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국 교육대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 6차ㆍ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수미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논문에서는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의 중요성을 알고 제6차와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개정에 따른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연구하였다. 제6차와 7차의 개정된 음악과 교육과정의 개정 중점을 사항을 알아보고, 초등음악교육을 담당하는 전국 11개 교육대학교의 음악관련 교과목을 다각도로 집중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각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중 음악관련 교양과정과 전공과정의 교과교육, 교과교육실기, 특별 및 재량활동, 심화과정의 교과목 개설현황과 강의내용을 제6차 교육과정과 제7차 교육과정에서 비교하고, 각 교육대학교 음악관련 교과목의 강의내용을 통하여 국악 관련 교과목과 양악 관련 교과목의 비율과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에서 가창곡과 감상곡의 비율을 국악과 양악으로 나누어 알아보았다. 위 내용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교 교과목 개설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제6차에서 제7차 교육과정 개정시 몇몇 교대의 교과목 축소 및 명칭 변화가 있었고, 그 외 교대는 기존 교과목 그대로 개설하고 있었다. 개설 교과목 중에서는 국악 관련 교과목이 상대적으로 부족 하였다. 둘째, 교과목 강의내용 분석결과, 강의내용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며, 국악은 한 교과목 안에서 통합적으로 가르치고 있는 반면, 양악은 세분화하여 가르치고 있어 상대적으로 양악 교과목에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음악관련 교과목의 국악과 양악의 비율을 알아본 결과 제6차에서 7차 교육과정을 거치면서 전공과정과 심화과정의 국악교과목이 전공과정10%, 심화과정 4%로 확대되었지만 양악 교과목과 비교 했을 때 국악이 차지하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넷째, 초등학교 음악교과서 국악과 양악 비율을 알아본 결과 6차 교육과정 때 국악의 총 비중은 국악 32.4 % 양악 67.6%, 7차 교육과정 때 국악의 총 비율은 40.7%, 양악 59.3 % 이다. 6차 교육과정 과 7차 교육과정을 비교 했을 때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에서 국악이 차지하는 비율이 10% 정도 확대 되었다. 제6차ㆍ제7차 교육과정에서 개정 중점 사항으로 국악교육을 강조하고 있어 초등학교 교과서의 국악 관련 내용은 확대하고 있으나,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교과목은 확대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개정되었지만 교육대학교의 교육과정의 교과목과 강의내용에 큰 변화가 없었다. 즉, 전국 11개 교육대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은 초등학교 음악교육과 연계성이 부족하여 초등교사가 현장 교육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결론이 나온다. 교육대학교의 음악과 교육과정은 초등학교 음악교육을 정상적으로 교육하기 위해서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연계성 있는 교육대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을 개선 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changes of the curriculum of Education College resulting from the 6th and 7th reform of educational curriculum are examined with the importance of the curriculum of Education College recognized. This study has examined fpllowings; The curriculum of music department related to the 6th and 7th reform has been discussed and subjects related to music of 11 Edcatiomal colleges which are in charge of music class across the nation have been analyzed with the variety of views.. To analyze them, the curriculum and realities of general and majoring courses, subject teaching practice, special and free activities, advanced class which are related to music have been aompared with each other between 6th and 7th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e subjects are divided into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western music, and domgs for singing and songs fir appreciation. The results of yj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alities of subjects learned in colleges, some subjects of some colleges are minimized or their names are changed in the process of reform of 6th into 7th educational curriculum and other colleges remain the same. The subject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are insufficient relatively. Second, in the contents of the subjects, significant changes have not been fiund,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is generally taught in one subject but western music is taught in detail in many different subjects, so it has been found that music education lays heavy importance for western music. Third, in the rat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western music, the rat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been up by 10% in majoring courses and 4% in advabced courses, but the rate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us small relatively. Fourth, in the rat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western music in music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Korean traditional music accounted for 32,4%, western music for 67.6% in the 6th educational curriculum, but Korean traditional music is 40.7% and western music 59.3%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The rat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increased by 10%. One of the main purposes of the 6th and 7th reform of educational curriculum is the emphasis on Korean traditional music, so the rat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music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has increased but the subjects of education colleges have not been enlarged. In other words, teaching contents of elementary school are changed but learning contents of education college are not. The curriculum of 11 education colleges across the nation has the insufficient relationship with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which means that teachers may have difficulty teaching music. Therefore, the curriculum of music department of education college should be inoruved and changed appropriate for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안의 국악내용 비교 분석 : 중학교 1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송민경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Abstract Comparative analysis of the Korean classical music contents betwee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music subject and the 2007 revised curriculum -Focused on the textbook for 1st graders of middle school- Min-gyeong Song Majoring in music education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suk University Advisor: Seong-gi Baek Appreciation is the most basic of music-related actions, and it has a great effect on the emotion and reas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whose body and mind are in the process of forming, and will affect their growth and their future life of music.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ffer correct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to such youngsters, whose national identity are being established, so that they may have Korean mentality and pride. In this regard, school textbooks are a channel for them to have the easiest access to music. In particular, the music subject for 1st graders of middle school is the 1st step for the student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lassical music based on the basic experiences of music they have had in elementary school and to be led to find their national music identity and take pride in the music. If middle school 1st graders are correctly educated, Korean classical music will be rightly established and developed as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ir mind. This thesis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Korean classical music part of the appreciation sphere in five kinds of music textbook for middle school 1st graders prepared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and the curriculum revised in 2007, with a view to investigating into how much the curriculum has been revised and if the curriculum suggests the revised contents systematically with a focus on each of the spheres and textbooks, so as to understand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directions. In this thesis, researches have been made into these topics: first, what kind of music the revised curriculum pursues after, and the contents of the revision; second,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music appreciation, and the points of the education methods; third, the necessity of education on Korean classical music appreciation; fourth, what is stated about Korean classical music appreciation by each sphere, genre and publisher. The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es, improvement schemes are proposed. The following are the findings from comparing and analyzing the Korean classical music part of the appreciation sphere in five kinds of music textbook for middle school 1st graders prepared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and the curriculum revised in 2007. First, the appreciation sphere has the largest portion among the melodies cited in the Korean classical music part, where Korean music is multiplied following the revised curriculum. Second,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music unification plan, traditional music is divided into palace music, scholar music, folk music and religious music. Third, in both of the curriculums, the number of creation music melodies is more increased compared to appreciation melodies. Fourth, the revised curriculum suggests more diverse genres like instrumental music soles and creation ensembles. Finally, there are no specific criteria for indicating the terms and classifying music tunes, and each textbook has its own criteria for the classification. It calls for the preparation of a unification plan so that students selecting any textbook may not be confused. The present author hopes that the results of analyses made in this thesis will be utilized as a reference material when teaching materials about Korean classical music are produced and Korean classical music is taught in practical education. 국문초록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안의 국악내용 비교 분석 -중학교 1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송 민 경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음악교육전공 지도교수: 백 성 기 감상은 음악적 행위의 가장 기본이라 할 수 있으며 심신형성기의 초ㆍ중등 학생들의 감성과 이성에 큰 영향을 끼쳐 그들의 성장과 앞으로의 음악적 삶에 영향력을 미칠 것이다. 그러므로 민족의 주체성을 확립해 줄 수 있는 이 시기에 올바른 국악교육을 통하여 한국적인 심성과 긍지를 지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교과서는 음악을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통로다. 특히 중학교 1학년 과정은 초등학교에서 익힌 기초적인 음악적 경험을 바탕으로 국악의 특징을 이해하고 경험함으로써 민족음악의 정체성을 찾고 자긍심을 느낄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첫 단계이므로 이 시기의 교육이 국악을 진정한 한국의 음악으로 자리매김하고 발전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5종 음악교과서의 중학교 1학년 감상영역 중 국악부분을 비교하고 분석하여 교육과정이 어떻게 개정되었고, 그 내용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있는지 각 영역별, 교과서 별로 살펴보고 이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 방향등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연구하였다. 첫째,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음악과 교육과정의 개정내용에 대해 알아보았다. 둘째, 음악감상의 의의와 중요성 및 교육방법의 유의점에 대해 알아보았다. 셋째, 국악감상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넷째, 국악감상영역을 영역별, 장르별, 출판사별로 분석하였다. 다섯째, 분석결과를 토대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5종 교과서의 감상영역 국악부분을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제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5종 교과서에 제시된 국악부분 영역별 수록곡은 감상영역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한국음악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전통음악을 초ㆍ중등학교 국악교육내용 통일안에 근거하여 분류하였고 궁정음악은 곡의 수가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민속음악은 성악곡에 중점을 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제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서의 창작음악의 곡수는 다른 감상곡에 비해 많은 증가를 보이고 있다. 넷째,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서에서 기악독주곡․창작합주곡 등 보다 다양한 장르를 제시하고 있다. 다섯째, 용어의 표기나 악곡을 분류하는데 있어서 특별한 기준이 마련되지 않아 교과서 자체적 기준으로 분류하는 것으로 사료되므로 통일안을 마련하여 어떠한 교과서를 선택하더라도 학생들이 혼란을 겪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 논문에 의한 분석결과가 앞으로의 국악 관련 교재의 제작 및 국악을 담당하는 현장 교육에 있어 참고 자료로 활용되었으면 한다.

      • 방과 후 융합교육프로그램이 운동기능과 건강체력에 미치는 영향

        고은정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초등학교 방과 후 융합 교육프로그램으로 음악 줄넘기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실험군)과 비참여학생(대조군)을 대상으로 운동기능(심폐지구력, 유연성, 근력, 순발력)과 건강체력(체성분)을 측정하여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검증하고자 전주시 소재 초등학생 여학생 24명을 각각, 실험군과 통제군으로 각 12명으로 구성하여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대응표본 검정 및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줄넘기 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심폐지구력에 미치는 영향력의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심폐지구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악줄넘기 교육프로그램의 초등학생의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결과 실험군이 비교군에 비해 유연성 증진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음악줄넘기 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근지구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의 경우 사전검사에 비하여 사후검사의 경우 근지구력의 평균이 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음악줄넘기 교육프로그램에 따른 순발력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실험집단의 경우 사전조사에 순발력 증진에 있어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검증하였다. 다섯째, 음악줄넘기 교육프로그램의 실시 여부에 따른 초등학생의 건강체력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나타났다. 이처럼 본 연구는 실제 초등학생에게 방과 후 융합 교육프로그램으로서 음악줄넘기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경우, 초등학생의 운동기능 및 건강체력에 있어 긍정적인 변화를 보임에 따라 초등학교의 방과 후 융합 교육에 있어 음악줄넘기 교육프로그램의 적용방안에 관한 기초자료로서 본 연구의 결과가 적극적으로 반영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tudents who are participating in music jump rope classes which are extra curricular convergence educational programs in elementary schools – called experimental group – and those who are not taking part in – called control group - by measuring psychomotor domain (cardiovascular endurance, flexibility, muscular strength, and explosive strength) and health fitness (body composition). Here, researcher divided twenty-four female elementary students studying in Jeonju into two groups – experimental group (12 participants) and control group (12 students) - and accomplishe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paired t-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followings: First, the result of the effect of the music jump rope education program on cardiovascular endura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w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at the cardiovascular endurance of experimental group is higher than the one of control group. Second,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music jump rope educational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lexibility confirmed that experimental group had a bigger impact on flexibility compared to control group. Third, when researcher tested the impact of the music jump rope educational program on the muscle endura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case of experimental group, the average muscle endurance in the posttest increased more than the one in the pretest. Fourth, test on experimental group for the contrast in explosive strength grown by the music jump rope education program proved that it is conducive for promotion of explosive strength in the pretest. Fifth, it is found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music jump rope educational program is able to boost physical fitness of elementary students. H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teadily utilized as basic data on application of the music jump rope educational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extra curricular convergence education since this exhibit showed positive change for psychomotor domai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전국 대학교 유아교육과의 국악교과목에 관한 연구

        윤선희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When we look around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actual condition of the universities that cultivate teachers standing in the center of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existing western musics make up most education courses or programs, and an analysis of the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has not been grasped yet as a quickening period. In field of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because the teaches have a lack of knowledges, environments of educational facilities, specific guides and guiding principles, researches and developments are urgently needed. The research analyzes an actual condition the Korean national music education through a telephone interview to target of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f universities and colleges that cultivate teachers for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llowing results are found. First of all, 33.3 percent, twenty one of sixty three universities establish a subject about the Korean national music, and 39.5 percent, forty three of one hundred eight colleges establish a subject about it in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So, the Korea nation music establishment of colleges is more than universities in the department. Second, even though the schools establish the Korea national music classes, the course is just for one semester, and has only two or three hours in a week. In other words, the time is lacking to devise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Korea national music, and apply to an actual early childhood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situation. Third, the classes have been progressed a practical-centered way without teaching materials in the most universities and colleges. In addition, the teaching materials are limited to two of them. In view of lineup of instructors, a part-time instructor has taught the classes rather than professors do. 유아교육의 교사를 양성하는 대학의 유아교육과의 음악관련 교과목을 살펴보면, 서양음악을 중심으로 한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이 주를 이루고 있다. 유아국악교육 있어서 유아교사들의 국악에 대한 지식부족과 교육기관의 환경, 구체적 지침서 및 지도방안의 미흡으로 인하여 이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시급한 상황에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를 양성하는 전국 4년제 대학과 2-3년제 대학의 유아교육과를 대상으로 교육과정 중 국악교육 실태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유아교육과내에 국악 관련 교과목이 개설된 경우는 63개 대학교 중 21개로 33.3%, 108개 2-3년제 대학 중 39.5%로 대학교 유아교육과에 비해 2-3년제 대학 유아교육과의 국악과목 개설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국악 관련 과목이 개설된 경우 수업은 1학기에 그치고 주간 시수도 2-3시간으로 나타나고 있다. 셋째, 대부분 대학교와 전문대학이 실기 위주의 국악교육을 진행하고 있고 교재는 2개로 한정되고 있다. 수업은 시간강사위주로 되어있었다.

      • 해금 실기교육의 실태 조사 연구 : - 예술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고명진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Abstract> A Study on Actual Condition of the Practical Haegeum Education - from a Survey of Arts High Schools - Ko, Myung-Jin Major in Music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suk University Director Professor : Baek, Sung-Gi As one of the traditional Korean musical instruments, haegeum can express inner feeling of human with sorrowful tone and makes distinctive musical effect through various techniques. These days, the instrument is important in Korean music for the orchestra. Haegeum has also become popular with many people through ensembles with Western musical instruments or electronic instruments, and the heageum music has often been listened to through mass media or internet sound source. Thus, haegeum has been recognized as a popular Korean musical instrument to the students and amateurs. Unlike the Academic High School, Arts High School has a basic curriculum for developing experts in the field of Arts. It is obvious that teaching methods for haegeum students should consist of a systematic curriculum. Additionally, more specific practical education and efficient learning method are necessary. This research has been done by survey of haegeum students at Namwon Traditional Arts High School, Daejeon Arts High School, Jeonju fine Arts High School, and The Korean High School of cultural heritage. Firstly, I tried to explore the Educational programs for music and haegeum performance according to each grade and semester, and examine common characteristics, educational environment, curriculum,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lesson hours for the actual condition of the practical haegeum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material which is helpful for efficient and practical haegeum education. While Daejeon Arts High School includes the Traditional Korean music section in a music department, Namwon Traditional Arts High School, Jeonju fine Arts High School, and The Korean High School of cultural heritage exist as independent departments within their Schools. Namwon Traditional Arts High School, The Korean High School of cultural heritage place more weight on general curriculum, while Daejeon Arts High School and Jeonju fine Arts High School put more emphasis on expert course. However there are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m in subjects and lesson hours. In the practical haegeum education, most of the first-year students learn Mittoduri, Utdodri, Youngsanhoisang of classical music. Second-year students learn Sanjo and a general review of classical music. Third-year students review classical music and Sanjo, and prepare the song for taking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 of practical haegeum education, percentage of female students is 6 times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The number of female students is 32 out of 37, and male students are 5. From the question of the reason why a student chose haegeum as a major, many students answered ‘the attractive haegeum sound.’ For the proper time to start to learn the instrument, many responses were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or ‘middle-school years.’ In the curriculum, Students firstly learn Mittoduri from classical music, Jinyangjo from Sanjo. They want to take same lesson hours for classical music and Sanjo. From the 37 students who responded this survey, 35 students wanted to go to the university, 30 students for a musician, and other 4 students for a teacher. As a result, increasing classical music and sanjo school hours with the detailed plans are necessary for the efficient practical haegeum education. It helps basic and systematic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the practical education of contemporary or creative music, appreciating the music performance and stage experience should be more given to the students. Meanwhile, current teaching method should be enhanced for students to learn haegeum more easily and interestingly. Educational environment needs to be improved for better practical lesson by developing the program considering individual peculiarities. <국문초록> 해금 실기교육의 실태 조사 연구 -예술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고 명 진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지도교수 : 백 성 기 해금은 인간의 내면적 감정을 다양한 주법의 애절한 음색으로 음악적 효과를 낼 수 있는 악기이다. 국악 관현악에서도 중요한 악기로 근래에는 서양악기와 전자악기들과의 협연, 방송매체, 인터넷 음원 등을 통해 대중적으로 알려지면서 관심도가 높아지고 학생들과 일반인들이 선호하는 악기로 인식되고 있다. 예술계 고등학교는 인문계 고등학교와 달리 예술계 분야의 전문가 육성을 위한 기본교육을 중점적으로 교육해야 하는 과정이다. 그러므로 해금 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실기교육에 있어서도 이에 부합하는 체계적인 교육과정과 좀 더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실기 지도 및 효율적인 학습방법이 필요함은 매우 자명한 일이다. 본 연구는 예술계 고등학교 해금 실기교육의 개선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전국 예술계 고등학교의 현황과 남원예고, 대전예고, 전주예고, 전통문화고 4개교를 대상으로 전문교과 교육과정, 해금실기 교육과정을 학년별, 학기별로 나누어 알아보고, 해금 실기교육의 실태는 설문지를 통하여 일반적 특징, 교육환경, 교육내용, 수업방법 및 수업시수, 진로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보다 효율적인 해금 실기지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예술계 고등학교의 학과 현황은 남원예고, 전주예고, 전통문화고의 경우 국악과가 따로 독립되어 있고, 대전예고는 음악과 안에 국악이 포함되어 있다. 전문교과 교육과정은 남원예고와 전통문화고는 일반교과에 치중하고 있고, 대전예고와 전주예고는 전문교과의 비중이 약간 더 높았으나, 과목 및 수업 시간 수는 큰 차이 없이 각 학교별 특성에 맞게 교육되고 있다. 해금 실기 교육과정은 대부분의 학교가 1학년에는 정악 중 밑도드리, 웃도드리, 영산회상을 배우고, 2학년에는 정악 복습 및 산조를, 3학년에는 1, 2학년에 배운 것을 복습하며, 대학 입시에 대비한 입시곡을 준비하고 있다. 해금 실기교육의 실태를 설문지로 조사한 결과, 총 학생 수 37명 중 여학생 32명, 남학생 5명으로 여학생의 비율이 약 6배 높았다. 해금을 전공하게 된 동기는 ‘악기의 소리가 좋아서’라고 답한 비율이 높았으며, 해금을 배우기 시작하는 시기는 ‘초등학교 고학년이나 중학교부터’가 좋다는 응답자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교육내용 중 정악은 밑도드리를 가장 먼저 배우고, 산조는 진양조부터 배우며 시수는 산조, 정악 모두 동일한 시수를 희망하고 있다. 고등학교 졸업 후 진로는 37명 중 대학 진학 희망이 35명, 향후 진로는 연주자가 30명, 교육자가 4명으로 주로 연주자가 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이상을 종합해 본 결과, 효과적인 해금 실기교육을 위해서는 정악과 산조의 수업시간을 늘려 기본교육을 강화하고, 좀 더 체계적인 실기 교육과정이 되도록 보완하여 세부적인 학습지도의 틀을 갖추어야 하며, 창작음악(신곡)의 실기지도를 위해 감상 및 무대경험의 기회를 갖도록 해야 할 것이다. 한편, 학생들이 해금을 보다 쉽고 재미있게 접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더불어 개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방법 및 교육내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내실 있는 실기지도가 이루어지도록 교육환경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대안교육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적응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홍희경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63

        ABSTRACT Grounded theory study of alternative education in characterizing high school students in the school adaptation Hee-kyoung Ho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suk University Advisor: Uhn-jong Ki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factors helping the school adaptation process of students at alternative education characterizing high schools and support their school adaptation. To this end, Strauss and Corbin’s (1998) grounded theory method was employed in this study, which based on the perspective of symbolic interaction theory. This study investigated 1st-year students at alternative education characterizing high school for the past 1 year to look at their school live throug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to collect data. For this study purpose, the following tasks were established; first, what is the school adaptation process of students at alternative education characterizing high school? Second, what are the factors helpful for the school adaptation of students at alternative education characterizing high school?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76 sets of ideas were produced from open coding along with 29 sub-dimensions and 13 more abstract dimensions. These were expressed in the paradigm model in axial coding. It was found therein that the central phenomenon was ‘confusion due to poor self-regulation’. The causal condition was ‘expectation over alternative school’. The contextual conditions that brings about such a phenomenon were ‘new environment, ‘experiencing relationship difficulty’, and ‘unfriendly atmosphere to join others’. The intervening conditions were found ‘help from people around’, ‘will of oneself’, and ‘time change’. The phenomenon-regulating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diverse attempts’, ‘finding own method’, and ‘proactive response’. The results of such processes were ‘self-change’, and ‘society.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developmental phases of school adaptation process of students at alternative education characterizing high school were in four steps of ‘facing’, ‘challenging’, ‘attempting for change’, and ‘self-changing and adaptation’. In the facing phase, students enter an alternative education characterizing high school with expectations and are placed in a new environment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 And in this situation, as they adapt themselves to the school, they face unexpected problems and come to feel confused due to poor self-regulation. In the challenging phase, students work to address own problems to escape such a confusing situation. In the phase, the participating students coped with contextual conditions showing the action/interaction of passive efforts. The participating students, in the confusing situation, sometimes receive help from people around, an intervening condition supporting them to gain strength to start pursuing various attempts to find a solution for themselves and working to find own ways. In the attempting for change phase, the participants solidify their will, an intervening condition, to try to adapt to the situation while reading books to nurture their inner strength and response actively to try self-change. In order to adapt to school well, the participants try to find out a space for their own and style of their own in school while trying to regulate for themselves. Realizing that they should be accustomed to being alone, they work more actively to change themselves. In the self-change and adaptation phase, time change, an intervening condition, was found to complete the students’ action/interaction process. The participants realized that what I liked could be what others disliked and worked to admit oneself as well as others in the school community life. They experienced relationship improvement and acclimatization in the new environment by changing themselves. And in this process they came to adapt to the school live while accepting themselves and others finally to get together well. In the selective coding, the core category of the adaptation process of students at alternative education characterizing high school was found ‘self-change and adaptation earned in the new environment’. Centering on the core category, continuously appearing categories were investigated for their mutual relevance. As a result, the types of school adaptation of students at alternative education characterizing high school were classified into ‘self-development type’, ‘present progressive type’ and ‘complacent type’. The self-development type, after entering the alternative school with expectations, tends to experience a serious problem of confusion due to the lack of self-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and socialization difficulties in the new environment. To adapt to the new environment, they actively ask for help from people around them, strengthen own will and try diverse efforts to find out their own way while actively responding to conflictive and stressful situations to achieve self-change and adaptation. The present progressive type refers to those who keep working all the time even now to get along well with others after feeling self-change in a new environment. This type of students are similar to the self-development type but tend to keep being confused continuously due to poor self-regulation. They have a strong will to adapt themselves yet they receive smaller help from people around them while still having difficulties in building empathy and relationship with others. They achieve own self-change based on own effort but stay at a normal level in the adaptation stage to accept others and still working for adaptation. The complacent type experience less confusion from new experience as their expectation over the school was lower. They have a passive attitude in school life and are complacent with the given reality to live without being much stressed. This type of students are not be satisfied with school life nor dissatisfied and do not know well if they have adapted or not. Their self-change level is low while achieving only dissatisfactory level of adaptation. This study is a study on grounded theory of school adaptation process of students at alternative education characterizing high school. It is significant in studying 1st-year students who experience the most difficult time to adapt to school. This study is also important as a research material showing the overall flow of students’ school adaptation process. Moreover,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the basic material for school adaptation of students at alternative education characterizing high school. 국문초록 대안교육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적응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홍 희 경 우석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지도교수 : 김운종) 본 연구는 대안교육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적응 과정과 적응을 돕는 요인을 찾아내어 대안교육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적응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관점을 바탕으로 하는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대안교육 특성화대안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난 1년간의 학교생활을 면접과 관찰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안교육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적응 과정은 어떠한가? 둘째, 대안교육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적응을 돕는 요인은 무엇인가? 연구 결과 개방코딩에서 76개의 개념이 도출되었고, 29개의 하위범주와 이를 보다 추상화시킨 1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를 축코딩에서 패러다임 모형으로 나타낸 결과 중심현상은 ‘자기조절 미숙으로 혼란’이었으며, 인과적 조건은 ‘대안학교에 대한 기대’였다. 현상을 가져오게 되는 맥락적 조건은 ‘새로운 환경’, ‘관계의 어려움을 경험함’, ‘함께하기 어려운 분위기’로 나타났고, 중재적 조건으로는 ‘주변의 도움’, ‘본인의 의지’, ‘시간의 변화’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현상을 조절하기 위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는 ‘다양한 시도’, ‘나만의 방법 찾기’, ‘적극적으로 대처함’이었다. 이러한 과정의 결과로는 ‘자기변화’와 ‘어울림’으로 나타났다. 대안교육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적응 과정의 발달과정은 ‘직면단계’, ‘도전단계’, ‘변화시도단계’, ‘자기변화와 수용단계’의 4단계를 거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직면단계’는 대안교육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이 학교에 대한 대안학교에 대한 기대를 갖고 입학을 하게 되면서 이제까지 생활해오던 환경과는 다른 새로운 환경에 놓이며 학교적응 과정에서 예상치 못했던 문제와 직면하게 되면서 자기조절의 미숙함으로 혼란을 느끼는 단계이다. ‘도전단계’에서는 자기조절의 미숙함으로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자신의 문제를 개선하려 노력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참여자들이 맥락적 조건들을 대처해 나가는 수동적 노력의 작용/상호작용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계이다. 참여자들은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때로는 자신을 지지해 주는 중재적인 조건인 주변의 도움을 받으며 힘을 얻어 스스로 해결점을 찾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자기만의 방법을 찾아보기 시작한다. ‘변화시도단계’는 참여자들이 중재적 조건인 본인의 의지를 다지고 적응해보려고 노력을 하며, 책읽기를 통해 자신의 내면을 다지고 적극적으로 대처해 나가면서 자기 변화를 시도해 나가는 단계이다. 학교에 잘 적응하기 위해 참여자들은 학교 안에서 자신만의 공간과 자신만의 스타일을 찾아내며 스스로 조절하려고도 해보고, 혼자 다니는 것도 익숙해져야 한다는 것을 깨닫고 자신을 변화시키려 적극적으로 대처해 나간다. ‘자기변화와 수용단계’에서 중재적 조건인 시간의 변화가 작용/상호작용을 완성시키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참여자들은 내가 좋은 것이 다른 사람은 싫을 수 있다는 것을 깨닫고 공동체 생활을 하며 나와 다른 타인을 인정하고 타협해 나갔다. 참여자들은 새로운 환경에서 자기 변화를 통해 관계가 나아지고, 익숙해짐을 경험하며 학교생활 적응을 하게 되고 나와 다른 타인을 수용하게 되며 함께 어울리게 된다. 선택코딩을 통해 나타난 대안교육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적응 과정에 대한 핵심범주는 ‘새로운 환경에서 피워낸 자기변화와 어울림’으로 나타났다.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범주들 간의 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대안교육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적응 과정 유형은 ‘자기성장형’, ‘현재진행형’, ‘현실안주형’으로 분류되었다. 자기성장형’은 대안학교에 대한 기대로 입학을 하고 새로운 환경을 접하면서 겪는 관계의 어려움과 함께하기 어려움으로 인해 자기조절의 미숙으로 혼란스러움을 심각하게 고민하게 된다.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주변의 도움을 적극적으로 요청하고, 본인이 의지를 다지며 다양한 시도를 통해 자신만의 방법을 찾아내고, 갈등과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적극적으로 대처하여 자기 변화와 어울림을 이뤄내는 유형이다. ‘현재진행형’은 새로운 환경 속에서 자기변화를 느끼고 함께 어울리기 위해 지금도 노력하고 있는 유형이다. ‘현재진행형’은 ‘자기성장형’과 비슷하게 대응하지만 자기조절 미숙으로 인한 혼란스러움의 현상을 지속적으로 갖게 된다. 적응을 해 보려는 본인의 의지는 강하나, 주변의 도움을 적게 받고 타인에 대한 공감과 관계에서는 아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자신의 노력으로 자기변화는 이뤄내지만, 타인을 수용하는 어울림의 단계에서는 보통수준에 머무르고 아직 적응을 하기 위해 진행 중인 유형이다. ‘현실안주형’은 학교에 대한 기대도 적었고, 새로운 경험 때문에 혼란스러움도 적었다. 그들은 소극적인 태도로 학교생활을 하며 현실에 안주하며 지내고 있다. ‘현실안주형’은 학교생활에 만족하지도, 불만족하지도 않고, 적응을 했는지 안했는지도 잘 모르며, 자기변화의 수준은 낮고, 어울림에 있어서도 만족스럽지 않은 유형이다. 본 연구는 대안교육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적응 과정을 근거이론으로 연구한 것으로 학교적응에 가장 힘든 시기인 1학년 과정을 연구했다는 것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학교에 적응해 나가는 과정의 전체적인 흐름을 알 수 있는 연구 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아울러 향후 대안교육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적응에 대한 기초 자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박씨전」과 「홍계월전」의 반응 중심 교육 방안 연구

        김덕희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Research on the Plans for Response-centered Education of 「Bakssijeon」 and 「Honggyewoljeon」 Kim Deok Hee Majo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suk University Classical literature is not simply a literature from the past. It is connected with the present beyond the past and could even show the future. For this reason, classical literature is highly valued in school education field and does a role in curriculum. Nevertheless, students’ interest in classical literature is not high. There could be a lot of reasons for this phenomenon, but, fortunately, the contents of classical literature have been exposed in various ways these days, which allows students to take an easy approach to the literature.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find ways to raise students’ interest in classical literature and teach it in more interesting and meaningful mea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ors of characters which are thought to reveal the value of classical literature. Characters in a literary work form different types of relationships, are placed in diverse situations, and behave. That is, focusing on characters in teaching classical literature enables students to understand it effectively as well as to make an easy access to it. Through this method, it is expected that readers reflect their lives and generally figure out others’ lives from this reflection. 「Bakssijeon」 has a consistently repetitive frame in which family conflicts and their solutions in the first half and national conflicts and their solutions in the second half appear. By the change of the main character, Bakssi, this literary work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first half and second half respectively. In the first half, story continues at home and is about conflicts and solutions from ugly appearance. In the second half, the main story is about national conflicts and their solutions. The narration about Bakssi continues heterogeneously, so issues about the unity of the literary work have been raised but solved as each episode in the work shows organic association. In 「Honggyewoljeon」, a female attired as a male goes to war and helps to overcome national hardship. Its narrative structure is typical of a female heroic novel. However, Gyewol, the female main character, shows superior abilities to Boguk, the male main character throughout the story. She gets over hardship and maintains the figure as a heroine even after her disguise is unveiled. Namely, this literary work shows the change of females’ awareness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men and women cannot be vertical regardless of abilities. This work tries to break from confucianism ideology unlike general female heroic novels and can be seen as a work to achieve the independence of females. After a close consideration of the frame traits and characters’ remarkable activities of these two literary works, I took a careful look at their textbook inclusion and education plan. In the 2009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Bakssijeon」 is contained in five middle school textbooks and one high school Korean Ⅱ textbook while 「Honggyewoljeon」 in three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This fact proves that the two works have not only literary values but also educational ones. In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of the subject “Korean”, there are direct instruction model, role-play model, problem-solving learning model, creativity- development learning model, knowledge-quest learning model, experts-cooperation learning model, discussion-debate learning model, response-centered learning model, and values-quest learning model. Of various learning models, response-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was introduced at the time when cramming and rote education of literature had been criticized. The new method was known to put emphasis on students’ response to literary works and attracted a lot of attention. It features students’ response and free expression of emotion about their own literary experiences. This study deals with educational practice plan of 「Bakssijeon」 and 「Honggyewoljeon」 based on response-centered learning model, as the model with its basis on a literary theory (readers’ response) is considered as most appropriate for actual lessons. This is not the reading,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classical literature, but various interpretations and reconstruction of meanings by students based on their experiences and values. It is highly likely that in existing literature classes, teachers have unilaterally transferred knowledge about the works of 「Bakssijeon」 and 「Honggyewoljeon」 and students have believed and accepted that absolute knowledge about these two works exists. In these literature classes, students’ role is shrunk to the minimum, which naturally decreases students’ interest in literary works. Thus, students should be allowed to take a leading role in literature classes and have enough time and opportunities to think about 「Bakssijeon」 and 「Honggyewoljeon」 on their own so that they can internalize their own meanings and have a deep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about the works. For this, classes should be progressed in stages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response-centered education and in each stage, teachers should perform a lot of roles to elicit students’ diverse thoughts and feelings. The continuous research abou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help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and autonomous acceptance is required for effective and active education of 「Bakssijeon」 and 「Honggyewoljeon」. 「박씨전」과 「홍계월전」의 반응중심 교육 방안 연구 김 덕 희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지도교수 유 기 옥 고전문학은 단순한 과거의 문학이 아니다. 과거를 넘어 현재와 연결되고, 나아가 미래를 보여주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학교 교육 현장에서도 가치를 인정받아 교육과정의 한 부분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고전문학에 대한 흥미도가 높지 않다. 여기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다행히 최근에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콘텐츠화 되어 노출되면서 학생들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처럼 학생들의 흥미도를 높이고 보다 재미있고 의미 있게 가르치기 위한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전의 가치를 발현하는 데 있어 인물요소에 중점을 두었다. 인물은 작품 안의 다른 인물과 관계를 맺고, 다양한 상황에 놓이게 되며 행동하게 된다. 즉 고전소설에서 인물 교육은 학생이 작품을 접근함에 있어 용이할뿐더러 작품을 이해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를 통해 자신의 삶을 살펴보고 이를 기준으로 다른 사람의 삶의 다양성을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박씨전」은 전·후반부에서 가정적 차원의 갈등과 해결, 국가적 차원의 갈등과 해결이라는 반복적 구조가 기본 골격을 이루며 구조상 통일성을 유지한다. 이 작품은 박씨의 변신을 기점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전반부는 가정을 배경으로 하여 추한 외모로 인한 가정 내에서의 갈등과 해결을 그리고 있고, 후반부는 국가적 차원에서의 갈등과 해결을 다루고 있다. 때문에 박씨의 서사가 매우 이질적으로 이어지며 작품의 통일성에 대한 논의들이 계속 제기되고 있지만 각각의 사건들이 서로 유기적인 연관성을 이루며 해결되고 있다. 「홍계월전」은 여성이 남장하고 출전하여 국가적 고난을 극복한다는 점에서 이 작품은 여성영웅소설 유형에 충실한 서사구조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계월은 남주인공인 보국보다 시종 월등한 능력을 지니고 고난을 극복할 뿐만 아니라 계월의 남복이 밝혀진 후에도 끝까지 여성영웅의 모습을 유지한다. 즉, 이 작품은 능력과 상관없이 남녀관계가 상하관계가 될 수 없다는 여성의식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 작품은 일반적인 여성영웅소설과 달리 당시의 유교이념에서 과감히 탈피하고자 노력했기에 여성의 독립을 성취한 작품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작품 구조의 특성과 주인공의 활약을 살펴본 후, 「박씨전」과 「홍계월전」의 교과서 수록 현황과 교육 방안을 살펴보았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하고 있는 「박씨전」과 「홍계월전」의 국어 및 문학 교과서 수록 현황을 살펴보니 「박씨전」은 중학교 국어 교과서 5개, 고등학교 국어Ⅱ 교과서 1개에 수록되어 있으며, 「홍계월전」은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3개에 수록되어 문학적 가치뿐만 아니라 교육적 가치도 있음을 보여준다. 국어과 교수·학습 모형에는 직접 교수 모형, 역할 놀이 모형, 문제 해결 학습 모형, 창의성 계발 학습 모형, 지식 탐구 학습 모형, 전문가 협력 학습 모형, 토의·토론 학습 모형, 반응 중심 학습 모형, 가치 탐구 학습 모형이 있다. 이러한 교수·학습 모형 중 반응 중심 교수·학습 방법은 주입식·암기식 문학교육에 대해 비판하던 시점에서 문학작품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중시하는 교수·학습법으로 소개되면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은 학생들이 문학 경험에 대한 자신의 반응과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것을 중시하는 교수·학습 방법이다. 본고에서는 문학이론(독자 반응)에 기반을 둔 반응 중심 학습모형이 실제 수업에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어 반응 중심 학습모형을 중심으로 「박씨전」과 「홍계월전」의 교육 실천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것은 고전문학을 읽고 이해하고 해석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자신의 경험과 가치관을 토대로 문학작품을 보다 다양하게 해석하고 의미를 재창조하는 데 있다. 기존의 문학 교과 수업에서 교사는 「박씨전」과 「홍계월전」이라는 작품에 대한 지식을 일방적으로 전달함으로써 학생들은 이 작품에 대한 절대적 지식이 존재한다고 생각하고 이를 수용했을 것이다. 이러한 기존 문학 수업에서 학생들의 역할은 최소화되었고, 이러한 과정에서 작품에 대한 흥미는 더욱 떨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학생들이 수업을 주도하고 「박씨전」과 「홍계월전」이라는 작품에 대해 충분히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와 시간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최종적으로는 자신만이 가질 수 있는 의미를 내면화 할 수 있도록 하고, 작품에 대한 다양한 반응을 이끌어 내어 문학 작품에 대한 깊은 이해와 수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반응 중심 교육의 원리를 바탕으로 단계별 수업을 진행하며, 각 단계에서 교사는 학생들의 다양한 생각과 느낌 등을 이끌어 내도록 많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와 주체적 수용을 돕는 교수·학습방법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박씨전」과 「홍계월전」이 보다 효율적이고 능동적인 교육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창의인성 역량 강화를 위한 미술과 교수-학습 방법 연구 : 은유적 사고를 응용한 미적 체험을 중심으로

        김화은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goal of the research on arts and teaching-learning method for strengthening capability of creative personality, based upo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is to enhance the ability to communicate with others and to enjoy the culture of art within life. In other words, this research focuses on developing a teaching-learning method to let learners strengthen the capability of creative personality through analysis and expression of formative language.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is composed of ‘Creativity’ that lets one produce useful intellectual products, combined with aspects ‘Personality’ that helps to promote and manifest creativity. A Metaphor is a key mechanism that helps one to understand different problems through ones’ physical and social experiences. It forms ones’ perception and behavior while structuring the understanding of experiences. An occurrence of notion from experiences is open, which consists of every perspective. The metaphorical thinking applied aesthetic experiences exceeds the boundary of an academic curriculum, connecting the experiences of notions, ideas, emotions and so on, which makes it essential in the field of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This research has developed and conducted a teaching-learning program for strengthening capability of creative personality by applying metaphorical thinking, targeting the first year students in high school. Based on the preliminary analysis of the research subjects, the program format was able to actively interpret and enjoy the symbolism and emotion of the formative language displayed in the artworks in consideration of the interests and diversity of the students. This study, which focuses on aesthetic experience activities,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opportunities for education to enhance aesthetic awareness by letting one to be able to participate regardless of aesthetic knowledge or expressive ability. The subjects of the program are “Intuitive appreciation of traditional painting ‘Long View - Short View’”, “Drawing a Buncheong with a metaphorical meaning by scratch technique”, “Installation art and Land art - Eye for beauty, Eye for the worl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provided opportunities to enjoy the various knowledge and diverse cultures, being able to develop an active attitude of self-expression. Second, the possibilities of creating valuable cultures such as attentive hearing and mutual convergence are shown. Third, metaphorical thinking can develop a colorful and balanced viewpoint and attitude in the process of appreciating and discussing artworks. Fourth, art is not limited to a handful of talented people, and everyone has a chance to experience the interaction and aesthetic qualities through aesthetic experiences. Thus, the lessons of experienc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using metaphorical thinking in the art subject were able to obtain various educational benefits. In particular, the students showed much interest in their own artworks, and they appreciated the meaning of accomplished artworks that they thought were irrelevant to themselves. In addition, the achievements in developing the personal aspect of 'understanding' and 'respect', which are the key points of metaphorical thinking, were more than expected during discussion and presentation of learning activities. As a result, the aesthetic experience through metaphorical thinking has provided an open way for students accustomed to a society with competition to re-think and re-evaluate oneself and social community. In the arts curriculum, students naturally develop their own personality through various activities to develop their creativity. The result of this process is the fact that educational effect and value depends on a teacher 's competence. In order to strengthen the creative personality, it is necessary to practically apply different programs over educational curriculums. 창의인성 역량 강화를 위한 미술과 교수-학습 방법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준거로 삼아 조형언어를 매개로 타인과 소통하는 능 력, 삶 속에서 미술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데 목표를 두고자 한다. 말하자면 학습자의 흥미와 다양성을 고려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육현장에서 학습자가 미술 작품에 나타난 조 형언어의 상징과 내용을 자기 주도적으로 해석하고 표현하게 함으로 써 창의인성 역량을 강화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창의인성교육은 독창적이면서도 유용한 산물을 산출할 수 있는 ‘창의성’과 도덕성을 넘어 창의성을 촉진하고 발현하는데 도움이 되는‘인성’이 합해진 것이며 이것은 독자적 기능과 역할을 강조하 는 동시에 유기적으로 상호통합 하여 재개념화 된 것이다. 은유는 우리의 물리적·사회적 경험을 바탕으로 삶에서 마주하는 다른 문제들을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핵심적 기제로서 무의식중에 우리의 지각과 행위를 구성해주며 경험에 대한 이해를 구조화 해주는 것이다. 경험에서 발생하는 개념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고립된 개 념의 관점이 아니라, 모든 경험의 관점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은유 적 사고를 응용한 미적 체험은 교과의 경계를 넘어 개념, 아이디어, 감정 등의 경험을 연결하는 것이기 때문에 은유적 사고는 창의인성교 육에서 중요한 요소라고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은유적 사고를 응용한 창의인성 역량 강화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에 대한 사전 분석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흥미와 다양성을 고 려하여 작품에 나타난 조형언어의 상징과 감동을 능동적으로 해석하 고 즐길 수 있게 구성하였다. 미적 체험 활동을 중심으로 한 본 연구 수업은 미술적 지식이나 표 현 능력에 상관없이 누구나 참여하여 미적 안목을 증진 시킬 수 있는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프로그램의 주제는 “전통회화의 직관적 감상‘짧게보기-길게보 기’”, “스크래치 기법으로 은유적 의미를 담은 분청사기 문양 그 리기”, “설치미술과 대지미술 – 미를 보는 눈, 세상을 보는 눈”이 다. 연구 수업 결과 분석에 따른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많은 지식과 다양한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 고 능동적인 자기표현의 자세를 기를 수 있었다. 둘째, 작품 제작 및 자유 발언 학습 활동에서 자신의 주장만 내세우 는 것이 아니라 경청과 상호융합 등 자신들의 가치있는 문화를 창출 하려는 가능성이 나타났다. 셋째, 작품을 감상하고 토론하는 활동에서 은유적 사고는 다채롭고 균형있는 시각과 태도를 함양 할 수 있었다. 넷째, 미술은 탁월한 재능을 가진 소수에게 국한되지 않으며 누구나 미적 경험을 통해 상호작용과 미적 안목을 키울 수 있는 가능성을 엿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미술교과에서 은유적 사고를 응용한 체험, 표현, 감상 연 구 수업은 다양한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학생들은 세 세하게 표현한 자신의 작품에 많은 흥미와 관심을 보였고, 자신과 상 관없다고 생각하였던 기성 작품들을 본 수업을 계기로 의미있게 받아 들였다. 또한 토론과 발표 학습 활동에서 은유적 사고의 핵심인‘이 해’, ‘존중’등 경험의 효과가 기대 이상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외적이고 사실적인 아름다움에 다수의 가치를 두고 경쟁하는 사회에 익숙해진 학생들에게 은유적 사고를 통한 미적 체험은 자신과 공동체 의 가치를 생각하고 이해해 볼 수 있는 열린 방법이 되었다. 미술 교과에서 학생들은 여러 가지 가변적인 활동을 통해 자연스럽 게 자신만의 의미를 창출해 내면서 창의인성 역량을 키운다. 이러한 과정의 결과는 교사의 역량에 따라 교육적 효과와 가치가 달라진다. 창의인성 역량을 강화시키는 교육을 위해서는 전반적 학교생활에서 다양하고 실질적인 프로그램이 종합적으로 이루어져야 더 큰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유아를 위한 미술기반 융합인재교육(A-STEAM)의 실천적 방안 연구 : 브루노 무나리(Bruno Munari)의 미술교육방법을 중심으로

        김엘렌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공상과학 영화 속의 장면들이 제품화되고 현실이 되면서 창조경 제시대가 도래했음을 부쩍 느끼게 된다. 창조경제시대에는 과학, 기 술, 문화, 예술 등 산업 간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산업 간의 융합이 일어나며 창의적인 경제적 가치 창출을 목적으로 한다. 변화하는 시 대의 요구에 따라 교육에서도 창의융합인재 양성을 위해 융합인재 교육(이후 STEAM)이 더욱 강조되고 있으며 최근 그 출발점을 유 아기에서 찾고자 하는 연구가 많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미술영역에서 융합적 방법으로 작업하였 던 예술가, 디자이너, 그림책 작가, 미술교육자인 브루노 무나리 (Bruno Munari)의 미술교육방법을 고찰하고 STEAM 교육과의 공 통적 요소를 통해 브루노 무나리의 미술교육방법에 근거한 융합인 재 미술활동을 유아에게 적용해 보았다. 융합인재 미술활동의 사전․ 사후 변화를 통해 유아 대상 미술기반 융합인재교육(이후 A-STEAM) 의 실천적 방안으로서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STEAM 교육과 브루노 무나리의 미술교육에는 어떠한 공통요소 들이 있는가? 둘째, 브루노 무나리의 미술교육방법에 근거한 융합인재 미술활동은 유아의 사전․사후의 관찰, 사고, 표현, 놀이 활동에 어떠한 차이 를 나타내는가? 셋째, 브루노 무나리의 미술교육방법에 근거한 융합인재 미술활동은 유아를 위한 A-STEAM 교육의 실천적 방안으로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전주시에 위치한 M어린이집 만 5세 유아들 19명이다. 사전 미술활동을 1회 진행하였고 본 활동은 주 1 회 총 11회를 실시하였다. 융합인재 미술활동 계획안은 브루노 무나 리의 미술교육 중 그림책 2권, 교구 1개, 워크샵 7가지를 선별하여 STEAM 교육의 수업단계와 유아의 발달에 적합하도록 유아교육 전문가 5인의 검토를 통해 완성하였다. 연구의 질적 분석을 위해서 는 유아의 활동 중 결과물, 활동 외 시간 중 그림, 사후그림, 사진, 녹음파일과 담임교사의 관찰기록을 수집하였다. 이를 토대로 유아 포트폴리오와 연구자의 관찰 기록지를 작성하였다. 사전․사후 유아 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STEAM 교육과 브루노 무나리 미술 교육의 공통적 요소를 추출하고 범주화하였다. 그 결과 관찰, 사고, 표현, 놀이의 4가지 요소를 도출하고 활동 차시별 유아의 평가 척도 를 완성하였다.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위해 미술교육 전문가 2 인, 유아교육 전문가 2인을 통해 수정 보완 하였다. 평가 척도로 작 성한 사전․사후 유아 변화표는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을 실시하 였다.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관찰활동의 하위요소인 탐색과 감상에서, 사고활동의 하위요소인 사고의 수렴과 확장에서, 표현활 동의 하위요소인 개방성과 독창성에서, 놀이활동의 하위요소인 흥미 와 상호작용에서 사전․사후 점수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변화 시 기는 1차시에서는 개방성활동, 흥미활동, 상호작용활동이, 3차시에서 는 탐색활동과 감상활동이, 4차시에서는 사고의 수렴활동이, 11차시 에서는 사고의 확산활동과 독창성활동이 많이 일어나는 활동인 것 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브루노 무나리의 미술교육 방법에 근거한 융합인재 미술활동은 놀이, 관찰, 사고와 표현 활동을 통해 유아의 역량과 작 품결과에 긍정적인 학습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첫째, 놀이 활동의 측면에서 유아의 자발적인 참여와 흥미, 몰입과 협동, 배려 등 상호작용이 빈번하였다. 성공적인 감성적 체험은 유아들이 융합 인재 미술활동을 ‘즐거운 놀이’로 인식하게 하였다. 둘째, 관찰활동 측면에서 오감과 도구를 통한 직접적인 관찰태도와 감상을 통한 간 적접인 탐구에 효과적인 변화를 주었다. 적극적인 관찰은 새로운 재 료와 기법에 대한 개방성을 높였다. 셋째, 사고와 표현활동의 측면 에서 유아가 관찰내용을 자신의 지식과 연관 지으며 사고를 수렴, 확장하도록 하였고, 그 결과 사후그림에서 나무의 구조, 형태, 크기, 표현방법에서 독창적인 작품들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관찰, 사고, 표현, 놀이 활동의 사전․사후 변 화를 통해 브루노 무나리 관점의 미술활동이 내재하고 있는 융합 교육으로의 가치를 확인하였다. 이는 예술가 관점의 유아미술활동 이 STEAM 교육의 실천적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가 유아를 위한 A-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 구 관점과 융합시대의 창의 융합적 인재들을 위한 미술교육의 방향 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roducts in the scene of SF movie are becoming a reality, we feel close to the era of creativity economy which causes industrial convergence among science, technology, culture, and art, aims to build up a creative economic value. With this tendency, STEAM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to cultivate creative and convergent type of talents, even more recent research shows it needs to start from preschooler’s education. This study is about consideration of art education methods from Bruno Munari who were artist, designer, picture book writer, and educator working with convergent methods in many various fields of art. It is also to find out the ex-ante and ex-post change through common features between STEAM’s components & competency and Bruno Munari’s art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lose the possibility of Bruno Munari’s art education as a practical plan for preschooler’s Art centered STEAM education(hereafter A-STEAM).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 were asked. First, which are the common features of component & competence between STEAM education and Bruno Munari’s art education? Second, how different is the preschooler’s ex-ante and ex-post observation, thinking, expression, and play through STEAM art activity based on Bruno Munari’s art education? Third, what meaning does STEAM art activity have as a practical plan of preschooler’s A-STEAM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 preschoolers aged 7 at M child-care center located in Jeonju. STEAM art activity has been done 11 times excluding ex-ante Art activity once. STEAM art activity was composed of 2 picture books, 1 teachware, 7 workshops from Bruno Munari’s art education. The STEAM art activity plan had been recast with 5 ECE expertises to adjust for the subjects’ developmental stage considering of a STEAM learning process. For qualitative analysis, the materials such as STEAM art activity outputs, after activity-drawings, ex-post outputs, pictures, recordings, observation from homeroom teacher had been collected. With those reference, the observation records for each subject had been made. For the preschooler’s ex-ante and ex-post change analysis, the investigator extracted the common features of components & competency between STEAM’ education and Bruno Munari’s art education, then categorized with 4 features which are observation, thinking, expression, and play, finally tabulated them with each subelement. For the credibility and validity of this evaluation scale, it was required the supplement and revision from 2 art education experts and 2 ECE experts. The chart of preschooler’s change had been tested Wilcoxon matched pairs signed ranks test.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ex-ante and ex-post STEAM art activ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n exploration and appreciation as subelement of observation, in a convergent and divergent as subelement of thinking, in an openness and creativity as subelement of expression, in an interest and interaction as subelement of play. It also showed a changed time. It largely occurred openness, interest and interaction at the 1st activity, exploration and appreciation at the 3rd activity, convergent thinking at the 4th activity, divergent thinking and creativity at the 11th activity. In conclusion, STEAM art activity based on Bruno Munari’s art education improved subjects’ competent and positive learning effects. In detail, it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STEAM art activity had been frequently occurred a spontaneous participation with interest and interaction such as consideration and cooperation. Achievement of successful emotional experience let the subjects perceive STEAM art activity as a ‘fun play’. Second, STEAM art activity influenced a significant change of either a direct search through five senses and an indirect search about appreciating works. Third, STEAM art activity make the subjects related their knowledge and extended their thoughts. It was turned out creative ex-post works in structure, shape, size, the way of expression. This study has verified the value of Bruno Munari’s art education as a convergent education through subjects’ change. This implied that an artist’s point of view could be a practical plan of preschooler’s A-STEAM education. So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ntributes to a perspective of an A-STEAM program development for preschoolers and a direction of art education for creative and convergent type of talents in a new era.

      • 뉴 스포츠 교육모형을 적용한 여자중학교 핸드볼 선수들의 훈련 사례 분석

        종선애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뉴 스포츠 교육모형을 적용한 여자중학교 핸드볼 선수들의 훈련 사례 분석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종 선 애 지도교수 권 양 기 본 연구는 뉴 스포츠교육모형을 적용하여 여자중학교 핸드볼 선수들의 훈련과 전통적 훈련을 접목한 훈련에 대한 프로그램 과정, 체력, 경기수행능력, 정의적 영역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뉴 스포츠교육모형을 적용하는 실험집단은 I시에 소재하는 I중학교 1, 2, 3학년 엘리트 핸드볼 선수18명으로 조직하였으며, 비교집단은 기존의 전통적 훈련법을 실시하는 J중학교 1, 2, 3학년 엘리트 핸드볼 선수들18명으로 정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 연구자가 참여관찰과 비 참여관찰을 통해 진행하였으며 질적 연구 방법과 양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여자중학교 핸드볼 선수들의 PAPS 체력 결과는 순발력, 유연성, 근력, 심폐지구력에서 사후에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운동기능 검사 결과는 드리블, 패스, 슛 영역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영역인 문제해결능력은 전통적 훈련보다, 뉴 스포츠교육모형의 훈련과정에서 긍정적으로 사고하고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정의적 영역은 협동심, 책임감, 적극성, 공정성, 인내심에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 스포츠교육모형에 참여한 참여자들의 사례분석결과 처음에는 어색하고 당황스러움을 경험하였으나, 점점 훈련 방법을 적용하여 실시해 나가면서 한 사람 한 사람 모두 각자 맡은 역할이 있기 때문에 모두 참여할 수 있게 됨을 통해 책임감도 느끼고 자부심도 느끼게 되었으며, 재미있고, 훈련이 기다려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감독, 코치님의 적절한 개입이 도움이 됨은 물론 이러한 훈련을 통해 자신감이 생겨 모든 것을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효과적인 훈련적용이 되었다. ABSTRACT Training case analysis of girl’s middle school handball player applicated to new sports education model Woosuk university education graduate school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Jong sun ea academic adviser Kwon yang gi This report focus on processing of program, physical strength, performance in game and affective domain about girl’s middle school handball player’s training applicated to new sports education model and training applicated to traditional training model. The experiment group applicated to New sports education model was organized outstanding 18 handball players with first, second year of “I”middle school senior in “I” city. And the comparative group applicated to existing traditional training model was organizeed uotstanading 18 handball players with first, second year of “J”middle school and “J”middle school senior. Both exeriment group and comparative group were research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and non participant observation by researcher. Researcher us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It has conclusion the following from results of study. In part of PAPS physical strength result with girl’s middle school handball player, It has upgraded about quick adaption, flexiblity, muscular strength and cadiovascular endurance. It has a little difference about cardiovascular endurance. In part of exercise function examination result, It has a little difference about dribble, pass and shoot. Recognition domain, in other words, problem-solving ability can make positive thinking and improve problem-solving ability in New sports education training model better than trditional training model. Statisticlly, affective domain has a little difference about coperative spirit, responsibility, initiative, fairness and patience. The result of case analysis with participate in New sports education model show the following. At the beginning participants have exerrience with awkward and be embarrassed But as time goes by, all participants have each role. So everyone can participate training program. They feel responsibility, confidence and fun. They turns to anticipate training. Based on results, It is helpful properly intervention of director and coach. Also, It is effective training applicated to New sports education model training. Because they become confidence, They can play active ro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