양육태도를 허용형으로 지각한 아동은 학습준비와 태도면에서 일관성이 없었다. 그들은 자신에게 흥미가 있을 때에는 학습준비를 충실히 하고 수업에도 열심히 참여하였으나 흥미가 없을 때에는 수업 중에 잡담을 하거나 지루해 하였다. 과제는 종종 완성도가 높았으나 꾸준히 하지 않았으며 소집단 활동에 협력하지 않고 자기 주장만 하는 경우가 많았다. 교사에 대한 태도는 비교적 긍정적이었으나 대화의 양이 적었으며 가정에서의 일을 얘기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이들은 또래집단을 이루고 있었으나 교우사이에서 인정을 받고 있기 보다는 놀이, 운동, 게임 등에서 두각을 나타내어 인기를 얻고 있었다. 방과후학교에는 즐겁게 참여하고 있었으나 성실한 면은 부족했다. 부모의 양육태도를 독재형으로 지각한 아동은 학교생활의 여러 영역에서 부적응의 양상을 보였다. 학습준비를 철저히 하고 과제도 꾸준히 해왔으나 학습에 흥미가 없었고 수업시간에도 자발적 참여는 하지 않았다. 교사와는 늘 멀리 있었으며 자주 거짓말을 하였고 종종 불신감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또한 또래집단을 이루지 못하고 자주 친구들에게 적대감을 표시하고 폭력을 휘두르기도 하였다. 방과후학교에서도 가장 많은 부적응 문제를 보였다. 부모의 양육태도를 방임형으로 지각한 아동은 학습 준비와 과제를 거의 해오지 않았다. 학습에 잘 참여하지 않았으며 자신감이 없고, 특히 소집단 활동 시 자신의 역할을 소화하지 못해 교우 사이에 불만이 쌓이고 있었다. 교사와는 비교적 개방적인 관계를 유지하였으나 긍정적인 대화보다는 의미없는 질문과 요구가 많았다. 또래집단을 이루고는 있었으나 그 사이에서도 자주 배척을 받았다. 방과후학교에 참여는 하고 있었으나 교재가 거의 없었고 참여 태도도 산만하고 불성실하여 참여 효과가 없었다. 연구 결과에서 보이듯이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학교생활에 적응해 가는 양상은 다르게 나타났다. 이는 아동이 가정에서 맺는 부모와의 관계에 따라 교사의 역할과 대응도 달라져야 함을 시사한다. 아동이 부모의 양육태도를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지 정확히 알 고 있을 때, 교사는 학부모에게 올바른 자녀교육에 대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고 아동의 바람직한 성장을 돕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아동이 지각하고 있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꾸준한 연구를 통해 교사와 학부모 모두에게 아동을 이해하기 위한 의미 있는 자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핵심어: 부모의 양육태도, 학교생활적응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